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627A -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627A
KR20080017627A KR1020060078938A KR20060078938A KR20080017627A KR 20080017627 A KR20080017627 A KR 20080017627A KR 1020060078938 A KR1020060078938 A KR 1020060078938A KR 20060078938 A KR20060078938 A KR 20060078938A KR 20080017627 A KR20080017627 A KR 20080017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roller conveyor
lifting buffer
lifting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276B1 (ko
Inventor
한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27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7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3Drive means, clutches, gearing or drive spee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8Construction of the conveyor rollers ; Materials, coatings or covering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비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택트 타임을 단축하여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래스 반송 장치는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글래스들을 회전 운동에 의해 일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롤러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측으로의 진입 및 외측으로의 후퇴에 의한 리프팅 동작, 상승 및 하강에 의한 버퍼링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리프팅 버퍼, 리프팅 버퍼에 동력을 공급하여 리프팅 버퍼의 진입 및 후퇴 동작,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 글래스, 반송, 리프터, 버퍼

Description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Glass transfer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프팅 버퍼가 내측으로 진입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프팅 버퍼가 외측으로 후퇴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리프팅 버퍼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의 구동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롤러 컨베이어 110: 측면 프레임
111: 홈 120: 회전축
130: 롤러 140: 중앙 롤러
200: 리프팅 버퍼 210: 브라켓
211: 슬라이딩 가이드 220: 샤프트
221: 슬라이딩 레일 222: 지지 돌기
300: 구동 유닛
본 발명은 글래스 반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글래스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서로 마주보는 상하부의 글래스(glass) 사이에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층을 형성한 후, 액정층에 형성되는 전계의 세기를 조정하여 액정 분자의 배열을 변경시킴과 아울러, 액정 분자를 통해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여러 제조 공정을 거친 후에야 제작되는데, 제조 공정은 서로 상이한 단위 공정들로 연결되어 있고 각 단위 공정을 행하는 장비가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장비들로 액정 표시 장치의 글래스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conveyor) 즉, 반송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컨베이어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로봇(robot)을 이용해 글래스를 언로딩(unloading)하게 되며, 해당 부분에는 로봇 핸드(robot hand)가 진입할 공간을 만들기 위해 글래스를 들어올리는 리프터(lifter)와 리프터에 의해 들어올려진 글래스를 한 장 이상씩 적재하여 차례로 언로딩시키기 위한 버퍼(buffer)가 구비된다.
버퍼는 장비의 잘못된 동작으로 공정 상에 에러가 생겨 글래스가 컨베이어로 투입되는 속도와 컨베이어로부터 언로딩되는 속도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글래스를 한 장 이상씩 쌓아두고 차례로 공급함으로써 글래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는 리프터와 버퍼가 컨베이어의 하부와 상부에 따로 구성되고, 버퍼가 글래스를 완전히 지지한 후 리프터가 하강을 완료하여야만 다음 글래스의 진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택트 타임(Tact Time)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이원화되어 있던 리프터와 버퍼의 구조를 통합하여 일원화함으로써 장비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간소화된 구성을 통해 택트 타임을 단축하여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는 순차 적으로 투입되는 글래스들을 회전 운동에 의해 일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롤러 컨베이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측으로의 진입 및 외측으로의 후퇴에 의한 리프팅 동작, 상승 및 하강에 의한 버퍼링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리프팅 버퍼, 상기 리프팅 버퍼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리프팅 버퍼의 진입 및 후퇴 동작,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는 상기 글래스들이 반송되는 일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회전 운동하는 복수의 회전축,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의 좌우 양측을 고정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받이 하며, 상기 리프팅 버퍼가 상승된 후 외측으로 후퇴 시 상기 리프팅 버퍼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상기 회전축 상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글래스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롤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 버퍼는, 