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017A - 인버터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백 라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인버터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백 라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017A
KR20080023017A KR1020060086971A KR20060086971A KR20080023017A KR 20080023017 A KR20080023017 A KR 20080023017A KR 1020060086971 A KR1020060086971 A KR 1020060086971A KR 20060086971 A KR20060086971 A KR 20060086971A KR 20080023017 A KR20080023017 A KR 20080023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coils
transformer
secondary coils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055B1 (ko
Inventor
타츠히사 시무라
오사무 센고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6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055B1/ko
Priority to JP2006249529A priority patent/JP5002224B2/ja
Priority to TW096133623A priority patent/TW200830939A/zh
Priority to US11/851,743 priority patent/US7477023B2/en
Priority to CN2007103061505A priority patent/CN101188896B/zh
Publication of KR2008002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1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specially adapted components in the load circuit, e.g. feed-back transformers, piezoelectric transformers; using specially adapted load circuit configur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인버터는, 전류 검출 트랜스로부터 궤환되는 전류 검출값에 근거하여 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인버터 트랜스는, 인버터에 접속되어 있는 1차 코일을 가진다. 인버터 트랜스는, 냉음극관에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2차 코일을 가진다. 밸런스 트랜스의 1차 코일은, 상기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의 2차 코일은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쌍의 방전관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일부 방전관의 미점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인버터, 전류검출, 밸런스 트랜스포머

Description

인버터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백 라이트 장치{INVERTER CIRCUIT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1과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과 관련되는 인버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와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3과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와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5와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과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7과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8과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8과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의 이상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9와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의 인버터 트랜스의 코일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2는 종래의 인버터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백 라이트 장치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인버터 회로
 120 냉음극관(방전관)
 111, 511 인버터
 112, 211, 311, 411, 512, 513 인버터 트랜스
 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 밸런스 트랜스
 115 전류 검출 트랜스
 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9 3차 코일
 820 이상 검출 장치
 821, 822, 823, 824 타이오드
 825 이상 검출기
 826 알림 장치
 1122 a, 1123 a, 1124 a, 1125 a 방전관용 접속 핀
 1122 b, 1123 b, 1124 b, 1125 b 밸런스 트랜스용 접속 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광원에 사용하는 복수의 냉음극관 등의 방전관을 점등시키는 인버터 회로 및 이 인버터 회로를 구비한 백 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한 방전관은, 주로 냉음극관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냉음극관에 한정되지 않고, 교류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복수의 방전관을 점등하는 시스템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전관은, 냉음극관으로 한정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액정표시장치(LCD)는 경량, 박형 및 저소비 전력 구동 등의 기능이 요구되어 왔다. 액정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표시장치는 아니므로 광원이 필요하다. 광원으로서는 주로 냉음극관이 사용되고 있다.
냉음극관은, 형광 램프의 일종이며 정규 그로 방전 영역에서 동작하는 형광 램프이다. 냉음극관은 교류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점등된다. 냉음극관은 필라멘트에 의해 예열하는 방법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열음극관과 비교하면 내진동성이 높고, 램프의 지름을 가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램프의 수명이 긴 특징을 가진다. 냉음극관은, 한편으로 필라멘트에 의해 예열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인가 전압을 높게 할 필요가 있다.
냉음극관을 점등시키기 위한 교류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회로로서는 인버터 회로가 이용된다.
도12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냉음극관을 점등시키기 위한 종래의 인버터 회로로서 제1 및 제2 인버터 11, 12, 제1 그룹의 제1 및 제2 인버터 트랜스 13, 14, 제2 그룹의 제1 및 제2 인버터 트랜스15, 16, 및, 제1 및 제2 전류 검출 트랜스17, 18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인버터11, 12는, 제1및 제2 전류 검출 트랜스17, 18으로부터 궤환되는 전류 검출값에 근거해 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제1 그룹의 제1 인버터 트랜스13은, 제1 인버터 1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13 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그룹의 제1 인버터 트랜스13은, 1차 코일13a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2쌍의 냉음극관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2쌍의 2차 코일13 b, 13 c, 13 d, 13 e를 가지고 있다.
제1 그룹의 제2 인버터 트랜스14는, 제1 인버터1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14a를 가지고 있다. 제1 그룹의 제2 인버터 트랜스14는, 1차 코일14a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2쌍의 냉음극관 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2쌍의 2차 코일14 b, 14 c, 14 d, 14 e를 가지고 있다.
제1 전류 검출 트랜스17은, 제1 그룹의 제2 인버터 트랜스14의 1쌍의 2차 코일14 d, 14 e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1차 코일17 a를 가지고 있다. 제1 전류 검출 트랜스17은, 제1 인버터11과 그라운드GND 사이에 접속되어 전류 검출값을 생성하여 제1 인버터11에 주는 2차 코일17b를 가지고 있다.
제2 그룹의 제1 인버터 트랜스15는, 제2 인버터1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15a를 가지고 있다. 제2 그룹의 제1 인버터 트랜스15는, 1차 코일15a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2쌍의 냉음극관 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2쌍의 2차 코일15 b, 15 c, 15 d, 15 e를 가지고 있다.
제2 그룹의 제2 인버터 트랜스16은, 제2 인버터1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16a를 가지고 있다. 제2 그룹의 제2 인버터 트랜스 16은, 1차 코일16a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2쌍의 냉음극관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2쌍의 2차 코일16 b, 16 c, 16 d, 16 e를 가지고 있다.
