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770A - 부품 성형을 위한 알루미늄 합금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성형을 위한 알루미늄 합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770A
KR20080027770A KR1020077028928A KR20077028928A KR20080027770A KR 20080027770 A KR20080027770 A KR 20080027770A KR 1020077028928 A KR1020077028928 A KR 1020077028928A KR 20077028928 A KR20077028928 A KR 20077028928A KR 20080027770 A KR20080027770 A KR 20080027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alloying
containing material
temperature
alumi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 리
엔리코 마흐리크
Original Assignee
게카엔 진터 메탈스 홀딩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카엔 진터 메탈스 홀딩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카엔 진터 메탈스 홀딩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27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7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4After-treatment of workpieces or articles
    • B22F3/26Impregn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C22C1/03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using maste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0/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metal elements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 C23C10/2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metal elements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using solids, e.g. powders, pastes
    • C23C10/34Embedding in a powder mixture, i.e. pack cementation
    • C23C10/36Embedding in a powder mixture, i.e. pack cementation only one element being diffused
    • C23C10/48Alumin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B22F2998/1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sequence of their steps

Abstract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료로 부품을 제조할 시에 수반되는 단점들을 회피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품 성형을 위해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이 제안된다. 본원에 따라 알루미늄의 합금은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그리고 부품은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료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에 의해 둘러싸이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부재는 소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부직포로 감싸지며, 그리고 상기 부직포와 상기 부품 사이에 알루미늄 포일이 배치된다.
알루미늄, 합금 방법, 소결, 증발 온도, 부품 성형

Description

부품 성형을 위한 알루미늄 합금 방법{METHOD FOR THE ALLOYING OF ALUMINIUM TO FORM COMPONENTS}
본 발명은 부품 성형을 위해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뿐 아니라, 이 합금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부품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은 자체 고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특히 항공 우주 산업 및 자동차 산업에서 바람직한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으로, 또는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료로 제조되는 부품은 통상적인, 예컨대 주철로 제조되는 부품과 비교하여 더욱 가볍다.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예컨대 자동차에서 효율 상승과 연료 절감뿐 아니라, 배출 가스 기준의 개선이 달성된다. 예컨대 엔진 및 변속기 제조 분야에서 현재 지금까지의 강 부품과 주물 부품은 서서히 알루미늄 소재의 부품으로 대체되고 있다. 알루미늄 소재 부품과 강 부품 또는 주물 부품을 조합하면, 재료의 서로 다른 물리적 거동을 바탕으로 한 문제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강 또는 주물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부품을 가능하면 많이,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조한 부품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알루미늄 소재 부품으로 대체함으로써, 열팽창 계수, 열 전도성, 탄성 특성 등을 고려할 때 사용되는 재료들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가 회피되기 때문이다.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상호 간에 부합하 는 부품들을 이용함으로써, 특히 더욱 높은 효율이 달성된다.
수많은 엔진, 클러치 및 변속기의 부품이 분말 야금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주요 관심사는 알루미늄 부품을 분말 야금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게끔 하는 방법을 가용케 하는 것에 있다.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부품을 분말 야금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과 관련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점은, 특히 알루미늄과 그 합금이 공기와 접촉할 시에 특히 안정적인 금속 산화물로 도포 된다는 것에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비표면이 증가하게 된다. 이용되는 알루미늄 함유 재료상에 위치하는 산화막에 의해, 이용되는 분말 재료와 관련하여 소결에 필요한 그 입자의 확산이 억제된다. 또한,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료로 제조된 부품은 강 또는 주물로 제조된 부품과 비교하여 그 강도 계수가 감소하고, 특히 그 경도가 더욱 낮아진다. 그 외에도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출발 재료상에 위치하는 산화막은 통상적인 처리 공정에서 입자들의 상호 간 냉간 용접을 억제한다.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대표적인 강은 예컨대 독일 재료 번호 1.4767을 갖는 그런 강이다. 그러나 상기 알루미늄 함유 강을 사용하면, 특히 그 강이 앞서 기술한, 알루미늄의 높은 산소 친화성을 바탕으로 소결 단계에서 부정적으로 거동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함유 강의 물 분사 공정은 경제적인 과점에서 감당하기 어렵다. 그 외에도, 상기 알루미늄 함유 강을 섬유로서 사용해야 하고, 그로 인해 실질적인 소결 공정 이전에 선재 인발 단계가 선행되어야 한다면, 금속 산화막은 사용되는 인발 다이에 강력한 마모를 야기한다.