수직 방향으로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이 가능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 네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소정 범위 내에서 내측으로 진입하거나 외측으로 후퇴하도록 동작하는 'ㄱ'자 형상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부면에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로딩되는 상기 글래스들에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이 끼워지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는 세 쌍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의 높이는 상기 측면 프레임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중심부가 빈 사각 틀 형상이거나 중심부가 채워진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 버퍼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제 1 글래스가 로딩되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내측으로 진입된 초기 위치에서 상승하여 상기 로딩된 제 1 글래스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승된 제 1 글래스가 언로딩되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후퇴한 후 하강하고, 내측으로 다시 진입하여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 버퍼가 상기 제 1 글래스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버퍼와 상기 롤러 컨베이어 사이에는 투입 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투입 공간으로 상기 제 2 글래스가 로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의 구동 방법은, 롤러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는 리프팅 버퍼의 위치를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내측으로 진입된 초기 위치로 설정하고, 회전 운동에 의해 롤러 컨베이어에 제 1 글래스를 로딩하는 단계, 롤러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는 리프팅 버퍼를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승시켜 상기 제 1 글래스를 들어올리고, 상기 롤러 컨베이어 상에 투입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투입 공간에 제 2 글래스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 1 글래스를 상기 롤러 컨베이어로부터 언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 1 글래스의 언로딩이 완료되면 상기 리프팅 버퍼가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후퇴한 후 하강하고, 내측으로 다시 진입하여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는 상기 글래스들이 반송되는 일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회전 운동하는 복수의 회전축,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의 좌우 양측을 고정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받이 하며, 상기 리프팅 버퍼가 상승된 후 외측으로 후퇴 시 상기 리프팅 버퍼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상기 회전축 상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글래스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롤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 버퍼는, 수직 방향으로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이 가능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 네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소정 범위 내에서 내측으로 진입하거나 외측으로 후퇴하도록 동작하는 'ㄱ'자 형상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부면에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로딩되는 상기 글래스들에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 버퍼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제 1 글래스가 로딩되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내측으로 진입된 초기 위치에서 상승하여 상기 로딩된 제 1 글래스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승된 제 1 글래스가 언로딩되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후퇴한 후 하강하고, 내측으로 다시 진입하여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 버퍼가 상기 제 1 글래스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버퍼와 상기 롤러 컨베이어 사이에는 투입 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투입 공간 으로 상기 제 2 글래스가 로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리프팅 버퍼가 내측으로 진입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리프팅 버퍼가 외측으로 후퇴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는 롤러 컨베이어(100)와 리프팅 버퍼(200), 구동 유닛(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 컨베이어(100)는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글래스들을 회전 운동에 의해 수평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롤러 컨베이어(100)의 좌우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0)이 설치되며, 두 측면 프레임(110)은 회전축(120)의 양단부를 고정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축받이한다. 측면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는 글래스(G)를 지지하는 리프팅 버퍼(200)의 샤프트(220)가 외측으로 후퇴할 때 측면 프레임(1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두 측면 프레임(110) 사이에는 복수의 회전축(120)이 글래스의 진행 방향, 즉, 로딩된 글래스들이 차례로 반송되는 일 방향을 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다.
