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273A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273A
KR20080017273A KR1020070083521A KR20070083521A KR20080017273A KR 20080017273 A KR20080017273 A KR 20080017273A KR 1020070083521 A KR1020070083521 A KR 1020070083521A KR 20070083521 A KR20070083521 A KR 20070083521A KR 20080017273 A KR20080017273 A KR 20080017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st
content
information
attribut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시라이
도시히로 모리따
스스무 모리따
다꾸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06F16/287Visualization;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6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using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아티스트끼리의 관련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으로부터, 직접 콘텐츠 제공 서버에 대하여, 원하는 아티스트의 검색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기점 아이콘(251)이나 관련 아이콘(253-1 및 253-2)의 근방에 표시되는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1 내지 261-3)이 각각 선택되면, 대응하는 아티스트명에 대한 검색 요구가, 직접, 콘텐츠 서버(3)에 대하여 행해지고, 그 결과, 이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는, 선택된 아티스트명을 검색 키로 하여, 콘텐츠 서버(3)에서 아티스트가 검색된 결과가 나타나는 검색 결과 화면이 표시된다. 본 발명은, 유저의 지시에 따라서 기록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하여 검색 요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아티스트 링크 정보, 콘텐츠 서버, 속성, 카테고리, 관련 표시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의 아티스트끼리의 관련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으로부터, 콘텐츠 제공 서버에 대하여, 유저가 원하는 아티스트에 관한 검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CD(Compact Disc)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을 리핑하거나, 혹은, 음악 배신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음악 배신 서버로부터 원하는 악곡을 다운로드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PC)에 악곡 데이터를 취입하는 방법이 보급되어 있고, 유저는, PC에 취입한 악곡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PC, 혹은 휴대 가능한 포터블 디바이스(PD)를 이용하여 즐기고 있다.
여기에서, 최근, PC나 PD에는, 대용량의 데이터가 기억 가능한 기억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유저는, PC에, 많은 다종다양한 콘텐츠를 기록시킬 수 있다. 따라서, PC나 PD에, 유저의 기호에 의하지 않는 다종다양한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유저가, 예를 들면, 그 때의 기분에 따른 원하는 콘텐츠를 찾고자 했을 때, 다종다양한 콘텐츠 중으로부터의 검색으로는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유저가, PC나 PD에 취입한 콘텐츠를 용이하게 검색하는 하나의 제안으로서,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PC나 PD에서, 취입한 악곡 데이터에 관한 아티스트 링크 정보(즉, 아티스트라고 하는 콘텐츠의 하나의 속성의 관련을 나타내는 분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취득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아티스트끼리의 관련을 나타내는 화면을, 모니터에 표시시키고, 유저에게, 다음에 들을 콘텐츠를 기호에 따라서 선택시키도록 한 제품을 앞서 시판하고 있다.
이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친구나 그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등으로부터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친구 등으로부터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취득한 후에, 아티스트끼리의 관련을 나타내는 화면을 모니터에 표시시킨 경우, 아티스트끼리의 관련으로서, 유저가 PC나 PD 등에 콘텐츠를 갖고 있지 않은 아티스트의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PC나 PD 등에 콘텐츠를 갖고 있지 않은 아티스트의 존재나 그 관련을 알 수 있었다.
[비특허문헌1] "워크맨 A 시리즈, 「아티스트 링크」의 상세 정보", [online], SonyDrive, [평성18년 8월 2일 검색], 인터넷 <http://www.walkman.sony.co.jp/artistlink_info/wm.html>
그러나, 종래에서는, 친구 등으로부터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취득한 후에, 아티스트끼리의 관련을 나타내는 화면을 봄으로써, PC나 PD 등에 콘텐츠를 갖고 있지 않는 아티스트의 존재나 그 관련을 알았다고 하더라도, 그 아티스트의 콘텐츠를 원하는 경우에는, 음악 배신 서버 등에 별도로 액세스하여, 원하는 아티스트의 콘텐츠를 일부러 검색해야만 했다.
