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844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844A
KR20080019844A KR1020060082280A KR20060082280A KR20080019844A KR 20080019844 A KR20080019844 A KR 20080019844A KR 1020060082280 A KR1020060082280 A KR 1020060082280A KR 20060082280 A KR20060082280 A KR 20060082280A KR 20080019844 A KR20080019844 A KR 20080019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iquid crystal
panel
mol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3486B1 (ko
Inventor
박상준
이익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486B1/ko
Priority to US11/846,227 priority patent/US7760285B2/en
Publication of KR2008001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밴딩된 인쇄회로기판을 몰드 프레임에 밀착시켜 액정 패널이 패널 부착 시트로부터 분리되어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측면에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액정 패널 방향으로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 상기 도광판 및 광학 시트의 외곽을 감싸는 몰드 프레임; 상기 몰드 프레임의 일측이 개방되어 인쇄회로기판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 배출구;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을 부착하는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 장치에서 인쇄회로기판이 밴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몰드 프레임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몰드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백라이트 유닛 110 : 광원
120 : 도광판 130 : 광학 시트
140 : 몰드 프레임 150 : 패널 부착 시트
160 :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
170 : 반사 시트 180 : 바텀 샤시
142 : 인쇄회로기판 배출구 144 : 패널 수납턱
146 : 패널 걸림턱 200 : 액정 패널
210 :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220 : 칼라필터 기판
230 : 하부 편광판 240 : 상부 편광판
300 : 인쇄회로기판 310 : 구동회로부
400 : 윈도우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밴딩된 인쇄회로기판을 몰드 프레임에 밀착시켜 액정 패널이 패널 부착 시트로부터 분리되어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가 정보화 사회로 전환됨에 따라 정보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CRT(cathode ray tube)는 성능이나 가격의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지만 소형화 또는 휴대성 측면에서 많은 단점이 있다. 반면에 액정 표시 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CRT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급속하게 CRT를 대체하고 있다.
최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경박단소화의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예컨대, 백라이트 유닛, 액정 패널 및 인쇄 회로 기판(PCB)의 구조 및 그들의 결합구조 등에 관한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크게 화상 신호가 인가되어 화면을 나타내기 위한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 및 샷시 그리고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부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몰드 프레임 및 샷시에 수납된 상태로 구비되며, 그 상부에 액정 패널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은 패널 부착 시트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되고 몰드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몰드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된 인쇄회로기판은 접혀서 백라이트 유닛 배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이 몰드 프레임을 감싸면서 접힌 구조에서, 인쇄회로기판이 가지고 있는 탄성력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일부가 몰드 프레임과 밀착되지 않고 이격된다. 그러면 이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어 있는 액정 패널의 일측도 함께 이격되어 액정 패널이 몰드 프레임으로부터 들뜨는 불량이 발생한다. 이렇게 액정 패널의 일측이 들뜨는 문제는 패널의 액티브 영역에서 유리 기판 끝까지의 거리가 짧은 모델에서 더욱 심각하게 대두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쇄회로기판을 몰드 프레임에 밀착시켜 액정 패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측면에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액정 패널 방향으로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 상기 도광판 및 광학 시트의 외곽을 감싸는 몰드 프레임; 상기 몰드 프레임의 일측이 개방되어 인쇄회로기판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 배출구;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을 부착하는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몰드 프레임의 내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액정 패널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패널 수납턱; 상기 패널 수납턱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패널을 몰드 프레임에 부착하는 패널 부착 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는 상기 패널 부착 시트와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구조가 단순하고 작업 공정이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의 내측부에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칩 등의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개의 부품 실장공이 상기 몰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품 실장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 부착 시트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패널 부착 시트와 인 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를 몰드 프레임에 한번의 동작으로 부착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는, 상기 패널 수납턱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패널 수납턱에 수납되는 액정 패널이 몰드 프레임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는 외측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인쇄회로기판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인쇄회로기판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 도광판 및 광학 시트를 수납하는 바텀 샤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부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측면에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액정 패널 방향으로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 상기 도광판 및 광학 시트의 외곽을 감싸는 몰드 프레임; 상기 몰드 프레임의 일측이 개방되어 인쇄회로기판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 배출구;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을 부착하는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 장치에는, 상기 액정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액정 패널을 보호하는 윈도우가 더 구비되는 것이, 액정 패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다음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 장치에서 인쇄회로기판이 밴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00), 액정 패널(200) 및 인쇄회로기판(300)을 구비한다.
