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825A - 절첩식 통신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통신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825A
KR20080021825A KR1020087002266A KR20087002266A KR20080021825A KR 20080021825 A KR20080021825 A KR 20080021825A KR 1020087002266 A KR1020087002266 A KR 1020087002266A KR 20087002266 A KR20087002266 A KR 20087002266A KR 20080021825 A KR20080021825 A KR 20080021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image
unit
communication terminal
fold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주오 기타무라
도시야 야베
노부아키 오오사와
가주아키 나카에
히로카주 호시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텔레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86483A external-priority patent/JP36167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060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167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861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741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8676A external-priority patent/JP3959460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텔레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bstract

통신 단말 장치(l)는 제1 몸체(41)와 제2 몸체(42)가 절첩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촬영용 렌즈(31) 및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해당 렌즈와 동일한 시야에서 시인할 수 있는 표시기(18)를 구비한다. 이용자는 해당 표시기에 의하여 촬영 화상 그 자체를 확인하면서 자기를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생각한 대로의 구도를 얻기 쉽게 되고, 촬영의 실패를 줄일 수 있다. 해당 촬영 화상은 거울상으로 표시되고, 이용자는 일상 거울을 보는 감각으로 화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Figure P1020087002266
통신 단말 장치, 촬영용 렌즈, 절첩 상태, 표시기, 시야

Description

절첩식 통신 단말 장치{COLLAPSIB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은 촬영 기능을 가진 절첩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용자가 자기를 촬영하는 경우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각종 이동체 통신 서비스, 예를 들면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의한 이동체 통신 서비스는 통신 단말 장치의 소형 경량화, 통신 품질의 향상 및 본체 가격 및 통화 요금의 저하로 인해 광범위하게 보급되기에 이르고 있다.
이동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 단말 장치에는 촬영 기능을 갖는 것이 있다. 해당 통신 단말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음성에 의한 회화나 전자 메일에 의한 문자 정보의 교환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표정이나 여행지의 풍경 등을 촬영하여 상대에게 전송할 수 있는 시각적인 의사 전달이 활성화되고 있다.
종래, 촬영 기능을 가진 모든 종류의 통신 단말 장치는 절첩이 가능하고, 절첩 상태에서 노출한 위치에 촬영용 렌즈를 구비하고, 절첩 상태에서 은폐된 위치에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기를 구비하고 있다. 또, 해당 렌즈와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視認)할 수 있는 위치에 거울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해당 렌즈와 해당 표시기는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없다.
이러한 통신 단말 장치에 의하면, 이용자가 자기를 촬영하기 위해 해당 렌즈에 대면하는 경우에 해당 표시기가 보이지 않으므로 촬영될 정확한 화상을 확인할 수 없다고 하는 불편이 있으나, 이 불편은 이용자가 해당 거울에 찍힌 상을 촬영될 화상의 기준으로 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종래, 촬영 기능을 가진 다른 통신 단말 장치는 절첩이 불가능한 스트레이트형으로서, 촬영용 렌즈와 해당 렌즈에 대한 몸체의 반대면에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기를 구비하고 있다. 또, 해당 렌즈와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거울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도, 해당 렌즈와 해당 표시기가 동시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는 자기를 촬영하는 경우 해당 거울에 찍힌 상을 촬영될 화상의 기준으로 하여 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이용자가 자기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거울에 찍힌 상은 촬영될 정확한 화상이 아니기 때문에, 기대한 대로의 구도를 얻기 어렵고, 때때로 재촬영이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촬영 기능을 가진 통신 단말 장치로서, 특히 이용자가 자기를 촬영할 때의 불편을 해소하는 동시에, 촬영에 따른 각종 편리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가지며,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통신 단말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는 경우에 노출하는 해당 제1 몸체의 제1 면에 제공된 촬영용 렌즈와, 촬영된 상을 표시하는 해당 렌즈와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있는 제1 표시기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은폐되는 해당 제1 몸체의 제2 면에 제공되며, 촬영된 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표시기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음을 상기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경우에 촬영된 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기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지 않음을 상기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경우에 촬영된 상을 표시한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표시기를 폭방향으로 약 2 등분하는 선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표시기를 폭방향으로 약 2 등분하는 선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절첩 상태에 있어서 노출하는 상기 제2 몸체의 제3 면으로부터 전지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는 경우에 노출하는 해당 제1 몸체의 제1 면에 제공된 촬영용 렌즈와, 촬영된 상을 표시하는 해당 렌즈와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있는 제1 표시기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은폐되는 해당 제1 몸체의 제2 면에 제공되며, 촬영된 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기와, 상기 제2 몸체내에 제공된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절첩 상태에서 노출되는 상기 제2 몸체의 제3 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어느 구성에 의해, 상기 렌즈와 제1 표시기에 표시되는 촬영 화상은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있으며, 자기를 촬영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촬영될 화상 그 자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생각한 대로의 구도를 얻기 쉽게 되어 촬영의 실패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제1 표시기의 폭을 약 2 등분하는 선상에 렌즈를 배치한 구성에 의하면, 피사체인 인물이 제1 표시기를 보면서 촬영될 경우에, 촬영 화상에 있어서 그 사람의 시선이 대략 정면을 향하게 되어 