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554A - 토크 판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크 판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554A
KR20080021554A KR1020070088366A KR20070088366A KR20080021554A KR 20080021554 A KR20080021554 A KR 20080021554A KR 1020070088366 A KR1020070088366 A KR 1020070088366A KR 20070088366 A KR20070088366 A KR 20070088366A KR 20080021554 A KR20080021554 A KR 20080021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side
signal
far
talk
talk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331B1 (ko
Inventor
사또시 세끼네
하지메 오꾸무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8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 H04M9/082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using echo cance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20Reducing echo effects or singing; Opening or closing transmitting path; Conditioning for transmission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1Equal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ontrol Of Velocity Or Acceleration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토크 판정 시스템은 원단 측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원단 측 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원단 측으로부터의 방음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입력부 내로 입력되는 방음 신호를 방출시키는 스피커; 근단 측에서 음성을 채취하고 취음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및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취음 신호에 기초하여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사전에 판정하고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나타내는 근단 측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판정부를 포함한다. 판정부는 수신부에 수신되는 원단 측 판정 정보와 근단 측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판정한다.
Figure P1020070088366
토크 판정 시스템, 에코 서프레서, 토킹 상태, 판정 정보,

Description

토크 판정 시스템{TALK DECIDING SYSTEM}
본 발명은 음성 토크 등에 사용되는 토크 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더블 토크 등의 토크 판정을 정확히 행하기 위한 토크 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격 위치로부터 토크 세션(통신 회의)에 참여하기 위해서,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토크 세션 시스템이 널리 퍼져 있다. 토크 세션 시스템에서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음성이 목적지(원단(far-end) 측)에 송신되고, 원단 측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은 자신의 장치(근단(near-end) 측)의 스피커로부터 방출된다.
하지만, 토크 세션 시스템은 동일 공간에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이유로, 원단 측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방출될 때, 이 음성은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되어 원단 측으로 보내진다. 그 결과, 에코 등의 잡음이 생성된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코 소거기 기능을 구비한 토크 세션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 시스템의 에코 소거기는 원단 측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스피커로부터 방출하고, 또한 이 음성을 적응 필터 내로 입력한다. 적응 필터는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에 이르는 송신 루트를 평가한 필터 계수를 사용하여 원단 측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필터링하고, 인공 회귀(artificial regression) 음성을 생성한다. 이런 에코 소거기는, 마이크로폰의 채취된 음성에서 이런 인공 회귀 음성을 제함으로써, 에코 성분을 소거한다.
[특허 문헌 1]JP-A-3-218150
하지만, 특허 문헌 1의 에코 소거기는 에코 성분을 완벽하게 소거할 수 없었다. 즉, 적응 필터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인공 회귀 음성을 생성하지만, 이런 인공 회귀 음성은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에 도달하는 음성과 완벽히 일치하지는 않으며, 따라서 완벽히 소거되지 않은 성분이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원단 측의 화자가 말을 하지만, 근단 측의 화자가 말을 하지 않을 때(이하에서는 "원단 측 싱글 토크"라 지칭함), 근단 측의 마이크로폰의 이득이 억제되어야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원단 측 싱글 토크를 감지하는 정확도가 문제가 된다. 즉, 잡음 또는 갑작스런 소리가 근단 측에서 발생될 때, 이는 종종 원단 측과 근단 측 양쪽이 말하고 있는 것(이하에서는 "더블 토크"라 지칭함), 또는 근단 측만이 말하고 있는 것(이하에서는 "근단 측 싱글 토크"라 지칭함)으로 오인된다. 그 결과, 근단 측의 마이크로폰의 이득이 억제되지 않아, 에코가 소거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 측 싱글 토크, 근단 측 싱글 토크, 더블 토크, 및 무 음을 감지함에 있어서 정확도가 향상되는 토크 판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토크 판정 시스템은 원단 측의 토킹 상태를 나타내는 원단 측 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원단 측으로부터의 방음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입력부 내로 입력되는 방음 신호를 방출시키는 스피커; 근단 측의 음성을 채취하고 취음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및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취음 신호와 스피커 내로 입력되는 방음 신호에 기초하여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사전에 판정하고,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나타내는 근단 측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수신부에 수신되는 원단 측 판정 정보와 근단 측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판정한다.
