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031A -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031A
KR20080027031A KR1020060092429A KR20060092429A KR20080027031A KR 20080027031 A KR20080027031 A KR 20080027031A KR 1020060092429 A KR1020060092429 A KR 1020060092429A KR 20060092429 A KR20060092429 A KR 20060092429A KR 20080027031 A KR20080027031 A KR 20080027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avigation
server
driving road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728B1 (ko
Inventor
복재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728B1/ko
Publication of KR20080027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에 의하여 항법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검색된 지도정보와 주행도로 정보를 제공하고, 신규 주행도로 및 그 용도정보를 수집하며, 수집 빈도수가 많으면,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등록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특징 등에 의하여, 조사가 원활하지 못한 지역의 신규 주행도로 정보를 신속하게 갱신하는 효과가 있다.
GPS, NAVIGATION, 지도정보, 주행도로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방법{NAVIGATION SYSTEM FOR UPDATING WITH LOCAL ROAD INFORMATION AND NAVIG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운용방법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항법단말기의 기능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항법단말기의 운용방법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공위성 110 : 항법단말기
111 : GPS부 112 : 제어부
113 : 무선부 114 : 조작부
115 : 표시부 116: 음성부
117 : 메모리부 120 : 이동통신 시스템
122 : 기지국 124 : 이동교환국
130 : 공중망 140 : 서버
본 발명은 차량 등의 소형 이동체에 탑재되는 항법단말기를 이용하여 신규 주행도로와 용도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특히, 수집 빈도수가 설정된 소정 임계값 횟수 이상이면, 네비게이션 서비스 대상으로 등록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측위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은, 지구궤도상에 위치하고 전 세계를 커버하는 다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방송되는 궤도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므로, 경도, 위도 및 해발에 의한 현재 위치정보를 정밀하게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 시스템은, 이러한 GPS 위치정보와,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및 속도센서 등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들을 이용하므로, 현재위치와, 전자지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출발지로부터 여행 목적지까지의 주행도로를 탐색하고 제공한다.
그리고 차량이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제공하는 주행도로를 따라 주행할 경우, 주행 전방에 교차로나 지하차도, 고가도로 또는 고속도로 출입구 등을 포함하는 안내대상이 소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음성신호 및 지도상 표시 등으로 안내한다.
또한 차량이 주행도로에서 이탈하여 다른 도로를 주행하는 경로이탈 여부를 판단하고, 경로 이탈로 판단될 경우, 해당 경고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가 인식하 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자지도 데이터는 항상 최신의 정보로 갱신되는 경우에 최적의 주행도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실상은 빈번한 도로 공사로 새로운 도로가 건설되거나, 위험한 도로 및 다리 등을 폐쇄시키는 경우가 매우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변경된 지도정보가 신속하게 갱신 관리되는 경우, 여행 목적지까지 최적 상태의 주행도로를 탐색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정확하게 주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지도데이터 갱신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일예로, 오프라인 상에서 지도데이터가 저장된 CD(Compact Disk), 메모리 등을 구입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지도데이터로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특정 도엽 또는 특정 유닛의 지도데이터만을 제한적으로 갱신하지 못하고, 전체 지도데이터를 모두 구입하여야 하므로 경제적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센터 또는 지도정보 제공 서비스 업체에 접속하여 지도데이터를 확인하고, 갱신할 지도데이터만을 추출하여 갱신하고 있으나, 갱신을 위한 검색에 통신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시골지역 등에서 현지 사람에 의하여 개발된 도로, 최단 주행도로, 주변경치가 좋은 도로, 우회도로 등을 최신정보로 갱신 기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지도데이터 정보 수집에 있어서, 현지 사람들에 의하여 자주 이용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현장 검증에 의하여 갱신 관리하여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등록되지 않은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와 주행에 의한 경로정보와 GPS 위치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는 항법단말기; 항법단말기와 서비스 영역에서 무선접속하고, 스위칭 설정된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현지 주행도로의 용도정보와 경로정보와 네비게이션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 상기 항법단말기가 제공하는 신규 주행도로의 정보를 수집 관리하고, 설정왼 소정 빈도수 이상 수집되?? 