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145A -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145A
KR20080020145A KR1020060083185A KR20060083185A KR20080020145A KR 20080020145 A KR20080020145 A KR 20080020145A KR 1020060083185 A KR1020060083185 A KR 1020060083185A KR 20060083185 A KR20060083185 A KR 20060083185A KR 20080020145 A KR20080020145 A KR 20080020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ipe
tunnel
pump car
tunnel 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이상종
정상권
최민호
이미정
Original Assignee
최민호
이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호, 이미정 filed Critical 최민호
Priority to KR102006008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0145A/ko
Publication of KR2008002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mixed concrete, e.g. having rotatable 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및 타설 공법에 관한 것으로, 터널 내부에 자주식 펌프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펌프카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터널 거푸집의 중앙 천정부 또는 벽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터널 라이닝에 있어서, 콘크리트 분배 장치는 상기 펌프카의 상부에 콘크리트의 이송을 위해 설치되는 Y자형 관과, 상기 Y자형 관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서로 대칭되는 상태로 터널 거푸집의 좌우 벽체부에 형성된 투입구에 각각 설치되는 콘크리트 주입배관 및, 상기 Y자형 관의 상부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터널 거푸집의 중앙 천정부에 형성된 투입구에 삽입고정되는 콘크리트 토출배관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분배유닛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터널 라이닝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을 천정 및 벽체의 여러 곳에서 가능하게 하여 터널 라이닝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의 압송거리를 단축함으로써 장비의 부하를 해소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재료를 절감하고 균일한 콘크리트의 분배를 통해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터널 라이닝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작업성 향상 및 터널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터널, 라이닝, 펌프카, 콘크리트, 분배 장치

Description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THE PUMP-CAR'S CONCRETE DISTREBUTER FOR TUNNEL LINING AND THIS USING A METHOD}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을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분배 장치의 배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분배 장치의 터널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분배 장치에 설치된 유압식 차단기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을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에 의해 터널 벽체를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에 의해 터널 천정을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펌프카 2 : 터널 거푸집
2a : 투입구 10 : Y자형 관
20 : 콘크리트 주입배관 21 : 주입구
22 : 강관 파이프 23 : 엘보
24 : 도킹호스 30 : 콘크리트 토출배관
31 : 토출구 32 : 강관 파이프
40 : 인입배관 41 : 인입구
42 : 강관 파이프 43 : 엘보
50 : 분배기 60 : 분배배관
61 : 강관 파이프 62 : 엘보
70 : 차단기 80 : 차단마개
90 : 유압식 차단기
본 발명은 터널 라이닝을 하기 위한 콘크리트 분배 장치 및 콘크리트 타설 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선된 콘크리트 분배 장치를 이용하여 터널 라이닝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함과 아울러 터널 라이닝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을 천정 및 벽체의 여러 곳에서 가능하게 하여 터널 라이닝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터널 굴착, 보강, 터널 라이닝의 순서로 공정을 진행하게 되는 바, 상기한 터널 라이닝은 현장에서 콘크리트 펌프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속철도, 지하철, 도로터널, 수로터널, 전력구, 광산 등의 수많은 지하공간 개발시 마감을 라이닝 콘크리트 구조체로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및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을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터널 내부에 자주식 펌프카(1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펌프카(100)와 연결된 배관(200)을 통해 터널 거푸집(300)의 중앙 천정부 또는 벽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함으로써 터널 라이징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터널 라이닝 작업은 상기 펌프카(100)의 뒤쪽에서 터널 거푸집(300) 중앙 천정부까지 배관(200) 길이가 길게 배치됨으로써 펌프를 통한 콘크리 트의 압송 거리가 멀어지고, 상기 배관(200)에 남은 재료는 낭비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배관(200) 속에 잔재물로 남은 콘크리트 재료는 폐기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비용이 별도로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의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 공법은 터널 거푸집(300)의 중앙 천정부에 형성된 투입구(301)를 통해 콘크리트를 투입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자연낙하(약 8m)에 따라 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 콘크리트 재료의 분리로 인한 균일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품질 확보가 어렵고, 콘크리트 구조체에 크랙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안정성 확보 문제 및 표면에 콘크리트가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발생한 물결무늬 및 형상들이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이 매우 흉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터널 라이닝 중앙 천정부에서 흘러내리는 콘크리트 량이 좌,우 대칭을 이루지 못해 시공시 힘의 불균형으로 구조체의 안정성 확보에 문제가 생긴다.