즉, 아티스트끼리의 관련을 나타내는 화면에, PC나 PD 등에 콘텐츠를 갖고 있지 않는 아티스트의 정보가 표시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화면으로부터, 직접, 음악 배신 서버에 액세스하여, PC나 PD 등에 콘텐츠를 갖고 있지 않는 아티스트에 관한 검색을 행할 수 없어, 불편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콘텐츠의 아티스트끼리의 관련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으로부터, 콘텐츠 제공 서버에 대하여, 직접, 유저가 소유하고 있지 않은 콘텐츠에 대응하는 아티스트에 관한 검색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정보 처리 장치는, 콘텐츠의 소정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와, 상기 속성을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선택된 속성의 정보, 및 상기 속성에 대응지어진 카테고리의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속성과 동일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지어진 속성인 관련 속성의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마다 나누어,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선택된 관련 속성을 이용한 검색을, 정보 제공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수단을 구비 한다.
상기 요구 수단에 의한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검색 결과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2 표시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요구 수단은, 상기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선택된 속성을 이용한 검색도, 정보 제공 장치에 요구할 수 있다.
콘텐츠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련 속성의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콘텐츠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련 속성의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정보 처리 방법은, 콘텐츠의 소정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와, 상기 속성을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선택된 속성의 정보, 및 상기 속성에 대응지어진 카테고리의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속성과 동일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지어진 속성인 관련 속성의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마다 나누어,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선택된 관련 속성을 이용한 검색을, 정보 제공 장치에 요구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프로그램은, 콘텐츠의 소정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와, 상기 속성을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선택된 속성의 정보, 및 상기 속성에 대응지어진 카테고리의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속성과 동일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지어진 속성인 관련 속성의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마다 나누어,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선택된 관련 속성을 이용한 검색을, 정보 제공 장치에 요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콘텐츠의 소정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와, 상기 속성을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선택된 속성의 정보, 및 상기 속성에 대응지어진 카테고리의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속성과 동일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지어진 속성인 관련 속성의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마다 나누어,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가 행해지고, 상기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선택된 관련 속성을 이용한 검색이, 정보 제공 장치에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의 속성인 아티스트끼리의 관련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으로부터, 직접 콘텐츠 제공 서버에 대하여, 유저가 소유하고 있지 않은 콘텐츠의 아티스트이더라도, 원하는 아티스트의 검색을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구성 요건과,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된 실시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서포트하는 실시 형태가,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또는 도면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실시 형태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실시 형태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그 실시 형태가, 그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실시 형태가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그 실시 형태가, 그 구성 요건 이외의 구성 요건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인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PC(1))는, 콘텐츠의 소정의 속성(예를 들면, 아티스트명)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예를 들면, 아티스트 ID)와, 상기 속성을 분류하는 카테고리(예를 들면, 아티스트 그룹명)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데이터(예를 들면, 아티스트 그룹 ID)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과, 선택된 속성의 정보(예를 들면, 도 9의 기점 아이콘(251)), 및 상기 속성에 대응지어진 카테고리의 정보(예를 들면, 도 9의 폴더 아이콘(252-1))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속성과 동일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지어진 속성인 관련 속성의 정보(예를 들면, 도 9의 관련 아이콘(253-1 및 253-2))를, 상기 카테고리마다 나누어, 관련 표시 화면(예를 들면, 도 9의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 표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표시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과, 상기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선택된 관련 속성을 이용한 검색을, 정보 제공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콘텐츠 서버(3))에 요구하는 요구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을 구비한다.
