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257A -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 Google Patents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257A
KR20080023257A KR1020087001318A KR20087001318A KR20080023257A KR 20080023257 A KR20080023257 A KR 20080023257A KR 1020087001318 A KR1020087001318 A KR 1020087001318A KR 20087001318 A KR20087001318 A KR 20087001318A KR 20080023257 A KR20080023257 A KR 20080023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d
housing
plug
row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277B1 (ko
Inventor
베르트홀트 코호르스트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2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에 평행한 플러그 결합을 위한 2열의 각진 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각진 핀 커넥터는 플러그 결합 측 내부 열(12)과 외부 열(13)에 2열로 배치된 각진 핀(8)을 포함한다. 각진 핀(8)은 인쇄 회로 기판 측 납땜 단부(6)와 플러그 결합 측 플러그 단부(5)를 갖는다. 각진 핀 커넥터는 각진 핀(8)의 고정을 위해 또한 하우징 바닥(14) 및 하우징 커버(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각진 핀 커넥터는 플러그 결합 측 열(12)에 배치된 각진 핀(8)의 납땜 단부(6)가 하우징 조립시 휘어지는 하우징 지지 러그(17)에 의해 하우징 바닥(14)과 하우징 커버(15) 사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자신의 압출 코팅을 가진 각진 플러그의 사용 없이, 확실하게 작동하는 다극 플러그 결합을 제공한다. 따라서, 조립 공간 및 비용이 절감된다.
핀 커넥터, 납땜 단부, 플러그 단부, 하우징 바닥, 하우징 커버, 하우징 지지 러그.

Description

2열의 각진 핀 커넥터{TWO-ROW ANGLED PIN CONNECTO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에 평행한 플러그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인쇄 회로 기판용 각진 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각진 핀 커넥터는 통상 전자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의 영역에서 다극 플러그의 수납을 위한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플러그 또는 플러그로부터 나온 케이블은 예컨대 장소의 이유 때문에 인쇄 회로 기판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각진 핀 커넥터로부터 나온다.
각진 핀 커넥터의 접속 핀은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된 스트립 도체와의 접속을 위한 납땜 측 단부 및 전기 접속 플러그의 플러그 핀 또는 접촉 핀의 수납을 위한 플러그 결합 측 단부를 갖는다. 각진 핀 커넥터의 플러그 결합 측 단부들은, 각진 핀 커넥터로부터 접속 플러그 또는 접속 케이블을 인쇄 회로 기판에 평행하게 배출하기 위해, 납땜 단부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접속 핀 또는 각진 핀들이 플러그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예컨대 하우징 재료로 압출 코팅되고, 따라서 각진 핀들이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움직일 수 없게 지지된, 공지된 각진 핀 커넥터 외에, 단 하나의 좁은 스트립이 각진 핀의 규정된 핀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다열의 각진 핀 커넥터도 공지되어 있다.
후자의 각진 핀 커넥터는 매우 저렴하고 장소 절감되는 구성을 갖지만, 상기 커넥터의 각진 핀은 플러그 결합측 단부가 그 축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플러그 결합측 단부의 이러한 축방향 이동을 야기하는 힘은 특히 관련 전기 접속 플러그를 삽입할 때 또는 빼낼 때 전달되는 삽입력이다. 이러한 삽입력이 특정 양을 초과하면, 공지된 간단한 구성의 각진 핀 커넥터에서 각진 핀의 플러그 결합 측 단부가 각진 핀 커넥터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과도한 삽입력은 예컨대 접촉 핀이 변형되거나, 오염되거나 부식될 때, 또는 플러그가 삽입시 접촉 핀에 대해 정확히 평행하게 움직이지 않고 기울어져 삽입될 때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진 핀들의 하나 또는 다수가 플러그 내의 그 대응부에 의해 그 설정 위치로부터 밀려져서 휘어질 수 있다.