그러므로 제조 방법에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단점들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부품을 제조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상기 부품을 성형하기 위해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을 가용케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부품 성형을 위해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에 있어서, 알루미늄의 합금은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지고, 부품이 알루미늄을 함유한 재료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에 의해 둘러싸이며, 그리고 그와 같이 형성된 부재가 소결되는 상기 합금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소결은 특히 충분한 온도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그 온도에 의해 알루미늄이 기체상으로 변환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해당하는 부품의 표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기체상으로 변환된 알루미늄이 융착되고, 이어서 충분한 온도가 존재할 시에 부품의 재료 내부로 확산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특히 표면 인접 층 내에서 알루미늄 함량이 증가하는 부품이 획득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부품 내부로 알루미늄을 확산하기 위해 필요한 온도 수준에서, 알루미늄을 구비할 부품이 자체적으로 액상 상태로 변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 있다. 알루미늄을 구비할 부품은 자체적으로 알루미늄을 극미한 함량으로, 특히 2 중량 퍼센트 이하의 함량으로 함유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알루미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구매가 가능하거나 가능할 수도 있는 분말/섬유의 혼화재와 비교하여 보다 나은 장점은, 알루미늄 용융물에 의해 야기되는 기공의 관점에서 재료 조성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예컨대 경우에 따라 그 외의 재료를 함유하는, 특히 희토류를 함유하는 통상적인 철-크롬 강으로부터 출발하여 우선적으로 높은 강도 계수를 갖는 압분체를 함유하는 부품이 제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추가의 가공 단계에서 그 부품의 특성을 고려할 때 알루미늄의 합금을 통해 특히 표면 근처의 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목표한 바대로 부품의 알루미늄 함량을 설정할 수 있는 특별한 장점을 갖는다.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 재료, 바람직하게는 순수 알루미늄 재료는 소결 단계에서 예컨대 순수 알루미늄에 대해 약 660℃의 값을 갖는 용융 온도에 도달할 시에 액화되고, 그런 다음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액상 재료는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에 의해 전면에 걸쳐 수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알루미늄 함유 용융물의 적하는 감소하고, 그에 따라 알루미늄을 구비할 부품에 대해 직접적으로 인접하는 부분의 알루미늄 농도는 높게 유지된다. 알루미늄 함유 용융물의 증기 압력 이하로 감소되고, 바람직하게는 그 용융물이 약 1000℃ 이상일 때, 알루미늄은 기체 상태로 변환되고, 증기 내에 농후화 된다.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증기는 알루미늄을 구비할 부품에 직접적으로 인접하여 전개되기 때문에, 기체 형태의 알루미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당하는 부품의 표면상에 융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부품이 소결 온도에 도달하면, 그 부품의 표면 인접 층들 내로 확산된다. 용해된 알루미늄은 열역학적으로 더욱 낮은 증기 압력을 가지면서, 부품 내에서 안정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합금 방법은 소결 단계에서 적어도 총 3가지 온도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제1 온도 단계에서, 알루미늄 함유 재료의 액화가 이루어지며, 제2 온도 단계는 알루미늄의 증발을 나타내며, 그리고 제3 온도 단계에서 부품의 적어도 표면 인접 영역 내로 알루미늄이 확산되는 본질적인 소결이 이루어진다.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크기의 기공 부피, 특히 높은 기공 부피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금속 및/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이용된다. 기본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은 큰 표면이 있어야 하며, 그럼으로써 제1 온도 단계에 도달한 이후 용융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함유 재료가 균일하면서도 광범위하게 수용되며, 그로 인해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에 의해 둘러싸인 부품의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그럼으로써, 바람직한 점에 한해서, 부품의 전체의 표면 인접 층 내로 알루미늄이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 방법의 소결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이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함유 재료의 증발 온도 이상에서 이루어진다. 부품의 표면 인접 층 내 확산을 통해 알루미늄의 합금이 이루어지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0℃이다.