즉, 종래의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은 중앙 천정부와 벽체에서 각각 시공되는 데, 라이닝 중앙 천정부 타설시 1-2개의 투입구(301)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부어 넣는 높이가 높아 골재분리의 원인이 되고, 천정부에서 콘크리트가 흘러내리기 때문에 라이닝 탈형후 콘크리트 표면에 상당량의 얼룩이 발생하게 되며, 과도한 기포발생으로 인하여 매끈한 콘크리트의 마감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벽체 하부 부분타설(라이닝 좌,우에 투입구 1개소가 형성된 경우)시 한곳에 집중적으로 콘크리트를 연속되게 부어 1seg(약 7-9m)를 횡으로 콘크리트를 밀어 치게됨으로써 과도한 바이브레이팅으로 인한 골재분리가 많이 발생되고, 콘크 리트를 횡으로 밀어치기 때문에 원거리쪽은 몰탈만 이동하게 되어 콘크리트의 크랙 발생 등 내구성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타설 공법은 콘크리트의 균일한 수평치기가 곤란하고, 이로 인한 불규칙한 시공이음이 발생되며, 한 곳에 집중적인 콘크리트의 이어붓기는 콘크리트 하중(측압)의 일방적인 발생으로 인하여 터널 거푸집(300)의 변형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터널 라이닝 시공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터널 라이닝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을 천정 및 벽체의 여러 곳에서 가능하게 하여 터널 라이닝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의 압송거리를 단축함으로써 장비의 부하를 해소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재료를 절감하고 균일한 콘크리트의 분배를 통해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널 내부에 자주식 펌프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펌프카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터널 거푸집의 중앙 천정부 또는 벽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도록 된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카의 상부에 콘크리트의 이송을 위해 설치되는 Y자형 관과, 상기 Y자형 관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서로 대칭되는 상태로 터널 거푸집의 좌우 벽체부에 형성된 투입구에 각각 설치되는 콘크리트 주입배관 및, 상기 Y자형 관의 상부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터널 거푸집의 중앙 천정부에 형성된 투입구에 삽입고정되는 콘크리트 토출배관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분배유닛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분배유닛은 상기 펌프카와 연결된 콘크리트 인입배관을 통해 설치되는 분배기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게 쌍을 이루면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분배유닛은 상기 터널 거푸집의 중앙 천정부에 형성된 2개의 투입구와 상기 좌우측 벽체부에 형성된 4개의 투입구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2개의 콘크리트 토출배관 선단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4개의 콘크리트 주입배관 선단에 주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Y자형 관은 상기 분배기와 연결된 분배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주입배관은 다수의 강관 파이프와 이를 연결하는 엘보 및 강관 파이프에 연결되어 좌우측 벽체부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고압의 도킹호스 및 이 도킹호스의 선단에 설치된 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토출배관은 상기 Y자형 관의 상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강관 파이프와 이 강관 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된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입배관은 상기 펌프카의 상부에 고정되는 인입구와 상기 분배기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강관 파이프 및 엘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배배관은 상기 분배기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강관 파이프와 이 강관 파이프를 상기 Y자형 관의 하부에 연결시키는 엘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와 주입구는 그 내측에 콘크리트의 공급을 제어하는 차단기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Y자형 관은 그 상부에 차단마개가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토출배관으로의 콘크리트 전달을 막아준다.
또한, 상기 분배기는 그 좌우측에 각각 유압식 차단기가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분배유닛 중 어느 한쪽의 콘크리트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터널 내부에 자주식 펌프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펌프카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터널 거푸집의 중앙 천정부 또는 벽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도록 하는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에 있어서, 상기 터널 거푸집의 좌우 벽체부에 균등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부의 아래에서 위로 밀어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터널 거푸집의 좌우 벽체부 4개소에서 동시에 콘크리트 주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터널 거푸집의 중앙 천정부와 좌우 벽체부에 콘크리트의 동시 타설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터널 라이닝 작업을 위하여 터널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를 도 3과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는 터널 내부에 자주식 펌프카(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펌프카(1)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 또는 벽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펌프카(1)의 상부에 콘크리트의 이송을 위한 Y자형 관(10)이 설치되고, 상기 Y자형 관(10)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서로 대칭되는 상태로 터널 거푸집(2)의 좌우 벽체부에 형성된 투입구(2a)에 콘크리트 주입배관(20)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Y자형 관(10)의 상부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에 형성된 투입구(2a)에 콘크리트 토출배관(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Y자형 관(10)과 한 쌍의 콘크리트 주입배관(20) 및 콘크리트 토출배관(30)이 하나의 콘크리트 분배유닛을 구성하며, 상기 콘크리트 분배유닛은 상기 펌프카(1)와 연결된 콘크리트 인입배관(40)을 통해 설치되는 분배기(50)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게 쌍을 이루면서 배치된다.