접속 핀의 이러한 변형은 그로 인해 접촉 문제가 야기됨으로써, 변형된 접속 핀에서 주어진 전류 흐름이 확실하게 보장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개별 각진 핀의 변형은 각진 핀 커넥터의 영역에서, 예컨대 플러그 측 내부 각진 핀들이 동일한 높이로 다른 열에 배치된 외부 접속 핀과 접촉할 정도로 심하게 변형되는 경우에 단락을 일으킬 수 있다.
다열의 각진 핀 커넥터의 경우, 지금까지는 플러그 결합 측 열에 배치된 접속 핀들 또는 그 납땝 단부들이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상기 이동 또는 휘어짐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 이유는 플러그 결합 측에 배치된, 즉 내부의 핀 열이 외부 핀 열에 의해 은폐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종종 외부 핀 열의 각진 핀들만이 지지되었기 때문에, 내부 핀 열의 각진 핀에서는 플러 그를 삽입할 때 또는 경우에 따라 빼낼 때 휘어짐 위험의 전술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전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각진 핀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각진 핀 커넥터는 고유의 압출 코팅 또는 고유의 플러그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각진 핀 커넥터의 상기 매우 저렴하고 장소 절감되는 실시예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매우 확실하게 작동하게 구현될 수 있어야 하고, 플러그 힘에 의해 야기되는 접속 핀의 축방향 이동이 확실하게 방지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각진 핀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진 핀 커넥터는 공지된 방식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평행한 플러그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각진 핀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 측 납땜 단부와 플러그 결합 측 플러그 단부를 가진 2열로 배치된 각진 핀을 포함하고, 상기 2열은 플러그 결합 측 내부 열과 외부 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진 핀 커넥터는 또한 각진 핀의 고정을 위한 분할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바닥 및 하우징 커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각진 핀 커넥터는 내부, 즉 플러그 결합 측 열에 배치된 각진 핀의 납땜 단부가 하우징 조립시 휘어지는 하우징 지지 러그에 의해 하우징 바닥과 하우징 커버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달리 표현하면, 선행 기술에서와는 달리, 외부 열에 배치된 각진 핀의 납땜 단부는 하우징 조립시 하우징 바닥과 하우징 커버 사이에 클램핑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외부 열에 배치된 납땜 단부를 각각 활형으로 둘러쌈으로써, 플러그 결합 측 내부 열에 배치된 납땜 단부에 지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지지 러그에 의해, 내부 열에 배치된 납땜 단부가 하우징 바닥과 하우징 커버 사이에 형태 결합 방식으로 클램핑됨으로써, 이동 또는 휘어짐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는 특히 본 발명이 고유의 압출 코팅 또는 조립의 경우 고유의 플러그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매우 확실하게 작동하고 강성인 각진 핀 커넥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유닛 또는 장치에서 높은 질적 요구 및 높은 안전성 요구를 충족시키는 다극 플러그 접속을 실시하기 위한 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내부 열에 배치된 납땜 단부가 지지 러그와 다른 하우징 부분 사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면, 지지 러그가 구조적으로 어떻게 실시되는지, 그리고 어떤 하우징 부품에 지지 러그가 배치되는지와는 관계없이, 본 발명이 실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지지 러그는 하우징 커버에 배치되는 한편, 각진 핀의 플러그 단부는 하우징 바닥에 배치되거나 고정된다. 이로 인해, 각진 핀 커넥터를 지지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해서, 장치의 모든 유닛이 하우징 바닥에 배치되거나 또는 예비 장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끝으로, 하우징 커버가 장착된다. 하우징 커버에 배치된 지지 러그는 외부 열의 각진 핀을 둘러쌈으로써, 내부 열의 각진 핀은 하우징 바닥에 있는 대응하는 장치를 가압함으로써 고정한다.
확실한 재현 가능성이 보장된다면, 하우징 지지 러그가 외부 열에 배치된 각진 핀의 납땜 단부를 어떤 방식으로 둘러싸는지, 또는 하우징 지지 러그가 하우징 조립시 어떤 방식으로 내부 열에 배치된 각진 핀의 납땜 단부에 닿아 휘어지는지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결합 측 하우징 부분, 예컨대 하우징 바닥은 경사진 미끄럼 면을 갖는다. 상기 경사진 미끄럼 면은 하우징 조립시 다른 하우징 부분, 예컨대 하우징 커버에 배치된 지지 러그의 제어된 휘어짐을 위해 사용된다.