자연스러운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는 경우에 노출하는 해당 제1 몸체의 제1 면에 제공된 촬영용 렌즈와, 촬영된 상을 표시하는 해당 렌즈와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있는 제1 표시기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은폐되는 해당 제1 몸체의 제2 면에 제공되며, 촬영된 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기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검출 수단과, 촬영 개시 지시를 접수하는 촬영 개시 지시 접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개시 지시 접수 수단이 촬영 개시 지시를 접수한 경우, 주기적인 촬영을 시작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음을 검출하는 동안에, 상기 제1 표시기가 촬영마다 촬영된 상 또는 그 거울상을 표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렌즈와 제1 표시기에 표시되는 촬영 화상은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있고, 자기를 촬영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촬영될 화상 그 자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생각한 대로의 구도를 얻기 쉽게 되어 촬영의 실패를 줄일 수 있다. 거울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이용자는 일상 거울을 보는 감각으로 촬영 화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촬영 개시 지시를 접수한 후, 절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는 동안에 촬영마다 촬영된 상을 상기 제2 표시기에 표시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추가로, 제2 표시기에는 촬영 화상이 비거울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제2 표시기에 있어서 촬영 화상의 좌우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기는 발광 표시가 가능한 조명식 또는 자광식 표시기이며, 상기 촬영 개시 지시를 접수한 후, 절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는 동안에는 소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의 효과에 추가로 절전 효과가 생긴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촬영마다 최신의 상으로 갱신되는 버퍼 수단과,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하는 촬영 정지 지시 접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해당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 주기적인 촬영을 정지하고, 이 경우에 절첩 상태에 있다고 검출되면, 상기 버퍼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 또는 그 거울상을 상기 제l 표시기에 표시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렌즈와 제1 표시기에 표시될 촬영 화상은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있고, 자기 자신을 촬영한 이용자는 촬영된 화상을 촬영 정지후에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거울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이용자는 일상 거울을 보는 감각으로 촬영 화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한 후, 절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된 경우, 상기 버퍼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을 상기 제2 표시기에 표시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추가로, 제2 표시기에는 촬영 화상이 비거울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제2 표시기에 있어서 촬영 화상의 좌우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상을 상기 제2 표시기에 표시한 후, 절첩 상태에 있다고 검출된 경우, 상기 상을 상기 제1 표시기에 표시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표시기에 촬영 화상의 비거울상이 일단 표시된 후에 는 제1 표시기에도 촬영 화상이 비거울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미 비거울상을 확인한 이용자에게 위화감이 없는 적절한 화상을 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절첩 상태에 있다고 검출되는 동안에 상기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 제1 음량으로 발음하고, 절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는 동안에 상기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 제2 음량으로 발음하는 발음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해당 제1 음량은 해당 제2 음량보다 크게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촬영이 행해진 것을 촬영 정지시에 주위에 통보함으로써, 도촬(盜撮)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절첩되어 눈에 띄지 않는 형상으로의 촬영을 알리기 위한 제1 음량을 전개 상태에서의 제2 음량보다 크게 함으로써, 도촬의 방지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는 경우에 노출하는 해당 제1 몸체의 제1 면에 제공된 촬영용 렌즈와, 촬영된 상을 표시하는 해당 렌즈와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있는 제1 표시기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은폐되는 해당 제1 몸체의 제2 면에 제공되며, 촬영된 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기와, 하나 이상의 촬영된 상과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대응하여 기억하고 있는 화상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착신시에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통지된 경우, 하나 이상의 쵤영된 상 중에서 통지된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한 화상을 표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발신자로 되어야 할 인물을 촬영한 화상을 해당 발신자로부터의 착신이 있을 때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발신자를 바로 알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는 경우에 노출하는 해당 제1 몸체의 제1 면에 제공된 촬영용 렌즈와, 촬영된 상을 표시하는 해당 렌즈와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있는 제1 표시기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절첩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은폐되는 해당 제1 몸체의 제2 면에 제공되며, 촬영된 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기와, 타이머 촬영 지시를 접수하는 타이머 촬영 지시 접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타이머 촬영 지시 접수 수단이 타이머 촬영 지시를 접수한 후, 소정 기간동안에 주기적인 촬영을 행하고, 촬영마다 촬영된 상 또는 그 거울상을 상기 제1 표시기에 표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렌즈와 제1 표시기에 표시될 촬영 화상은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있고, 자기를 촬영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촬영될 화상 그 자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생각한 대로의 구도를 얻기 쉽게 되어 촬영의 실패를 줄일 수 있다. 거울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일상 거울을 보는 감각으로 촬영 화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소정 기간 및 상기 소정 기간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 정보를 상기 제1 표시기에 상기 촬영된 상 또는 그 거울상와 함께 표시해도 된다.
또,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면에 상기 소정 기간을 점멸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또, 상기 점멸 발광의 주기는 상기 소정 기간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에 따라 변화해도 된다.