상기 요구 수단에 의한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검색 결과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예를 들면, 도 17의 검색 결과 화면(301))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2 표시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기본 표시 처리부(5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콘텐츠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련 속성의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콘텐츠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련 속성의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은, 콘텐츠의 소정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와, 상기 속성을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선택된 속성의 정보, 및 상기 속성에 대응지어진 카테고리의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속성과 동일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지어진 속성인 관련 속성의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마다 나누어,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를 행하고(예를 들면, 도 10의 스텝 S104), 상기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선택된 관련 속성을 이용한 검색을, 정보 제공 장치에 요구하는(예를 들면, 도 13의 스텝 S203) 스텝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2)에는, 퍼스널 컴퓨터(PC)(1-1 및 1-2)가 접속되어 있다. 이하,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PC(1-1 및 1-2)를, 간단히 PC(1)라고 칭한다. 이 예에서는, PC(1)가 2대만 도시되어 있지만, 네트워크(2)에는, 임의의 대수의 PC가 접속된다.
또한, 네트워크(2)에는, PC(1)에 대하여 동화상이나 악곡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3)와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가 접속되어 있다. 이 콘텐츠 서버(3) 및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도 임의의 대수, 네트워크(2)에 접속된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악곡의 콘텐츠가 제공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콘텐츠 서버(3)는, 악곡 등의 콘텐츠의 데이터(이하, 콘텐츠 데이터라고도 함)와 함께, 그 콘텐츠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DB)(4)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가 포함되는 앨범명, 콘텐츠를 연주 혹은 제공하는 아티스트명, 콘텐츠의 장르, 곡조, 리듬, 또는 시장에서의 콘텐츠의 랭킹의 값(파라미터) 등의 콘텐츠의 복수의 속성으로 구성된다.
콘텐츠 서버(3)는, PC(1)로부터의 검색 요구를 받으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의 데이터에 대하여 검색을 행하고, 검색한 결과를 PC(1)에 송신하고, PC(1)로부터의 표시 요구를 받으면, 요구된 화상 데이터를 PC(1)에 송신한다. 또한, 콘텐츠 서버(3)는, 콘텐츠를 요구하는 PC(1)로부터의 액세스에 대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등록되어 있는 유저를 인증한다. 그리고, 콘텐츠 서버(3)는, 유저 를 인증한 PC(1)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에 기억되어 있는 다종다양한 콘텐츠 중으로부터, 유저가 요구한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와 메타 데이터를, 네트워크(2)를 통해서 송신한다. 또한, 콘텐츠 제공측이 유저에게 시청을 권유하는 다종다양한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는,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다종다양한 콘텐츠의 상세 메타 데이터가 기억되는 콘텐츠 상세 메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DB)(6)를 갖고 있다. 상세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의 식별자인 콘텐츠 ID(Identification),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메타 데이터(예를 들면, 아티스트명이나 장르), 및, 유사한 콘텐츠를 분류하는 카테고리(예를 들면, 서브 장르)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데이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서브 장르란, 예를 들면, 콘텐츠 A의 메타 데이터에서의 장르 이외에, 그 콘텐츠 A를 포함하는 데에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즉, 유사한) 장르의 정보이며, 메타 데이터에서의 장르 P에 포함되는 콘텐츠는, 장르 P에 유사한 복수의 서브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환언하면, 콘텐츠는, 메타 데이터에서의 1개의 장르로밖에 분류되지 않지만, 복수의 서브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서브 장르로 분류되는 콘텐츠끼리는, 유사하다고도 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세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의 콘텐츠 ID, 콘텐츠의 아티스트명, 및, 유사 콘텐츠가 분류되는 서브 장르명 등으로 구성된다.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는, PC(1)로부터의 액세스에 대하여, 상세 메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6)에 기억되어 있는 상세 메타 데이터 중, PC(1)에 있어서 취득 된 콘텐츠의 콘텐츠 ID의 상세 메타 데이터를, 네트워크(2)를 통해서 송신한다.
PC(1)는, Web 브라우저 등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버(3)에 액세스하고, 콘텐츠 서버(3)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CD(Compact Disc)로부터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를 소정의 부호화의 방식(예를 들면, ATRAC3plus(상표))으로 변환하여, 그 메타 데이터와 함께 기록한다. 이 메타 데이터는, CD 또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메타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된다.