등록하여 요청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가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서버에 의하여 항법단말기로부터 네비게이션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GPS 위치정보와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검색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항법단말기로부터 신규 주행도로 정보가 수신되면, 수집하여 기록하고 빈도수를 누적 관리하는 과정; 관리되는 빈도수가 설정된 소정 횟수 이상이면,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주행도로로 등록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서버가 네비 게이션 서비스에 의하여 제공하는 정보와 GPS 위치정보로부터 여행 목적지까지의 도로정보를 분석하고,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와 경로정보가 서버에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와 GPS부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치정보를 신규 주행도로의 경로정보로 서버에 전송되도록 무선송신하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무선수신하는 무선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신청하고, 신규 주행도로를 선택하며, 용도정보를 입력하고, GPS 위치정보에 의한 경로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네비게이션에 의한 지도정보와 경로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가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항법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조작부로부터 네비게이션 서비스 요청신호가 검출되면, 여행정보와 수신된 GPS 위치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 서버로부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고, 네비게이션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신규 주행도로가 용도정보 입력에 의하여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신규 주행도로가 선택되면, GPS 위치정보에 의한 경로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며 여행 목적지에 도착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항법단말기에 의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요청하며, GPS 위치정보와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서버에 의하여 제공된 여행정보에 의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검색하고, 항법단말기에 제공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 네비게이션 서 비스를 이용하는 항법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도로를 선택하고 용도정보와 주행에 의한 GPS 위치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서버에 의하여 신규 주행도로 정보를 수집 관리하고, 설정된 횟수 이상의 빈도수로 수집되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주행도로 정보로 등록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 참조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운용방법 순서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항법단말기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항법단말기의 운용방법 순서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신호처리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을 실시예로 설명함에 있어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익히 알려져 있고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하게 설명 및 전달한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설명하면, GPS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위성(100); 인공위성의 GPS 위치정보와 서버가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하는 항법단말기(110); 항법단말기와 서비스 영역 에서 무선접속하여 네비게이션 정보 및 신규 주행도로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경로를 스위칭하는 이동통신시스템(120); 인터넷이 포함되는 공중망(130); 상기 항법단말기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고 신규 주행도로 정보를 수집하는 서버(140)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상기 항법단말기(110)는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또는 이동통신시스템(120)에 가입된 PDA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동하면서도 인공위성(100)으로부터 궤도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므로 GPS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일예로, 항법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해당 제어명령 신호가 인가되면, 수신된 GPS 위치정보와 이동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120)의 기지국(122)에 무선 송신한다.
기지국(122)은 무선 수신된 요청신호를 이동교환국(124)에 전달하고, 이동교환국은 스위칭에 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동시에 공중망(130)을 제어하여 서버(140)와 접속한다.
서버(140)는 항법단말기(110)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요청에 의하여, 함께 수신되는 GPS 정보와 여행정보를 분석하고,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GPS 위치정보와 연계되는 최적의 최단 주행도로 정보가 포함되는 여행경로 상의 지도정보를 항법단말기(110)에 전송한다.
항법단말기(110)는,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지도정보와 주행도로 정 보를 해당 표시부와 음성부에 출력하므로, 사용자에 의하여 시각과 청각으로 확인하도록 한다.
서버(140)로부터 제공되는 주행도로 정보에는, 주행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전방에 나타나는 교통표식 또는 교차로 등의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주행도로를 이탈하는 경우에 경고하는 음성 안내 신호가 포함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서버에 기록된 디지털 지도정보는 입력된 시점이 있고, 도로는 여러 원인에 의하여 수시로 신설되거나 우회도로가 개설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이동하면서, 국도, 고속도로와 같이 정상적인 도로 이외에 지방에서는 현지인들에 의하여 새로이 개발되어 전망이 좋은 도로이거나, 통행료를 지불하지 않고서도 주행할 수 있는 등의 도로가 있을 수 있다.