제2 전류 검출 트랜스18은, 제2 그룹의 제2 인버터 트랜스16의 1쌍의 2차 코일16d, 16e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1차 코일18a를 가지고 있다. 제2 전류 검출 트랜스18은, 제2 인버터12와 그라운드GND 사이에 접속되어 전류 검출값을 생성하여 제2 인버터12로 주는 2차 코일18 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인버터 회로를 가지는 관전류 평형화 회로로서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다. 이 관전류 평형화 회로는, 인버터 회로의 부하가 되는 병렬 접속된 복수의 방전관과, 이 방전관의 관전류를 균일화하는 밸런스 코일을 구비한 관전류 평형화 회로에서, 상기 방전관은, 통전시에 등가 저항값이 50킬로 오옴 이상의 냉음극관이며, 상기 밸런스 코일은 동일권수의 2개의 코일을 구비하며, 이 밸런스 코일의 자기 공진 주파수가 인버터 회로의 인버터 트랜스의 동작 주파수의 1. 5배 이상이 되도록 높게 설정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5-317253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의 인버터 회로에서는, 냉음극관(방전관)의 임피던스의 불균일, 인버터 트랜스간의 불균일, 및, 인버터 트랜스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비의 격차에 의해, 하나의 냉음극관(방전관)의 전류를 인버터로 궤환해도, 복수의 다른 냉음극관(방전관)의 전류가 동일하게 되지 않으므로 휘도의 얼룩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인버터 회로에서는, 냉음극관(방전관)은 기동시에 통상의 점등보다 큰 전압(기동 전압)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1및 제2 전류 검출 트랜스17, 18이 접속된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의 접속된 냉음극관(방전관)이 점등되고, 이 인버터 트랜스가 접속되어 있는 인버터에 접속된 일부의 냉음극관(방전관)이 점등되어 있지 않는 상태가 과도적으로 발생하면, 전류의 궤환 작용에 의해 인버터 트랜스의 기동 전류가 안정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동하고 있지 않은 2차 코일의 전압이 기동 전압에 도달하지 않고 일부의 냉음극관(방전관)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인버터 회로에서는,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전류 검출 배선이 필요하므로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을 흡사하게 배선 설계 할 수 없기 때문에, 전류의 균일화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쌍의 냉음극관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하게 유지하며, 일부의 냉음극관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전류 검출의 배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 일을 용이하게 배선 설계할 수 있는 인버터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백 라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버터 회로는 교류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과 해당 1차 코일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어 복수쌍의 방전관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쌍의 2차 코일을 가지는 인버터 트랜스, 그리고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한 쌍의 2차 코일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에 대응하는 2차 코일을 갖는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트랜스의 각각의 2차 코일은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2차 코일은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전류값에 근거한 전류 검출값을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여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1차 코일은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2차 코일은 상기 전원공급부에 접속되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전류값에 근거한 전류 검출값을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는 전류검출 트랜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쌍의 냉음극관에 흐르는 전류를 복수의 밸런스 트랜 스의 작용에 의해 균일하게 유지하고, 과도적으로 복수쌍의 냉음극관의 일부 기동 전압이 부족할 때에도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가 기동 전압의 부족분을 보상하기 때문에 일부의 냉음극관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전류 검출 배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을 흡사하게 배선 설계 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로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1과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1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100은, 인버터 회로110및 2쌍의 냉음극관(방전관) 120을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110은, 하나의 인버터111, 하나의 인버터 트랜스112,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및 전류 검출 트랜스115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111은, 전류 검출 트랜스 115로부터 궤환되는 전류 검출값에 근거하여 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인버터 트랜스112는, 인버터11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1121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버터 트랜스112는, 2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2쌍의 2차 코일 1122, 1123, 1124, 1125를 가지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112의 2쌍의 2차 코일1122, 1123, 1124, 1125는, 1차 코일 1121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2쌍의 냉음극관1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한다. 2쌍의 냉음극관120의 타단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냉음극관120은 고전압으로서 구동되므로, 냉음극관120으로부터 방사되는 정전 노이즈가 크다. 이 정전 노이즈는 액정표시장치에 영향을 주므로, 냉음극관120을 180도 위상이 다른 출력으로 구동하여, 냉음극관120으로부터 복사되는 정전 노이즈를 상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1에 나타낸 실시 형태1에서는, 이웃하는 냉음극관120은 180도 위상이 다른 전압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냉음극관120으로부터 복사되는 정전 노이즈가 서로 상쇄되어 액정표시장치로의 영향이 적어진다.
밸런스 트랜스113의 1차 코일1131은, 인버터 트랜스112의 2차 코일1122, 1123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114의 1차 코일1141은, 인버터 트랜스112의 2차 코일1124, 1125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의 2차 코일1132, 1142는,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의 2차 코일1132, 1142의 루프 일부는, 그라운드 GND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1차 코일1151은,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의 2차 코일1132, 1142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1152는, 인버터111와 그라운드GN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1152는, 1차 코일1151에 의해 야기되는 전류를 상기 전류 검출값으로서 생성하여 인버터111에 준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과 관련되는 인버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에 나타내듯이, 인버터111은, 전류 전압 변환 회로1111, 기준 전압 생성 회로1112, 비교 회로1113, 펄스 발생 회로1114및 스위칭 회로1115를 구비하고 있다.