지지 러그의 단부면들은 플러그 결합 측 하우징 부분의 미끄럼 면에 상응하게 경사진다. 따라서, 지지 러그들은 하우징 바닥과 하우징 커버의 결합 순간에 예컨대 하우징 바닥에 배치된, 경사진 미끄럼 면 상에서 제어되어 미끄러짐으로써, 하우징 바닥과 하우징 커버의 결합시 선형 운동이 상기 선형 운동에 대해 수직인, 지지 러그의 측면 휨 운동으로 변환된다.
지지 러그의 경사진 단부면은 2중으로 사용된다. 한편으로는 하우징 미끄럼 면에서 지지 러그의 매우 양호하게 제어된 미끄럼이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러그의 경사진 단부면에 의해 그것의 휘어진 상태에서 각각의 각진 핀의 납땜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최적의 압력면이 생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지지 러그 측 하우징 부분(예컨대, 하우징 커버)은 외부 열에 배치된 각진 핀의 납땜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정지면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내부 열의 각진 핀 및 외부 열의 각진 핀, 달리 표현하면 각진 핀 커넥터의 모든 핀들이 하우징 절반들 또는 하우징 부분들 사이에 확실하게 그리고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된다.
지지 러그의 본 발명에 따른 배치가 실시된다면, 하우징 부분의 크기 및 형태와 관계없이 본 발명이 실시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하우징 부분 중 적어도 하나가, 바람직하게는 2개의 하우징 부분이 각각 상위 유닛의 부품 또는 하우징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는 특히 플러그- 또는 부시 윤곽 및 각진 핀의 수납부가 상응하는 하우징 부분 내에 성형되거나 사출 성형됨으로써, 장치 또는 유닛에서의 다극 플러그 결합이 간단하고 매우 저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외부 열에 배치된 각진 핀 및 내부 열에 배치된 각진 핀이 이동 및 휘어짐으로부터 보호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점은 선행 기술과는 달리 장치 하우징 내로 성형된 플러그 윤곽에서도 완전히 유지된다.
각진 핀 커넥터의 예비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진 핀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바와 같이, 공통의 조립- 또는 이격 스트립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최종 조립 전, 하나의 유닛으로서 각진 핀 커넥터에 포함된 핀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규정된 핀 간격을 유지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각진 플러그의 개략도.
도 2는 선행 기술에 따른 각진 핀 커넥터의, 도 1에 상응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진 핀 커넥터의 실시예를 가진 장치의 부분 단면 도.
도 4는 하우징 조립 전, 도 3에 따른 각진 핀 커넥터의 도 3의 선 A-A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하우징 조립 후, 도 3 및 도 4에 따른 각진 핀 커넥터의, 도 4에 상응하는 도면.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각진 플러그(1)를 도시한다. 도시된 표준 각진 플러그(1)의 경우, 플러그 핀들(5, 6) 또는 각진 핀들은 하우징 재료(2)에 의해 압출 코팅된다. 케이블 하니스의 커넥터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 윤곽(3)을 가진 플러그 하우징(2) 외에, 플러그 결합 측 단부(5)와 상기 플레이트를 통해 돌출한 납땜 단부(6)를 가진 각진 핀과 인쇄 회로 기판(4)이 나타난다.
도 1에 도시된 각진 플러그(1)는 단 하나의 열의 각진 핀을 포함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2열로 배치된 접촉- 또는 각진 핀을 가진 각진 플러그가 통상 각진 플러그의 하우징 재료로 각진 핀의 압출 코팅에 의해 형성되고, 그에 따라 도 1에 상응한다.
