KR20080028114A - 자동차용 점화 코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점화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114A
KR20080028114A KR1020060093486A KR20060093486A KR20080028114A KR 20080028114 A KR20080028114 A KR 20080028114A KR 1020060093486 A KR1020060093486 A KR 1020060093486A KR 20060093486 A KR20060093486 A KR 20060093486A KR 20080028114 A KR20080028114 A KR 20080028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ignition coil
spring
spark plug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노진
김광주
배장웅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8114A/ko
Publication of KR2008002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01F2038/122Ignition, e.g. for IC engines with rod-shaped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점화 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고압 타워의 내주면을 따라 내향돌출되는 환형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고압 타워의 내주면의 형상에 따라 압력 스프링의 외경을 다양화함으로써 압력 스프링이 고압 타워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동시에 점화 코일의 내구성이 증가되고, 고압 타워의 상부면으로 압력 스프링을 삽입시킴으로써 압축력 및 고압 타워의 형상에 따라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며, 이에 따라 자동화 공정에 적용시킴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점화 코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점화 플러그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접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이 그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점화 플러그로 전압을 전달하는 고압 터미널과, 상기 고압 터미널이 압입되는 2차 스풀과, 내부에 전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재가 충진되되, 하부면에 고압 타워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화 코일에 있어서, 상기 고압 타워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위치에 내향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고압 타워와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화 코일, 압축 스프링, 고압 타워, 점화 플러그