전류 전압 변환 회로1111의 입력 단자는,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 1152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전압 변환 회로1111의 출력 단자는, 비교 회로 1113의 하나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기준 전압 생성 회로1112의 출력 단자는, 비교 회로1113의 다른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비교 회로1113의 출력 단자는, 펄스 발생 회로1114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회로1115의 출력 단자는, 인버터 트랜스112의 1차 코일1121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전압 변환 회로1111은, 전류 검출 트랜스115로부터의 전류 검출값을 전압 검출값으로 변환하여 비교 회로1113에 준다. 비교 회로1113은, 전류 전압 변환 회로1111으로부터의 전압 검출값과 기준 전압 생성 회로 1112로부터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이들 전압차를 생성하여 펄스 발생 회로 111에 준다.
펄스 발생 회로111은, 비교 회로1113으로부터의 전압차에 따라 제어된 펄스폭을 가지는 펄스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 회로1115에 준다. 스위칭 회로1115는, 펄스 발생 회로111으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교류 전압을 생성하여 인버터 트랜스112의 1차 코일1121에 준다.
이와 같이, 인버터111은,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의 2차 코일1132, 1142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전류 검출 트랜스115로부터 궤환되는 전류 검출값에 근거하여 출력 신호의 교류 전압을 제어하므로, 인버터 트랜스112의 1차 코일1121 에 적정한 교류 전압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에 의하면, 1차 코일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며, 또한 2차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동시에 2차 코일의 루프 일부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2쌍의 냉음극관120에 흐르는 전류를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의 작용에 의해 균일하게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에 의하면,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과도적으로 2쌍의 냉음극관120 일부의 기동 전압이 부족할 때에도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가 기동 전압의 부족분을 보상하므로, 일부의 냉음극관120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에 의하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전류 검출 배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을 흡사하게 배선 설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실시 형태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와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1과 동일구성요소에는 동일참조 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을 생략 한다.
도3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와 관련되는 백 라이트 장치200은, 인버터 회로210 및 4쌍의 냉음극관(방전관) 120을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210은, 하나의 인버터111, 2개의 인버터 트랜스112, 211,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및 전류 검출 트랜스115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211은, 인버터11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 2111을 가지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211은, 인버터111에 대해 인버터 트랜스112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버터 트랜스211은, 2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2쌍의 2차 코일2112, 2113, 2114, 2115를 가지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211의 2쌍의 2차 코일2112, 2113, 2114, 2115는, 1차 코일2111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2쌍의 냉음극관 1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한다. 2쌍의 2차 코일2112, 2113, 2114, 2115에 접속되어 있는 2쌍의 냉음극관120의 타단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212의 1차 코일2121은, 인버터 트랜스211의 2차 코일2112, 2113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213의 1차 코일2131은, 인버터 트랜스211의 2차 코일2114, 1115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는,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의 루프 일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1차 코일1151은,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1152는, 인버터111와 그라운드GN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 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1152는, 1차 코일1151에 의해 야기 되는 전류를 상기 전류 검출값으로서 생성해 인버터111에 준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에 의하면, 1차 코일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2차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며, 동시에 2차 코일의 루프 일부가 그라운드GND에 접속된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을 구비하고 있어서, 4쌍의 냉음극관120에 흐르는 전류를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의 작용에 의해 균일하게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의하면,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과도적으로 4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부 기동 전압이 부족할 때에도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이 기동 전압의 부족분을 보상하므로, 일부의 냉음극관120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에 의하면,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병렬로 접속된 2개의 인버터 트랜스112, 211을 하나의 인버터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에 의하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전류 검출의 배선이 불필요하므로,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을 흡사하게 배선 설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실시 형태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3과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 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와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4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3과 관련되는 백 라이트 장치300은, 인버터 회로310및 6쌍의 냉음극관(방전관) 120을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310은, 하나의 인버터111, 3개의 인버터 트랜스112, 211, 311, 6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및 전류 검출 트랜스 115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311은, 인버터11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3111을 가지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311은, 인버터111에 대해 인버터 트랜스112, 211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버터 트랜스311은, 2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2쌍의 2차 코일3112, 3113, 3114, 3115를 가지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311의 2쌍의 2차 코일3112, 3113, 3114, 3115는, 1차 코일3111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2쌍의 냉음극관 1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한다. 2쌍의 2차 코일3112, 3113, 3114, 3115에 접속되어 있는 2쌍의 냉음극관120의 타단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312의 1차 코일3121은, 인버터 트랜스311의 2차 코일3112, 3113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313의 1차 코일3131은, 인버터 트랜스311의 2차 코일3114, 3115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6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 3122, 3132는,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6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 3122, 3132의 루프 일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1차 코일1151은, 6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 3122, 3132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1152는, 