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함유 재료의 증발 온도는 100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부품은 소결되고, 그리고/또는 비소결된 부재들, 특히 펠리트, 부직포, 분말 골재 또는 섬유 매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합금 방법은 소결 공정으로 처리되지 않은 부품뿐 아니라, 이미 소결된 부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압축된 압분체는 소결 전에 본원의 합금 방법에 따라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에 의해 둘러싸이며, 그리고 알루미늄 함유 재료가 첨가되는 조건에서 소결될 수 있다. 또한, 소결과 동시에 알루미늄의 합금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부품의 소결과 알루미늄의 합금은 독립된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알루미늄 함유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박판 필름의 형태로, 분말로서, 와이어로서, 직물로서 및/또는 섬유로서 이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알루미늄 포일의 형태로 사용되며, 더욱이 그 알루미늄 포일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표면을 높이고 증기상으로 알루미늄을 더욱 용이하게 변환시키기 위해 융기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함유 재료가 순수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또한, 알루미늄 함유 재료는 알루미늄 함유 합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런 알루미늄 함유 합금은 분말 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분말 혼합물은, 분말 혼합물 자체의 총량과 관련하여, 금속들 및/또는 이 금속들의 합금들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기반 분말을 60 내지 98.5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2 중량 퍼센트를 함유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기반 분말은, 알루미늄, 0.2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마그네슘, 0.2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규소, 0.2 내지 15 중량 퍼센트의 구리, 0.2 내지 15 중량 퍼센트의 아연, 0.2 내지 15 중량 퍼센트의 티타늄, 0.2 내지 10 중량 퍼센트의 주석, 0.2 내지 5 중량 퍼센트의 망간, 0.2 내지 10 중량 퍼센트의 니켈 및/또는 1 중량 퍼센트 이하의 비소, 안티몬, 코발트, 베릴륨, 납 및/또는 붕소를 함유하고, 이에 명시된 중량 퍼센트 비율은 각각 알루미늄 기반 분말의 총량과 관련한다. 또한, 알루미늄 함유 합금을 제조하기 위한 분말 혼합물에는, 추가되거나, 또는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그 분말 혼합물의 총량과 관련하여 0.8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금속 분말이 첨가 혼합될 수 있다. 금속 분말은, 철, 몰리브덴, 텅스텐, 크롬, 바나듐, 지르콘 및/또는 이트륨으로 이루어진 금속들 및/또는 이 금속들의 합금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 방법의 대체되는 실시예에서, 우선 알루미늄 함유 재료는 부품과 접촉하며, 그에 이어서 부품은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으로 둘러싸인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접촉하는 것은 알루미늄 함유 재료와 부품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뿐 아니라, 부품 가까이에, 또는 그 부품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배열하는 것과 같은 부분적인 접촉 또는 부분 면의 접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 방법의 추가의 대체되는 실시예에서, 알루미늄 함유 재료는 우선적으로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에 놓이고, 이어서 상기 재료는 상기 수단을 이용하여 부품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부품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추가의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부품을 둘러싼 후에, 알루미늄 함유 재료가 상기 부품 및 상기 수단 사이의 영역에 삽입된다. 이런 대체되는 실시예는 특히 분말 및/또는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이용할 때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 방법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부직포로 감싸지고, 상기 부직포와 상기 부품 사이에 알루미늄 포일, 특히 엠보싱 가공된 알루미늄 포일이 배치된다. 이런 바람직한 실시예는,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의 알루미늄이 부품에 직접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그렇게 형성되는 포장체는 후속 소결 단계 내지 합금 단계에서 간단하게 처리될 수 있는 방식으로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포일을 사용함으로써, 증기상 내의 알루미늄 농도는 부품을 둘러싸는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단층 또는 다층 알루미늄 포일이 이용되거나, 또는 다수의 포일 층이 개별적으로 상하로 배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 이외에도, 알루미늄 포일은 경우에 따라 또 다른 금속 불순물을 함유한다. 