도 1에 따른 각진 플러그는 전체 접촉- 또는 각진 핀이 하우징 재료(2)의 압출 코팅에 의해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되고, 특히 플러그 힘으로 인한 플러그 결합 측 단부(5)의 축방향 이동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1에 따른 이러한 각진 플러그(1)는 장치 또는 인쇄 회로 기판(4)과 케이블 하니스 사이의 확실한 다극 플러그 결합을 형성하는데 적합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압출 코팅된 각진 플러그(1)는 비교적 비싸다. 따라서, 종종 비용의 이유 때문에, 각진 핀 장치(7)가 도 2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각진 핀 장치(7)는 단지 각진 핀(8) 및 조립 스트립(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 스트립(9)은 각진 핀 장치(7)에 포함되는 핀들(8)이 하나의 유닛으로서 취급될 수 있고 접촉 간격들이 유지되게 한다. 도 2에 따른 각진 핀 장치(7)는 도 1에 따른 각진 플러그에 수반된 낮은 비용을 야기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것이 절대적인 최소 조립 공간만을 필요로 한다.
도 2에 따른 각진 핀 장치(7)는 예컨대 유닛 또는 장치(10)에 사용될 수 있다 - 처음에 한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플러그(1)의 플러그 하우징(2, 3)의 기능은 도 2에 따른 각진 핀 장치(7)에서 상응하는 리세스(11)를 수용하는 것이며, 상기 리세스(11)는 유닛 또는 장치(10)의 하우징 부분(14) 내에 간접적으로 성형된다(도 3 참고).
그러나, 이 경우 플러그 결합 측 내부 열(파선 12 참고)에 배치된 각진 핀(8)이 축방향 힘(F)으로 인한 축방향 이동에 대해 지지될 수 없다는 전술한 문제점이 생긴다. 이러한 축방향 힘(F) 또는 그로 인해 야기된, 각진 핀(8)의 플러그 단부(5)의 축방향 이동은 특히 관련 케이블 하니스 플러그(도시되지 않음)가 각진 핀 장치(7) 상에 꽂히는 순간에, 또는 케이블 하니스 또는 플러그를 빼내는 순간에 나타날 수 있다.
이를 나타내기 위해, 도 2에는 각진 핀들(8) 중 하나가 축방향 힘(F)에 의해 변형되어 도시된다. 더욱 변형될 때, 상이한 열(12, 13)에 배치된 각진 핀들(8) 사이에 단락이 일어날 수 있고, 이는 플러그 단부의 축방향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접촉 결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치의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내부 열(12)에 배치된 각진 핀(8)의 지지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다. 도 3은 예컨대 자동차의 장치(10)용 2체용 하우징(14, 15)을 도시한다. 하우징 절반(14, 15)과 더불어, 인쇄 회로 기판 내에 납땜된 각진 핀 장치(7)를 가진 인쇄 회로 기판(4)이 나타난다. 인쇄 회로 기판(4)과 각진 핀 장치(7)는 도 2에 도시된 부품과 일치한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 하니스 플러그의 윤곽이 반대로 장치(10)의 좌측 하우징 절반(14) 내로 성형됨으로써, 케이블 하니스의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부시(11)가 장치(10)의 좌측 하우징 절반(14)으로 형성되는 것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처음에 한번 이미 비용이 절감되고, 추가로 조립 공간이 절감되는데, 그 이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출 코팅된 각진 플러그(1)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각진 핀 장치(7)는 2열로 형성된다. 케이블 하니스 플러그의 삽입시 나타나는 핀 축방향 힘에 의한 이동에 대한, 부시 리세스(11) 내에 배치된 플러그 단부(5)의 지지는 외부 핀 열(13)에 대해 돌출부(16)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16)는 우측 하우징 절반(15)에 성형된다. 본 발명에 따라 도 3의 각진 핀 커넥터에서 내부 핀 열의 각진 핀들(8)은 플러그 힘에 의한 도 2에 도시된 삽입 또는 휘어짐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내부 핀 열(12)의 각진 핀(8)에 대한 지지의 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서 파선 및 점선으로 표시된 선 A-A을 따른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에는 2개의 절단된 하우징 절반(14, 15)이 나타난다. 도 4에서 최종 조립 전 2개의 하우징 절반들(14, 15)은 어느 정도 서로 떨어지는 한편, 도 5의 2개의 하우징 절반들(14, 15)은 하우징 조립으로 인해 결합되었고 따라서 조립 위치에 있다.