인버터111과 그라운드GN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 1152는, 1차 코일1151에 의해 야기되는 전류를 상기 전류 검출값으로서 생성하여 인버터111에 준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에 의하면, 1차 코일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며, 또한 2차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2차 코일의 루프 일부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6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6쌍의 냉음극관120에 흐르는 전류를 6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의 작용에 의해 균일하게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에 의하면, 6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과도적으로 6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부 기동 전압이 부족할 때에도 6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이 기동 전압의 부족분을 보상하므로, 일부 냉음극관120이 점등 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에 의하면, 6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병렬로 접속된 3개의 인버터 트랜스 112, 211, 311을 하나의 인버터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에 의하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전류 검출 배선이 불필요하므로,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을 흡사하게 배선 설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실시 형태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와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3과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5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와 관련되는 백 라이트 장치400은, 인버터 회로410 및 8쌍의 냉음극관(방전관) 120을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410은, 하나의 인버터111, 4개의 인버터 트랜스112, 211, 311, 411,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 및 전류 검출 트랜스115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411은, 인버터11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4111을 가지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411은, 인버터111에 대해 인버터 트랜스112, 211, 311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버터 트랜스411은, 2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2쌍의 2차 코일4112, 4113, 4114, 4115를 가지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411의 2쌍의 2차 코일4112, 4113, 4114, 4115는, 1차 코일4111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2쌍의 냉음극관 1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한다. 2쌍의 2차 코일4112, 4113, 4114, 4115에 접속되어 있는 2쌍의 냉음극관120의 타단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412의 1차 코일4121은, 인버터 트랜스411의 2차 코일4112, 4113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413의 1차 코일4131은, 인버터 트랜스411의 2차 코일4114, 4115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 3122, 3132, 4122, 4132는,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 3122, 3132, 4122, 4132의 루프 일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1차 코일1151은,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 3122, 3132, 4122, 4132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 1152는, 인버터111와 그라운드GN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 115의 2차 코일1152는, 1차 코일1151에 의해 야기되는 전류를 상기 전류 검출값으로서 생성하여 인버터111에 준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에 의하면, 1차 코일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2차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며, 2차 코일의 루프 일부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4쌍의 냉음극관120에 흐르는 전류를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의 작용에 의해 균일하게 유 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에 의하면,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과도적으로 8쌍의 냉음극관 120의 일부 기동 전압이 부족할 때에도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이 기동 전압의 부족분을 보상하므로, 일부 냉음극관120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에 의하면,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병렬로 접속된 4개의 인버터 트랜스112, 211, 311, 411을 하나의 인버터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에 의하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전류 검출의 배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을 흡사하게 배선 설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실시 형태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5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와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과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6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5와 관련되는 백 라이트 장치500은, 인버터 회로510 및 2쌍의 냉음극관(방전관) 120을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510은, 2개의 인버터111, 511, 2개의 인버터 트랜스 512, 513,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및 전류 검출 트랜스115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111은, 전류 검출 트랜스115로부터 궤환되는 전류 검출값에 근거하여 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인버터 트랜스512는, 인버터11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5121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버터 트랜스 512는, 1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1쌍의 2차 코일5122, 5123을 가지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512의 1쌍의 2차 코일5122, 5123은, 1차 코일5121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1쌍의 냉음극관1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한다. 인버터 트랜스512의 1쌍의 2차 코일5122, 5123에 접속되어 있는 1쌍의 냉음극관120의 타단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511은, 인버터111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인버터511은, 전류 검출 트랜스115로부터 궤환되는 전류 검출값에 근거하여 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인버터 트랜스513은, 인버터51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5131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버터 트랜스513은, 1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1쌍의 2차 코일5132, 5133을 가지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513의 1쌍의 2차 코일5132, 5133은, 1차 코일 5131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1쌍의 냉음극관1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한다. 인버터 트랜스513의 1쌍의 2차 코일5132, 5133에 접속되어 있는 1쌍의 냉음극관120의 타단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113의 1차 코일1131은, 인버터 트랜스512의 2차 코일5122, 5123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114의 1차 코일1141은, 인버터 트랜스513의 2차 코일5132, 5133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의 2차 코일1132, 1142는,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의 2차 코일1132, 1142의 루프 일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1차 코일1151은,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의 2차 코일1132, 1142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1152는, 인버터111, 511와 그라운드GN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1152는, 1차 코일1151에 의해 야기되는 전류를 상기 전류 검출값으로서 생성하여 인버터111, 511에 준다. 인버터511은, 인버터111과 같은 동작을 실시한다.
