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650A - 플로트 - Google Patents

플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650A
KR20080025650A KR1020070094419A KR20070094419A KR20080025650A KR 20080025650 A KR20080025650 A KR 20080025650A KR 1020070094419 A KR1020070094419 A KR 1020070094419A KR 20070094419 A KR20070094419 A KR 20070094419A KR 20080025650 A KR20080025650 A KR 20080025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electric wire
float body
fixing groov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113B1 (ko
Inventor
신호근
Original Assignee
신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근 filed Critical 신호근
Priority to KR102007009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113B1/ko
Publication of KR2008002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로트는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물 위에 설치되는 플로트 몸체와 이 플로트 몸체의 네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로트 몸체는 그 외벽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이 형성되어 이 고정홈에 플로트 구조물의 부대시설을 위한 전기선 또는 수도관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플로트 몸체의 외벽 4면에 모두 형성되어 플로트 구조물의 내외측 모두에 상기 전기선 또는 수도관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전기선이나 수도관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안정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전기선이나 수도관의 파손을 막아줄 수 있고, 플로트와 플로트간의 조립성 및 결합력이 증대되어 견고한 상태의 플로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으며, 플로트 자체의 기능이 향상되어 이를 통해 제작되는 플로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플로트{FLOAT}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로트 조립체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로트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를 이용한 플로트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조립체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에 의해 전기선 또는 수도관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플로트 2 : 플로트 구조물
3 : 기둥 4 : 전기선
5 : 수도관 10 : 플로트 몸체
20 : 연결 브라켓 30 : 고정홈
31 : 터널 32 : 끼움홈
40 : 요철부 50 : 경사홈
60 : 수용홈
본 발명은 수상에 설치되는 플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로트 구조물을 이루는 단위 플로트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플로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각종 부대시설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플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트는 바다나 강 또는 호수와 같은 곳에서 물 위에 뜨게 해주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력재로서, 통상 공기를 이용하거나 스티로폴과 같이 물 보다 가벼운 물체를 이용하여 제작되게 된다.
이러한 플로트는 바다에 어장을 만들 때 또는 이와 유사한 목적의 구조물 등을 만들 때 사용되는 박스형태의 부재로서 이러한 플로트는 모두 물 위에 뜨게 해주는 공통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플로트는 물 보다 중량이 가벼운 스티로폴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는 데 이때 스티로폴의 경우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그 외측면을 합성수지로 감싼 후 사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플로트는 어장이나 선착장 등과 같은 수상의 접안 구조물을 축조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는 수상에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로프 또는 체인 등을 이용하여 하천 등의 바닥이나 근처 땅에 연결시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한 종래의 플로트를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보통 플로트 구조물(100)의 다수의 플로트(20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플로트(200)의 일측에는 연결을 위한 연결 브라켓(201)이 설치되고, 상기 플로트(200)와 플로트(200)가 결합되는 조립면에 플로트 구조물(100)의 부대시설을 위한 전기선이나 수도관(300)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기선이나 수도관(300)을 상기 플로트(200)와 플로트(200)가 결합되는 사이 공간에 배치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도에 의한 훼손은 막아줄 수 있지만, 이 경우 상기 플로트(200)의 확실한 결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조립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플로트(200)와 플로트(200) 사이에 틈이 생겨 플로트(200)의 흔들림으로 인한 플로트 구조물(100)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플로트(200)의 상부에 홈(202)을 형성시켜 이 홈(202)에 전기선이나 수도관(300)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기 전기선이나 수도관(300)이 플로트 구조물(100)의 상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보행자나 플로트(200)에 올려지는 제반 공구 및 수레 