먼저 백라이트 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 패널(200)에 광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백라이트 유닛(100)은, 광원(110), 도광판(120), 광학 시트(130), 몰드 프레임(140),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 패널 부착 시트(150) 및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160)로 구성된다.
먼저 광원(110)은 광을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며, 냉음극형 형광램프 또는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120)은 상기 광원(11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11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액정 패 널(200) 방향으로 안내한다. 이 도광판(120)은 주로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광학 시트(130)는 도광판(120)에서 출광되는 광을 확산시키고 집광시켜 휘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성 시트이다. 이 광학 시트(130)는 일반적으로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 휘도향상 시트 들 중 액정표시 장치의 특성에 맞게 2장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확산시트는 상기 도광판에서 출광된 광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프리즘 시트는 상기 확산 시트에서 나오는 광을 굴절, 집광시켜 휘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호 시트는 스크래치(scratch) 발생이 쉽고 모아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프리즘 시트를 보호해주며 광을 확산시켜 프리즘 시트에 의해 좁아진 시야각을 넓혀준다. 마지막으로 휘도향상 시트는 휘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도광판(120)의 배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시트(17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반사시트는 상기 도광판으로 입사된 광 중에서 상기 액정 패널의 반대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다시 도광판 방향으로 입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반사 시트에 의하여 광 이용효율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몰드 프레임(140)은 상기 광원(110)의 배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도광판(120) 및 광학 시트(130)의 측부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몰드 프레임(14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틀 형상을 가지며, 이 사각형 틀의 내 면 중에서 어느 한 면은 다른 면에 비하여 넓은 면적을 가진다. 그리고 이 몰드 프레임(140)에는 액정 패널(200)도 수납되므로, 액정 패널(200)의 수납위치를 제공하는 패널 수납턱도 형성된다. 이 패널 수납턱(1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내측벽에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액정 패널(200)을 몰드 프레임(140)에 장착할 때에는, 액정 패널(200)이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상측에서 진입하여 이 패널 수납턱(144)에 걸쳐짐으로써, 액정 패널(200)이 몰드 프레임(140)에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패널 수납턱(144)이 형성되는 높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120)과 광학시트(130)의 두께를 합한 정도가 된다.
이때 몰드 프레임(140)에 장착되는 액정 패널(2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액정 패널을 부착시켜 고정하는 패널 부착 시트(150)가 구비된다. 이 패널 부착 시트(150)는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수납턱(144)에 배치되며, 그 상하면에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제 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그 상면에 접촉되는 액정 패널(200)을 부착 고정시키며, 그 하면에 접촉되는 광학 시트(130)도 부착 고정시킨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패널 부착 시트(160)에 의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140)에 수용된 액정 패널(200)과 광학 시트(130)들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상부는, 그 내부에 장착되는 액정 패널(200)의 수평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칼라 필터 기판(220)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액정 패널(200)에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300)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네 면 중 한 면은 다른 면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개방되는 데 이 부분이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4)이다. 즉,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네 면 중 한 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일정 부분이 제거되어 인쇄회로기판(300)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이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의 높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수납턱(144)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의 높이가 패널 수납턱(144) 상면 높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몰드 프레임(140)에 수납된 액정 패널(200)의 위치가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4)에 의하여 한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자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프레임(140)에 장착되는 액정 패널(20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가 형성되는 면의 양 단에 상기 패널 수납턱(144) 보다 높게 패널 걸림턱(146)을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160)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에 배치되며, 그 상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300)을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에 부착 고정한다. 즉, 이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160)는, 인쇄회로기판(300)이 휘어져서 몰드 프레임(140)을 감쌀 때, 인쇄회로기판(300)을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에 부착시켜, 인쇄회로기판(300)이 몰드 프레임(14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에는 인쇄회로기판이 몰드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고, 이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어 있는 액정 패널도 함께 몰드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불량이 발생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160)가 인쇄회로기판(300)을 몰드 프레임(140)에 밀착, 고정시켜 액정 패널(200)의 이격을 방지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16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부착시트(15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패널 부착 시트(150)가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까지 연장형성되는 구조인데, 패널 부착시트와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가 일체이므로, 시트의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시트들을 몰드 프레임에 부착하는 공정도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의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160)는,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와 패널 수납턱(144)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에 적합하다.