PC(1)는, 콘텐츠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를 기록하면,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에 액세스하여,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의 상세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PC(1)는, 수신한 상세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아티스트에 관련한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기록하고, 유저가 지정한 아티스트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표시한다. PC(1)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기록되고, 표시되어 있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편집하거나, 콘텐츠 서버(3)에서 검색하기 위해서, 원하는 아티스트를 선택하거나, 혹은, 콘텐츠의 재생순이 기재된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것들을 이용하여,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PC(1-1 및 1-2)에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을 통해서 휴대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인 포터블 디바이스(PD)(7-1 및 7-2)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PD(7-1 및 7-2)를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간단히 PD(7)이라고 한다. PC(1)는, 접속된 PD(7)에, 기록한 콘텐츠 데이 터, 메타 데이터, 편집된 아티스트 링크 정보, 또는 작성된 플레이 리스트 등을 전송한다.
PD(7)는, PC(1)로부터의 다종다양한 콘텐츠 데이터나, 그 메타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편집된 아티스트 링크 정보 또는 플레이 리스트 등을 기록하고, 기록한 콘텐츠 데이터, 메타 데이터, 아티스트 링크 정보 또는 플레이 리스트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PD(7)는, 다종다양한 콘텐츠 파일이 미리 기록되어 있는 리무버블 미디어(22)(도 2)를 장착함으로써,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등을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경우, PD(7)는, PC(1)를 통해서 콘텐츠 서버(3)로부터 콘텐츠 파일을 취득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PC(1)를 통하지 않고, 네트워크(2)에 직접 접속하거나, 혹은, 무선 통신 등에 의해, 콘텐츠 서버(3)나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로부터의 데이터를 직접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PC(1)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1)는, ROM(Read Only Memory)(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13)에는 또한, CPU(1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하게 기억된다.
CPU(11), ROM(12), 및 RAM(13)는, 버스(14)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부(16),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인 표시부(17), 스피커(18),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19), 모뎀, 터미널 어댑터, 또는 USB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부(20)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20)는, 네트워크(2)나 USB 케이블을 통한 통신 처리를 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 드라이브(21)가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22)가 적절하게 장착되고, 이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서 기억부(19)에 인스톨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콘텐츠 서버(3),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 및 PD(7)도, 도 2에 도시한 PC(1)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의 구성은, 콘텐츠 서버(3),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 및 PD(7)의 구성으로서도 인용된다.
여기에서, CPU(11)가,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2의 컴퓨터는, 도 1의 PC(1), 콘텐츠 서버(3),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 또는 PD(7)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경우, 프로그램은, 도 2의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의 ROM(12)이나 기억부(19)에 미리 기록해 놓을 수 있다. 혹은/또한, 프로그램은, 자기 디스크나,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22)에,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기록)하고, 소위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은 리무버블 미디어(22)로부터 도 2의 컴 퓨터에 인스톨하는 외에,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디지털 위성 방송용의 인공위성을 통해서, 도 2의 컴퓨터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LAN(Local Area Network), 네트워크(2)를 통해서, 도 2의 컴퓨터에 유선으로 전송하여 인스톨할 수도 있다.