즉, 인버터511은, 전류 검출 트랜스115로부터 궤환되는 전류 검출값에 근거하여 출력 신호의 교류 전압을 제어하고, 인버터 트랜스513의 1차 코일 5131에 적정한 교류 전압을 준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5에 의하면, 1차 코일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2차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며, 2차 코일의 루프 일부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2쌍의 냉음극관120에 흐르는 전류를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의 작용에 의해 균일하게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하면, 2개의 밸런스 트랜스 113, 11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과도적으로 2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부 기동 전압이 부족할 때에도 2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가 기동 전압의 부족분을 보상하기 때문에, 일부의 냉음극관120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5에 의하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전류 검출의 배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을 흡사하게 배선 설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실시 형태6)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6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6과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6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2, 5와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7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6과 관련되는 백 라이트 장치600은, 인버터 회로610및 4쌍의 냉음극관(방전관) 120을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610은, 2개의 인버터111, 511, 2개의 인버터 트랜스112, 211,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및 전류 검출 트랜스115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112는, 인버터11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2111을 가지고 있다. 또, 인버터 트랜스112는, 2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2쌍의 2차 코일1122, 1123, 1124, 1125를 가지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112의 2쌍의 2차 코일1122, 1123, 1124, 1125는, 1차 코일1121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2쌍의 냉음극관1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한다. 2쌍의 2차 코일1122, 1123, 1124, 1125에 접속되어 있는 2쌍의 냉음극관120의 타단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 트랜스211은, 인버터51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2111을 가지고 있다. 또, 인버터 트랜스211은, 2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2쌍의 2차 코일2112, 2113, 2114, 2115를 가지고 있다. 인버터 트랜스211의 2쌍의 2차 코일2112, 2113, 2114, 2115는, 1차 코일2111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2쌍의 냉음극관120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한다. 2쌍의 2차 코일2112, 2113, 2114, 2115에 접속되어 있는 2쌍의 냉음극관120의 타단부는, 그라운드GND에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113의 1차 코일1131은, 인버터 트랜스112의 2차 코일1122, 1123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114의 1차 코일1141은, 인버터 트랜스112의 2차 코일1124, 1125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212의 1차 코일2121은, 인버터 트랜스211의 2차 코일2112, 2113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밸런스 트랜스213의 1차 코일2131은, 인버터 트랜스211의 2차 코일2114, 2115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는,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의 루프 일부는, 그라운드 GND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1차 코일1151은,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의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1152는, 인버터111, 511와 그라운드GN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검출 트랜스115의 2차 코일1152는, 1차 코일1151에 의해 야기되는 전류를 상기 전류 검출값으로서 생성하여 인버터111, 511에 준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6에 의하면, 1차 코일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2차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며, 2차 코일의 루프 일부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4쌍의 냉음극관120에 흐르는 전류를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의 작용에 의해 균일하게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6에 의하면,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과도적으로 4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부 기동 전압이 부족할 때에도 4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이 기동 전압의 부족분을 보상하기 때문에, 일부의 냉음극관120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6에 의하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전류 검출 배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을 흡사하게 배선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 형태7)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7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7과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7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4, 6과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8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7과 관련되는 백 라이트 장치700은, 인버터 회로710및 8쌍의 냉음극관(방전관) 120을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 710은, 2개의 인버터111, 511, 4개의 인버터 트랜스112, 211, 311, 411,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 및 전류 검출 트랜스115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7은, 2개의 인버터111, 511과, 인버터 111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인버터 트랜스112, 211과, 인버터 111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인버터 트랜스311, 4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 이외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7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와 같다.
인버터511은, 전류 검출 트랜스115로부터 궤환되는 전류 검출값에 근거하여 출력 신호의 교류 전압을 제어하고, 인버터 트랜스311, 411의 1차 코일 3111, 4111에 적정한 교류 전압을 준다. 이외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7의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7에 의하면, 1차 코일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2차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며, 2차 코일의 루프 일부가 그라운드에 접속된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8쌍의 냉음극관120에 흐르는 전류를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의 작용에 의해 균일하게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7에 의하면,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과도적으로 8쌍의 냉음극관120의 일부 기동 전압이 부족할 때에도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이 기동 전압의 부족분을 보상하기 때문에, 일부의 냉음극관120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7에 의하면,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전류 검출의 배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을 흡사하게 배선 설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2개의 인버터111, 511과 인버터 111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3또는 4의 인버터 트랜스(도4및 도5 참조)와, 인버터111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3또는 4의 인버터 트랜스와(도4및 도5 참조)를 구비하며, 다른 구성이 도4및 도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같도록 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8)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8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8과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8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와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9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8과 관련되는 백 라이트 장치800은, 인버터 회로810및 8쌍의 냉음극관(방전관) 120을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810은, 하나의 인버터111, 4개의 인버터 트랜스112, 211, 311, 411, 8개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 전류 검출 트랜스115및 이상 검출 장치820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인버터 회로8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와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410에 이상 검출 장치820을 추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 검출 장치820은, 인버터 회로110에 있어서의 고전압부와 그라운드 GND 사이의 절연물에 절연 불량이 있는 경우에 생기는 코로나 방전 및 아크 방전 등의 고전압 이상 방전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상 검출 장치820은,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에 흐르는 전류값에 근거하여 이상을 검출한다.
이상 검출 장치820은,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 212, 213, 312, 313, 412, 413에 추가된 복수의 3차 코일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과 다이오드821, 822, 823, 824와, 이상 검출기825와, 알림 장치826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3차 코일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은, 해당 복수의 3차 코일 중 이웃하는 1쌍의 3차 코일에 발생하는 교류 전압을 서로 상쇄하도록 해당 1쌍의 3차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고 당해 1쌍의 3차 코일의 직렬 접속체의 일단이 상기 2차 코일의 루프에 접속되어 있다.
즉, 이웃하는 1쌍의 3차 코일811, 812는, 해당 1쌍의 3차 코일811, 812에 발생하는 교류 전압을 서로 상쇄하도록 해당 1쌍의 3차 코일811, 81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1쌍의 3차 코일811, 812의 직렬 접속체의 일단이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 3122, 3132, 4122, 4132의 루프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웃하는 1쌍의 3차 코일813, 814는, 해당 1쌍의 3차 코일813, 814에 발생하는 교류 전압을 서로 상쇄하도록 해당 1쌍의 3차 코일813, 814가 직렬로 접 속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1쌍의 3차 코일 813, 814의 직렬 접속체의 일단이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 3122, 3132, 4122, 4132의 루프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웃하는 1쌍의 3차 코일 815, 816은, 해당 1쌍의 3차 코일815, 816에 발생하는 교류 전압을 서로 상쇄하도록 해당 1쌍의 3차 코일815, 816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1쌍의 3차 코일815, 816의 직렬 접속체의 일단이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 3122, 3132, 4122, 4132의 루프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웃하는 1쌍의 3차 코일817, 818은, 해당 1쌍의 3차 코일817, 818에 발생하는 교류 전압을 서로 상쇄하도록 해당 1쌍의 3차 코일817, 818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1쌍의 3차 코일817, 818의 직렬 접속체의 일단이 2차 코일1132, 1142, 2122, 2132, 3122, 3132, 4122, 4132의 루프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821, 822, 823, 824는, 상기 1쌍의 3차 코일의 상기 직렬 접속체의 일단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당해 1쌍의 3차 코일의 상기 직렬 접속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해 전류 검출값을 생성한다.