한편 상기 몰드 프레임(140)에 부품 실장공(148)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의 내측부를 관통하여 인쇄회로기판(300)에 실장되는 부품(310)의 배치 공간을 제공하는 구멍으로 부품 실장공(148)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부품 실장공(148)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패널 부착 시트(150)와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160)가 일체로 구성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160)가 패널 부착 시트(150)와 분리되어 별도로 구비된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 실장공(148)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 부착 시트(15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160)를 연결하는 연결부(16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연결부(162)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시트 부착 공정을 한번의 동작으로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는 그 외측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지 는 경우에는 곡면으로 휘어지는 인쇄회로기판(300)과 몰드 프레임(14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더 확실하게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에는, 상기 광원(110), 도광판(120) 및 광학 시트(130)를 수납하는 바텀 샤시(18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패널(10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10)과 칼라필터 기판(220)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10) 및 칼라필터 기판(220) 각각의 외면에 부착되는 하부 편광판(230) 및 상부 편광판(240)을 구비한다.
먼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10)은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와, 투명한 도전성 재질의 화소 전극이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 각각에는 게이트 라인 및 테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는 화소 전극이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은 게이트 전극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 될 때 드레인전극으로부터의 데이타 전압을 액정에 인가한다.
칼라필터 기판(220)은 색을 구현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칼라필터와, 투명한 도전성 재질의 공통 전극이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그리고 이 공통 전극은 액정에 공통전압을 인가한다. 이 때, 액정은 공통전극으로부터의 공통 전압과 화소전극으로부터의 데이타 전압의 차이에 의하여 회전하여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 투과율을 조절한다.
한편 하부 편광판(230)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에서 특정방향으로 진 동하는 광만 통과시켜 편광시킨다. 또한 상부 편광판(240)은 액정을 통과한 광에서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만 통과시켜 편광시킨다. 그리고 하부 편광판(230)과 상부 편광판(240)은 그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 패널(200)의 일측에는 인쇄회로기판(300)이 접속된다. 이 인쇄회로기판(300)에는 액정패널의 구동을 위한 구동회로부(310)가 실장된다. 이 구동회로부(310)는 데이타 구동회로, 게이트 구동회로, 타이밍 제어부, 전원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인쇄회로기판(300)의 일단은 상기 액정 패널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10) 일부가 노출된 부분과 접속되고 나머지 부분은 인쇄회로기판 배출구(142)를 경유하여 몰드 프레임(140)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00)이 휘어지면서 백라이트 유닛(100)의 배면과 접촉된다. 이렇게 인쇄회로기판(300)이 휘어지기 위해서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기판(300)이 휘어질 때, 인쇄회로기판 중 상기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160)와 접촉되는 부분은,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160)에 의하여 부착되어 몰드 프레임(140)에 밀착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액정 패널을 보호하는 윈도우(4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 장치가 개인휴대통신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휴대성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많이 노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충격으로부터 액정 패널(200)을 보호하기 위하여 윈도우(400)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 윈도우(40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이 많이 사용되며, 별도의 접착제에 의하여 액정 패널의 상부에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밴딩된 인쇄회로기판이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에 의하여 몰드 프레임에 밀착 고정되므로, 이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액정 패널이 몰드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는 다양한 모델의 액정 표시 장치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범용성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16)

  1.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측면에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액정 패널 방향으로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
    상기 도광판 및 광학 시트의 외곽을 감싸는 몰드 프레임;
    상기 몰드 프레임의 일측이 개방되어 인쇄회로기판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 배출구;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을 부착하는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의 내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액정 패널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패널 수납턱;
    상기 패널 수납턱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패널을 몰드 프레임에 부착하는 패널 부착 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는,
    상기 패널 부착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배출구의 내측에 상기 몰드 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부품 실장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실장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 부착 시트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는,
    상기 패널 수납턱보다 높게 형성되어 액정 패널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는,
    외측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도광판 및 광학 시트를 수납하는 바텀 샤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9.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일측에 부착되며, 구동회로부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측면에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액정 패널 방향으로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
    상기 도광판 및 광학 시트의 외곽을 감싸는 몰드 프레임;
    상기 몰드 프레임의 일측이 개방되어 인쇄회로기판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 배출구;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을 부착하는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의 내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액정 패널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패널 수납턱;