이런 구성에 따르면, 원단 측의 토킹 상태를 나타내는 원단 측 판정 정보가 수신된다. 여기서, 원단 측의 토킹 상태는 원단 측의 장치에 의해 판정된 토킹 상태를 의미하고, 예컨대, 원단 측 싱글 토크, 근단 측 싱글 토크(본 명세서에 언급된 근단 측 싱글 토크는 근단 측의 장치의 화자만이 말하는 상태를 나타냄), 더블 토크, 및 무음을 나타낸다. 또한, 판정부는 취음 신호와 방음 신호 간의 레벨 차에 기초하여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사전에 판정한다. 여기서, 판정부는 방음 신호를 적응 필터로 필터링하여 얻어진 의사 회귀 음성 신호와, 취음 신호 간의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토킹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판정부는 사전 판정의 결과를 근단 측 판정 정보(근단 판정 정보)로서 생성한다. 판정부는 근단 측 판정 정보와 원단 측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최종적으로 판정한다. 근단 측 판정 정보와 원단 측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결과를 규정하는 테이블이 준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단 측 판정 정보가 더블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최종 결과는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될 수 있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더블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최종 결과가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될 수 있다. 근단 측 판정 정보와 원단 측 판정 정보가 다를 때, 어떻게 최종 결과가 규정되어야 하는지는 이용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판정부는 근단 측의 판정된 토킹 상태를 보유하고, 금회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원단 측 판정 정보, 근단 측 판정 정보, 및 과거에 판정되어 보유된 근단 측의 토킹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이런 구성에 따르면, 판정된 최종 결과가 보유된다. 금회 최종 결과는 보유된 결과, 원단 측 판정 정보, 및 근단 측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예를 들어, 원단 측 판정 정보가 더블 토크를 나타내고, 근단 측 판정 정보가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과거의 결과가 참조된다. 이전의 최종 결과가 더블 토크를 나타낼 때, 금회 최종 결과는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된다. 또한, 이전의 최종 결과가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금회 최종 결과는 더블 토크로 판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토크 판정 시스템은 판정부에서 생성된 근단 측 판정 정보를 원단 측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이런 구성에 따르면, 판정부에 의해 생성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원단 측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감지하는 정확도가 또한 원단 측에서 향상된다. 여기서, 원단 측으로부터 수신된 원단 측 판정 정보와, 또한 최종적으로 판정된 토킹 상태의 정보는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정보의 루프가 절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토크 판정 시스템은 방음 신호를 수신하고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에 돌아 들어가는 회귀 음성 신호의 의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적응 필터를 갖는 적응 에코 소거기; 및 취음 신호로부터 의사 신호를 제하기 위한 후 처리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의사 신호, 상기 취음 신호, 및 상기 방음 신호에 기초하여,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사전에 판정한다.
이런 구성에 따른, 적응 에코 소거기가 제공된다. 근단 측의 토킹 상태는 적응 필터가 출력하는 의사 신호와 취음 신호 간의 상관성을 도출함으로써 양호한 정확도로 판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 신호와 취음 신호 간의 상관 계수가 제1 소정의 값보다 작을 때, 최종 결과가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된다. 상관 계수가 제2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 최종 결과가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된다. 상관 계수가 제1 소정의 값보다 크지만, 제2 소정의 값보다는 작을 때, 최종 결과가 더블 토크로 판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토크 판정 시스템은 원단 측에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감쇄시키는 에코 서프레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정부는 근단 측의 판정된 토킹 상태에 기초하여 감쇄가 에코 서프레서에 의해 행해져야 하는지 여부와, 감쇄의 레벨을 설정한다.
이런 구성에 따르면, 에코 서프레서에 의한 감쇄가 필요로 되는지 여부와, 감쇄의 레벨이 최종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최종 결과가 원단 측 싱글 토크와 무음 중 어느 한 경우일 때, 에코 서프레서가 신호를 감쇄하게 되고, 최종 결과가 근단 측 싱글 토크와 더블 토크 중 어느 한 경우일 때는, 에코 서프레서가 신호를 감쇄하지 않게 된다. 이런 경우에, 더블 토크인 경우에도, 에코 서프레서가 신호를 감쇄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종 결과는, 취음 신호, 방음 신호, 및 적응 필터의 의사 회귀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원단 측 싱글 토크, 근단 측 싱글 토크, 더블 토크, 및 무음을 판정함으로써 얻어지는 판정 정보와, 원단 측에 수신된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따라서, 감지하는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세션 시스템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이런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세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런 토크 세션 시스템은 외부 장치에 접속된 입력/출력 I/F(11), 원단 측 판정 정보 추출부(12), 스피커(13), 마이크로폰(14), 가산기(15), 적응 필터(16), 에코 서프레서(17), 신호 처리부(18), 판정 정보 부가부(19), 및 ST/DT 판정부(20)를 포함한다.