즉,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는 상기 분배기(50)를 중심으로 2개의 콘크리트 분배유닛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분배유닛은 상기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에 형성된 2개의 투입구(2a)와 상기 좌우측 벽체부에 형성된 4개의 투입구(2a)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2개의 콘크리트 토출배관(30) 선단에 토출구(31)가 형성되고, 4개의 콘크리트 주입배관(20) 선단에 주입구(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Y자형 관(10)은 상기 분배기(50)와 연결된 분배배관(6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는 펌프카(1)의 상부에 설치된 2개의 콘크리트 분배유닛을 통해 콘크리트를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 또는 벽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를 이용하여 라이닝 콘크리트는 상기 Y자형 관(10)을 통하여 좌,우 균등하게 타설될 수 있고, 아래에서 위로(약 3m까지) 밀어치는 터널 라이닝 시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분배유닛이 상기 펌프카(1)의 상부에 연결되어 콘크리트의 압송거리를 절감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펌프카(1)의 매연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가 펌프카(1)의 상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압송거리를 기존에 비해 1/5로 단축하여 배관속에 잔재물로 남아 버려질 수 밖에 없는 자재 및 폐기물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의 콘크리트 주입배관(20)은 다수의 강관 파이프(22)가 설치되고, 상기 강관 파이프(22)를 연결하는 엘보(23)가 설치되며, 상기 강관 파이프(22)에 연결되어 좌우측 벽체부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고압의 도킹호스(24)가 설치되고, 상기 도킹호스(24)의 선단에는 상기 투입구(2a)에 삽입되는 주입구(2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의 콘크리트 토출배관(30)은 상기 Y자형 관(10)의 상부에 다수의 강관 파이프(32)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강관 파이프(32)의 선단에는 상기 투입구(2a)에 삽입되는 토출구(31)가 설치된다.
즉, 상기 펌프카(1)에서 공급되는 콘크리트는 상기 콘크리트 주입배관(20)을 통해 터널 거푸집(2)의 좌우측 벽체부에 각각 투입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Y자형 관(10)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콘크리트 토출배관(30)을 통해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에 형성된 투입구(2a)에 콘크리트가 투입됨으로써 터널 라이닝 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의 인입배관(40)은 상기 펌프카(1)의 상부에 고정되는 인입구(41)가 구비되고, 상기 인입구(41)와 연결되면서 상기 분배기(50)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강관 파이프(42) 및 엘보(43)가 각각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의 분배배관(60)은 상기 분배기(50)의 좌우측에 다수의 강관 파이프(61)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강관 파이프(61)를 상기 Y자형 관(10)의 하부에 연결시키는 엘보(62)가 설치된다.
즉, 상기 펌프카(1)에서 공급되는 콘크리트는 상기 인입배관(40)을 통해 상기 분배기(50)로 공급되고, 상기 분배기(50)에 공급된 콘크리트는 상기 분배배관(60)을 통해 상기 Y자형 관(10)으로 전달됨으로써 Y자형 관(10)과 연결된 상기 콘크리트 주입배관(20) 및 콘크리트 토출배관(30)을 통해 터널 거푸집(2)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콘크리트 토출배관(30)의 토출구(31)와 상기 콘크리트 주입배관(20)의 주입구(21)는 그 내측에 콘크리트의 공급을 제어하는 차단기(7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Y자형 관(10)은 그 상부에 차단마개(80)가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토출배관(30)으로의 콘크리트 전달을 막아준다.