도 3은, PC(1)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기능 블록은, PC(1)의 CPU(11)에 의해, 예를 들면, 악곡의 콘텐츠를 등록하고, 등록된 콘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도 3에 도시되는 기능 블록은,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 기본 표시 처리부(56), 기본 GUI 제어부(57),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 네트워크 통신부(59), PD(Portable Device) 전송 제어부(60), PD(Portable Device) 통신부(61), 및, 기억부(19) 등에 구축되는 ALM(Artist Link Map) 데이터베이스(DB)(71),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DB)(72), 및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는,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의 제어 하에, 아티스트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편집하거나, 참조하기 위한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도 9) 등을 구성하는 GUI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으로 구성되는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 등을 표시부(17)에 표시시킨다.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를 제어해서,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로부터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아티 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 등의 GUI 화상을 생성시키거나,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 등을 갱신시킨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에 관한 유저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조작 입력부(16)를 통해서 입력받고,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에, 아티스트 링크 정보에 관한 처리를 행하게 한다.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로부터의 제어나,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로부터의 데이터 등에 따라서, ALM 데이터베이스(71)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에 대한 처리나,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이용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로부터 상세 메타 데이터가 공급되면, 상세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에 공급하여, ALM 데이터베이스(71)에 등록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세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의 콘텐츠 ID, 콘텐츠의 아티스트명, 및, 유사 콘텐츠가 분류되는 서브 장르명 등으로 구성되므로, 상세 메타 데이터로부터, 콘텐츠의 아티스트명과 서브 장르의 대응지음이 취득된다. 따라서,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동일한 서브 장르로 분류되는(속하는) 아티스트끼리는 관련이 있다고 판정하여, 서브 장르를 아티스트 그룹으로 하고, 서브 장르로 분류되는(콘텐츠의) 아티스트명이, 그 아티스트 그룹에 포함되도록 하여, 아티 스트 그룹과 아티스트를 대응지은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생성한다.
즉,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동일한 아티스트 그룹의 아티스트끼리를 관련시키는 정보이며, 편집도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아티스트 A가, 현재, 아티스트 B(그룹)의 일원인 경우, 과거에 아티스트 B(그룹)의 일원이었던 경우, 아티스트 C의 계통을 계승하고 있는 경우, 아티스트 D에 악곡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 등의 아티스트끼리는, 관련이 있다고 하여, 소정의 아티스트 그룹을 작성하여, 동일한 아티스트 그룹에 포함되도록 대응지을 수 있다.
따라서,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의 제어 하에,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에 의해 ALM 데이터베이스(71)에서 관리되고 있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추가, 삭제 등의 편집을 행함과 함께, 그 편집에 의한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갱신 정보를,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에 되돌려 보낸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의 제어 하에,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에 의해 ALM 데이터베이스(71)에서 관리되고 있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로부터, 유저로부터 지정된 아티스트명을 취득하고,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를 제어해서, 콘텐츠 서버(3)에 대하여, 취득한 아티스트명을 이용하여 검색시킨다.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 PD 전송 제어부(60),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 등의 지시에 의해, ALM 데이터베이스(71),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 및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에 기억되는 데 이터의 기입 판독을 행한다.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로부터의 아티스트명을 이용하여, 콘텐츠 서버(3)에 검색을 요구하기 위한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검색 요구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에 송신시킨다. 또한,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는, 콘텐츠 서버(3)로부터의 검색 결과를,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로부터 수취하고, 콘텐츠 서버(3)로부터의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콘텐츠 서버(3)에서의 표시할 장소를 지정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표시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결정하고, 결정한 표시처를 지정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에 송신시킨다.
기본 표시 처리부(56)는, 기본 GUI 제어부(57)의 제어 하에, 소정의 프로그램의 기본 기능의 GUI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GUI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화면이나, 콘텐츠 서버(3)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 등을 표시부(17)에 표시시킨다.
기본 GUI 제어부(57)는, 기본 표시 처리부(56)를 제어해서, 기본 기능의 GUI 화상 등을 생성시키거나, PD 전송 제어부(60) 및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 등으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기본 기능의 GUI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화면 등을 갱신시킨다. 또한, 기본 GUI 제어부(57)는, 기본 기능의 GUI 화상에 관한 유저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조작 입력부(16)를 통해서 입력받고, PD 전송 제어부(60) 및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 등에 공급하거나,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를 통해서, 콘텐츠 서버(3)로부터 공급되는 화면 데이터 등을, 기본 표시 처리 부(56)에 공급하고,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출력부(17)를 구성하는 모니터에 표시시킨다.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는, 기본 GUI 제어부(57)로부터의 조작 신호 등에 따라서, 네트워크 통신부(59)를 제어해서, 콘텐츠 서버(3)나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에 액세스시키거나,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로부터의 검색 요구 데이터나 표시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콘텐츠 서버(3)에 송신시킨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는, 콘텐츠 서버(3)로부터 공급되는 화면 데이터를 기본 GUI 제어부(57)에 공급하거나, 콘텐츠 서버(3)로부터 취득된 검색 결과를,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에 공급하거나, 콘텐츠 서버(3)로부터 취득된 콘텐츠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나,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로부터 취득된 상세 메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에 공급한다.