    상기 패널 수납턱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패널을 몰드 프레임에 부착하는 패 널 부착 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는,
    상기 패널 부착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배출구의 내측부에는, 상기 몰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부품 실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실장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 부착 시트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부착 시트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는,
    상기 패널 수납턱보다 높게 형성되어 액정 패널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배출구는,
    외측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액정 패널을 보호하는 윈도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
KR1020060082280A 2006-08-29 2006-08-2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KR101353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280A KR101353486B1 (ko) 2006-08-29 2006-08-2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US11/846,227 US7760285B2 (en) 2006-08-29 2007-08-28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280A KR101353486B1 (ko) 2006-08-29 2006-08-2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844A true KR20080019844A (ko) 2008-03-05
KR101353486B1 KR101353486B1 (ko) 2014-01-23

Family

ID=3915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280A KR101353486B1 (ko) 2006-08-29 2006-08-29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60285B2 (ko)
KR (1) KR101353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3378A (zh) * 2012-03-28 2013-10-23 苏州世鼎电子有限公司 使用液态胶的led背光模块制造方法
KR20220163336A (ko) * 2017-04-25 2022-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2232B (zh) * 2009-01-08 2013-01-1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裝置與液晶顯示裝置之上偏光膜的重工方法
JP5610465B2 (ja) 2010-02-18 2014-10-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1757927B1 (ko) * 2010-12-06 2017-07-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패널 및 그 제조방법과, 윈도우 패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76816A1 (en) * 2011-09-05 2014-06-26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TWI443413B (zh) * 2011-12-14 2014-07-0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53449U (en) * 1995-11-16 2001-09-01 Hitachi Ltd LCD display panel with buckling driving multi-layer bendable PCB
JPH11305205A (ja) * 1998-04-22 1999-11-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20040103673A (ko) * 2003-06-02 200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20050068530A (ko) * 2003-12-30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4196888B2 (ja) * 2004-06-25 2008-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98811A (ja) 2004-09-30 2006-04-13 Optrex Corp 表示装置
TW200617498A (en) * 2004-11-26 2006-06-01 Sanyo Electric Co Display device, portable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JP2006157487A (ja) 2004-11-30 2006-06-1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および携帯電話
KR20060081588A (ko) * 2005-01-10 200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착력을 향상시킨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평판표시장치
KR101119200B1 (ko) * 2005-01-11 2012-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샤시, 이를 포함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KR20070034707A (ko) * 2005-09-2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189135B1 (ko) * 2005-11-29 2012-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70056853A (ko) * 2005-11-30 2007-06-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JP4738223B2 (ja) * 2006-03-24 2011-08-0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US7671936B2 (en) * 2006-09-21 2010-03-02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at least one LED and a PCB and a frame having an opening with a narrow portion and a broad portion on a side surface of the frame and backlight module ha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3378A (zh) * 2012-03-28 2013-10-23 苏州世鼎电子有限公司 使用液态胶的led背光模块制造方法
KR20220163336A (ko) * 2017-04-25 2022-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486B1 (ko) 2014-01-23
US7760285B2 (en) 2010-07-20
US20080055511A1 (en)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5220B2 (en) Display device
KR10135348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JP2005196210A (ja) シャーシフレーム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CN102540519A (zh) 显示设备
KR2005010703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02744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264678B1 (ko) 액정표시모듈
CN101583900B (zh) 显示设备
KR101536126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7001382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40068734A (ko) 액정표시 장치
KR2007007968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80391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04335A (ko) 액정표시장치
KR101212134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9116204A (ja) 液晶表示装置
KR10128553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8004988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조립 방법
KR20150063836A (ko) 액정표시장치
KR101171179B1 (ko) 표시 장치
KR20070015696A (ko) 탑 샤시와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8003575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31875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27479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20060134372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