각 회전축(120)의 양단부에는 글래스(G)의 측부 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롤러(130)가 설치되어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회전축(120)의 중앙부에는 글래스(G)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중앙 롤러(140)가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축(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구동 유닛(도시하지 않음)이 측면 프레임(110)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컨베이어 구동 유닛(도시하지 않음)은 주로 모터를 이용하며, 이 경우 회전축(1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도록 도와주면서 회전축(120)을 고정시키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롤러 컨베이어(100)에서 컨베이어 구동 유닛(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회전축(120)이 회전하면, 회전축(120)의 양단부에 구비된 베어링이 면 접촉 방식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중앙 롤러(140)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중앙 롤러(140) 상에 로딩된 글래스(G)가 일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롤러 컨베이어(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리프팅 버퍼(200)는 내외측으로의 인-아웃(in-out)을 통한 리프팅(lifting)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에 상하부로의 업-다 운(up-down)을 통한 버퍼링(buffering)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내측으로의 진입 및 외측으로의 후퇴에 의한 리프팅 동작과 함께 상승 및 하강에 의한 버퍼링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DI, DO는 리프팅 버퍼(200), 보다 정확하게는 리프팅 버퍼(200) 상에 구성된 샤프트(220)의 진입 방향과 후퇴 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DT, DD는 리프팅 버퍼(200)의 상승 방향과 하강 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롤러 컨베이어(100)의 좌우에서 롤러 컨베이어(100)로의 진입과 롤러 컨베이어(100)로부터의 후퇴가 가능하며, 또한, 롤러 컨베이어(100)의 상하에서 롤러 컨베이어(100)로의 상승과 롤러 컨베이어(100)로부터의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리프팅 버퍼(200)의 샤프트(220)가 진입 방향 DI로 움직여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 3은 샤프트(220)가 후퇴 방향 DO로 움직여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리프팅 버퍼(200)는 롤러 컨베이어(100)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글래스(G)를 지지하는 리프팅 상태의 초기 위치에서 상승하여 롤러 컨베이어(100)에 로딩되어 있는 글래스(G)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글래스(G)가 언로딩되면 롤러 컨베이어(100)의 외측으로 후퇴한 후 하강하고, 다시 내측으로 진입하여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리프팅 버퍼(200)가 글래스(G)를 상승시키게 되면, 리프팅 버퍼(200)와 롤러 컨베이어(100) 사이에는 투입 공간이 확보되고, 투입 공간으로 다음 글래스를 로딩 할 수 있어 리프팅 버퍼(200)에 의한 버퍼링 기능이 구현된다.
구동 유닛(300)은 리프팅 버퍼(200)로 동력을 공급하여 리프팅 버퍼(200)의 진입 및 후퇴 동작,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리프팅 버퍼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프팅 버퍼(200)는 브라켓(210), 샤프트(220), 샤프트(220) 상의 지지 돌기(222) 등을 포함한다.
브라켓(210)은 수직 방향으로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샤프트(220)는 브라켓(210)의 상부면 네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일정한 범위 내에서 내측으로 진입하거나 외측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구성한다.
샤프트(22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레일(221)이 고정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레일(221)은 브라켓(2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211)에 끼워져 샤프트(22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샤프트(220)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브라켓(210) 상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가이드(211)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글래스(G)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브라켓(210)의 네 모서리 이외의 공간에도 좌우에 서로 쌍을 이루는 샤프트(220)를 추가로 구성하고, 샤프트(220)와 대응하도록 브라켓(210)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211)를 더 형성하여 글래스(G)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서는 브라켓(210)이 중심부가 채워진 사각 플레이트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브라켓(210)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심부가 빈 사각 틀 형상 등 샤프트(220) 하부의 슬라이딩 레일(221)이 고정되어 슬라이딩 가이드 (2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 형상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리프팅 버퍼(200)가 글래스(G)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리프팅 버퍼(200)와 롤러 컨베이어(100) 사이에 다음 글래스가 로딩될 투입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야 하므로, 샤프트(220)의 높이는 측면 프레임(110)이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구성한다.