또, 상기 점멸 발광의 주기는 상기 잔여 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짧아지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모든 구성에 의해서도, 피사체인 이용자는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 발광에 의하여 타이머 기간 종료의 기준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고, 예를 들면 타이머 기간의 종료에 맞추어 포즈를 취하기 쉽게 된다고 하는 편리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전개 상태의 외관도이고, 여기서 도 1(A)은 정면도이고, 도 1(B)은 우측면도이고, 도 1(C)은 이면도이다.
1은 통신 단말 장치 본체이고, 제1 몸체(41)와 제2 몸체(42)가 가동부(43)에 있어서 절첩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통신 단말 장치(1)는 일반적으로 통화 및 통화에 관련되는 조작 및 전자 메일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전개 상태로 되는 한편, 대기의 경우에는 절첩 상태로 된다. 통신 단말 장치(1)는 절첩 상태에서 기억하고 있는 전화번호 중 원하는 발호처를 지시받은 후에, 전개 상태로 됨에 따라 해당 발호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에 자동적으로 다이얼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2는 메인 표시기이며, 컬러 액정 표시 장치, DMD(디지털ㆍ미러ㆍ디바이스)나 유기 EL 표시 장치, PDP(플라즈마ㆍ디스플레이ㆍ패널) 등으로 구성되고, 착신 정보, 현재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하는 통지 정보, 메일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 및 본기가 촬영하거나 외부에서 수신한 화상을 표시한다. 통신 단말 장치(1)가 절첩 상태에 있는 동안에, 메인 표시기(2)는 은폐되고 사용자는 메인 표시기(2)의 표시 내용을 시인할 수 없으므로, 메인 표시기(2)는 백라이트를 소등하거나 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절전에 기여한다.
3은 플렉시블 키이며, 다른 키나 버튼과 조합하여 각종 기능을 설정할 때에 사용한다. 예를 들면, 메인 표시기(2)의 하부에 기능항목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기능을 선택하는 키로 되고, 대기 중에 있어서는 왼쪽 버튼에 기능 키, 오른쪽 버튼에 문자 키의 기능이 부여된다.
4는 4개의 접점 키이며, 상하 좌우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또 표시 내용을 지정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또, 음량의 설정이나 메모리 다이얼의 호출, 리다이얼이나 한자 변환 등에 사용된다.
5는 E 메일 키이며, 적은 문자수를 취급하기 위한 스카이 메일과, 많은 문자수를 취급하고 첨부 파일도 이용할 수 있는 롱 메일 등의 전자 메일 기능을 사용할 때에 조작된다. 또, 클리어 키로서 문자를 소거하고, 이전의 표시로 돌아갈 때에도 사용된다.
6은 OK 키이며, 선택되어 있는 항목을 결정 또는 확정할 때에 조작된다.
7은 종료/전원 키이며, 전원을 온/오프로 하고, 또 통화의 종료나 착신시에 응답 보류할 때에 사용된다.
8은 텐 키이며, 전화번호나 문자의 입력에 사용된다.
9는 마이크이며, 통화자의 음성을 취득한다.
10은 이어폰 단자이며, 이어폰 마이크를 접속한다.
11은 WEB 키이며, 인터넷 접속 기능의 표시 화면으로 이행할 때에 사용된다. 또한, 전자 메일 기능의 표시 화면으로 이행할 때나, 웹이나 스테이션 기능을 이용할 때에 사용되며, 또 메뉴를 표시하여 선택할 때에도 사용된다.
12는 후술하는 카메라 장치에 의한 촬영에 있어서 셔터 버튼으로서 기능하는 사이드 키이며, 카메라 촬영 모드에 있어서 반만 누름으로써 촬영 개시 지시를 주는 동시에, 계속해서 완전히 누름으로써 촬영 정지 지시를 부여한다.
여기서, 촬영 개시 지시란 휴대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주기적인 촬영을 시작시키는 지시를 말한다. 촬영 정지 지시란 해당 주기적인 촬영을 정지하여 최후의 촬영 화상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지시를 말한다. 해당 유지된 촬영 화상은 별도의 보존 지시 조작에 따라 영속적으로 보존된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텐 키(8)에 포함된 키가 촬영 개시 지시를 부여하고, OK 키(6)가 촬영 정지 지시를 부여한다.
절첩 상태에 있어서 소정 시간 이상(예를 들면, 3초 이상) 사이드 키(12)가 완전히 눌러진 상태로 되면, 보존된 화상 중에서 최신의 화상이 판독되며, 서브 표시기(18)에 표시된다. 또한 계속하여 사이드 키(12)의 하부에 설치된 다운 키(12b)가 조작되면 시계열적으로 다음으로 오래된 다른 화상이 판독되어 표시되는 한편, 상부에 설치된 업 키(12a)가 조작되면 시계열적으로 다음으로 새로운 다른 화상이 판독되어 표시된다. 해당 표시는 랩어라운드 기능을 적용하여 행해지고, 최종 화상의 다음에는 선두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메인 표시기(2) 또는 서브 표시기(18)에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에, 업 키(12a)가 소정 시간 이상(예를 들면, 3초 이상) 완전히 눌러진 상태로 되면 표시 중의 화상은 확대 표시되는 한편, 다운 키(12b)가 소정 시간 이상(예를 들면, 3초 이상) 완전히 눌러진 상태로 되면 표시 중의 화상은 축소 표시된다(즉, 줌 업 및 줌 다운 기능). 그리고, 사이드 키(12)는 간이 부재중 기록(留守錄) 기능을 설정 및 해제하고, 통화 중에 상대의 소리를 녹음하고, 녹음한 내용을 재생하는 지시를 부여할 때에도 사용된다(즉, 메모 버튼).