등에 의하여 마찰로 인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플로트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플로트 구조물을 이루는 단위 플로트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플로트 구 조물에 설치되는 각종 부대시설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플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물 위에 설치되는 플로트 몸체와 이 플로트 몸체의 네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플로트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몸체는 그 외벽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이 형성되어 이 고정홈에 플로트 구조물의 부대시설을 위한 전기선 또는 수도관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플로트 몸체의 외벽 4면에 모두 형성되어 플로트 구조물의 내외측 모두에 상기 전기선 또는 수도관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 몸체는 그 상부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그 네 모서리 상부에 각각 경사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플로트 몸체의 네 모서리에서 그 위치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면서 설치되어 플로트 몸체와 플로트 몸체의 결합시 각각의 연결 브라켓이 상하로 접촉되어 일치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경사홈은 네 개의 상기 플로트 몸체가 결합된 그 중앙부위에 네 개의 경사홈이 결합하여 반구형의 수용홈이 구성됨으로써 이 수용홈에 플로트 구조물의 부대시설을 위한 기둥이 삽입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플로트 몸체와 플로트 몸체가 결합되면서 한 쌍의 고정홈이 결합하여 하나의 터널을 이루고, 상기 전기선과 수도관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삽입할 수 있도록 2개의 끼움홈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다수가 연결되어 수상에 플로트 구조물을 이루도록 된 플로트를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플로트(1)는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물 위에 설치되는 플로트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로트 몸체(10)의 네 모서리부에는 각각 연결 브라켓(20)이 설치되며, 상기 플로트 몸체(10)의 외벽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30)이 형성되어 이 고정홈(30)에 플로트 구조물(2)의 부대시설을 위한 전기선(4) 또는 수도관(5)이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 플로트(1)에 형성된 고정홈(30)을 통해 플로트 구조물(2)에 설치되는 전기선(4) 또는 수도관(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선(4) 또는 수도관(5)의 파손을 막아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1)의 고정홈(30)은 상기 플로트 몸체(10)의 외벽 4면에 모두 형성되어 플로트 구조물(2)의 내외측 모두에 상기 전기선(4) 또는 수도관(5)을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플로트(1)의 조립위치에 따라 상기 플로트 구조물(2)의 내측이나 외측 모두에 상기 전기선(4) 또는 수도관(5)을 상기 고정홈(30)에 수용된 상태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30)에 전기선(4) 또는 수도관(5)이 완전히 수용되기 때문에 서로 결합되는 플로트(1)의 결합면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으면서도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플로트(1)와 플로트(1)가 결합되는 결합부에 어 떠한 틈도 생기지 않기 때문에 상기 플로트 구조물(2)의 결합력을 높여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플로트 구조물(2)이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1)는 그 상부면에 요철부(40)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때문에 보행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플로트(1)의 네 모서리 상부에 각각 경사홈(50)이 형성되어 이 경사홈(50)을 이용하여 별도의 부대시설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로트(1)의 연결 브라켓(20)은 상기 플로트 몸체(10)의 네 모서리에서 그 위치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면서 설치되어 플로트 몸체(10)와 플로트 몸체(10)의 결합시 각각의 연결 브라켓(20)이 상하로 접촉되어 일치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플로트(1)의 조립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1)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플로트 구조물(2)을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플로트(1)의 경사홈(50)은 네 개의 상기 플로트 몸체(10)가 결합된 그 중앙부위에 네 개의 경사홈(50)이 결합하여 반구형의 수용홈(60)이 구성됨으로써 이 수용홈(60)에 플로트 구조물(2)의 부대시설을 위한 기둥(3)이 삽입고정된다.
즉, 상기 수용홈(60)에 전기선(4) 또는 수도관(5)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수용홈(60)의 상부에 조명시설이 설치될 경우 조명시설의 기둥(3) 내부로 전기선(4)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수용홈(60)의 상부에 수도시설이 설치될 경우 수도시설의 관과 상기 수도관(5)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종 부대시설의 설치에도 상기 전기선(4)이나 수도관(5)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로트(1)의 고정홈(3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플로트(1)와 플로트(1)가 결합되어 서로 접촉되는 경우 일측의 고정홈(30)과 타측의 고정홈(30)이 서로 결합되면서 하나의 터널(31)을 이루고, 상기 터널(31)에 전기선(4) 또는 수도관(5)이 설치됨으로써 전기선(4)과 수도관(5)이 외부에 들어나지 않게 수용된다.