Description

자동차용 점화 코일{Ignition Coil for a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점화 코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점화 코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점화 코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점화 코일 10: 압력 스프링
10a: 제1 스프링 부 10b: 제2 스프링 부
10c: 제3 스프링 부 10d: 제4 스프링 부
20: 고압 터미널 30: 2차 스풀
40: 케이스 40a: 고압 타워
40b, 40c: 환형 돌출부 50: 점화 플러그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점화 코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 타워의 내주면을 따라 내향돌출되는 환형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고압 타워의 내주면의 형상에 따라 압력 스프링의 외경을 다양화함으로써 압력 스프링이 고압 타워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동시에 점화 코일의 내구성이 증가되고, 고압 타워의 상부면으로 압력 스프링을 삽입시킴으로써 압축력 및 고압 타워의 형상에 따라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며, 이에 따라 자동화 공정에 적용시킴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점화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점화 코일은 실린더에 장착된 점화 플러그로 고전압을 전달함에 따라 혼합기 초기 연소에 요구되는 열원을 제공하는데, 펜슬형 점화 코일은 점화 플러그에 직접 점화 코일을 연결하여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일측의 고압 단자가 실린더에 장착된 점화 플러그로 연결되고, 점화 케이블을 이용하여 점화 플러그로 연결되는 웨이스트 스파크(Waste Spark)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점화 코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점화 코일(100)은 원통형상의 일측 및 타측 단부에 어퍼 및 로어캡(미도시)을 가지는 라미네이션 코어(미도시)가 구비되고, 그 외측에 절연성인 열 수축 튜브가 결합되며, 저전압이 인가되는 1차 코일(미 도시)이 권취된 1차 코일 어셈블리(미도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1차 코일 어셈블리의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2차 스풀(130)이 결합되고, 고전압을 유발시키는 2차 코일이 권취되어 2차 코일 어셈블리를 형성시키며, 상기 2차 코일 어셈블리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압 터미널(120)의 내부에 점화 플러그(150)에 연결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1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 스프링(110)의 외경은 기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점화 코일(100) 케이스(140)의 내경을 초과하지 않도록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전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재가 충진되고, 하부면에 고압 타워(140a)가 상기 케이스(140)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압 타워(140a)의 하단부로부터 압축 스프링(110)이 회전되도록 압입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110)은 상기 고압 터미널(120)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고압 타워의 하단부로부터 압축 스프링을 회전되도록 압입시키고, 고압 터미널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공정은 조립 과정의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자동화 공정에 적합하지 않았고, 조립 후에도 압축 스프링이 고압 타워 외부로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압 타워의 내 주면을 따라 내향돌출되는 환형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고압 타워의 내주면의 형상에 따라 압력 스프링의 외경을 다양화함으로써 압력 스프링이 고압 타워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동시에 점화 코일의 내구성이 증가되고, 고압 타워의 상부면으로 압력 스프링을 삽입시킴으로써 압축력 및 고압 타워의 형상에 따라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며, 이에 따라 자동화 공정에 적용시킴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점화 코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점화 플러그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접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이 그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점화 플러그로 전압을 전달하는 고압 터미널과, 상기 고압 터미널이 압입되는 2차 스풀과, 내부에 전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재가 충진되되, 하부면에 고압 타워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화 코일에 있어서, 상기 고압 타워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위치에 내향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고압 타워와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고압 터미널에 연결되는 제1 스프링 부와 상기 환형 돌출부의 내경을 초과하는 외경을 갖는 제2 스프링 부와 상기 환형 돌출부 내경 미만의 외경을 갖는 제3 스프링 부와 상기 점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제4 스프링 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점화 플러그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접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이 그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점화 플러그로 전압을 전달하는 고압 터미널과, 상기 고압 터미널이 압입되는 2차 스풀과, 내부에 전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재가 충진되되, 하부면에 고압 타워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화 코일에 있어서, 상기 고압 타워의 내부면은 상기 압력 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압력 스프링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점화 코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코일 어셈블리의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2차 스풀(30)이 결합되고, 고전압을 유발시키는 2차 코일이 권취되어 2차 코일 어셈블리를 형성시키며, 상기 2차 코일 어셈블리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압 터미널(20)의 내부에 점화 플러그에 연결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 스프링(10)의 외경은 기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점화 코일(1) 케이스(40)의 내경을 초과하지 않도록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40)의 내부에는 전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재가 충진되고, 하부면에 고압 타워(40a)가 상기 케이스(40)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 타워(40a)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위치에 내향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압 타워(40a)와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4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압축 스프링(10)은 상기 고압 터미널(20)에 연결되는 제1 스프링 부(10a)와 상기 환형 돌출부(40b)의 내경을 초과하는 외경을 가지는 제2 스프링 부(10b)와 상기 환형 돌출부(40b) 내경 미만의 외경을 가지는 제3 스프링 부(10c)와 상기 점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지는 제4 스프링 부(10d)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 스프링(10)은 케이스(4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시키면, 외경이 고압 터미널(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스프링 부(10a)가 설치되고, 환형 돌출부(40b)의 내경을 초과하도록 형성되는 제2 스프링 부(10b)는 상기 환형 돌출부를 통과하지 못하여 환형 돌출부(40b)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환형 돌출부(40b)의 내경 미만의 외경을 가지는 제3 스프링 부(10c)는 상기 환형 돌출부(40b)를 통과하고, 압축력으로 고압 타워(20)의 하부면으로 이동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점화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하여 제4 스프링 부(10d)는 점화 플러그 (5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점화 코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코일 어셈블리의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2차 스풀(30)이 결합되고, 고전압을 유발시키는 2차 코일이 권취되어 2 차 코일 어셈블리를 형성시키며, 상기 2차 코일 어셈블리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압 터미널(20)의 내부에 점화 플러그에 연결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 스프링(10)의 외경은 기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되되, 점화 코일(1) 케이스(40)의 내경을 초과하지 않도록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40)의 내부에는 전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재가 충진되고, 하부면에 고압 타워(40a)가 상기 케이스(40)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 타워(40a)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위치에 내향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압 타워(40a)와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4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 환형 돌출부(40c)는 고압 타워(40a)의 내부면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압력 스프링(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압력 스프링(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고압 타워의 내주면을 따라 내향돌출되는 환형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고압 타워의 내주면의 형상에 따라 압력 스프링의 외경을 다양화함으로써 압력 스프링이 고압 타워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동시에 점화 코일의 내구성이 증가되고, 고압 타워의 상부면으로 압력 스프링을 삽입시킴으로써 압축력 및 고압 타워의 형상에 따라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며, 이에 따라 자동화 공정에 적용시킴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3)