입력/출력 I/F(1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고, 이런 토크 세션 시스템을 외부 장치에 접속시킨다. 예를 들어, 입력/출력 I/F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원단 측)에 접속되어 음성 정보를 송신/수신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출력 I/F(11)에 입력된 음성 정보는 원단 측 판정 정보 추출부(12) 내로 입력된다.
원단 측 판정 정보 추출부(12)는 입력된 프로토콜 포맷의 음성 정보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그런 다음 이 신호를 스피커(13), 적응 필터(14), 및 ST/DT 판정부(20)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피커에 공급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 변환기, 마이크로폰 내에 설치된 전단(front-end) 증폭기, 및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생략되어 있다. 또한, 특정 표시를 하지 않는 한, 본 시스템 내에서 전송되는 모든 음성 신호는 디지털 음성 신호인 것으로 가정된다.
또한, 원단 측 판정 정보 추출부(12)는 입력된 음성 정보에 부가된 원단 측 판정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원단 측 판정 정보는 ST/DT 판정부(20) 내로 입력된다. 원단 측 판정 정보는,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지만, 원단 측 싱글 토크, 근단 측 싱글 토크, 더블 토크, 및 무음(근단 측과 원단 측 양쪽에서 어떤 토크도 행해지지 않음) 상태들이 원단 측에 접속된 장치에서 발생하게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마이크로폰(14)은 자신의 시스템(근단 측)의 주위의 음성을 채취하여, 음성 신호를 가산기(15)와 ST/DT 판정부(20)에 출력한다.
가산기(15)는 마이크로폰(14)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에서 적응 필터(16)의 출력 신호를 제한다. 가산기(15)는 이런 차(difference) 신호를 에코 서프레서(17)에 출력한다.
적응 필터(16)는 소정의 필터 계수를 사용하여 원단 측 정보 추출부(12)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여, 의사 회귀 음성 신호(인공적인 에코 성분)를 생성한다. 즉, 스피커(13)로부터 마이크로폰(14)에 이르는 음향 전달 시스템의 전달 함수가 추정되고, 그런 다음 스피커에 공급되는 음성 신호가 이런 추정된 필터 계수를 사용하여 필터링되어서, 스피커(13)로부터 마이크로폰(14)에 이르는 에코 성분이 인공적으로 생성되게 된다. 의사 회귀 음성 신호는 가산기(15) 및 ST/DT 판정부(20)에 출력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가산기(15)는 마이크로폰(14)에 의해 채취된 음성 신호에서 의사 회귀 음성 신호를 제하여, 에코 성분이 감쇄된 차 신호를 출력한다. 이런 차 신호는 에코 서프레서(17)와 적응 필터(16)에 출력된다.
적응 필터(16)는 가산기(15)로부터 출력된 차 신호와 스피커에 공급된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필터 계수를 갱신하여, 완벽히 소거될 수 없는 에코 성분이, 즉, 차 신호가 0(최소값)으로 감소하게끔 된다. 소정의 알고리즘이 필터 계수를 갱신하는 데 이용된다.
에코 서프레서(17)는 입력 차 신호를 그대로, 또는 신호 감쇄 시점 이후에, 신호 처리부(18)에 출력한다. ST/DT 판정부(20)는 신호가 감쇄되어야 하는지 여부와, 이런 감쇄가 적용된다면, 감쇄의 레벨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원단 측 싱글 토크와 무음의 경우에, 차 신호는 0 또는 무한소 레벨로 설정되며, 반면에 더블 토크 또는 근단 측 싱글 토크인 경우에, 차 신호는 그대로, 또는 이 신호가 경미하게 감쇄되는 시점 이후에, 출력되도록 설정된다.
신호 처리부(18)는 잡음 게이트, 압축기(compressor) 등에 의해 구성되며, 에코 서프레서(17)에 의해 감쇄될 수 없는 과도한 신호 성분을 비선형 처리에 의해 억압한다. 이런 비선형 처리는 매회 실행될 수 있거나, ST/DT 판정부(20)에 의해 온/오프(ON/OFF) 제어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8)에 의해 억압된 음성 신호는 판정 정보 부가부(19)에 출력된다.