즉, 이러한 도로는 지도에 나타나지 않고, 서버(140)에도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현지의 도로 구조 또는 사정은 열악할 수 있으나, 지름길인 경우가 있고, 또한, 주변 경치가 좋은 전망용 도로이거나 또는, 통행료를 지불하지 않는 우회 도로인 경우 등과 같이 유용하면서도 알려지지 않은 신규 주행도로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신규 주행도로의 GPS 추적 위치정보 또는 경로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횟수 또는 빈도수를 누적 관리하며, 이러한 빈도수가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 보다 많으면, 서버(140)에 네비게이션 서비스 정보로 등록 및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를 지정하여, 일예로, 지름길, 전망용 도로, 또는 우회도로 등과 같이 분류하여 등록하고,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면, 항법단말기(110)는, 서버(150)로부터 제공되는 목적지까지의 주행도로를 주행하면서, 현지인의 이야기 등을 참고한 선택에 의하여, 신규 주행도로를 주행한다.
이때, 항법단말기(110)는, 일예로, 지름길, 전망용 도로, 우회경로 등과 같이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를 입력하고 주행한다.
항법단말기(110)는, 이러한 신규 주행도로를 주행하면서, 인공위성(100)으로부터 수신된 GPS 위치정보를 서버(150)에 제공한다.
서버(150)는, GPS 위치정보에 의한 신규 주행도로의 경로정보를 수집하여 별도 기록 관리하고, 수집된 빈도수 또는 이용 빈도수의 정보를 누적 관리한다.
이러한 신규 주행도로가, 본인 또는 타인에 의하여 주행이 반복되면서, 서버(150)에 기록되는 빈도수 정보는 누적 증가된다.
이때 서버(150)는, 자동으로, 빈도수 값과 설정된 소정 임계값을 대비하고, 빈도수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확인한다.
이와 같이 신규 주행도로가 확인되고,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 보다 많은 빈도수가 누적되면, 서버(15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대상의 주행도로로 등록하고 관리하며, 항법단말기(110)의 요청에 의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지도정보 조사가 낙후된 지역에서의 최적 주행도로 정보를 그 용도와 함께 신속하게 갱신 관리하고 제공하므로,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빈도수 값이 소정의 임계값 보다 큰 경우, 현장 PATROL에 의하여 검증한 후에 등록하므로, 네비게이션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서버(150)에 의하여, 항법단말기(110)로부터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S100).
서버(15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항법단말기(110)로부터 GPS 위치정보와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수신한다(S110).
이와 같이 수신된 여행정보를 분석한 서버는, 지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여행 목적지까지, 최적 주행도로가 포함되는 모든 주행도로 정보를 확인하고, 항법단말기(110)에 제공한다(S120).
이러한 서버는, 항법단말기(110)의 이동에 의한 GPS 정보를 계속 제공받고, 새로운 위치에서의 지도정보와 주행도로 정보가 필요한 경우, 검색하여 계속 제공한다.
이때, 항법단말기(110)로부터, 제공된 주행도로로 이동하지 않고, 신규 주행도로를 선택 및 이동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경우(S130), 해당 신규 주행도로 정보를 수집하는 동시에, 빈도수 값을 누적 기록하여 관리한다(S140).
이와 같이 수집된 신규 주행도로의 빈도수 값 정보가 설정된 소정의 횟수 또는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확인한다(S150).