보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도 4 및 도 5에서 각진 핀(8)은 그것이 단면을 통과하는 영역에서 검게 도시된다. 도 4에는, 우측 하우징 절반(15)에 배치된 하우징 지지 러그들(17)이 나타나며, 상기 하우징 지지 러그들은 도 4에 따라 2개의 하우징 절반(14, 15)의 최종 결합 전에 여전히 그 출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좌측 하우징 절반(14)에 배치된 경사진 미끄럼 면(18)이 나타나며, 상기 미끄럼 면의 경사각은 하우징 지지 러그(17)에 있는 경사와 일치한다.
2개의 하우징 절반들(14, 15)이 결합되면, 도 5에 따른 상태가 나타난다. 우측 하우징 절반(15)에 배치된 지지 러그(17)는 그들에게 각각 할당된, 좌측 하우징 절반(14)의 미끄럼 면(18)에서 미끄러지며, 도면에서 볼 때 하부로 휘어진다.
이로 인해, 지지 러그(17)가 외부 열(13)에 배치된 각진 핀(8)을 둘러싸므로, 지지 러그(17)의 단부면은 내부 열(12) 내에 배치된 각진 핀(8)의 영역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내부 열(12)의 각진 핀(8)은 하우징 조립시 휘어지는 지지 러그(17)에 의해 좌측 하우징 절반(14)에 있는 그것에 각각 할당된 홈 내로 삽입됨으로써, 플러그 단부에 작용하는 삽입력(F)에 의해 내부 열(12)에 배치된 각진 핀(8)의 휘어짐 또는 이동이 블가능하다.
따라서, 외부 열(13)에 배치된 각진 핀(8)(도 3에 따른 돌출부(16)에 의해) 및 내부 열(12)에 배치된 각진 핀(8)(휘어진 지지 러그(17)에 의해)이 플러그 힘에 의한 휘어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이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에 통합된 각진 플러그 결합에 대한 저렴하고 확실한 해결책이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은 그 성능 및 그 신뢰도 면에서 도 1에 도시된 고가의 각진 플러그에 상응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평행한 다극 플러그 결합을 위해 고가의 각진 플러그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각진 핀 커넥터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저히 낮은 비용으로 확실하게 작동하는 플러그 결합을 제공하므로, 예컨대 자동차의 장치, 시스템 및 유닛의 플러그 결합 영역에서 동일한 품질을 유지하면서 많은 비용을 절감한다.

Claims (7)

  1. 인쇄 회로 기판에 평행한 플러그 결합을 위한 2열의 각진 핀 커넥터로서, 상기 각진 핀 커넥터는 플러그 결합 측 내부 열(12)과 외부 열(13)에 배치된 각진 핀(8), 및 상기 각진 핀(8)의 고정을 위해 하우징 바닥(14) 및 하우징 커버(15)를 포함하고, 상기 각진 핀(8)은 인쇄 회로 기판 측 납땜 단부(15)와 플러그 결합 측 플러그 단부(5)를 가진, 2열의 각진 핀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결합 측 열(12)에 배치된 상기 각진 핀(8)의 상기 납땜 단부(6)는 하우징 조립시 휘어지는 하우징 지지 러그(17)에 의해 상기 하우징 바닥(14)과 상기 하우징 커버(15)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핀(8)의 상기 플러그 단부(5)는 상기 하우징 바닥(14)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 러그(17)는 상기 하우징 커버(15)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결합 측 하우징 부분(14)은 하우징 조립시 상기 지지 러그(17)의 제어된 휘어짐을 위한 경사진 미끄럼 면(1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러그(17)의 상기 단부면은 상기 플러그 결합 측 하우징 부분(14)의 상기 미끄럼 면(18)에 상응하게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러그 측 하우징 부분(15)은 상기 외부 열(13)에 배치된 상기 각진 핀(8)의 상기 납땜 단부(6)를 고정하기 위한 정지면(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하우징 부분들(14, 15) 중 하나 이상이 상위 유닛(10)의 부품 또는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핀(8)은 조립 스트립(9) 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KR1020087001318A 2005-07-19 2006-07-03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KR101283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4211A DE102005034211B4 (de) 2005-07-19 2005-07-19 Zweireihiger Winkelstiftverbinder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5034211.6 2005-07-19
PCT/DE2006/001152 WO2007009421A1 (de) 2005-07-19 2006-07-03 Zweireihiger winkelstiftver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257A true KR20080023257A (ko) 2008-03-12
KR101283277B1 KR101283277B1 (ko) 2013-07-11

Family

ID=3701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318A KR101283277B1 (ko) 2005-07-19 2006-07-03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54832B2 (ko)