판정 정보 부가부(19)는 신호 처리부(18)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의 프로토콜 포맷에 적합한 음성 정보로 변환하여, 이 정보를 입력/출력 I/F(11)에 출력한다. 또한, 판정 정보 부가부(19)는 이 음성 정보에 ST/DT 판정부(20)에 의해 판정된 판정 정보를 부가한다.
ST/DT 판정부(20)는 그 자신의 장치의 토킹 상태를 판정하며, 즉 근단 측 싱글 토크, 원단 측 싱글 토크, 더블 토크, 및 무음을 구별한다. ST/DT 판정부(20)는 마이크로폰(14)에 의해 채취된 음성 신호(이하에서, 이 신호는 "취음 신호"라 지칭됨), 적응 필터(16)가 출력하는 의사 회귀 음성 신호, 원단 측 정보 추출부(12)로부터 출력되어 원단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이하에서, 이 신호는 "방음 신호"라고 지칭됨)를 수신한다. ST/DT 판정부(20)는 이들 신호들을 다음과 같이 이용함으로써 판정을 행한다.
취음 신호가 소정 레벨 미만일 때, ST/DT 판정부(20)는 근단 측과 원단 측 양쪽이 말을 하고 있지 않고, 토킹 상태를 무음으로 판정하는 것을 고려한다. 취음 신호가 소정 레벨보다 크면, ST/DT 판정부(20)는 취음 신호와 의사 회귀 음성 신호 간의 상관 계수를 계산한다. 상관 계수가 0보다 크지만 제1 임계치 미만일 때, ST/DT 판정부(20)는 토킹 상태를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 상관 계수가 제1 임계치보다 크지만 제2 임계치보다 작을 때, ST/DT 판정부(20)는 토킹 상태를 더블 토크로 판정한다. 상관 계수가 제2 임계치 이상일 때, ST/DT 판정부(20)는 토킹 상태를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 또한, 취음 신호가 소정 레벨보다 크고, 방음 신호가 소정 레벨(이 레벨은 취음 신호의 레벨과 동일하게, 또는 이와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보다 작으면, ST/DT 판정부(20)는 상관 계수의 값에 상관없이 토킹 상태를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 취음 신호와 의사 회귀 음성 신호 간의 상관 계수가 낮으면, 화자의 음성이 마이크로폰(14)에 의해 채취된다. 이런 경우, 스피커(13)로부터 마이크로폰(14)에 돌아 들어가는 회귀 음성 신호가 작은 것으로, 즉 토킹 상태가 근단 측 싱글 토크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취음 신호와 의사 회귀 음성 신호 간의 상관 계수가 높으면, 스피커(13)로부터 마이크로폰(14)에 돌아 들어가는 회귀 음성 신호가 크다. 따라서, 화자의 음성이 채취되지 않으며, 즉, 토킹 상태가 원단 측 싱글 토크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또한, 취음 신호와 의사 회귀 음성 신호 간의 상관 계수가 중간 레벨(제1 임계치와 제2 임계치 사이)일 때, 스피커(13)로부터 마이크로폰(14)에 돌아 들어가는 회귀 음성 신호는 어느 정도까지 존재하고, 또한 화자의 음성도 어느 정도까지 채취된다. 즉, 토킹 상태가 더블 토크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토킹 상태가 입력되는 취음 신호, 회귀 음성 신호, 및 방음 신호 모두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예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토킹 상태는 취음 신호와 방음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판정될 수 있다.