PD 전송 제어부(60)는, 기본 GUI 제어부(57)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서, 전송이 지시된 데이터(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 메타 데이터, 편집된 아티스트 링크 정보, 또는 콘텐츠의 재생순이 기재된 플레이 리스트 등)를,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에 판독시키고, PD 통신부(61)를 제어해서, PD(7)에 송신시킨다.
PD 통신부(61)는, PD 전송 제어부(6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통신부(20) 및 도시하지 않은 USB 케이블을 통해서, PD(7)에 송신한다. 네트워크 통신부(59)는, 통신부(20)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콘텐츠 서버(3)나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에 액세스하고, 콘텐츠 서버(3)로부터 취득되는 화면 데이터, 검색 결과, 또는 콘텐츠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 및,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로부터 취득되는 상세 메타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에 공급한다.
ALM 데이터베이스(71)에는, 다양한 아티스트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가 기억된다. ALM 데이터베이스(71)에 기억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콘텐츠의 아티스트에 대응하여,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에 의해,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로부터 취득된 상세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추가, 삭제 등의 편집이 행해진다.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콘텐츠 정보)가 기억된다.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는, 콘텐츠 ID에 대응지어, 콘텐츠명, 콘텐츠 파일명, 재생 횟수 이력, PD에의 전송 이력 등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이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된 콘텐츠의 정보는, 예를 들면, 마이라이브러리로서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작성된 플레이 리스트 정보(플레이 리스트명과 그 플레이 리스트에 속하는 콘텐츠 ID로 이루어지는 정보)도,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세 메타 데이터의 서브 장르명도, 메타 데이터의 하나로서, 콘텐츠 ID에 대응지어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기억할 수도 있다.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에는, 콘텐츠 데이터가,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서 관리되는 콘텐츠 파일로서 기억되어 있다.
도 4는, ALM 데이터베이스(71)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ALM 데이터베이스(71)는, 아티스트 그룹(AG) 일람 테이블(81), 아티스트 일람 테이블(82), 및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로 구성되어 있다.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1)은, 아티스트 그룹 ID(Identification), 아티스트 그룹명, 및 속성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아티스트 그룹명은, 서로 관련된 아티스트를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이름이며, 유저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 혹은 신규 추가 가능하지만, 상세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될 때에는, 서브 장르명이 그대로 아티스트 그룹명으로서 등록된다.
속성 정보란, 이 아티스트 그룹이 누구에 의해 작성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유저 A는, PC(1)의 유저에 의해 작성된 것을 나타내고, system이, 상세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에 의해 작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속성 정보는, 예를 들면, system이 작성한 것보다도, 유저가 작성한 것을 우선시켜 행하는 처리 등에 이용된다.
도 4의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1)에는, 아티스트 그룹명이 「AG1」인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1」이고, 속성 정보가 「system」인 것이 기억되어 있고, 아티스트 그룹명이 「AG2」인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2」이고, 속성 정보가 「유저 A」인 것이 기억되어 있고, 아티스트 그룹명이 「AG3」인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3」이고, 속성 정보가 「유저 A」인 것이 기억되어 있다. 즉,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1)에서는, 아티스트 그룹 ID와 아티스트 그룹명이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아티스트 그룹 「AG1」은,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에 의해 작성된 것이며, 아티스트 그룹 「AG2」 및 「AG3」은, PC(1)의 유저에 의해 작성된 것이다.