이러한 확인에 의하여 신규 주행도로의 수집 빈도수 값이, 설정된 임계값에 의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서버(150)의 지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관리하므로 네비게이션 서비스로 제공한다(S160).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지도정보 조사가 낙후된 지역에서의 최신 경로정보를 용도정보와 함께 수집하여 기록 관리하고, 수집된 빈도수 값이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으면, 네비게이션 서비스 정보로 등록 및 제공하여, 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비게이션 서버 운용률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 3 과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항법단말기(110)를 설명하면, 인공위성(100)으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부(111); 네비게이션 서비스 운용을 제어하고, 신규 주행도로 정보를 서버(140)에 제공하도록 감시하는 제어부(112); 기지국(122)과 무선접속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 정보와 신규 주행도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부(113); 네비게이션 서비스 요청과 신규 주행도로 선택 및 용도를 지정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114); 지도정보와 주행도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115); 주행도로에 의한 음성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부(116);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하고 제어부에 제공하는 메모리부(117)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상기 항법단말기(110)의 제어부(112)는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부(117) 로부터 운용(OPERATION) 프로그램과 네비게이션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 및 운용 데이터를 읽고 운용 대기상태가 되어 각 기능부를 감시한다.
감시중인 조작부(114)로부터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제어명령과 함께 이동 또는 여행할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GPS부(111)를 제어하여 인공위성(100)으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GPS 위치정보와 여행정보를 포함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한 제어부(112)는, 무선부(113)를 제어하여 무선 송신하므로 서버(140)에 전달된다.
서버(140)에 전달되는 목적지까지의 지도정보와 주행도로 정보는, 무선부(113)를 통하여 수신되어 제어부(112)에 공급되고, 제어부(112)의 분석에 의하여 지도정보와 주행도로 정보는 표시부에 출력되며, 음성안내 메시지는 음성부(116)에 출력된다.
항법단말기(110)의 이동에 의하여, 제어부(112)는, GPS부(111)가 수신하는 위치정보와 주행도로 정보를 대비하여 표시부에 출력한다.
이러한 대비에서 주행도로 상에 나타나는 신호등, 교차로, 사고 다발지역 등등의 음성 안내 메시지는 음성부(116)를 통하여 출력되고, 또한, 현재 주행 중인 위치가 지도정보와 주행도로 상에 표시되어 표시부(115)에 출력된다.
이때, 항법단말기(110) 사용자가, 현지인의 추천 등에 의하여 알려진, 신규 주행도로를 주행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부(114)를 통하여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를 선택 입력한다.
이와 같이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를 선택하는 제어명령의 입력을 확인한 제어부(112)는, GPS부(111)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무선부(113)를 제어하여 용도정보와 함께 무선송신하므로, 서버(150)에 전송한다.
이러한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 분류는, 일예로, 지름길이거나 주변 경관이 좋은 전망용 경로이거나 우회도로 등의 기타 등등과 같이 용도가 분류되어 입력된다.
즉, 제어부(112)는 신규 주행도로를 선택하는 동시에 용도를 분류한 제어명령 신호가 조작부(114)로부터 입력되면, GPS부(111)에 의한 위치추적 정보와 함께, 서버(15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서버가 제공하는 주행도로와, 현지의 신규 주행도로를, 필요에 따라 번갈아 가며 반복 이용하므로, 여행 목적지까지의 이동을 완료한다.
그러므로 항법단말기(110)는 현지의 신규 주행도로 정보를 용도정보와 함께 서버(150)에 제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누적 빈도수가 임계값보다 많은 경우, 네비게이션 서비스로 등록하는 장점이 있다.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항법단말기(110)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면, 제어부(112)는 조작부(114)로부터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S200), GPS부(111)를 제어하여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고(S210), 조작부(114)로부터 주행 목적지 정보를 입력한다(S220).
이러한 제어부(112)는 GPS 위치정보와 목적지까지의 여행정보가 포함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서버(140)에 요청한다(S230).
또한, 서버(140)가 제공하는 여행 목적지까지의 지도정보와 주행도로 정보를, 표시부(115)와 음성부(116)를 통하여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240).
제어부(112)는 조작부(114)를 감시하여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 일예로, 지름길, 전망용 도로, 기타 등을 선택하고 주행하고자 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250).