13은 외부 접속단자이며, 급속 충전기나 시거 라이터-충전기, 모바일 툴 등을 접속한다.
14는 시작 키이며, 전화를 걸 때 및 받을 때에 사용한다.
15는 안테나이며, 전파를 수신 및 송신한다.
16은 수화기이며, 상대의 소리나 각종 메세지음 등을 발음한다.
17은 착신음이나 착신 멜로디를 방음하기 위해 형성된 개구부이며, 몸체내의 부근 위치에는 착신 통보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다. 또, 이 착신 통보 스피커는 후술하는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이 행해질 때에 셔터음를 발생한다. 또한, 이 셔터음은 통상 발생하는「카샷」이라고 하는 음만이 아니고, 「사진 촬영하였습니다」라고 하는 음성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18은 서브 표시기이며, 컬러 액정 표시 장치, DMD (디지털ㆍ미러ㆍ디바이스)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표시 장치로 구성되고, 통신 단말 장치가 절첩 상태에 있는 경우에, 메인 표시기(2)에 표시되어야 할 정보의 일부가 표시된다. 특히, 서브 표시기(18)는 통상 설치되어 있는 착신 램프나 촬영 램프를 겸하고 있고, 착신이 있으면 호출 상대에 따라 색으로 점멸하여 통지한다. 또, 촬영시의 셔터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발광하고, 충전 중에는 적색으로 점등한다.
또한, 서브 표시기(18)는 후술하는 카메라 장치로 촬영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촬영된 화상은 거울상으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1)가 전개 상태에 있는 동안에, 사용자는 메인 표시기(2)의 표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표시기(18)(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모든 회로 소자)로의 전원 공급을 끊어서 소등함으로써 절전에 기여한다. 또한, 서브 표시기(18)가 소등하고 있을 때, 사이드 키(12)를 조작하면 서브 표시기(18)의 백라이트는 점등하고 소정 시간 경과후에 다시 한번 소등한다.
19는 상태 검출 스위치이며, 통신 단말 장치(1)가 절첩 상태에 있는지, 완전히 전개된 상태에 있는지 또는 그 중간의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상태 검출 스위치(19)에는 마이크로 스위치, 광센서, 또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와의 개방 각도를 검출하는 인코더 등 주지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태 검출 스위치(19)는 통신 단말 장치(1)가 절첩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만을 검출해도 된다.
30은 충전할 수 있고 착탈이 가능한 전지팩이며, 통신 단말 장치(1)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31은 내장의 카메라 장치의 렌즈이며, 이 렌즈를 통하여 인물이나 풍경 등 피사체의 상이 CCD나 C-MOS 인공 망막 IC(미도시) 등에 결상하고, 해당 카메라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32는 착신 LED이며, 착신 호출시에는 녹색으로 발광하고, 화상 데이터를 메 인 표시기(2) 또는 서브 표시기(18)에 표시할 때에는 오렌지색으로 발광하고, 충전 중에는 적색으로 발광한다. 또, 타이머 촬영시에는 오렌지색으로 하며, 타이머의 잔여 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짧아지는 주기로 점멸한다. 이로 인해, 피사체인 인물은 타이머 기간의 종료 타이밍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의 설명에 의해, 본원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1)의 구조상의 특징을 명확히 하였다. 해당 특징을 하기에 정리한다.
(1) 제l 몸체(41)의 절첩 상태에 있어서 은폐되는 면(이후, 내면이라 함)에 메인 표시기(2)와, 절첩 상태에 있어서 노출하는 면(이후, 외면이라 함)에 서브 표시기(18) 및 카메라 장치의 렌즈(31)가 설치되어 있음,
(2) 렌즈(31)는 서브 표시기(18)의 폭을 약 2 등분하는 선상에 배치되어 있음,
(3) 렌즈(31) 및 서브 표시기(18)는 제1 몸체(41)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음,
(4) 본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식 전지부가 제2 몸체(42)의 외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음,
(5) 제2 몸체(42) 안에 착신음를 발생하는 스피커를 구비하고, 제2 몸체(42)의 외면의 스피커 부근 위치에 스피커가 발생한 착신음를 방음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됨.