또한, 상기 플로트(1)가 별도의 구조물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경우 플로트(1)의 상기 고정홈(30) 외측에 구조물의 일면이 접촉됨으로써 그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0)의 공간에 전기선(4) 또는 수도관(5)이 설치되어 이들 또한 외부에 나타나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그 파손을 막아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30)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플로트(1)의 측면에 2개의 끼움홈(32)으로 구성된 고정홈(30)이 형성되어 각 끼움홈(32)에 상기 전기선(4)과 수도관(5)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삽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끼움홈(32)을 통해 각각의 전기선(4)과 수도관(5)을 수용함으로써 전기선(4)과 수도관(5)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그 구조가 개선된 플로트(1)를 통해 각 플로트(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플로트 구조물(2)을 제작할 수 있고, 상기 플로트 구조물(2)에 설치되는 전기선(4) 및 수도관(5)을 효과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전기선(4) 및 수도관(5)의 노출로 인한 파손을 막아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에 의하면, 플로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전기선이나 수도관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안정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전기선이나 수도관의 파손을 막아줄 수 있고, 플로트와 플로트간의 조립성 및 결합력이 증대되어 견고한 상태의 플로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으며, 플로트 자체의 기능이 향상되어 이를 통해 제작되는 플로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물 위에 설치되는 플로트 몸체(10)와 이 플로트 몸체(10)의 네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20)을 포함하여 구성된 플로트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몸체(10)는, 그 외벽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30)이 형성되어 이 고정홈(30)에 플로트 구조물(2)의 부대시설을 위한 전기선(4) 또는 수도관(5)이 고정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30)은, 상기 플로트 몸체(10)의 외벽 4면에 모두 형성되어 플로트 구조물(2)의 내외측 모두에 상기 전기선(4) 또는 수도관(5)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몸체(10)는, 그 상부면에 요철부(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몸체(10)는, 그 네 모서리 상부에 각각 경사홈(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20)은, 상기 플로트 몸체(10)의 네 모서리에서 그 위치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면서 설치되어 플로트 몸체(10)와 플로트 몸체(10)의 결합시 각각의 연결 브라켓(20)이 상하로 접촉되어 일치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50)은, 네 개의 상기 플로트 몸체(10)가 결합된 그 중앙부위에 네 개의 경사홈(50)이 결합하여 반구형의 수용홈(60)이 구성됨으로써 이 수용홈(60)에 플로트 구조물(2)의 부대시설을 위한 기둥(3)이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30)은, 상기 플로트 몸체(10)와 플로트 몸체(10)가 결합되면서 한 쌍의 고정홈(30)이 결합하여 하나의 터널(31)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30)은, 상기 전기선(4)과 수도관(5)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삽입할 수 있도록 2개의 끼움홈(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KR1020070094419A 2007-09-17 2007-09-17 플로트 KR100989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419A KR100989113B1 (ko) 2007-09-17 2007-09-17 플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419A KR100989113B1 (ko) 2007-09-17 2007-09-17 플로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023U Division KR200434087Y1 (ko) 2006-09-18 2006-09-18 플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650A true KR20080025650A (ko) 2008-03-21
KR100989113B1 KR100989113B1 (ko) 2010-10-20

Family

ID=3941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419A KR100989113B1 (ko) 2007-09-17 2007-09-17 플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167B1 (ko) 2018-06-21 2019-05-03 임영신 수상 플로트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0681A (en) * 1979-04-17 1980-11-04 Taisei Corp Level alignment method of pontoon when jointed on sea
US5690523A (en) * 1996-09-20 1997-11-25 Yu; Meng-Hua Floats
JP4611558B2 (ja) * 2001-03-30 2011-01-12 株式会社モルテン フロート装置の連結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167B1 (ko) 2018-06-21 2019-05-03 임영신 수상 플로트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113B1 (ko)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2148B2 (ja) 浮体式洋上風力発電装置の基礎構造
KR101211491B1 (ko) 사장식 초장대 해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
JP6150426B2 (ja) 浮遊ケーブル
KR101813573B1 (ko)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KR101284241B1 (ko) 횡강성 보강 해중 터널
KR100989113B1 (ko) 플로트
KR200434087Y1 (ko) 플로트
KR101975167B1 (ko) 수상 플로트 구조물
KR101026148B1 (ko) 다목적 레저용 수상 펜션
KR20170078105A (ko) 수상에 설치된 구조물 및 수상 구조물 설치 방법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100490928B1 (ko) 방파제 또는 호안 소파피복블럭
KR101668056B1 (ko) 가로등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KR20160022175A (ko) 부유 구조체
KR101505986B1 (ko) 인공어초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낚시환경 조성구조물
KR20140104115A (ko)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KR20070105950A (ko) 아파트 단지 내 인공 대지 조성 방법
KR100481969B1 (ko) 친환경적인 하천제방 설치구조
KR100509275B1 (ko) 건축용 법면보호블록
KR100576181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용 제방블록
KR102460710B1 (ko) 선박 계류시스템
KR100466892B1 (ko) 친환경적인 하천제방 설치구조
KR20130023658A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81457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210073654A (ko) 수상 이동형 조립식 방갈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