즉, 다이오드821은, 이웃하는 1쌍의 3차 코일811, 812의 상기 직렬 접속체의 일단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당해 1쌍의 3차 코일811, 812의 상기 직렬 접속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 검출값을 생성한다.
또한, 다이오드822는, 이웃하는 1쌍의 3차 코일813, 814의 상기 직렬 접속체의 일단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당해 1쌍의 3차 코일813, 814의 상기 직렬 접속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 검출값을 생성한다.
또한, 다이오드823은, 이웃하는 1쌍의 3차 코일815, 816의 상기 직렬 접속 체의 일단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당해 1쌍의 3차 코일815, 816의 상기 직렬 접속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해 전류 검출값을 생성한다.
또한, 다이오드824는, 이웃하는 1쌍의 3차 코일817, 818의 상기 직렬 접속체의 일단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당해 1쌍의 3차 코일817, 818의 상기 직렬 접속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해 전류 검출값을 생성한다.
이상 검출기825는, 다이오드821, 822, 823, 824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당해 다이오드821, 822, 823, 824에 흐르는 전류 검출값 또는 당해 전류 검출값을 변환해 구해지는 전압 검출값과 소정 역치를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이상 검출기825의 하나의 구체예에 대해,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은, 이상 검출기825의 하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10에 나타내듯이, 이상 검출기825는, 전류 전압 변환 회로8251, 기준 전압 발생 회로8252 및 비교 회로8253을 구비하고 있다.
전류 전압 변환 회로8251의 입력 단자는, 다이오드821, 822, 823, 824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전압 변환 회로8251의 출력 단자는, 비교 회로8253의 하나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기준 전압 발생 회로8252의 출력 단자는, 비교 회로8253의 다른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비교 회로8253의 출력 단자는, 알림 장치826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전압 변환 회로8251은, 다이오드821, 822, 823, 824로부터의 전류 검출값을 변환하여 전압 검출값을 생성하여 비교 회로8253에 준다. 기준 전압 발생 회로8252는, 기준 전압을 발생해 비교 회로8253에게 준다. 비교 회로 8253은, 전류 전압 변환 회로8251으로부터의 전압 검출값과 기준 전압 발생 회로8252로부터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생성해 알림 장치826에게 준다. 알림 장치826은, 비교 회로8253으로부터의 비교 결과를 알린다. 알림 장치826은, 예를 들면, 비교 결과의 이상 여부를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실시 형태4 이외의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해, 이상 검출 장치820을 추가하여 구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8에 의하면, 상기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해, 이상 검출 장치820이 이상을 검출하여 알릴 수 있다.
(실시 형태9)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9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9와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의 인버터 트랜스의 코일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9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과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9와 관련되는 인버터 회로 및 백 라이트 장치는, 도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과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도11에 나타내듯이, 인버터 트랜스112의 2쌍의 2차 코일1122, 1123, 1124, 1125에 있어서의 복수의 냉음극관120과 접속을 위한 방전관용 접속 핀 1122a, 1123a, 1124a, 1125a는, 인버터 트랜스112의 한쪽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버터 트랜스112의 2쌍의 2차 코일1122, 1123, 1124, 1125에 있어서의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113, 114와 접속을 위한 밸런스 트랜스용 접속 핀1122 b, 1123 b, 1124 b, 1125 b는, 인버터 트랜스112의 방전관용 접속 핀1122 a, 1123 a, 1124 a, 1125 a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버터 트랜스112의 1차 코일1121에 있어서의 인버터111과의 인버터용 접속 핀1121a, 1121b는, 인버터 트랜스112의 방전관용 접속 핀1122 a, 1123 a, 1124 a, 1125 a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9는, 실시 형태1 이외의 상기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9에 의하면, 상기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해, 밸런스 트랜스용 접속 핀이 인버터 트랜스의 방전관용 접속 핀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전관용 접속 핀에 야기되는 고전압의 영향을 밸런스 트랜스용 접속 핀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쌍의 방전관에 흐르는 전류를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작용에 의해 균일하게 유지하여, 과도적으로 복수쌍의 방전관의 일부 기동 전압이 부족할 때에도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가 기동 전압의 부족분을 보상하므로 일부의 방전관이 점등 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전류 검출 배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을 흡사하게 배선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이상을 검출해 알릴 수 있다. 또한, 방전관용 접속 핀에 야기되는 고전압의 영향을 밸런스 트랜스용 접속 핀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4)

  1. 교류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과 해당 1차 코일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어 복수쌍의 방전관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쌍의 2차 코일을 가지는 인버터 트랜스; 및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한 쌍의 2차 코일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에 대응하는 2차 코일을 갖는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트랜스의 각각의 2차 코일은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루프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2차 코일은 그라운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전류값에 근거한 전류 검출값을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여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1차 코일은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2차 코일은 상기 전원공급부에 접속되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전류값에 근거한 전류 검출값을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는 전류검출 트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에 흐르는 전류값에 근거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는 3차 코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상 검출 장치는,
    상기 복수의 3차 코일 중 이웃하는 1쌍의 3차 코일에 발생하는 교류 전압을 서로 상쇄하도록 해당 1쌍의 3차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고 해당 1쌍의 3차 코일의 직렬 접속체의 일단이 상기 2차 코일의 루프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3차 코일;
    상기 1쌍의 3차 코일의 상기 직렬 접속체의 일단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당해 1쌍의 3차 코일의 상기 직렬 접속체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해 전류 검출값을 생성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당해 다이오드에 흐르는 상기 전류 검출값 또는 당해 전류 검출값을 변환하여 구해지는 전압 검출값과 소정의 역치를 비교하여 이상 여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생성하는 이상 검출기; 및