아티스트 일람 테이블(82)은, 아티스트 ID(Identification)와 아티스트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아티스트 일람 테이블(82)에는, 아티스트명이 「AT1」인 아티스트 ID가, 「AID_1」이고, 아티스트명이 「AT2」인 아티스트 ID가, 「AID_2」이고, 아티스트명이 「AT3」인 아티스트 ID가, 「AID_3」이라는 식으로, 아티스트 ID와 아티스트명이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은, 아티스트 그룹 ID와 아티스트 ID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에는, 아티스트 그룹 ID 「AGID_1」에, 아티스트 ID 「AID_1」, 아티스트 ID 「AID_2」, 아티스트 ID 「AID_3」이 포함되어 있고, 아티스트 그룹 ID 「AGID_2」에, 아티스트 ID 「AID_2」, 아티스트 ID 「AID_4」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는 식으로, 아티스트 그룹 ID와 아티스트 ID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즉,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에서, 하나의 아티스트 그룹 ID는, 복수의 아티스트 ID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아티스트 그룹 ID는, 동일한 아티스트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1), 아티스트 일람 테이블(82), 및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로 이루어지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1」인 아티스트 그룹 AG1에는, 아티스트 ID가 「AID_1」인 아티스트 AT1, 아티스트 ID가 「AID_2」인 아티스트 AT2, 및 아티스트 ID가 「AID_3」인 아티스트 AT3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2」인 아티스트 그룹 AG2에는, 아티스트 ID가 「AID_2」인 아 티스트 AT2와 아티스트 ID가 「AID_4」인 아티스트 AT4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아티스트 링크 정보에서는, 아티스트 ID가 「AID_1」인 아티스트 AT1, 아티스트 ID가 「AID_2」인 아티스트 AT2, 및 아티스트 ID가 「AID_3」인 아티스트 AT3은, 서로 관련이 있다고 간주되고, 아티스트 ID가 「AID_2」인 아티스트 AT2와 아티스트 ID가 「AID_4」인 아티스트 AT4는, 서로 관련이 있다고 간주된다.
또한, 이 ALM 데이터베이스(71)에 등록되어 있는 아티스트에게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도 포함된다. 이것은, 도 9 이후에서 자세히 후술하지만,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편집이 가능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도 취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더욱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은, 도 4에 도시한 아티스트 그룹 ID와 아티스트 ID 외에, 또한, 오더 정보와 속성 정보도 갖고 있다.
오더 정보란, 예를 들면,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PC(1)와 비하여 데이터 기억 용량에 제한이 있는 PD(7)에 전송할 때나, 아티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아티스트를 배열하여 표시부(17)에 표시할 때에 참조되는 우선 순위이며, 유저의 조작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PD(7)에는, 아티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중, 상위 20의 우선 순위를 갖는 아티스트만의 정보가 전송된다.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속성 정보는, 아티스트 그룹에의 아티스트의 추가가 누구에 의해 이루어진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 A는, PC(1)의 유저에 의해 작성된 것을 나타내고, system이, 상세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에 의해 작성된 것을 나타내고, 또한, 유저 B는, 다른 PC(1)의 유저에 의해 작성된 것을 나타낸다. 오더 정보의 초기치에는, 이 속성 정보가 참조된다.
즉, 상세 메타 데이터보다도 유저의 소망을 우선시키기 위해서, 오더 정보의 초기치는,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유저 A(자신)>유저 B(친구)>system으로서, 유저가 작성한 것 쪽이,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된다.