이상의 구성적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본원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1)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의 렌즈와, 서브 표시기에 표시되는 촬영 화상이 동일한 시야내에서 시인할 수 있게 되고, 피사체인 인물은 용이하게 촬영 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카메라 장치의 렌즈가 서브 표시기의 폭을 약 2 등분하는 선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사체인 인물이 서브 표시기를 보면서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촬영 화상에서 인물의 시선 방향이 부자연스럽게 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IS-95(Interim Standard 95) 베이스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휴대 전화의 이동 단말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과 중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통신 방식에 대해서는 CDMA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PDC(Personal Digital Cellular)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로 해도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는 안테나(15), 송수신부(21), 변복조부(베이스밴드 처리부 등을 포함)(22), 음성 처리부(24), 마이크(9), 리시버(16), 제어부(20), 메인 표시기(2), 서브 표시기(18), 카메라부(25), 카메라 I/F(26), 착신 통보 스피커(27), 상태 검출 스위치(19) 및 조작부(2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ROM(Read Only Memory)(20a) 및 RAM(Random Access Memory)(20b) 등으로 이루어지고, ROM(20a)에 격납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를 해당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각종 제어를 행한다. 또, RAM(20b)는 송신하는 정보나 수신한 정보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예를 들면, 메모리 다이얼 999 건만큼의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배터리를 백업함으로써 소거/변경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영속적으로 보존한다.
메인 표시기(2) 및 서브 표시기(18)는 각각 메인 표시기(2) 및 서브 표시기(18)에 대응하고 있다.
조작부(23)는 플렉시블 키(3), 4개의 접점 키(4), E 메일 키(5), OK 키(6), 종료/전원 키(7), 텐 키(8), WEB 키(11), 사이드 키(12), 및 시작 키(14)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통신 단말 장치(1)에 있어서, 수신 전파는 안테나(15)를 경유하여 송수신부(21)로 수신되고, 변복조부(22)에서 복조된다. 이 변복조부(22)에서 복조된 음성 정보는 음성 처리부(24)에 공급되고, 제어부(20)의 제어하에서 음성 처리부(24)에서 소정의 처리가 행해진 후, 리시버(16)에서 전기-음향 변환되어 음성으로 출력된다.
또, 변복조부(22)에서 복조된 수신 데이터는 제어부(20)에 공급된다. 이 수신 데이터는 제어 데이터, 문자 데이터(예를 들면, 상대 전화번호) 및 화상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메인 표시기(2)나 서브 표시기(18)에 공급되어 문자 정보나 화상 정보로서 표시되고, RAM(20b)에 격납된다.
이 제어 데이터는 음성 통신의 착신 정보(호출측의 전화번호를 포함)나, SMS베어러(숏ㆍ메시지ㆍ베어러)라고 하는 방식에 의해 송신되는 전자 메일 및 문자 메시지의 착신 정보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입력된 음성은 마이크(9)로 음향-전기 변환되고, 음성 처리부(24)에서 소정의 처리가 행해진 후에 변복조부(22)에 공급된다. 또, 조작부(23)로부터의 입력 정보는 제어부(20)를 경유하여 필요에 따라 RAM(20b)에 격납되는 동시에, 송신 데이터로서 변복조부(22)에 공급된다. 변복조부(22)는 공급되는 음성 신호나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고, 송수신부(21)을 거쳐 변조 신호를 안테나(15)로부터 송신한다.
카메라부(25)는 플렉시블 케이블에 의해 카메라 I/F(26)와 접속되고, 카메라 I/F(26)는 제어부(20)와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23)를 조작하여 촬영에 대한 각종 지시를 부여하면, 제어부(20)는 해당 지시에 따른 제어 신호를 카메라 I/F(26)에 출력한다. 카메라 I/F(26)는 제어 신호를 수취하면, 카메라부(25)에 대하여 각종 제어 커맨드 출력하고, 카메라부(25)로부터 얻은 화상 데이터로 RAM(20b)에 설정된 버퍼 영역을 갱신한다.
해당 버퍼 영역은 촬영마다 최신의 화상 데이터로 갱신된다. 사용자가 별도의 보존 조작을 행하면, 제어부(20)는 해당 버퍼 영역 중의 화상 데이터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여 영속적으로 보존한다. 이 때, 특정한 화상 데이터(예를 들면, 통화 상대로 되어야 할 인물을 촬영한 화상)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술한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있어서의 전화번호와 대응하여 보존된다.
화상 데이터의 영속적인 보존은, 예를 들면 RAM(20b)을 배터리 백업함으로써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 RAM(20b)은 일반적으로 용량이 작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 등에 의하여 실현되고, 화상 데이터를 전용으로 기억하는 화상 기억부(20c)를 별도 설치하여 보존해도 된다.
또한, 해당 보존된 화상 데이터는 변복조부(22)에 의하여 변조된 후, 송수신 부(21)를 경유하여 안테나(15)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촬영 개시>
다음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촬영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사용자로부터 촬영 개시 지시를 접수한 경우,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통신 단말 장치(1)가 절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23)를 조작함에 따라, 카메라 촬영 모드로 이행하고, 다시 사이드 키(12)를 반만 누름으로써 촬영 개시 지시를 부여하면(단계 S11), 제어부(20)는 카메라부(25)에 촬영 명령을 발하고, 카메라부(25)는 촬영을 행하고, 화상 데이터를 카메라 I/F(26)를 경유하여 제어부(20)에 출력하고, 제어부(20)는 해당 화상 데이터로 RAM(20b)의 버퍼 영역을 갱신한다(단계 S12).