샤프트(220)의 상부면에는 롤러 컨베이어(100)에 로딩된 글래스(G)와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222)를 일렬로 배치하여 최소한의 접촉 면적으로 글래스(G)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글래스(G)를 상승시키는 리프터의 기능과 상승된 글래스(G)를 지지하고 글래스(G)와 롤러 컨베이어(100) 사이에 로봇 핸드가 진입할 공간을 확보하는 버퍼의 기능을 통합하면, 종래의 리프터가 완전히 하강하여야만 가능했던 다음 글래스의 진행을 글래스(G) 상승이 완료된 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내지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의 구동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롤러 컨베이어(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리프팅 버퍼(200)의 위치를 롤러 컨베이어(100)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있는 초기 위치로 설정한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리프팅 버퍼(200)가 롤러 컨베이어(10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 운동에 의해 롤러 컨베이어(100)에 제 1 글래스(G1)를 로딩한다.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리프팅 버퍼(200)가 상승 방향 DT로 움직여 롤러 컨베이어(100) 측으로 상승함으로써 제 1 글래스(G1)를 들어 올려 로봇 핸드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또한, 리프팅 버퍼(200)에 의해 제 1 글래스(G1)가 들어 올려지면서 제 2 글래스(G2)의 투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투입 공간을 통해 제 2 글래스(G2)가 롤러 컨베이어(100)로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리프팅 버퍼(200)의 상승이 완료되는 즉시 로봇 핸드에 의한 제 1 글래스(G1)의 언로딩이 가능하며, 제 2 글래스(G2)가 롤러 컨베이어(100)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로봇 핸드가 제 1 글래스를 들어올려 롤러 컨베이어(100)로부터 언로딩한다.
다음으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글래스(G1)의 언로딩이 완료되는 즉시 리프팅 버퍼(200)의 샤프트(220)들이 측면 프레임(110) 상에 형성된 복수의 홈(111)을 통과하면서 리프팅 버퍼(200)가 후퇴 방향 DO로 움직여 롤러 컨베이어(100)의 외측으로 후퇴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리프팅 버퍼(200)가 후퇴 동작 없이 하강할 경우 리프팅 버퍼(200)와 제 2 글래스(G2)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회전축(120) 사이에서 내외측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리프팅 버퍼(200)의 샤프트(220)를 'ㄱ'자 형상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리프팅 버퍼(200)의 샤프트(220)가 롤러 컨베이어(100)의 외측으로 벗어날 수 있도록 측면 프레임(110) 상에 복수의 홈(11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후퇴 동작이 완료된 리프팅 버퍼(200)는 하강 방향 DD로 움직여 롤러 컨베이어(100)의 하부까지 내려간다.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진입 방향 DI로 움직여 내측으로 진입함으로써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후, 초기 위치에서부터 제 2 글래스(G2)를 들어 올리기 위한 상승 동작을 다시 반복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은 종래 이원화되어 있던 리프터와 버퍼의 구조를 통합하여 일원화함으로써 장비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은 이러한 간소화된 구성을 통해 택트 타임을 단축하여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5)

  1.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글래스들을 회전 운동에 의해 일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롤러 컨베이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측으로의 진입 및 외측으로의 후퇴에 의한 리프팅 동작, 상승 및 하강에 의한 버퍼링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리프팅 버퍼; 및
    상기 리프팅 버퍼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리프팅 버퍼의 진입 및 후퇴 동작,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는,
    상기 글래스들이 반송되는 일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회전 운동하는 복수의 회전축;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의 좌우 양측을 고정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받이 하며, 상기 리프팅 버퍼가 상승된 후 외측으로 후퇴 시 상기 리프팅 버퍼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회전축 상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글래스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롤러
    를 포함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버퍼는,
    수직 방향으로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이 가능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 네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소정 범위 내에서 내측으로 진입하거나 외측으로 후퇴하도록 동작하는 'ㄱ'자 형상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부면에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로딩되는 상기 글래스들에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
    를 포함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이 끼워지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세 쌍 이상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높이는,
    상기 측면 프레임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중심부가 빈 사각 틀 형상이거나 중심부가 채워진 사각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버퍼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제 1 글래스가 로딩되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내측으로 진입된 초기 위치에서 상승하여 상기 로딩된 제 1 글래스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승된 제 1 글래스가 언로딩되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후퇴한 후 하강하고, 내측으로 다시 진입하여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버퍼가 상기 제 1 글래스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버퍼와 상기 롤러 컨베이어 사이에는 투입 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투입 공간으로 상기 제 2 글래스가 로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
