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987A -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 Google Patents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987A
KR20080022987A KR1020060086899A KR20060086899A KR20080022987A KR 20080022987 A KR20080022987 A KR 20080022987A KR 1020060086899 A KR1020060086899 A KR 1020060086899A KR 20060086899 A KR20060086899 A KR 20060086899A KR 20080022987 A KR20080022987 A KR 20080022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bolt
wheel member
latch bolt
inner hand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017B1 (ko
Inventor
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금속
Priority to KR102006008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01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핀들캠을 절환시키는 내측 손잡이와 썸턴레버 또는 키실린더의 조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각축 사이에 별도 설치되어, 내측 손잡이와 각축을 상호 연동시켜 오버라이드 기능을 구현하는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되어 오버라이드 기능이 구현된 도어정에 관한 것이다.
오버라이드, 휠부재, 도어정, 각축, 데드볼트, 래치볼트, 손잡이축

Description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Wheel member for overiding and door lock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오버라이드용 휠부재가 마련된 도어정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라이드용 휠부재가 설치된 도어정의 조립 상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라이드용 휠부재가 설치된 도어정의 작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오버라이드용 휠부재 10. 휠몸체
20. 각축공 21. 슬롯
100. 도어정
101. 모티스 상자 110. 케이스
111. 데드볼트 출입구 112. 래치볼트 출입구
120. 데드볼트 130. 래치볼트
140. 락레버 141. 각축
150. V레버
161. 스핀들캠 161a. 연결공
162. 스핀들캠 162a. 연결공
171. 썸턴레버 172. 키실린더
200. 내측 손잡이 210. 연결편
300. 외측 손잡이
본 발명은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핀들캠을 절환시키는 내측 손잡이와 썸턴레버 또는 키실린더의 조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각축 사이에 별도 설치되어, 내측 손잡이와 각축을 상호 연동시켜 오버라이드 기능을 구현하는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되어 오버라이드 기능이 구현된 도어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시해정과 도어의 개폐를 주관하는 도어정은, 크게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 설치되어 작용력을 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인 내·외측 손잡이와; 상기 내측 또는 외측 손잡이와 연동하여 진출입되는 래치볼트와, 키실린더 또는 썸턴레버의 조작에 의해 진출입되는 데드볼트가 마련된 모티스 상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정은, 사용자가 내외측 손잡이에 설치된 키실린더 또는 썸턴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데드볼트의 진출입이 이루어져 시해정이 구현되고, 사용자가 내측 또는 외측 손잡이를 잡고 조작하게 되면 래치볼트의 진출입이 이루어져 도어의 개방이 구현되게 된다.
따라서, 잠긴 도어의 내측에서 도어를 개방하려면, 사용자는 반드시 썸턴레버를 조작하여 데드볼트에 의한 시건을 해제한 후, 내측 손잡이를 조작하여 래치볼트를 후퇴시켜야 한다.
그런데 화재 등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당황하여 썸턴레버를 조작하지 아니하고 내측 손잡이만을 조작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의 개방이 지체되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 0404714호를 통해, 썸턴레버 또는 키실린더의 조작에 의해 절환되어 데드볼트를 진출입시키는 락레버의 외주에 걸림단을 마련하고, 이 걸림단에 스핀들 캠을 관통한 내측 손잡이의 작용단이 견착되도록 하여, 내측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락레버의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건의 해제와 도어의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도어정을 제안한 바 있다.