이에 포장 산업에서 알려져 있는 통상의 요철 알루미늄 포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 방법이 압분체로부터 출발하여 실시된다면, 상기 압분체는 재압축 공정(중간 압축 공정이라고도 지칭할 수 있음)으로 처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압축된 압분체는 통상적인 암 금형(female mold) 내에 다시 삽입되고, 그 암 금형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프레스 다이에 의해 재압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재압축 금형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압분체의 소정의 사전 지정된 위치에서 특히 높은 압축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분체를 알루미늄으로 합금하거나 또는 소결하기 전에, 그 압분체는 탈왁스(dewaxing) 처리된다. 이런 탈왁스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질소, 수소, 공기 및/또는 이들 기체의 혼합물이 공급되는 환경에서, 특히 목표한 바대로 공기가 공급되는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탈왁스 공정은 흡열 가스 및/또는 발열 가스를 이용하고, 그런 다음에는 바람직하게는 진공 상태에서 실행될 수 있다. 탈왁스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온도 제어를 위해 중첩된 초단파 및/또는 초음파에 의해, 또는 초단파만을 통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탈왁스 공정은 알코올 등과 같은 용매를 통해, 또는 온도, 초단파 또는 초음파의 작용을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은 임계의 이산화탄소를 통해, 또는 전술한 방법들의 조합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알루미늄의 합금 단계에 이어서 본질적인 소결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부품이 이미 소결된 부품 또는 고형의 부품으로 존재한다면, 그 다음에 경우에 따라 필요한 열처리, 특히 균일화 어닐링이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열처리는 획득한 부품의 화학적 조성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열처리에 대체되거나 또는 추가되는 방법에서, 소결된 부품은 (소결 온도 또는 균일화 어닐링 온도로부터 출발하여) 바람직하게는 물에서, 또는 가스 급냉을 통해 담금질 처리될 수 있다.
알루미늄의 소결 또는 합금 이전 또는 그 이후에, 추가의 표면 압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특히 모래 블라스팅 또는 숏 블라스팅, 롤링 등을 통해 표면 영역 내에 잔류 압축 응력을 적용하는 일반적인 표면 압축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균일화 어닐링 이전 또는 그 이후에 교정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정은 주변 온도에서, 또는 단조 온도까지 상승한 온도에서, 900N/㎟의 압력을 적용하면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교정은 심지어 고상선 이상에서 실시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부품은 소결 열에서 또는 알루미늄 합금 시에 이용한 온도에서 곧바로 빼내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의 합금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품은 특히 표면 인접 영역에서 알루미늄 함량의 상승이 확인되는 것으로 입증된다. 획득한 부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면 인접 영역에 상승한 알루미늄 함량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한 부품은 특히 고온 가스 여과, 특히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여과에서 적용되며, 그리고 이 경우 특히 촉매 컨버터용 캐리어로서, 또는 매연 필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금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부품들은 가스 반응이 진행되는 분리막 반응기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의 부품은 또한 그 외 비철 금속 층용 기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합금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부품들은 표면 인접 층에 알루미늄 함량이 증가하지 않은 그런 부품과 비교하여 상승한 내산화성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기의 실시예 설명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독일 재료 번호 2.4816(알루미늄 미함유)을 갖는 분말 인코넬 600(니켈-크롬 합금)으로부터 관 모양으로 압분체를 제조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분말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등압 성형 방법으로 관 모양의 압분체로 압축하였다. 압분체의 밀 도는 약 2.35 내지 약 2.38 g/㎤이었다. 이어서 그렇게 제조한 압분체를 약 30분간 약 430℃에서 탈왁스 처리하였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압분체에 적어도 일측에 융기부를 구비한 상품화된 알루미늄 포일을 단층으로 둘러쌌다. 이에 알루미늄 포일이 관 압분체에 균일하면서도 조밀하게 인접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이어서 그처럼 알루미늄 포일을 구비한 부품을 75%의 철, 20%의 크롬 및 5%의 알루미늄의 조성과 85%의 기공도를 갖는 2개의 금속 부직포 사이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포장체를 진공로에 넣었다. 온도가 약 660℃에 해당하는 알루미늄의 용융 온도에 도달하면, 알루미늄 포일은 용융되기 시작하고, 액상의 알루미늄은 2개의 금속 부직포에 의해 광범위하면서도 균일하게 수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알루미늄 용융물의 적하와 그에 따라 부품의 인접 주변부에 존재하는 알루미늄 량의 감소가 억제된다. 