또한, 촬영 개시 지시는 통신 단말 장치(1)가 전개된 상태에서 텐 키(8)에 포함되는 * 키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제어부(20)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상태 검출 스위치(19)의 출력을 참조하고, 통신 단말 장치(1)가 절첩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한다. 그리고, 절첩 상태에 있으면(단계 S13:예) 피사체 화상을 거울상으로(즉, 좌우 반전하여) 서브 표시기에 표시하고(단계 S14), 절첩 상태가 아니면(단계 S13:아니오) 서브 표시기를 소등하고(단계 S15) 피사체 화상을 좌우 반전하지 않은 그대로 메인 표시기에 표시한다(단계 S16). 단계 S12 이후의 처리는 촬영 개시 지시를 접수한 후, 촬영 종료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 소정 시간마다 반복하여 실행된다.
도 4는 촬영 개시 지시를 접수한 후, 절첩 상태에 있는 동안의 서브 표시기에 대한 표시예이며, 사용자가 자신을 촬영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사용자가 통신 단말 장치(1)를 닫은 상태에서, 예를 들면 자신의 오른손으로 OK 사인한 포즈를 취하고, 사이드 키(12)를 반만 누름으로써 촬영 개시 지시를 부여하면, 제어부(20)는 카메라부(25)에 촬영 명령을 발함으로써, 주기적인(예를 들면 O.1초 마다의) 촬영을 시작하고, 촬영마다 피사체 화상을 거울상으로 서브 표시기(18)에 표시한다(도 4(A) 내지 4(C)).
도 5는 촬영 개시 지시를 접수한 후, 절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된 경우의 서브 표시기 및 메인 표시기에 대한 표시예이다.
절첩 상태에서 촬영 시작 후에, 서브 표시기(18)에 피사체 화상의 거울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도 5(A))에서 사용자가 통신 단말 장치(1)를 전개하면, 제어부(20)는 절첩 상태에서 촬영된 최후의 피사체 화상을 비거울상으로 메인 표시기(2)에 표시하고(도 5(B)), 서브 표시기(18)를 소등하여 절전에 기여하는 동시에(도 5(C)), 소정 주기에서의 촬영을 속행하고, 촬영마다 피사체 화상을 비거울상으로 메인 표시기(2)에 표시한다(도 5(D)). 이 예에서는 전개 후에, 전방을 향하여 왼쪽에 여자아이와 오른쪽에 개가 있는 풍경화가 촬영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도 5(B)의 표시 기간은 전개 후, 처음의 촬영이 행해지기까지의 순간이다.
<촬영 정지>
다음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촬영 정지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사용자로부터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한 경우의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촬영 정지 지시는 상술한 주기적인 촬영이 행해지는 동안에 원하는 촬영 화상을 얻은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발해지는 지시이며, 일반 카메라 등에 있어서의 셔터 조작과 유사한 것이다.
촬영 시작 후, 주기적인 촬영이 행해지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이드 키(12)를 완전히 누름으로써 촬영 정지 지시를 부여하면(단계 S21), 그 후의 촬영은 행해지지 않고, 제어부(20)는 상태 검출 스위치(19)의 출력을 참조하여 통신 단말 장치(1)가 절첩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한다. 절첩 상태에 있으면(단계 S22:예), 제어부(20)는 셔터음을 제1 음량으로 발생함으로써 촬영이 행해진 것을 주위에 통보하고(단계 S23), 카메라 장치(31)에 의하여 마지막으로 촬영되어 RAM(20b)의 버퍼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피사체 화상을 거울상으로 서브 표시기에 표시한다(단계 S24).
그 후, 사용자가 통신 단말 장치(1)를 전개하여, 절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면(단계 S25:아니오), 제어부(20)는 서브 표시기를 소등하고(단계 S26), 버퍼 영역의 피사체 화상을 비거울상으로 메인 표시기에 표시한다(단계 S28).
한편, 상기 촬영 정지 지시가 부여된 때에, 절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된 경우(단계 S22:아니오), 제어부(20)는 셔터음 또는「사진 촬영하였습니다」라고 하는 음성을 제2 음량으로 발생시키는 동시에(단계 S27), RAM(20b)의 버퍼 영역에 기록 되어 있는 피사체 화상을 비거울상으로 메인 표시기에 표시한다(단계 S28).
또한, 셔터음의 음량에 대해서는 절첩되어 눈에 띄지 않는 형상으로의 촬영을 알리기 위한 제1 음량을 전개 상태에서의 제2 음량보다 크게 함으로써, 도촬의 방지 효과가 높아진다고 기대할 수 있다.
촬영 종료 후에, 전개 상태를 경유하여 절첩 상태로 되는 경우(단계 S29:예), 제어부(20)는 RAM(20b)의 버퍼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피사체 화상을 비거울상으로 재차 서브 표시기에 표시한다(단계 S30).
도 7은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한 후의 서브 표시기 및 메인 표시기에 대한 표시예이며, 사용자가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한 후의 절첩 상태에 있어서 버퍼 화상의 거울상이 서브 표시기(18)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도 7(A))에서, 사용자가 통신 단말 장치(1)를 전개하면, 제어부(20)는 서브 표시기(18)를 소등하여 절전에 기여하는 동시에(도 7(B)), 버퍼 화상을 메인 표시기(2)에 비거울상으로 표시한다(도 7(C)).