ST/DT 판정부(20)는 판정 결과를 판정 정보 부가부(19)에 출력한다. 판정 정보 부가부(19)는 ST/DT 판정부(20)로부터 입력된 판정 정보를 원단 측에 송신될 음성 정보에 부가한다. 이런 판정 정보는 원단 측의 목적지 장치에서 원단 측 판정 정보로서 사용된다. 즉, 원단 측 판정 정보 추출부(12)에 의해 추출된 원단 측 판정 정보는 원단 측의 장치에서 상기와 같이 판정된 결과를 나타낸다.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원단 측 싱글 토크, 근단 측 싱글 토크, 더블 토크, 및 무음)를, 자신의 장치 측의 판정 결과와 원단 측 판정 정보 추출부(12)에 의해 추출된 원단 측 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판정한다. ST/DT 판정부(20)는 이 최종 결과에 기초하여 신호가 에코 서프레서(17)에 의해 감쇄되어야 하는지 여부와, 감쇄가 적용된다면, 감쇄의 레벨을 판정한다.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를 도 2에 도시된 판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도 2는 판정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판정 테이블은 ST/DT 판정부(20) 내의 내부 메모리(도시 생략)에 저장된다. 근단 측 판정 정보가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를 더블 토크로 판정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취음 신호와 의사 회귀 음성 신호 간의 상관 계수가 제1 임계치보다 크지만 제2 임계치보다는 작을 때, ST/DT 판정부(20)는 토킹 상태를 더블 토크로 판정한다. 이러한 경우, 토킹 상태가 근단 측 싱글 토크에서 더블 토크로 변경될 때, 적응 필터(16)의 필터 계수가 갱신될 때까지, 취음 신호와 의사 회귀 음성 신호 간의 상관 계수가 낮게(제1 임계치보다 작음) 된다. 따라서, 근단 측 판정 정보와 원단 측 판정 정보 양쪽이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를 더블 토크(초기)로 설정한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그대로 최종 결과를 근단 측 싱글 토크로 설정한다. 근단 측 판정 정보가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더블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를 더블 토크(초기) 또는 근단 측 싱글 토크로서 설정한다. 여기서, ST/DT 판정부(20)는 과거의 최종 결과를 참조한다. ST/DT 판정부(20)는 계산된 최종 결과를 내부 메모리에 보유하고, 이전 최종 결과를 참조할 수 있다. 이전 최종 결과가 더블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금회 최종 결과를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 이는 필터 계수가 원단 측 장치에서 갱신될 때까지 토킹 상태가 더블 토크로 판정되기 때문이다. 이전 최종 결과가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금회 최종 결과를 더블 토크로 판정한다. 이는 필터 계수가 그 자신의 장치에서 갱신될 때까지 토킹 상태가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무음을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그대로 최종 결과를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토킹 상태는 무음에서 근단 측 싱글 토크로 변경된다). 이는 토킹 상태가 무음에서 근단 측 싱글 토크로 변경될 때, 필터 계수가 원단 측 장치에서 갱신될 때까지 토킹 상태가 무음으로 판정되기 때문이다.
근단 측 판정 정보가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그대로 최종 결과를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 근단 측 판정 정보가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를 무음으로 판정한다. 이는 원단 측과 근단 측 양쪽에서 토킹을 중지한(즉, 더블 토크가 종료됨) 직후에 적응 필터(16)의 필터 계수가 갱신될 때까지 ST/DT 판정부(20)가 최종 결과를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더블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그대로 최종 결과를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토킹 상태는 더블 토크에서 원단 측 싱글 토크로 변경된다). 이는 필터 계수가 원단 측 장치에서 갱신될 때까지, ST/DT 판정부(20)가 최종 결과를 더블 토크로 판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무음을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그대로 최종 결과를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 또한, 최종 결과가 원단 측 싱글 토크와 무음 중 어느 한쪽으로 판정될 때, 에코 서프레서(17)가 이들 토킹 상태에서 신호를 감쇄하게 되기 때문에, ST/DT 판정부(20)는 그대로 최종 결과를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더블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를 더블 토크(초기) 또는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 여기서, ST/DT 판정부(20)는 과거의 최종 결과를 참조한다. 이전 최종 결과가 더블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금회 최종 결과를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 이는 필터 계수가 그 자신의 장치에서 갱신될 때까지 토킹 상태가 더블 토크로 판정되기 때문이다. 이전 최종 결과가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금회 최종 결과를 더블 토크로 판정한다. 이는 필터 계수가 원단 측 장치에서 갱신될 때까지 토킹 상태가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더블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를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토킹 상태가 더블 토크에서 근단 측 싱글 토크로 변경된다). 이는 토킹 상태가 더블 토크에서 근단 측 싱글 토크로 변경될 때, 필터 계수가 그 자신의 장치에서 갱신될 때까지, ST/DT 판정부(20)가 최종 결과를 더블 토크로 판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더블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 역시 더블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그대로 최종 결과를 더블 토크로 판정한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더블 토크를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무 음을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를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원단 측에서 토킹을 끝내면서 근단 측에서 토킹을 개시한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무음을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근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를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토킹 상태가 무음에서 원단 측 싱글 토크로 변경된다). 