알루미늄에 대한 증발 온도를 초과할 시에, 알루미늄은 증발되며, 그리고 알루미늄 미함유 강으로 제조되어 이용되는 압분체의 표면상에 광범위하게 증착된다. 그런 다음 이후에 적용되거나 또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단계로, 약 1100℃의 온도에서 압분체를 소결함으로써, 펌프 임펠러 압분체의 표면 인접 영역 내로 알루미늄이 확산된다. 이때 노 내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지만, 그 온도를 즉시 증발 온도 이상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동시에 바람직한 점에 한해서 소결 온도 이상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 독일 재료 번호 1.4113(알루미늄 미함유)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섬유 매트를 통상의 조건에서 소결하였다. 이어서 소결된 섬유 매 트 양 측면에 균일하게 알루미늄 포일을 도포하였으며, 그에 이어서 알루미늄 포일을 구비한 섬유 매트를, 이 제조된 섬유 매트보다 더욱 낮은 기공도와 더욱 큰 표면을 갖는 2개의 금속 부직포 사이에 놓았다. 그런 다음 이미 앞서 펌프 임펠러 압분체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의 합금을 실시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섬유 매트의 총량과 관련하여 그 알루미늄 함량이 5 중량 퍼센트 이상인 섬유 매트를 획득할 수 있었다. 예컨대 독일 재료 번호 1.4404(알루미늄 미함유)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섬유 매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대응하는 조건 하에서 알루미늄을 합금한 후 완전하게 제조된 섬유 매트의 알루미늄 함량은 섬유 매트 자체의 총량과 관련하여 1 중량 퍼센트 이상이었다. 예컨대 인코넬 600으로 이루어진 분말로 압분체를 제조한 경우에는, 완전하게 소결된 부품의 알루미늄 포일을 사용하여 전술한 합금 방법에 따라 합금을 완료한 후, 알루미늄 함량은 부품의 총량과 관련하여 인코넬 601 재료에 상응하는 1 중량 퍼센트 이상이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간단한 합금 방법이 가용하게 되며, 그로 인해 특히 알루미늄 미함유 재료들은, 소결 부품으로 제조된 이후에, 적어도 표면 인접 영역에는 알루미늄을, 그리고 그에 따라 그 표면 인접 영역의 바람직한 특성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부품 성형을 위해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에 있어서, 알루미늄의 합금은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그리고 부품은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으로 둘러싸이고, 그렇게 형성된 부재가 소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으로서는 부직포 모양으로 형성된 수단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으로서, 금속 및/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결 단계는 알루미늄 함유 재료의 증발 온도 이상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금 온도는 적어도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소결되고, 그리고/또는 비소결된 부재들, 특히 펠리트, 부직포, 섬유 매트 또는 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용되는 부품은 본질적으로 알루미늄을 함유하지 않거나, 극미하게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함유 재료는 박판 필름 형태로, 분말로서, 와이어로서, 직물로서, 및/또는 섬유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함유 재료는 순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함유 재료는 우선적으로 부품과 접촉되고, 그에 이어서 상기 부품은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함유 재료는 우선적으로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 상에 놓이고, 그에 이어서 상기 재료는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상기 수단으로 상기 부품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부품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함유 재료는 상기 부품과 알루미늄 함유 재료를 수용하는 상기 수단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부직포로 둘러싸이며, 그리고 상기 부직포와 상기 부품 사이에 알루미늄 포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알루미늄을 합금하기 위한 합금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KR1020077028928A 2005-07-15 2006-06-21 부품 성형을 위한 알루미늄 합금 방법 KR20080027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3073.8 2005-07-15
DE102005033073A DE102005033073B3 (de) 2005-07-15 2005-07-15 Verfahren zur Zulegierung von Aluminium zu Bautei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770A true KR20080027770A (ko) 2008-03-28

Family

ID=3688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928A KR20080027770A (ko) 2005-07-15 2006-06-21 부품 성형을 위한 알루미늄 합금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175750A1 (ko)
EP (1) EP1904662A1 (ko)
JP (1) JP2009501275A (ko)
KR (1) KR20080027770A (ko)
CN (1) CN101273152B (ko)