서브 표시기에의 표시는 거울상으로 행해지므로, 서브 표시기를 보면서 자기를 촬영하는 촬영자에게는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또, 메인 표시기에의 표시는 비거울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촬영자는 OK 사인을 취한 자신의 손이 오른손이라고 올바르게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통신 단말 장치(1)를 절첩하면, 제어부(20)는 버퍼 화상을 비거울상으로 서브 표시기(18)에 표시한다(도 4(D)).
이 표시는 메인 표시기에 의하여 이미 비거울상을 확인한 촬영자에게 위화감 이 없는 적절한 화상을 제시한다.
<타이머 촬영>
다음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타이머 촬영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는 통신 단말 장치(1)를 대략 L 문자의 전개 상태로 하여 제2 몸체를 받침대로 하는 동시에, 서브 표시기(18)의 표시를 통해 촬영 화상을 확인하면서 타이머 촬영을 행하도록 상정하고 있다.
도 8은 사용자로부터 타이머 촬영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의 통신 단말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사용자가 텐 키(8)에 포함된 타이머 촬영 키(예를 들면, # 키)를 누르면(단계 S31:예), 제어부(20)는 소정의 기간(타이머 기간이라고도 함)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단계 S32:아니오), 카메라부(25)에 촬영 명령을 발하고, 카메라부(25)는 주기적인 촬영을 행하고, 카메라 I/F(26)를 경유하여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출력하고, 제어부(20)는 촬영마다 해당 화상 데이터로 RAM(20b)의 버퍼 영역을 갱신한다(단계 S33).
제어부(20)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피사체 화상을 거울상으로 서브 표시기에 표시하고(단계 S34), 해당 표시와 함께 상기 타이머 기간의 잔여 시간을 카운트다운하여 표시한다(단계 S35).
또, 이 때 착신 LED(32)를 잔여 시간에 따른 주기로 점멸 발광한다(단계 S36). 구체적으로는 점멸 간격치를 촬영마다 줄이는 동시에, 해당 점멸 간격치에 따라 점멸 발광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인물은 서서히 단축되는 점멸 간격에 의해 타이머 기간의 종료 타이밍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단계 S32 이후의 처리는 타이머 촬영 지시를 접수한 후, 타이머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소정 시간마다 반복하여 실행된다.
제어부(20)는 타이머 기간의 경과 후에(단계 S32:예), 이후의 촬영을 행하지 않고, 카메라 장치(31)에 의하여 마지막으로 촬영되어 RAM(20b)의 버퍼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피사체 화상을 거울상으로 서브 표시기에 표시한다(단계 S37).
도 9는 타이머 촬영 지시를 접수한 후, 타이머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서브 표시기 및 메인 표시기에 대한 표시예이다.
사용자가 텐 키(8)에 포함되는 타이머 촬영 키(예를 들면, # 키)를 누르면, 제어부(20)는 카메라부(25)에 촬영 명령을 발함으로써, 주기적인(예를 들면, O.1초 마다) 촬영을 개시하고, 촬영마다 피사체 화상을 거울상으로 서브 표시기(18)에 표시하는 동시에, 타이머 기간의 잔여 초 수의 카운트다운 표시를 행한다(도 9(A) 내지 9(C)). 타이머 기간의 경과 후에, 마지막으로 촬영된 피사체 화상이 거울상으로 서브 표시기(18)에 표시된다(도 9(D)).
<착신시 촬영 화상의 표시>
휴대 단말 장치(1)는 화상 데이터(특히, 통화 상대로 되어야 할 인물을 촬영한 화상 등), 전화번호 및 이름을 대응하여 기억하고,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착신시에 통지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이름과 함께,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메인 표시기(2) 및 서브 표시기(18)에 표시한다.
도 10은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RAM(20b) 및 화상 기억부(20c)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부 데이터(100)의 구조와 내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화번호부 데이터(100)는 전화번호 항목(101), 화상 데이터 항목(102), 및 이름 항목(103)을 가지며, 각각 전화번호, 촬영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대응하여 유지한다.
도 11은 착신시의 화상 표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어부(20)는 착신을 받은 경우에(단계 S41:예), 또한 발신자 전화번호의 통지가 있는 경우(단계 S42:예), 그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 테이블(100)에서 검색한다(단계 S43). 일치하는 전화번호가 있으면(단계 S44:예), 절첩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45), 절첩 상태라면 해당 전화번호와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과,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서브 표시기에 표시하고(단계 S46), 절첩 상태가 아니면 메인 표시기에 표시한다(단계 S47).
또한, 전화번호부 데이터(100)에 기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이름은 사전에 촬영 화상과 대응시켜서 사용자가 텐 키(8) 등을 통해 입력한 것이다.
이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는 착신시에 바로 발신자를 알 수 있고, 촬영 화상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외의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와 같은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해도 된다. 또,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해도 되고,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CD-ROM, MO, DVD, DVD-ROM, DVD-RAM,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전기 통신 회선, 무선 또는 유선 통신 회선, 또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이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상기 방법을 실현해도 된다.