신규 주행도로로 주행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어부(112)는, 조작부(114)로부터 분류된 용도를 입력하고, GPS부(111)를 제어하여 신규 주행도로의 GPS 위치정보를 추적한다(S260).
이러한 제어부(112)는, 신규 주행도로의 주행이 완료될 때까지 GPS 추적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는(S270, S280) 동시에, 목적지까지의 주행을 완료한다(S290).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설명하면, 항법단말기(110)에 의하여, 서버(140)에, 네비게이션 서비스 요청하고(ST300), GPS 위치정보와 이동할 목적지에 대한 여행정보를 제공한다(ST310).
이러한 서버(140)는 지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ST320), 검색된 지도정보와 주행도로 정보를 항법단말기(110)에 제공하므로, 네비게이션 정보에 의하여 주행경로로 이동한다(ST330).
항법단말기(11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태에서, 신규 주행도로 를 선택하는 경우(ST340), 신규 주행도로의 선택된 용도정보를 입력하고, 주행하면서 GPS 위치정보를 수신한다(ST350).
이와 같이 선택된 용도정보와 수신되는 GPS 위치정보는, 항법단말기(110)에 의하여 서버(150)에 전송한다(ST360).
서버(150)는 항법단말기(110)로부터 제공되는 것으로, 선택된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와 GPS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기록 및 관리하고(ST370), 수집되는 빈도수 또는 횟수를 누적 관리하며, 이와 같은 빈도수가 설정된 소정 횟수 또는 임계값 보다 큰 값을 갖는지 확인한다(ST380).
이러한 신규 주행도로의 빈도수가 설정된 임계값 횟수 이상으로 확인되면, 서버(150)에 의하여 신규 주행도로 정보로 등록하여 관리하며, 항법단말기의 요청이 있으면 제공한다(ST390).
추가하여, 누적된 빈도수 값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해당 전문 요원이 신규 주행도로를 PATROL하여, 현장 검증하고 등록하는 경우,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현지 신규 주행도로를 서버의 네비게이션 지도정보에 신속하게 갱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새로운 여행정보를 제공하므로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서버에 의하여 항법단말기가 제공하는 현지 의 신규 주행도로 정보를 용도정보와 함께 수집하고, 누적된 빈도수가 소정 임계값 이상이면 등록하므로, 조사가 원활하지 못한 지역의 신규 주행도로 정보를 신속하게 갱신하고 기록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현지에서 사용되는 주행도로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 및 제공하므로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이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를 함께 관리하여 선택의 폭을 넓히므로, 여가 생활의 품질을 높이고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선호도를 높이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시스템의 활용도와 운용률 또는 가동률을 높이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정보 이용 상태에서, 등록되지 않은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와 주행에 의한 경로정보와 GPS 위치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는 항법단말기;
    상기 항법단말기와 서비스 영역에서 무선접속하고, 스위칭 설정된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현지 주행도로의 용도정보와 경로정보와 네비게이션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시스템;
    상기 항법단말기가 제공하는 신규 주행도로의 정보를 수집 관리하고, 설정왼 소정 빈도수 이상 수집되?? 등록하여 요청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구성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2. 서버에 의하여 항법단말기로부터 네비게이션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GPS 위치정보와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검색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항법단말기로부터 신규 주행도로 정보가 수신되면, 수집하여 기록하고 빈도수를 누적 관리하는 과정;
    상기 관리되는 빈도수가 설정된 소정 횟수 이상이면,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주행도로로 등록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운용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정보는,
    상기 항법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와 최종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운용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상기 항법단말기의 여행정보와 서비스 요청에 의하여 검색된 지도정보와 주행도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운용방법.
  5. 항법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조작부로부터 네비게이션 서비스 요청신호가 검출되면, 여행정보와 수신된 GPS 위치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
    상기 서버로부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신규 주행도로가 용도정보 입력에 의하여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신규 주행도로가 선택되면, GPS 위치정보에 의한 경로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며 여행 목적지에 도착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구성의 항법단말기의 운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신규 주행도로의 선택은,
    상기 조작부로부터 신규 주행도로의 용도정보가 입력되고, GPS 위치정보를 경로정보로 제공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단말기의 운용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정보는,
    상기 항법단말기의 GPS 위치정보에 의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단말기의 운용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정보는,
    상기 신규 주행도로가 지름길이거나 전망용길 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단말기의 운용방법.