    상기 이상 검출기의 상기 판단 결과를 알리는 알림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상기 복수쌍의 2차 코일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방전관과 접속을 위한 방전관용 접속 핀은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한쪽 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상기 복수쌍의 2차 코일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와 접속을 위한 밸런스 트랜스용 접속 핀은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상기 방전관용 접속 핀과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트랜스는,
    두 쌍의 방전관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두 쌍의 2차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한 쌍의 2차 코일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에 대응하는 2차 코일을 갖는 두개의 밸런스 트랜스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밸런스 트랜스의 각각의 2차 코일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트랜스는,
    세 쌍의 방전관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세 쌍의 2차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한 쌍의 2차 코일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에 대응하는 2차 코일을 갖는 세 개의 밸런스 트랜스를 포함하며,
    상기 세 개의 밸런스 트랜스의 각각의 2차 코일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개수는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의 쌍의 수에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개수를 곱한 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10. 교류고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과 해당 1차 코일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복수쌍의 방전관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쌍의 2차 코일을 가지는 제1 인버터 트랜스;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과 해당 1차 코일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고 복수쌍의 방전관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쌍의 2차 코일을 가지는 제2 인버터 트랜스; 및
    상기 제1 및 제2 인버터 트랜스의 한 쌍의 2차 코일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에 대응하는 2차 코일을 갖는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트랜스들 각각의 2차 코일은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루프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2차 코일은 그라운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전류값에 근거한 전류 검출값을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여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13. 제10항에 있어서, 1차 코일은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2차 코일은 상기 전원공급부에 접속되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전류값에 근거한 전류 검출값을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는 전류검출 트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개수는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2차 코일의 쌍의 수에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개수를 곱한 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15. 제1 교류고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전원공급부;
    제2 교류고전압을 출력하는 제2 전원공급부;
    상기 제1 전원공급부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과 해당 1차 코일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어 복수쌍의 방전관에 상기 제1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쌍의 2차 코일을 가지는 제1 인버터 트랜스;
    상기 제2 전원공급부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과 해당 1차 코일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어 복수쌍의 방전관에 상기 제2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쌍의 2차 코일을 가지는 제2 인버터 트랜스;
    상기 제1 및 제2 인버터 트랜스 각각의 한쌍의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에 대응하는 2차 코일을 갖는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 2차 코일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루프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2차 코일은 그라운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전류값에 근거한 전류 검출값을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여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18. 제17항에 있어서, 1차 코일은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2차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에 접속되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전류값에 근거한 전류 검출값을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는 전류검출 트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에 흐르는 전류값에 근거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는 3차 코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상 검출 장치는,
    상기 복수의 3차 코일 중 이웃하는 1쌍의 3차 코일에 발생하는 교류 전압을 서로 상쇄하도록 해당 1쌍의 3차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고 해당 1쌍의 3차 코일의 직렬 접속체의 일단이 상기 2차 코일의 루프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3차 코일;
    상기 1쌍의 3차 코일의 상기 직렬 접속체의 일단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당해 1쌍의 3차 코일의 상기 직렬 접속체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해 전류 검출값을 생성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당해 다이오드에 흐르는 상기 전류 검출값 또는 당해 전류 검출값을 변환하여 구해지는 전압 검출값과 소정의 역치를 비교하여 이상 여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생성하는 이상 검출기; 및
    상기 이상 검출기의 상기 판단 결과를 알리는 알림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상기 복수쌍의 2차 코일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방전관과 접속을 위한 방전관용 접속 핀은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한쪽 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상기 복수쌍의 2차 코일에 있어서의 상 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와 접속을 위한 밸런스 트랜스용 접속 핀은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상기 방전관용 접속 핀과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21. 복수의 방전관;
    교류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1차 코일과 해당 1차 코일에 의해 교류고전압이 야기되어 상기 복수의 방전관에 상기 교류고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쌍의 2차 코일을 가지는 인버터 트랜스; 및
    상기 인버터 트랜스의 한 쌍의 2차 코일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에 대응하는 2차 코일을 갖는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 각각의 2차 코일은 직렬로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루프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2차 코일은 그라운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전류값에 근거한 전류 검출값을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여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압 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24. 제23항에 있어서, 1차 코일은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에 직렬로 접속되고, 2차 코일은 상기 전원공급부에 접속되어서 상기 복수의 밸런스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전류값에 근거한 전류 검출값을 상기 전원공급부에 제공하는 전류검출 트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회로.