물론, 상기한 도어정도 내측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시건상태의 해제와, 도어의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오버라이드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도어정의 경우 락레버의 형상을 변경하여야 하므로, 기존 도어에 설치된 도어정에 오버라이드 기능을 구현하려면, 도어에 설치된 도어정을 탈거한 후, 모티스 상자를 분해하여 개량된 형상의 락레버를 교체하거나, 개량된 락레버가 설치된 도어정으로 도어정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부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 락레버와는 공용성이 확보되지 아니하여, 제품의 형태에 따라 락레버를 새로이 설계 및 제작하여야 하므로, 설계 및 금형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티스 상자와 내측 손잡이 및 외측 손잡이로 구성된 통상의 도어정에 설치되어 내부 손잡이와 각축을 상호 연동시켜서 도어정의 시건상태의 해제(데드볼트의 후퇴)와 도어의 개방(래치볼트의 후퇴)을 일거에 구현하는 오버라이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되어 오버라이드 기능이 구현된 도어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라이드용 휠부재는,
일편에 래치볼트 출입구와 데드볼트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출입구를 통해 각각 진퇴하는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와 링크 결속되며 중앙부에 각축이 관통되는 락레버와, 상기 락레버의 양편에 설치되며 가장자리에 연결공이 형성된 스핀들캠과, 상기 스핀들캠과 연동하여 래치볼트를 진퇴시키는 V레버가 설치된 형태의 모티스 상자와; 상기 모티스 상자의 양편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에 돌출 형성된 연결편이 상기 모티스 상자의 스핀들 캠에 마련된 연결공에 결속되어서, 정역 절환에 의해 스핀들캠을 정역 절환시키는 내·외측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휠몸체의 중앙부에 락레버를 관통한 각축이 관통되는 각축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내측 손잡이의 연결편이 관통하는 슬롯이 형성되어, 내측 손잡이의 절환에 의해 일방향으로 절환되면서 락레버를 관통한 각축을 동시 절환시킴으로써 내측 손잡이의 절환에 의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후퇴가 일거에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버라이드용 휠부재가 마련된 도어정은,
일편에 래치볼트 출입구와 데드볼트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출입구를 통해 각각 진퇴하는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와 링크 결속되며 중앙부에 각축이 관통되는 락레버와, 상기 락레버의 양편에 설치되며 가장자리에 연결공이 형성된 스핀들캠과, 상기 스핀들캠과 연동하여 래치볼트를 진퇴시키는 V레버가 설치된 형태의 모티스 상자와; 상기 모티스 상자의 양편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에 돌출 형성된 연결편이 상기 모티스 상자의 스핀들 캠에 마련된 연결공에 결속되어서, 정역 절환에 의해 스핀들캠을 정역 절환시키는 내·외측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정에 있어서,
중앙부에 형성된 각축공에는 락레버를 관통한 각축이 관통 설치되고, 가장자 리에 형성된 슬롯에는 내측 손잡이의 연결편이 관통되는 형태로 오버라이드용 휠부재가 설치되어서,
내측 손잡이의 절환시에, 상기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에 의해 각축과 스핀들캠의 절환이 동시에 이루어져,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후퇴가 일거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 구성들에 있어서, 상기 휠부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슬롯은, 일방향으로 절환된 내측 손잡이가 수평유지를 위해 역절환되더라도 내측 손잡이의 연결편이 슬롯을 간섭하지 않도록 내측 손잡이에 마련된 연결편의 회전궤적을 따라 연결편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휠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원호형의 슬롯이 상하 대칭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오버라이드용 휠부재가 마련된 도어정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라이드용 휠부재가 설치된 도어정의 조립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라이드용 휠부재(1)는, 데드볼트(120)와 래치볼트(130)가 수용 설치된 모티스 상자(101)와 상기 모티스 상자(10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내측 손잡이(200) 및 외측 손잡이(300)를 포함하는 통상의 도어정(100)에 설치 되어, 내측 손잡이(200)의 연결편(210)과 락레버(140)를 관통한 각축(141)을 상호 연동시켜서, 내측 손잡이(200)의 조작에 의해 래치볼트(130)와 데드볼트(120)의 일거 후퇴가 이루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휠부재(1)는 중앙부에는 락레버(140)를 관통한 사각의 각축(141)이 관통되는 각축공(20)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내측 손잡이(200)의 연결편(210)이 관통하는 원호형상의 한 쌍의 슬롯(30)이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 판상의 휠몸체(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휠몸체(10)에 형성된 슬롯(30)은, 본 실시예와 같이 천공된 구조를 이룰 수도 있고, 절입된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버라이드용 휠부재(1)는, 프레스 가공, 레이저전단 가공, 기계 절삭가공, 또는 다이 캐스팅 등 다양한 가공방식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구성된 오버라이드용 휠부재(1)를 설치하는 도어정(100)의 전체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모티스 상자(101)는, 일편으로 래치볼트(130)의 진퇴경로인 래치볼트 출입구(112)와 데드볼트(120)의 진퇴경로인 데드볼트 출입구(111)가 형성된 케이스(11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110) 내에는 래치볼트(130) 및 데드볼트(12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데드볼트(120)와 