  9.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주행도로는,
    상기 네비게이션 서비스에서 제공되지 않는 도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단말기의 운용방법.
  10. 항법단말기에 의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요청하며, GPS 위치정보와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 의하여 제공된 여행정보에 의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항법단말기에 제공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
    상기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항법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도로를 선택하고 용도정보와 주행에 의한 GPS 위치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 의하여 신규 주행도로 정보를 수집 관리하고, 설정된 횟수 이상의 빈도수로 수집되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주행도로 정보로 등록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신호처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빈도수는,
    상기 신규 주행도로의 동일하거나 허용된 오차범위안의 GPS 위치정보가 수집되는 누적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신호처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정보는,
    상기 신규 주행도로가 기름길, 전망용, 기타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신호처리 방법.
KR1020060092429A 2006-09-22 2006-09-22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방법 KR100831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429A KR100831728B1 (ko) 2006-09-22 2006-09-22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429A KR100831728B1 (ko) 2006-09-22 2006-09-22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031A true KR20080027031A (ko) 2008-03-26
KR100831728B1 KR100831728B1 (ko) 2008-05-22

Family

ID=3941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429A KR100831728B1 (ko) 2006-09-22 2006-09-22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241B1 (ko) * 2008-03-14 2010-05-12 손영전 조작 신호 빈도수에 의한 집단 명령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36110B1 (ko) * 2011-02-21 2013-02-21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정보 업데이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342A (ko) * 1998-12-12 2000-07-05 홍종만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도로 데이터 수정 방법
KR20010100646A (ko) * 2000-05-04 2001-11-14 김진범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항법 서비스 기능 및 정보 제공장치및 방법
KR20010100157A (ko) * 2001-10-18 2001-11-14 조찬호 도로 상태의 변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제공하는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74710B1 (ko) * 2002-02-1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전자가 원하는 관심지점 정보 및 주행경로를 등록할 수있는 차량항법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중앙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방법
KR100529015B1 (ko) * 2002-10-16 2005-1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정보 수집시스템 및 방법
JP2005172524A (ja) 2003-12-09 2005-06-30 Nec Corp 位置情報登録検索システム、位置情報登録検索サーバ及び位置情報登録検索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241B1 (ko) * 2008-03-14 2010-05-12 손영전 조작 신호 빈도수에 의한 집단 명령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36110B1 (ko) * 2011-02-21 2013-02-21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정보 업데이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728B1 (ko)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3401B (zh) 用于使用电子地图数据产生路线的方法及系统
EP3209970B1 (en) Alternative routes
US1111225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formation indicative of a recommended navigable stretch
CN108027247B (zh) 用于产生路线的方法及系统
US996441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US100125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destinations
US9257044B2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JP202051882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使用して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1271103A2 (en) Navigation system, server system for a navigati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recorded medium in which destination prediction program is recorded
KR20160058151A (ko) 교통 흐름을 최적화하는 경로의 생성
US20030236613A1 (en) Traffic-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and on-vehicle navigation apparatus
KR20130133265A (ko) 내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
US200402495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vel route in navigation system
JP2006308390A (ja) 乗車位置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乗車位置案内端末
JP2003151079A (ja)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JP4779638B2 (ja) 走行予測システム
JP4687575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811631B1 (ko) 차량 단말기에서의 동적 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31728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항법단말기 및 방법
JP2003207353A (ja) ネットワーク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4077360A (ja) 交通情報提供方法、交通情報提供センターおよび交通情報取得装置
JP4661408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277254A (ja) ナビゲーション用プログラ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2664899B1 (ko) 사용자 맞춤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JP404110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