이는 토킹 상태가 무음에서 원단 측 싱글 토크로 변경될 때, 필터 계수가 그 자신의 장치에서 갱신될 때까지 ST/DT 판정부(20)가 최종 결과를 무음으로 판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무음을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그대로 최종 결과를 무음으로 판정한다. 또한, 최종 결과가 원단 측 싱글 토크와 무음 중 어느 한쪽으로 판정될 때, 에코 서프레서(17)가 이들 토킹 상태에서 신호를 감쇄하게 되기 때문에, ST/DT 판정부(20)는 그대로 최종 결과를 무음으로 판정한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무음을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가 더블 토크를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를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원단 측에서 토킹을 개시하면서, 근단 측에서 말을 중지한다). 또한, 근단 측 판정 정보가 무음을 나타내고, 원단 측 판정 정보 역시 무음을 나타낼 때, ST/DT 판정부(20)는 그대로 최종 결과를 무음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원단 측 판정 정부 추출부(12)가 원단 측 판정 정보를 추출할 수 없을 경우, 근단 측 판정 정보가 그대로 최종 결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ST/DT 판정부(20)는 최종 결과를 판정하고, 이 최종 결과 에 기초하여 신호가 에코 서프레서(17)에 의해 감쇄되어야 하는지 여부와, 감쇄가 적용된다면, 감쇄의 레벨을 판정한다. 최종 결과가 원단 측 싱글 토크 또는 무음 중 어느 한쪽일 때, ST/DT 판정부(20)가 에코 서프레서(17)로 하여금 신호를 감쇄하게 하고, 반면에 최종 결과가 근단 측 싱글 토크 또는 더블 토크 중 어느 한쪽일 때, ST/DT 판정부(20)는 에코 서프레서(17)로 하여금 신호를 감쇄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더블 토크인 경우에도, ST/DT 판정부(20)는 에코 서프레서(17)가 신호를 감쇄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감쇄 레벨은 원단 측 싱글 토크 또는 무음의 경우보다 작게 설정된다. 더블 토크인 경우에 신호가 아무리 적더라도 감소될 경우, 에코가 생성될 위험성이 줄어들 수 있다.
이 실시예에는, ST/DT 판정부는 이런 최종 결과에 기초하여 신호가 에코 서프레서에 의해 감쇄되어야 하는지 여부와, 감쇄가 적용된다면, 감쇄의 레벨을 판정하는 예가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런 예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8)가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원단 측 싱글 토크 외의 토킹 상태들에서, 적응 필터(16)의 필터 계수의 갱신이 중지될 수 있거나, 갱신이 느려질 수 있다.
다음에, 도 3은 ST/DT 판정부(2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ST/DT 판정부(20)는 취음 신호가 소정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1)). 취음 신호가 소정 레벨 미만이면, ST/DT 판정부(20)는 근단 측 판정 정보를 무음으로 판정한다(단계(S12)). 취음 신호가 소정 레벨을 초과하면, ST/DT 판정부(20)는 방음 신호가 소정 레벨(이 레벨은 취음 신호의 레벨과 동등하게 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음)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3)). 방음 신호가 소정 레벨 미만이면, ST/DT 판정부(20)는 근단 측 판정 정보를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단계(S17)). 방음 신호가 소정 레벨 이상이면, ST/DT 판정부(20)는 취음 신호와 의사 회귀 음성 신호 간의 상관 계수를 계산한다(단계(S14)). 이 상관 계수가 제1 임계치 미만이면, ST/DT 판정부(20)는 근단 측 판정 정보를 근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단계(S14)->단계(S17)). 이 상관 계수가 제1 임계치보다 크지만 제2 임계치보다 작으면, ST/DT 판정부(20)는 근단 측 판정 정보를 더블 토크로 판정한다(단계(S14)->단계(S15)). 이 상관 계수가 제2 임계치 이상이면, ST/DT 판정부(20)는 근단 측 판정 정보를 원단 측 싱글 토크로 판정한다(단계(S14)->단계(S16)).
ST/DT 판정부(20)가 전술된 바와 같이, 근단 측 판정 정보를 도출하고, 이런 정보를 판정 정보 부가부(19)에 출력한다(단계(S18)). 그런 다음 ST/DT 판정부(20)는 원단 측 판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9)). 원단 측 판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ST/DT 판정부(20)는 그대로 근단 측 판정 정보를 최종 결과로 판정한다(단계(S20)). 원단 측 판정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ST/DT 판정부(20)는 도 2에 도시된 판정 테이블과, 과거의 판정 결과를 판독하고, 그런 다음 금회 최종 결과를 그 값들에 기초하여 판정한다(단계(S21)). 최종적으로, ST/DT 판정부(20)는 최종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신호가 에코 서프레서(17)에 의해 감쇄되어야 하는지 여부와, 감쇄가 적용된다면, 감쇄의 레벨을 판정한다(단계(S22)).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크 세션 시스템은 그 자신의 장치에 의해 행해진 판정 결과와, 원단 측으로부터 수신된 원단 측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결과를 판정하므로, 원단 측 싱글 토크, 근단 측 싱글 토크, 더블 토크, 및 무음을 감지함에 있어서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원단 측 싱글 토크를 더블 토크로 오인할 가능성이 근단 측 싱글 토크를 원단 측 판정 정보로서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억제될 수는 있지만, 원단 측 싱글 토크에서, 방음 신호의 레벨이 높고 취음 신호가 어느 정도까지 레벨을 갖기 때문에, 원단 측 싱글 토크가 더블 토크로서 오인될 가능성은 크다. 근단 측 싱글 토크는 더블 토크로서 거의 오인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취음 신호만이 고 레벨이므로, 감지하는 정확도가 원단 측으로부터의 이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크게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예시 및 기술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교시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런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정신, 범위, 및 창작 내에 있음이 분명하다.