링크 결속되며 중앙부에 각축(141)이 관통된 락레버(140)가 설치되며, 락레버(140)의 양편에는 가장자리에 연결공(161a, 162a)이 형성된 스핀들캠(161, 162) 및 상기 스핀들캠(161, 162)과 연동하여 래치볼트(130)를 진퇴시키는 V레버(15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모티스 상자(101)의 양측편에 설치되는 내·외측 손잡이(200, 300)는, 각 손잡이에 형성된 연결편(210, 310)이 모티스 상자(101)내에 설치된 스핀들 캠(161, 162)의 연결공(161a, 162a)에 견착되도록 설치되어서, 그 정역 절환에 의해 스핀들캠(161, 162)이 정역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볼트(130)는 기본적으로 내측 손잡이(200)의 절환에 따른 스핀들캠(161, 162) 및 이와 연동하는 V레버(150)의 절환에 의해 진퇴가 이루어게 되고, 상기 데드볼트(120)는 썸턴레버(171) 또는 키실린더(172)의 조작에 의해 연동하여 절환되는 각축(141) 및 락레버(140)에 의해 진퇴하면서 도어정의 시해정 상태를 설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도어정(100)에 있어서, 도어정(100)을 이루고 있는 내측 손잡이(200)와 각축(141) 사이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휠부재(1)를 설치하여, 내측 손잡이(200)의 조작에 의해 래치볼트(130)와 데드볼트(120)가 일거에 후퇴하면서 도어정의 해정과 도어의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오버라이드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휠부재(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슬롯(30)에 내측 손잡이(200)의 연결편(210)이 관통되도록 설치하고, 중앙부에 형성된 각축공(20)에는 락레버(140)를 관통한 각축(141)을 관통 설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휠부재(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슬롯(30)은, 내측 손잡이(200)에 형성된 연결편(210)의 회전궤적에 상응하여 형성하되 연결편(210)의 폭보다 길 게 제작하여, 내측 손잡이(200)가 외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절환된 다음 수평을 유지하고자 역방향으로 소정각 절환되더라도, 일방향으로 절환된 휠부재(1)가 역방향으로 절환되는 연결편(210)에 간섭되어서 역절환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구성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라이드용 휠부재가 설치된 도어정의 작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먼저,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정(100)의 데드볼트(120)와 래치볼트(130)가 모두 진출한 상태에서 화살표방향으로 내측 손잡이(200)를 절환시키면, 도 4b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내측 손잡이(200)의 연결편(210)의 끝단에 결착된 스핀들캠(161)도 일방향으로 절환되어서 V레버(150)의 연동을 통한 래치볼트(130)의 후퇴가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각축(141)이 관통된 휠부재(1)도 일방향으로 절환되어서, 각축(141) 및 락레버(140)의 절환에 의한 데드볼트(120)의 후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손잡이(200)는 자체적으로 마련된 공지의 수평 유지구조(미도시)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소정각 절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내부 손잡이(200)에 마련된 연결편(210) 또한 역방향으로 절환이 이루어지지만, 이때에는 절환된 휠부재(1)를 간섭하지 아니하고 공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내측 손잡이(200)의 조작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주관하는 래치볼트(130), 및 시해정 상태를 주관하는 데드볼트(120)가 일거에 후퇴하게 되면, 도어정의 해정 및 도어의 개방이 일원화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썸턴레버를 절환시키기 아니하고 내측 손잡이(200)의 조작만으로 시건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 는 것이다.
그리고, 역으로 사용자가 수평상태를 유지한 내측 손잡이(200)를 역방향으로 절환시키게 되면, 데드볼트(120)가 진출되어서 도어정이 시정되는 편의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버라이드용 휠부재(1)는, 본 실시예와 같이 단품형태로 제작되어서 오버라이드 기능이 마련되지 아니한 도어정에 부가하여 설치될 수도 있지만, 내측 손잡이 또는 모티스 상자의 구성에 편입된 단품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어정의 형상이나 구조를 별도 변경하지 아니하고, 통상의 도어정에 간편하게 설치되어서, 오버라이드를 구현하도록 한 휠부재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휠부재가 제안됨으로써, 종래 오버라이드 기능을 구현하고자 도어정의 각 구성요소를 새로이 설계하고, 또 금형을 새로인 제작함에 따른 부대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Claims (4)

  1. 일편에 래치볼트 출입구와 데드볼트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출입구를 통해 각각 진퇴하는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와 링크 결속되며 중앙부에 각축이 관통되는 락레버와, 상기 락레버의 양편에 설치되며 가장자리에 연결공이 형성된 스핀들캠과, 상기 스핀들캠과 연동하여 래치볼트를 진퇴시키는 V레버가 설치된 형태의 모티스 상자와; 상기 모티스 상자의 양편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에 돌출 형성된 연결편이 상기 모티스 상자의 스핀들 캠에 마련된 연결공에 결속되어서, 정역 절환에 의해 스핀들캠을 정역 절환시키는 내·외측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휠몸체의 중앙부에 락레버를 관통한 각축이 관통되는 각축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내측 손잡이의 연결편이 관통하는 슬롯이 형성되어, 내측 손잡이의 절환에 의해 일방향으로 절환되면서 락레버를 관통한 각축을 동시 절환시킴으로써 내측 손잡이의 절환에 의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후퇴가 일거에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라이드용 휠부재.