  10. 롤러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는 리프팅 버퍼의 위치를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내측으로 진입된 초기 위치로 설정하고, 회전 운동에 의해 롤러 컨베이어에 제 1 글래스를 로딩하는 단계;
    롤러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는 리프팅 버퍼를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승시켜 상기 제 1 글래스를 들어올리고, 상기 롤러 컨베이어 상에 투입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투입 공간에 제 2 글래스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 1 글래스를 상기 롤러 컨베이어로부터 언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글래스의 언로딩이 완료되면 상기 리프팅 버퍼가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후퇴한 후 하강하고, 내측으로 다시 진입하여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는,
    상기 글래스들이 반송되는 일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회전 운동하는 복수의 회전축;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의 좌우 양측을 고정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받이 하며, 상기 리프팅 버퍼가 상승된 후 외측으로 후퇴 시 상기 리프팅 버퍼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회전축 상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글래스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롤러
    를 포함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버퍼는,
    수직 방향으로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이 가능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 네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소정 범위 내에서 내측으로 진입하거나 외측으로 후퇴하도록 동작하는 'ㄱ'자 형상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부면에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로딩되는 상기 글래스들에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
    를 포함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이 끼워지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버퍼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제 1 글래스가 로딩되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내측으로 진입된 초기 위치에서 상승하여 상기 로딩된 제 1 글래스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승된 제 1 글래스가 언로딩되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후퇴한 후 하강하고, 내측으로 다시 진입하여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버퍼가 상기 제 1 글래스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버퍼와 상기 롤러 컨베이어 사이에는 투입 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투입 공간으로 상기 제 2 글래스가 로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반송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60078938A 2006-08-21 2006-08-21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54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938A KR101254276B1 (ko) 2006-08-21 2006-08-21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938A KR101254276B1 (ko) 2006-08-21 2006-08-21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627A true KR20080017627A (ko) 2008-02-27
KR101254276B1 KR101254276B1 (ko) 2013-04-16

Family

ID=3938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938A KR101254276B1 (ko) 2006-08-21 2006-08-21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1771A (zh) * 2021-12-31 2022-04-01 江苏伟恒玻璃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包角装置的玻璃输送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4880B (zh) * 2016-06-27 2019-09-17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448B1 (ko) * 2003-11-21 2007-12-05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기판 카세트, 기판 반송 장치, 기판 보관 반송 장치, 기판반입 시스템, 기판 반출 시스템 및 기판 반입/반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1771A (zh) * 2021-12-31 2022-04-01 江苏伟恒玻璃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包角装置的玻璃输送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276B1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595B1 (ko) 기판이송장치
WO2013121878A1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TWI656594B (zh) 基板處理裝置
JP2007039157A (ja) 搬送装置、真空処理装置および搬送方法
KR20150000417A (ko) 기판 유지 장치 및 기판 세정 장치
CN110364466B (zh) 空晶圆盒送出装置与晶圆上料系统
KR101254276B1 (ko) 글래스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04255B1 (ko) 더블암식 이단 카세트 이송 로봇
CN112234021A (zh) 载板升降装置和硅片处理设备
CN102299046B (zh) 基板处理装置
JP2008260604A (ja) 基板搬送装置
KR101587337B1 (ko) 기판 이송장치용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이송장치
KR101328574B1 (ko) 기판이송장치
KR20050006445A (ko) 평판디스플레이 제조라인의 카세트 이송장치
CN112588537B (zh) 一种智能烘干转运设备及方法
CN212830794U (zh) 倾斜平台及基板传输装置
KR20150008297A (ko)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이송장치
KR101000494B1 (ko) 이송장치
KR100730459B1 (ko) 액정표시장치의 글라스 셀 자동 로딩장치
KR101394482B1 (ko) 기판 처리장치
KR101773169B1 (ko) 기판 반송용 로봇
CN219884773U (zh) 一种使基板传送平台水平变倾斜的机构
KR102314363B1 (ko) 기판 반송용 로봇
KR102160135B1 (ko) 기판 처리 장치
CN214826702U (zh) 一种双向装卸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