  1. 점화 플러그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접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축 스프링(10)과, 상기 압축 스프링(10)이 그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점화 플러그(50)로 전압을 전달하는 고압 터미널(20)과, 상기 고압 터미널(20)이 압입되는 2차 스풀(30)과, 내부에 전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재가 충진되되, 하부면에 고압 타워(40a)가 형성된 케이스(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화 코일(1)에 있어서,
    상기 고압 타워(40a)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위치에 내향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고압 타워(40a)와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4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점화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10)은 상기 고압 터미널(20)에 연결되는 제1 스프링 부(10a)와 상기 환형 돌출부(40b)의 내경을 초과하는 외경을 갖는 제2 스프링 부(10b)와 상기 환형 돌출부(40b) 내경 미만의 외경을 갖는 제3 스프링 부(10c)와 상기 점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제4 스프링 부(10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점화 코일.
  3. 점화 플러그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접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압축 스프링(10)과, 상기 압축 스프링(10)이 그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점화 플러그(50)로 전압을 전달하는 고압 터미널(20)과, 상기 고압 터미널(20)이 압입되는 2차 스풀(30)과, 내부에 전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재가 충진되되, 하부면에 고압 타워(40a)가 형성된 케이스(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화 코일(1)에 있어서,
    상기 고압 타워(40a)의 내부면은 상기 압력 스프링(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압력 스프링(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점화 코일.
KR1020060093486A 2006-09-26 2006-09-26 자동차용 점화 코일 KR20080028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486A KR20080028114A (ko) 2006-09-26 2006-09-26 자동차용 점화 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486A KR20080028114A (ko) 2006-09-26 2006-09-26 자동차용 점화 코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114A true KR20080028114A (ko) 2008-03-31

Family

ID=3941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486A KR20080028114A (ko) 2006-09-26 2006-09-26 자동차용 점화 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81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0812A (zh) * 2016-10-05 2019-05-21 宝马股份公司 具有用于电连接火花塞的弹簧的点火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0812A (zh) * 2016-10-05 2019-05-21 宝马股份公司 具有用于电连接火花塞的弹簧的点火装置
US10907605B2 (en) 2016-10-05 2021-02-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Ignition apparatus having a spring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spark plug
CN109790812B (zh) * 2016-10-05 2021-08-17 宝马股份公司 具有用于电连接火花塞的弹簧的点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7846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60255898A1 (en) Ignition coi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7090252A1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20220083365A (ko) 듀얼 스파크 플러그
JP3997463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US7268655B2 (en) Ignition coil with secondary winding center tap connected to shield
EP0987435B1 (en) Spark plug ignition coil assembly for direct ignition system
KR20080028114A (ko) 자동차용 점화 코일
US6192873B1 (en) Ignition coil having spring for connecting the same to spark plug
JP4441872B2 (ja) スティック形点火コイル及びその円筒部材
CN107077962A (zh) 内燃机用点火线圈
KR20080028116A (ko) 자동차용 점화 코일
US7075400B2 (en) Electrical contacting of thin enameled wires of secondary windings of ignition coils
JP3629983B2 (ja) 点火コイル
US20060211292A1 (en)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in varnished wires of the secondary winding of an ignition coil
JP3783957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US6636138B2 (en) Ignition coil for motor vehicles
US11761414B2 (en) Contacting device of a voltage transmission device of an ignition device of a large engine, spark-plug, ignition device and large engine
JP3899932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20140030956A (ko) 자동차용 점화코일
CN100480506C (zh) 发动机的点火装置
JP2008270392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5173585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20080032513A (ko) 자동차용 점화 코일
JP2007188959A (ja) 点火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