즉, 상기 차단기(70)와 차단마개(80)는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의 작동시 필요에 따라 각 배관의 콘크리트 전달을 임의로 차단함으로써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특히 장비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토출배관(30)의 경우 2개가 동시에 작동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어느 한쪽은 상기 차단마개(80)로 막아 한쪽의 콘크리트 토출배관(30)만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의 분배기(50) 좌우측에 각각 유압식 차단기(90)가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분배유닛 중 어느 한쪽의 콘크리트 공급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상기 콘크리트 분배유닛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나거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한쪽의 콘크리트 분배유닛은 상기 유압식 차단기(90)를 통해 그 동작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쪽의 콘크리트 분배유닛을 가동하여 터널 라이닝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펌프카(1)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하면, 터널 내부에 자주식 펌프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펌프카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 또는 벽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널 거푸집의 좌우 벽체부에 균등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부의 아래에서 위로 밀어치도록 하는 공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터널 거푸집(2)의 좌우 벽체부 4개소에서 동시에 콘크리트 주 입이 가능하며, 상기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와 좌우 벽체부에 콘크리트의 동시 타설이 가능하도록 시공한다.
그러므로, 상기의 공법에 의해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에 형성된 2개의 투입구(2a)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타설하게 되고, 상기 콘크리트 분배 장치의 주배관은 지름 125mm의 강관 파이프를 사용하고 상기 분배기에 연결되는 강관 파이프는 지름 100mm의 강관 파이프를 사용하여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상기 공법에 의해 라이닝 벽체 하부에서 상부로의 타설은 콘크리트 표면의 얼룩무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종래에는 횡으로 밀어치는 범위가 넓지만 본 발명의 타설 공법은 콘크리트 분산 이어붓기는 적정한 바이브레이팅을 유도하여 골재분리를 없애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은 종래의 공법에 비하여 콘크리트의 균등한 수평분배가 용이하며 작업능률의 향상을 가져오고, 종래의 공법은 한 곳에 집중하중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시 하중(측압)의 균등한 분산으로 터널 거푸집(2)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작업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콘크리트 타설시 종래에는 편중된 천정부의 투입구(2a)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천정부의 투입구(2a)와 벽체부의 투입구(2a)를 동시에 사용하여 작업효율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고, 1차 콘크리트 타설높이는 4-5m로 종래에 비하여 약 2m 정도 높아 천정(2차) 타설시 낙차고를 현저히 줄여 골재분리 현상을 없애고 원거리쪽 몰탈쏠림 현상을 줄여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Y자형 관 사용시 인입구와 토출구의 직경이 동일하여 관내의 압송압이 낮아져 작업능률의 저하와 시공시 기포발생의 원인이 되었지만 본 발명의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은 상기 Y자형 관을 이용 인입구와 토출구의 관경을 달리하여 배관내의 압송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종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에 의하면, 터널 라이닝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을 천정 및 벽체의 여러 곳에서 가능하게 하여 터널 라이닝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의 압송거리를 단축함으로써 장비의 부하를 해소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재료를 절감하고, 균일한 콘크리트의 분배를 통해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터널 라이닝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작업성 향상 및 터널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4)

  1. 터널 내부에 자주식 펌프카(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펌프카(1)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 또는 벽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도록 된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카(1)의 상부에 콘크리트의 이송을 위해 설치되는 Y자형 관(10)과, 상기 Y자형 관(10)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서로 대칭되는 상태로 터널 거푸집(2)의 좌우 벽체부에 형성된 투입구(2a)에 각각 설치되는 콘크리트 주입배관(20) 및, 상기 Y자형 관(10)의 상부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에 형성된 투입구(2a)에 삽입고정되는 콘크리트 토출배관(30)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분배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분배유닛은, 상기 펌프카(1)와 연결된 콘크리트 인입배관(40)을 통해 설치되는 분배기(50)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게 쌍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분배유닛은, 상기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에 형성된 2 개의 투입구(2a)와 상기 좌우측 벽체부에 형성된 4개의 투입구(2a)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2개의 콘크리트 토출배관(30) 선단에 토출구(31)가 형성되고, 4개의 콘크리트 주입배관(20) 선단에 주입구(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Y자형 관(10)은, 상기 분배기(50)와 연결된 분배배관(60)을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주입배관(20)은, 다수의 강관 파이프(22)와 이를 연결하는 엘보(23) 및 강관 파이프(22)에 연결되어 좌우측 벽체부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고압의 도킹호스(24) 및 이 도킹호스(24)의 선단에 설치된 주입구(2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토출배관(30)은, 상기 Y자형 관(10)의 상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강관 파이프(32)와 이 강관 파이프(32)의 선단에 설치된 토출구(3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배관(40)은, 상기 펌프카(1)의 상부에 고정되는 인입구(41)와 상기 분배기(50)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강관 파이프(42) 및 엘보(4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배관(60)은, 상기 분배기(5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강관 파이프(61)와 이 강관 파이프(61)를 상기 Y자형 관(10)의 하부에 연결시키는 엘보(6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31)와 주입구(21)는, 그 내측에 콘크리트의 공급을 제어하는 차단기(7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Y자형 관(10)은, 그 상부에 차단마개(80)가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토출배관(30)으로의 콘크리트 전달을 막아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50)는, 그 좌우측에 각각 유압식 차단기(90)가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분배유닛 중 어느 한쪽의 콘크리트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12. 터널 내부에 자주식 펌프카(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펌프카(1)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 또는 벽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도록 하는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에 있어서,
    상기 터널 거푸집(2)의 좌우 벽체부에 균등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부의 아래에서 위로 밀어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거푸집(2)의 좌우 벽체부 4개소에서 동시에 콘크리트 주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거푸집(2)의 중앙 천정부와 좌우 벽체부에 콘크리트의 동시 타설 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타설 공법.