도 1은 토크 세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판정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ST/DT 판정부(2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입출력 I/F
12 : 원단 판정 정보 추출부
16 : 적응 필터
17 : 에코 서프레서
18 : 신호 처리부
19 : 판정 정보 부가부
20 : ST/DT 판정부

Claims (5)

  1. 토크 판정 시스템으로서,
    원단 측의 토킹 상태를 나타내는 원단 측 판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원단 측으로부터의 방음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내로 입력되는 상기 방음 신호를 방출시키는 스피커;
    근단 측에서 음성을 채취하고, 취음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취음 신호와, 상기 스피커 내로 입력되는 상기 방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사전에 판정하고, 상기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나타내는 근단 측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판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원단 측 판정 정보와 상기 근단 측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토크 판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근단 측의 판정된 토킹 상태를 보유하고, 상기 근단 측의 금회 토킹 상태를, 상기 원단 측 판정 정보와, 상기 근단 측 판정 정보와, 과거에 판정되어 보유된 상기 근단 측의 토킹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토크 판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근단 측 판정 정보를 상기 원단 측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토크 판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돌아 들어가는 회귀 음성 신호의 의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적응 필터와,
    상기 취음 신호에서 상기 의사 신호를 제하기 위한 후 처리기
    를 포함하는 적응 에코 소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의사 신호, 상기 취음 신호, 및 상기 방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근단 측의 토킹 상태를 사전에 판정하는 토크 판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측에 출력될 음성 신호를 감쇄하는 에코 서프레서(echo suppress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근단 측의 판정된 토킹 상태에 기초하여 감쇄가 상기 에코 서프레서에 의해 행해져야 하는지 여부와, 감쇄의 레벨을 판정하는 토크 판정 시스템.
KR1020070088366A 2006-08-31 2007-08-31 토크 판정 시스템 KR100918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35746 2006-08-31
JP2006235746A JP4678349B2 (ja) 2006-08-31 2006-08-31 通話判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554A true KR20080021554A (ko) 2008-03-07
KR100918331B1 KR100918331B1 (ko) 2009-09-22

Family

ID=3874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366A KR100918331B1 (ko) 2006-08-31 2007-08-31 토크 판정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67951B2 (ko)
EP (1) EP1895752B1 (ko)
JP (1) JP4678349B2 (ko)
KR (1) KR100918331B1 (ko)
CN (1) CN101136973B (ko)
AT (1) ATE457596T1 (ko)
DE (1) DE602007004694D1 (ko)
TW (1) TWI36989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621A (ko) * 2013-11-08 2015-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회의 시스템에서의 음향 반향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2377900B1 (ko) * 2020-12-02 2022-03-23 주식회사 텔레칩스 더블 토크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8349B2 (ja) * 2006-08-31 2011-04-27 ヤマハ株式会社 通話判定装置
JP6069830B2 (ja) 2011-12-08 2017-02-01 ソニー株式会社 耳孔装着型収音装置、信号処理装置、収音方法
US9288578B2 (en) * 2012-10-23 2016-03-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acoustic echo, and method for updating adaptive filter coefficient by the apparatus
KR20170032603A (ko) 2015-09-15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의 반향 신호 제거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0771631B2 (en) 2016-08-03 2020-09-0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tate-based endpoint conference interaction
JP6315046B2 (ja) * 2016-09-14 2018-04-25 ソニー株式会社 耳孔装着型収音装置、信号処理装置、収音方法
CN108055417B (zh) * 2017-12-26 2020-09-29 杭州叙简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检测回音抑制切换音频处理系统及方法