또,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는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이송되고, 또는 상기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이송되고, 독립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는 PHS, PDC 등의 각종 이동체 통신 서비스, 및 CDMA 방식에 의한 이동체 통신 서비스 등에 있어서, 촬영 기능을 가진 절첩식 휴대 전화기 및 절첩식 휴대 정보 단말기로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전개 상태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촬영 개시 지시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촬영 개시 지시를 접수한 후의 표시예.
도 5는 촬영 개시 지시를 접수한 후의 표시예.
도 6은 촬영 정지 지시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한 후의 표시예.
도 8은 타이머 촬영 지시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타이머 촬영 지시를 접수한 후의 표시예.
도 10은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구조와 내용예.
도 11은 착신시에 있어서 화상 표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Claims (10)

  1.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구비하고, 양 몸체 각각의 끝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연결 부분을 축으로 하여 각 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통신 단말 장치로서,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양 몸체가 이루는 각도가 약 0의 상태인 절첩 상태에 있어서, 노출하는 상기 제1 몸체의 제1 면에, 촬영용 렌즈와 제1 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몸체상에서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고, 절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측에 의해 은폐되는 제2 면에 제2 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촬영용 렌즈를 통하여 촬영을 하는 카메라부와,
    촬영 개시의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접수부와,
    상기 절첩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접수부에 의해 촬영 개시의 지시가 접수된 후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의해 절첩 상태라고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상의 거울상을 상기 제1 표시기에 표시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절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상을 상기 제2 표시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인 폭을 약 2 등분하는 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및 상기 제1 표시기는 모두 상기 제1 면에 있어서 상기 폭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절첩 상태에 있어서 노출하는 면에, 전지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기는 발광 표시가 가능한 조명식(照明式) 또는 자광식(自光式) 표시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수부에 의해 촬영 개시의 지시가 접수된 후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의해 절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표시기를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하는 촬영 정지 지시 접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접수부에 의해 촬영 개시 지시가 접수된 후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정지 지시 접수부에 의해 상기 촬영 정지 지시가 접수된 경우에는 촬영을 억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정지 지시가 접수된 후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절첩 상태가 아니라고 일단 검출되고 나서 절첩 상태로 된 것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촬영된 상을 비거울상으로 상기 제1 표시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스피커와,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하는 촬영 정지 지시 접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접수부에 의해 촬영 개시 지시가 접수된 후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정지 지시 접수부에 의해 상기 촬영 정지 지시가 접수된 때에는, 그 때 이후의 촬영을 억제하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검출부에 의해 절첩 상태에 있다고 검출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촬영 정지 지시 접수부가 상기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한 경우, 상기 스피커로부터 제1 음량으로 발음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절첩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는 동안에 상기 촬영 정지 지시 접수부가 상기 촬영 정지 지시를 접수한 경우,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제1 음량보다 작은 제2 음량으로 발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촬영된 상과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착신시에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통지된 경우, 그 전화번호에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상기 제1 표시기 또는 상기 제2 표시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타이머 촬영 지시를 접수한 후, 소정 기간 주기적으로 상기 카메라부에 촬영을 수행시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순차 촬영된 상 또는 그 상 각각의 거울상을 상기 제1 표시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몸체내에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절첩 상태에 있어서 노출하는 면의, 상기 스피커의 근방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KR1020087002266A 2001-12-19 2002-03-04 절첩식 통신 단말 장치 KR20080021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86483 2001-12-19
JP2001386483A JP3616798B2 (ja) 2001-12-19 2001-12-19 通信端末装置及び撮影画像表示方法
JP2001390609A JP3616799B2 (ja) 2001-12-21 2001-12-21 開閉式通信端末装置
JPJP-P-2001-00390609 2001-12-21
JPJP-P-2001-00398619 2001-12-27
JP2001398619A JP3574109B2 (ja) 2001-12-27 2001-12-27 開閉式通信端末装置
JPJP-P-2001-00398676 2001-12-28
JP2001398676A JP3959460B2 (ja) 2001-12-28 2001-12-28 セラミック複合材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671A Division KR20040089090A (ko) 2001-12-19 2002-03-04 절첩식 통신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825A true KR20080021825A (ko) 2008-03-07

Family

ID=3939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266A KR20080021825A (ko) 2001-12-19 2002-03-04 절첩식 통신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18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8445A (ko) 절첩식 통신 단말 장치
JP3392831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US7173665B2 (en)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004865B2 (ja) 携帯端末
JP4086526B2 (ja) 移動端末装置
JP3778807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3616798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撮影画像表示方法
JP3574110B2 (ja) 開閉式通信端末装置
JP2003022066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スペース文字表示方法
CN100512333C (zh) 具有图像拍摄功能的便携式移动通信终端
JP3574084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JP3574109B2 (ja) 開閉式通信端末装置
KR20080021825A (ko) 절첩식 통신 단말 장치
JP4241337B2 (ja) 携帯電話、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332021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3616799B2 (ja) 開閉式通信端末装置
JP4069681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JP4280088B2 (ja) 通信端末装置
JP4368887B2 (ja) 携帯端末
JP2005277466A (ja) 通信装置
JP4005119B2 (ja) 携帯端末
JP200230030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