KR1020060086971A 2006-09-08 2006-09-08 인버터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백 라이트 장치 KR101340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971A KR101340055B1 (ko) 2006-09-08 2006-09-08 인버터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백 라이트 장치
JP2006249529A JP5002224B2 (ja) 2006-09-08 2006-09-14 インバータ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装置
TW096133623A TW200830939A (en) 2006-09-08 2007-09-07 Inverter circuit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US11/851,743 US7477023B2 (en) 2006-09-08 2007-09-07 Inverter circuit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CN2007103061505A CN101188896B (zh) 2006-09-08 2007-09-10 逆变器电路以及具有该逆变器电路的背光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971A KR101340055B1 (ko) 2006-09-08 2006-09-08 인버터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백 라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017A true KR20080023017A (ko) 2008-03-12
KR101340055B1 KR101340055B1 (ko) 2013-12-11

Family

ID=3916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971A KR101340055B1 (ko) 2006-09-08 2006-09-08 인버터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백 라이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77023B2 (ko)
JP (1) JP5002224B2 (ko)
KR (1) KR101340055B1 (ko)
CN (1) CN101188896B (ko)
TW (1) TW2008309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85B1 (ko) * 2008-06-24 2010-08-17 삼성전기주식회사 내장형 밸런스 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2784B2 (en) * 2005-02-09 2010-08-10 Panasonic Corporation Transformer, illumin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7777425B2 (en) * 2006-09-19 2010-08-17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Backlight circuit for LCD panel
US8084954B2 (en) * 2008-04-18 2011-12-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amp driving circuit
KR101058684B1 (ko) * 2009-04-02 2011-08-22 삼성전기주식회사 램프 구동 회로
US8373352B2 (en) * 2009-06-15 2013-02-12 Topanga Technologies, Inc. Electrodeless plasma lamp array
KR101615638B1 (ko) * 2009-09-30 2016-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텔레비전
CN107959993A (zh) * 2016-10-14 2018-04-24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广告看板用照明电源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8397A (ja) * 1985-04-24 1986-11-05 松下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US20030141829A1 (en) 2002-01-31 2003-07-31 Shan-Ho Yu Current equalizer assembly for LCD backlight panel
JP2003347087A (ja) * 2002-05-29 2003-12-0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2004335443A (ja) * 2003-02-10 2004-11-25 Masakazu Ushijima 多灯点灯の放電管用インバータ回路及び面光源システム
JP2005012176A (ja) * 2003-05-23 2005-01-13 Toko Inc インバータトランスとそれを用いた放電灯点灯装置
CN2640196Y (zh) * 2003-06-12 2004-09-08 周锡辉 多灯管单线制逆变器取样电路
CN100370673C (zh) * 2003-07-30 2008-02-20 飞瑞股份有限公司 交流输出并联电源系统及其均流控制方法
JP2005317253A (ja) 2004-04-27 2005-11-10 Fdk Corp 管電流平衡化回路及びそれに用いるバランスコイル
JP2006012659A (ja) * 2004-06-28 2006-01-12 Sanken Electric Co Ltd 放電灯点灯回路
KR101137883B1 (ko) 2004-09-24 2012-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US7365501B2 (en) * 2004-09-30 2008-04-29 Greatchip Technology Co., Ltd. Inverter transformer
JP4560679B2 (ja) * 2004-11-10 2010-10-13 ミネベア株式会社 多灯式放電灯点灯装置
US7061183B1 (en) * 2005-03-31 2006-06-13 Microsemi Corporation Zigzag topology for balancing current among paralleled gas discharge lamps
KR101164199B1 (ko) * 2005-11-30 2012-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버터 회로, 백 라이트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85B1 (ko) * 2008-06-24 2010-08-17 삼성전기주식회사 내장형 밸런스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02224B2 (ja) 2012-08-15
CN101188896A (zh) 2008-05-28
TW200830939A (en) 2008-07-16
US20080061709A1 (en) 2008-03-13
KR101340055B1 (ko) 2013-12-11
CN101188896B (zh) 2012-08-29
JP2008066256A (ja) 2008-03-21
US7477023B2 (en) 2009-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055B1 (ko) 인버터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백 라이트 장치
US8049438B2 (en) Driving circuits and controllers for controlling power to a load
KR100471161B1 (ko) 자기 보호기능을 갖는 lcd 패널용 백라이트 인버터
KR101147181B1 (ko) 인버터 회로, 백라이트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액정표시장치
JP2007149644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ー
US7723996B2 (en) Inverter circuit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US7777425B2 (en) Backlight circuit for LCD panel
US7205726B2 (en) Discharge lamp drive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8040073B2 (en) AC power supply system for balanced energization of a plurality of loads
CN100458527C (zh) 背光组件
US8115406B2 (en) Fluorescent lamp driver circuit
US8098019B2 (en) Driving circuit of multi-lamps
US7781989B2 (en) Discharge lamp drive control circuit
JP4966055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
KR100530952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구동 회로.
KR101020383B1 (ko) 발광다이오드 유닛의 전류 검출장치
KR101262180B1 (ko) 인버터용 트랜스포머의 전류 감지 장치 및 전류 감지 방법
WO2007049420A1 (ja) 放電管点灯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放電管点灯装置における異常検出方法
US20110062880A1 (en) Balance circuit and inverter circuit comprising the same
JP2009004171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