  2. 일편에 래치볼트 출입구와 데드볼트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출입구를 통해 각각 진퇴하는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와 링크 결속되며 중앙부에 각축이 관통되는 락레버와, 상기 락레버의 양편에 설치되며 가장자리에 연결공이 형성된 스핀들캠과, 상기 스핀들캠과 연동하여 래치 볼트를 진퇴시키는 V레버가 설치된 형태의 모티스 상자와; 상기 모티스 상자의 양편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에 돌출 형성된 연결편이 상기 모티스 상자의 스핀들 캠에 마련된 연결공에 결속되어서, 정역 절환에 의해 스핀들캠을 정역 절환시키는 내·외측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정에 있어서,
    중앙부에 형성된 각축공에는 락레버를 관통한 각축이 관통 설치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슬롯에는 내측 손잡이의 연결편이 관통되는 형태로 오버라이드용 휠부재가 설치되어서,
    내측 손잡이의 절환시에, 상기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에 의해 각축과 스핀들캠의 절환이 동시에 이루어져,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후퇴가 일거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라이드용 휠부재가 마련된 도어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슬롯은, 일방향으로 절환된 내측 손잡이가 수평유지를 위해 역절환되더라도 내측 손잡이의 연결편이 슬롯을 간섭하지 않도록, 내측 손잡이에 마련된 연결편의 회전궤적을 따라 연결편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라이드용 휠부재가 마련된 도어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원호형상의 슬롯이 상하 대칭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라이드용 휠부재.
KR1020060086899A 2006-09-08 2006-09-08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KR100817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899A KR100817017B1 (ko) 2006-09-08 2006-09-08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899A KR100817017B1 (ko) 2006-09-08 2006-09-08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987A true KR20080022987A (ko) 2008-03-12
KR100817017B1 KR100817017B1 (ko) 2008-03-27

Family

ID=3939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899A KR100817017B1 (ko) 2006-09-08 2006-09-08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9044A1 (ko) * 2018-04-11 2019-10-17 (주)아이디게이트 도어 개방 알림 및 도어손잡이/패닉바 위치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136Y1 (ko) 2001-10-05 2001-12-29 주식회사 현대금속 원터치형 도어록
KR100516150B1 (ko) 2005-04-25 2005-09-21 (주)동광알파 도어락장치의 레버 어셈블리
KR100543831B1 (ko) 2005-04-25 2006-01-20 (주)동광알파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200404714Y1 (ko) 2005-10-17 2005-12-27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기능을 가진 모티스형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9044A1 (ko) * 2018-04-11 2019-10-17 (주)아이디게이트 도어 개방 알림 및 도어손잡이/패닉바 위치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017B1 (ko)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1369B1 (de) Panikschloss
KR101480508B1 (ko) 도어락 모티스
EP1932989B1 (de) Schliessanlage für Türen, Fenster oder dergleichen, insbesondere Treibstangenschloss mit Panikfunktion und Mehrpunktverriegelung
EP2951368B1 (de) Panikschloss
EP1574644A2 (de) Schliessanlage für Türen, Fenster oder dergleichen, insbesonde Treibstangenschloss mit Panikfunktion und Mehrpunktverriegelung
KR200404714Y1 (ko) 오버라이드기능을 가진 모티스형 도어락
CN105952268A (zh) 叶片锁头及应用该锁头的门锁
TWI748958B (zh) 閂鎖總成及操作一鎖之方法
KR100817017B1 (ko) 오버라이드용 휠부재와, 이 휠부재가 구비된 도어정
EP3286393B1 (en) Lock body
EP1899560B1 (en) Lock for internal door
GB2271380A (en) Lock mechanism with deadlocking latchbolt
US8485569B2 (en) Lock assembly
EP2327849B1 (en) Lock
EP2487311B1 (de) Sicherheitsschloss
KR20160073810A (ko)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EP2148029A1 (en) Automatic lock
KR100743426B1 (ko)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EP2738324B1 (de) Schloss mit einer freigebbaren Dreheinheit
KR20042553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EP3543436B1 (de) Gegenschloss für eine standflügeltür
KR101480507B1 (ko) 도어락 모티스
AT513464A1 (de) Mehrfachverriegelungsschloss
AU2012100117A4 (en) Improvements in locks
JP4235694B2 (ja) レバーハンドル錠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