CN111654585B (zh) * 2020-03-26 2021-08-03 紫光展锐(重庆)科技有限公司 回声声场状态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433B2 (ja) * 1990-01-24 1996-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ダブルト―ク検出回路
DE4119963A1 (de) * 1991-06-18 1992-12-24 Philips Patentverwaltung Echokompensator
GB2271247B (en) * 1992-10-05 1997-02-19 Motorola Israel Ltd A radio telephone for a vehicle
JPH06350486A (ja) * 1993-06-04 1994-12-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音響通信方式
JP3218150B2 (ja) 1994-07-15 2001-10-15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非着色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
EP0847180A1 (en) * 1996-11-27 1998-06-10 Nokia Mobile Phones Ltd. Double talk detector
US5920834A (en) * 1997-01-31 1999-07-06 Qualcomm Incorporated Echo canceller with talk state determination to control speech processor functional elements in a digital telephone system
EP1569357A1 (en) 1997-09-16 2005-08-31 Sanyo Electric Co., Ltd. Voice switch
JP3370594B2 (ja) * 1998-02-17 2003-01-27 シャープ株式会社 エコーキャンセラのフィルタ係数更新制御装置
US6968064B1 (en) * 2000-09-29 2005-11-22 Forgent Networks, Inc. Adaptive thresholds in acoustic echo canceller for use during double talk
US6838157B2 (en) * 2002-09-23 2005-01-04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rumenting a gas turbine component having a barrier coating
US7099458B2 (en) * 2003-12-12 2006-08-29 Motorola, Inc. Downlink activity and double talk probability detector and method for an echo canceler circuit
US7577248B2 (en) * 2004-06-25 2009-08-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cho cancellation, digit filter adaptation, automatic gain control and echo suppression utilizing block least mean squares
US20060018460A1 (en) * 2004-06-25 2006-01-26 Mccree Alan V Acoustic echo devices and methods
JP4678349B2 (ja) * 2006-08-31 2011-04-27 ヤマハ株式会社 通話判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621A (ko) * 2013-11-08 2015-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회의 시스템에서의 음향 반향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2377900B1 (ko) * 2020-12-02 2022-03-23 주식회사 텔레칩스 더블 토크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78349B2 (ja) 2011-04-27
KR100918331B1 (ko) 2009-09-22
DE602007004694D1 (de) 2010-03-25
TWI369890B (en) 2012-08-01
US20080056483A1 (en) 2008-03-06
TW200820730A (en) 2008-05-01
CN101136973B (zh) 2012-01-25
EP1895752B1 (en) 2010-02-10
JP2008060938A (ja) 2008-03-13
CN101136973A (zh) 2008-03-05
ATE457596T1 (de) 2010-02-15
US8767951B2 (en) 2014-07-01
EP1895752A1 (en)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331B1 (ko) 토크 판정 시스템
CN106713570B (zh) 一种回声消除方法和装置
JP4257113B2 (ja) 音響エコーの相殺および抑制を実行する利得制御方法
JP5125690B2 (ja) 音響エコー除去装置
KR20080072056A (ko) 핸즈-프리 통신 시스템에서 더블 토크 검출을 위한 방법 및장치
JP3693588B2 (ja) エコー抑制システム
US8064966B2 (en) Method of detecting a double talk situation for a “hands-free” telephone device
JPH08293820A (ja) 音響エコー抑制回路
JP3211884B2 (ja) 音響エコーキャンセラ
US8126160B2 (en) Use of non-audible band to relay information for echo cancellation in a distributed media system
JP2003051879A (ja) 通話装置
KR102141037B1 (ko) 핸즈프리 시스템을 위한 에코 제거 장치 및 방법
JP3220979B2 (ja) 音声スイッチ
JP4735419B2 (ja) 音声通話装置
JP3941581B2 (ja) 拡声通話装置
JP5125931B2 (ja) 音声通信装置及び音声通信プログラム
JPH0766756A (ja) 音響エコーキャンセラ
EP2430770B1 (en) Noise suppression in a full-duplex audio communication terminal
JP2843782B2 (ja) 拡声通話装置
JP3321411B2 (ja) エコー除去装置
JP3404236B2 (ja) 拡声通話装置
JPH11340880A (ja) エコー除去装置
JP2024008271A (ja) エコー抑圧装置、エコー抑圧方法及びエコー抑圧プログラム
JP5297396B2 (ja) 拡声通話装置
CN113921029A (zh) 一种应用于回声消除的双端发声检测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