KR1020060083185A 2006-08-30 2006-08-30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KR20080020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185A KR20080020145A (ko) 2006-08-30 2006-08-30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185A KR20080020145A (ko) 2006-08-30 2006-08-30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368U Division KR200431061Y1 (ko) 2006-08-30 2006-08-30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145A true KR20080020145A (ko) 2008-03-05

Family

ID=3939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185A KR20080020145A (ko) 2006-08-30 2006-08-30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01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9013A (zh) * 2012-08-02 2012-12-05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混凝土分配管、混凝土布料系统及混凝土输送设备
CN108019227A (zh) * 2017-12-29 2018-05-11 嘉兴骏升机械有限公司 一种隧道衬砌台车混凝土浇注及清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9013A (zh) * 2012-08-02 2012-12-05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混凝土分配管、混凝土布料系统及混凝土输送设备
CN108019227A (zh) * 2017-12-29 2018-05-11 嘉兴骏升机械有限公司 一种隧道衬砌台车混凝土浇注及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81939B (zh) 内有交叉孔的预制钢筋砼空心模板及其立模成型设备
CN101718202A (zh) 一种混凝土湿喷设备
CN110656959B (zh) 一种大断面黄土隧道初期支护侵限换拱施工方法
CN104818996A (zh) 仰拱预制单体、仰拱及仰拱预制单体的制备方法
CN106150523A (zh) 一种高速铁路隧道水沟电缆槽整体模板施工工法
CN107524461A (zh) 一种提高隧道二次衬砌环向止水带防水效果的装置及方法
KR1009499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부 보수보강을 위한 양방향 이동식 작업대를 가진 에폭시 주입장치
KR20080020145A (ko)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 장치
CN108692129B (zh) 一种管道修复用填充注浆的方法
KR200431061Y1 (ko)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장치
CN105625201A (zh) 一种采用充气内模和自密实混凝土加固涵洞的方法
CN106868958B (zh) 自密实混凝土施工系统及其施工方法
CN112681334A (zh) 一种深基坑侧墙混凝土浇筑施工结构及方法
CN209353381U (zh) 一种后注浆止水钢板结构
JP2008240425A (ja) 止水工法
CN104963702A (zh) 一种隧道施工衬砌量确定装置及其施工方法
CN110566231A (zh) 一种台车分料系统
CN104989427A (zh) 一种隧道施工衬砌量确定装置及其施工方法
CN109538290A (zh) 一种浆体压浸式充填工艺
CN104963701A (zh) 一种隧道施工衬砌量确定装置及其施工方法
CN209891745U (zh) 一种地下室工程大体积混凝土施工中的裂缝控制构造
CN211646467U (zh) 一种横穿构筑物下方的横穿管线固定装置
TW201433681A (zh) 劣質混凝土處理方法及其使用的定向噴水裝置
CN104912209B (zh) 现浇板管道预留洞封堵装置及加工与封堵施工方法
CN108798711B (zh) 混凝土分层浇注管路装置、衬砌台车及浇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824

Effective date: 2008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