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479A -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479A
KR20080019479A KR1020060081886A KR20060081886A KR20080019479A KR 20080019479 A KR20080019479 A KR 20080019479A KR 1020060081886 A KR1020060081886 A KR 1020060081886A KR 20060081886 A KR20060081886 A KR 20060081886A KR 20080019479 A KR20080019479 A KR 20080019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mode
function
changing
television
cl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8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9479A/ko
Publication of KR2008001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5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a key is pressed, e.g. for inputting sequences of digits when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기능 모드 선택(또는 변경)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와; 상기 기능 모드에 대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의 클릭 횟수를 검출하고, 그 클릭 횟수에 따라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변경하여 티브이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가 입력되면, '더블 클릭'인지 '원 클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입력이 '더블 클릭'이면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입력이 '원 클릭'이면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순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티브이, 기능 모드, 더블 클릭, 순방향, 역방향

Description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 변경 방법{TELEVISION HAVING FUNCTION MODE CHANGEABLE FUNCTION AND METHOD FOR CHANGING FUNCTION MODE OF THE TELEVISION}
도 1은 종래 티브이의 기능 모드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 변경을 위한 티브이를 개략적으로 나탄내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의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
102 : 메모리
103 : 제어부
본 발명은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티브이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 모드를 선택함에 있어서,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 모드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브이와 같은 전자 기기에서는 다양한 기능 모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각 기능 모드에 대한 선택 스위치를 모두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소정의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또는 버튼)을 하나 구비하고, 그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를 누름에 따라 지정된 순서로 기능 모드를 변경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티브이의 경우 외부 입력 모드에 있어서 TV 모드, 비디오1,2, 컴포넌트 1,2, PC와 같이 다양한 입력 모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화면 선택에 있어서도 화면 비율에 따라 4:3, 16:9, 2.35:1 등 다양한 화면 선택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특정키(예 :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순차적으로 기능 모드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시간 낭비와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티브이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 모드를 선택함에 있어서,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 모드를 빠르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모드 선택(또는 변경)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와; 상기 기능 모드에 대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의 클릭 횟수를 검출하고, 그 클릭 횟수에 따라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변경하여 티브이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티브이의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은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가 입력되면, '더블 클릭'인지 '원 클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입력이 '더블 클릭'이면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입력이 '원 클릭'이면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순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의 누름에 따라 기존의 순방향으로 모드 전환하는 기본 기능 이외에, 상기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를 더블 클릭 할 경우 역방향으로 기능 모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 모드를 빠르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 변경을 위한 티브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기능 모드 선택(또는 변경)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101)와, 상기 각종 기능 모드에 대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02)와, 상기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의 클릭 횟수를 검출하고, 그 클릭 횟수에 따라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변경하여 티브이를 구동하는 제어부(10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명의 동작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가적인 구성에 대한 기능 블록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기능 모드 변경을 위한 티브이의 구성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하나의 버튼을 이용해 기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장치(예 : 티브이)에서는 버튼이 입력될 때마다 기 지정된 순서에 따라 기능 모드가 순차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의 외부 입력 모드의 경우, 기능 모드1(예:TV 입력), 기능 모드2(비디오1), 기능 모드3(비디오2), 기능 모드4(컴포넌트1), 기능 모드5(컴포넌트2), 기능 모드6(PC)과 같이 기능 모드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사용자가 TV를 보다가 기능 모드6으로 전환하여 외부 기기(예 : PC)의 영상을 보기를 원할 경우 여섯 번의 버튼을 눌러야 했다.
즉, 한 번의 버튼을 누를 때마다 '기능 모드1' → '기능 모드6'으로 전환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기능 모드5'를 선택하기 위하여 다섯 번의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를 누르려고 하다가, 실수로 여섯 번의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를 눌렀을 경우, '기능 모드5'를 선택하기 위해서 다시 다섯 번의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를 더 눌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시간 낭비와 불편함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를 더블 클릭 할 경우,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이 순방향(예 : '기능 모드1'→'기능 모드6')에서 역방향(예 : '기능 모드6'→'기능 모드1')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03)는 특정시간 내에 연속해서 입력되는 상기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101)의 입력(클릭 횟수)를 검출하여, 더블 클릭이면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순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변경하고, 원 클릭이면 원래 기능에 따라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순방향으로 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클릭의 횟수는 단지 일실시예일 뿐으로 그 횟수는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이때, 상기 특정시간은 실험을 통해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도 메모리(102)에 같이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가 입력되면(S10), '더블 클릭'인지 '원 클릭'인지 판단한다(S12).
만약, '더블 클릭'인 경우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순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변경한다(S14).
만약, '원 클릭'인 경우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 선택 방향으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기능 모드를 순방향으로 변경한다(S16).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 모드5'를 선택하려고 하다가 실수로 '기능 모드6'을 선택했을 경우, '기능 모드5'를 선택하기 위해서 다시 다섯 번의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를 더 누를 필요없이, '더블 클릭'에 의해 기능 모드를 선택할 경우 기능 모드가 역방향으로 변경됨에 따라 '기능 모드5'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기능 모드의 변경이 더욱 빨라지고 그만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티브이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 모드를 선택함에 있어서,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 모드를 빠르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로부터 기능 모드 선택(또는 변경)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와;
    상기 기능 모드에 대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의 클릭 횟수를 검출하고, 그 클릭 횟수에 따라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변경하여 티브이를 구동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시간 내에 연속해서 입력되는 상기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의 입력(클릭 횟수)를 검출하여,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선택적으로 순방향이나 역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3. 기능 모드 변경 스위치가 입력되면, '더블 클릭'인지 '원 클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입력이 '더블 클릭'이면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입력이 '원 클릭'이면 기능 모드 선택 방향을 순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기능 모드 변경 방법.
KR1020060081886A 2006-08-28 2006-08-28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변경 방법 KR20080019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886A KR20080019479A (ko) 2006-08-28 2006-08-28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886A KR20080019479A (ko) 2006-08-28 2006-08-28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변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479A true KR20080019479A (ko) 2008-03-04

Family

ID=3939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886A KR20080019479A (ko) 2006-08-28 2006-08-28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94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38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an input received from a remote controller
US8228412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mage tak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ing information
JP2000197158A (ja) 音響・映像コントロ―ルシステム
US20090315807A1 (en) Multi-display op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8085546A (ja) 映像出力装置
JP200234505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764763B1 (ko) 사용자 메뉴 구성 방법
KR100698619B1 (ko) 선호 채널을 설정하는 리모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845313Y (zh) 简易型电视遥控器
JPH11119882A (ja) キー入力装置
KR20080019479A (ko) 기능 모드 변경이 가능한 티브이 및 그 티브이의 기능 모드변경 방법
JP2005284568A (ja) 電子機器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178618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other functions while outputting multimedia to an external display
JP4034721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40091937A (ko) 우선순위 조정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기기 및 그 사용자인터페이스방법
JP4536363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H11261907A (ja) Av機器
JP2009098754A (ja) リモコン装置
KR101051538B1 (ko) 텔레비전의 외부 입력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714167B1 (ko) 리모트 콘트롤러
JP2008153732A (ja) リモコン装置、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7067864A (ja) 映像機器
KR100874930B1 (ko) 휠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KR20040031325A (ko) 티브이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JP2005323236A (ja) リモコ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