BR (1) BRPI0613051A2 (ko)
CA (1) CA2613177A1 (ko)
DE (1) DE102005033073B3 (ko)
MX (1) MX2007016027A (ko)
WO (1) WO2007009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0179A (ja) * 2008-02-20 2009-09-03 Ulvac Japan Ltd 焼結体の製造方法
JP4992060B2 (ja) * 2009-02-12 2012-08-08 進吉 楊 ヒューズ装置
WO2012082621A1 (en) 2010-12-13 2012-06-21 Gkn Sinter Metals, Llc Aluminum alloy powder met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DE102011011200A1 (de) * 2011-02-14 2012-08-16 Dechema Gesellschaft Für Chemische Technik Und Biotechnologie E.V. Verfahren zur Erzeugung von Diffusionsschichten ohne Aktivator über Metallfolien
DE102017006659A1 (de) * 2017-07-13 2019-01-17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Verfahren zum Sintern von Metallen, nicht oxidischen Keramiken und anderen oxidationsempfindlichen Materialien
AT521546B1 (de) * 2018-08-10 2020-07-15 Miba Sinter Austri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zwischen zwei metallischen Bauteilen
US20200232071A1 (en) * 2019-01-18 2020-07-23 Divergent Technologies, Inc. Aluminum alloys
US20220220587A1 (en) * 2020-12-21 2022-07-14 Divergent Technologies, Inc. Aluminum alloys and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4042A (en) * 1960-02-23 1963-04-02 Du Pont Metal production
FR2706171B1 (fr) * 1993-06-07 1995-07-13 Europ Gas Turbines Sa Procédé d'aluminisation notamment pour cavités métalliques allongées.
US6224941B1 (en) * 1998-12-22 2001-05-01 General Electric Company Pulsed-vapor phase aluminide process for high temperature oxidation-resistant coating applications
JP2000303162A (ja) * 1999-04-15 2000-10-31 Ricchisutoon:Kk アルミニウム浸透ニッケル部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3051A2 (pt) 2010-12-14
MX2007016027A (es) 2008-03-10
DE102005033073B3 (de) 2006-10-19
CN101273152A (zh) 2008-09-24
CA2613177A1 (en) 2007-01-25
JP2009501275A (ja) 2009-01-15
US20080175750A1 (en) 2008-07-24
EP1904662A1 (de) 2008-04-02
CN101273152B (zh) 2010-07-14
WO2007009547A1 (de)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7770A (ko) 부품 성형을 위한 알루미늄 합금 방법
JP6297545B2 (ja) 高熱伝導バルブシートリング
US9457405B2 (en) Metallic crucibl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JPH04231404A (ja) 最適化2回プレス−2回焼結粉末冶金方法
JP2003268414A (ja) バルブシート用焼結合金、バルブシート及び製造方法
TW201000648A (en) Iron-based pre-alloyed powder
KR102350989B1 (ko) 소결 구성요소를 생성하는 방법 및 소결 구성요소
US5269830A (en) Process for synthesizing compounds from elemental powders and product
JP2009544841A (ja) 鉄基粉末
JP2010215951A (ja) 焼結複合摺動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207319B2 (en) Insert part that can be infiltrated
JP2008267158A (ja) 内燃機関用のピスト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427923B (zh) 机械部件及其制造方法
EP0749791A1 (fr) Procédé de mise en forme par frittage réactif de matériaux intermetalliques
JP2001518143A (ja) 粒子状フェラス材料からの部品の製造方法
US20130093131A1 (en) Sintered composite sliding par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08240031A (ja) 鉄粉を原料とする成形用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81742A (ja) 高温耐酸化性のすぐれたFe−Cr−Al系合金箔材の製造方法
JPH06330108A (ja) 焼結複合機械部品の製造方法
WO2008080041A1 (en) Three-part metallurgy system including aluminum and titanium for lightweight alloy
JPH04308065A (ja) 高電気抵抗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31963B2 (ja) 焼結バルブ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290901A (ja) 成形用金属微粉およびその焼結体の製造方法
JP2741256B2 (ja) 低熱膨張焼結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圧縮装置
Recknagel et al. Powder Pressing: Higher Densities of PM-Steels by Warm Secondary Compaction and Siz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