EP (1) EP1905129A1 (ko)
JP (1) JP4809432B2 (ko)
KR (1) KR101283277B1 (ko)
CN (1) CN101283484B (ko)
DE (1) DE102005034211B4 (ko)
WO (1) WO200700942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3947C2 (de) * 1994-04-21 1998-05-28 Framatome Connectors Int Steckerleiste mit abgewinkelten Kontaktstiften, insbesondere zum Verlöten mit Leiterplatten
JP3123391B2 (ja) * 1995-05-10 2001-01-09 アン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付け方法
EP0860036B1 (en) * 1995-11-09 2000-01-26 The Whitaker Corporation Mechanical coupling device
US5658155A (en) * 1996-01-11 1997-08-19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tail aligning device
US5688130A (en) * 1996-04-10 1997-11-18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pc cards
US5807119A (en) * 1996-11-08 1998-09-15 Baechtle; David Robert Mechanical coupling device
US6093032A (en) * 1997-10-22 2000-07-25 Mchugh; Robert G. Connector with spacer
DE19922819A1 (de) * 1999-05-19 2000-11-23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fahren zur horizontalen Montage einer Steckdose
DE19955437A1 (de) * 1999-11-18 2001-05-23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Elektrische Steckverbindung
NL1018176C2 (nl) * 2001-05-30 2002-12-03 Fci Mechelen N V Rechthoekige connector.
CN2791918Y (zh) * 2004-01-13 2006-06-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277B1 (ko) 2013-07-11
JP2009502012A (ja) 2009-01-22
JP4809432B2 (ja) 2011-11-09
WO2007009421A1 (de) 2007-01-25
EP1905129A1 (de) 2008-04-02
US20080311799A1 (en) 2008-12-18
WO2007009421A8 (de) 2008-04-10
DE102005034211B4 (de) 2008-01-03
US7654832B2 (en) 2010-02-02
CN101283484B (zh) 2012-07-04
DE102005034211A1 (de) 2007-02-01
CN101283484A (zh)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5109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electrical connector
US6315620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 pre-loaded straddle mounted connector assembly
US7374432B2 (en) Connector
JP3013756B2 (ja) 基板用コネクタ
KR101397761B1 (ko) 전자 부품
US749770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269116B2 (en) Circuit board case with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onic unit provided with the same
US11024984B2 (en)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cable assembly
US723805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00176930A1 (en) Connector
KR101539873B1 (ko) 기판 접속용 단자
US7367818B2 (en) Onboard connector
US20140141650A1 (en) Plug connection for the direct electrical contacting of a circuit board
JP5134943B2 (ja) コネクタ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JP2002298984A (ja) コネクタ
KR101029668B1 (ko) 표면장착 헤더 조립체
US10404015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mounting surface
KR101283277B1 (ko) 2열의 각진 핀 커넥터
JP6076953B2 (ja) 基板用端子
CN111052513B (zh) 接触元件、插头联接单元和控制器
JP2022061073A (ja) 端子ユニット
WO2008012608A1 (en) Connecting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ground connection
JP2008171627A (ja) 雌型端子金具
US6257903B1 (en) Self-docking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