도 5의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에는,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1」인 아티스트 그룹 AG1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ID가 「AID_1」인 아티스트 AT1에는, 오더 정보 「1」, 및 속성 정보 「유저 A」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1」인 아티스트 그룹 AG1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ID가 「AID_2」인 아티스트 AT2에는, 오더 정보 「2」, 및 속성 정보 「유저 B」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1」인 아티스트 그룹 AG1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ID가 「AID_3」인 아티스트 AT3에는, 오더 정보 「3」, 및 속성 정보 「system」이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즉,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1」인 아티스트 그룹 AG1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중, 아티스트 ID가 「AID_1」인 아티스트 AT1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고, 아티스트 ID가 「AID_3」인 아티스트 AT3의 우선 순위가 가장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 그룹 AG1에 아티스트 AT1이 포함된다고 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유저 A에 의해 작성되고, 아티스트 그룹 AG1에 아티스트 AT2가 포 함된다고 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유저 B에 의해 작성되고, 아티스트 그룹 AG1에 아티스트 AT3이 포함된다고 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system에 의해 작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아티스트 그룹 AG1의 경우를, 도 4의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1)의 속성 정보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상세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에 의해, 아티스트 그룹 AG1과, 아티스트 그룹 AG1에 아티스트 AT3이 포함된다고 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가 작성된 후에, PC(1)의 유저의 편집에 의해, 아티스트 그룹 AG1에 아티스트 AT1이 포함된다고 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추가되고,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다른 PC(1)의 유저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가 기재되는 파일을 취입하고, 그 정보가 머지된 것에 의해, 아티스트 그룹 AG1에 아티스트 AT2가 포함된다고 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추가되어 있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에는,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2」인 아티스트 그룹 AG2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ID가 「AID_2」인 아티스트 AT2에는, 오더 정보 「2」, 및 속성 정보 「유저 A」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2」인 아티스트 그룹 AG2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ID가 「AID_4」인 아티스트 AT4에는, 오더 정보 「1」, 및 속성 정보 「유저 A」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즉, 아티스트 그룹 ID가 「AGID_2」인 아티스트 그룹 AG2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중, 아티스트 ID가 「AID_4」인 아티스트 AT4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고, 아티스 트 ID가 「AID_2」인 아티스트 AT2의 우선 순위가 가장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 그룹 AG2에 아티스트 AT2가 포함된다고 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유저 A에 의해 작성되고, 아티스트 그룹 AG2에 아티스트 AT4가 포함된다고 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도, 유저 A에 의해 작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기억되는 콘텐츠 정보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콘텐츠 정보 테이블은, 콘텐츠(악곡)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ID, 콘텐츠명,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앨범명, 콘텐츠의 연주자 또는 제공자인 아티스트의 아티스트명, 콘텐츠가 속하는 장르의 장르명, 콘텐츠의 콘텐츠 파일명, 및 재생 완료 플래그 등의 콘텐츠의 속성의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재생 완료 플래그는, 콘텐츠를 랜덤하게 재생하는 셔플 재생 개시 시에는, 일단 0으로 리셋되고, 그 후, 재생이 선택된 콘텐츠의 재생 완료 플래그에 1을 설정함으로써, 1번 재생한 것을 반복하여 선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6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는, 콘텐츠 ID가 「TID_1」인 콘텐츠의 콘텐츠명이, 「Song1」이고, 앨범명이 「Album1」이고, 아티스트명이 「아티스트 AT1」이고, 장르명이 「Pops」이고, 콘텐츠 파일명이 「Song1.oma」이고, 재생 완료 플래그가 「0」이라고 하는 콘텐츠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콘텐츠 ID가 「TID_2」인 콘텐츠의 콘텐츠명이, 「Song2」이고, 앨범명이 「Album1」이고, 아티스트명이 「아티스트 AT1」이고, 장르명이 「Pops」이 고, 콘텐츠 파일명이 「Song2.oma」이고, 재생 완료 플래그가 「0」이라고 하는 콘텐츠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콘텐츠 ID가 「TID_3」인 콘텐츠의 콘텐츠명이, 「Song3」이고, 앨범명이 「Album2」이고, 아티스트명이 「아티스트 AT2」이고, 장르명이 「Rock」이고, 콘텐츠 파일명이 「Song3.oma」이고, 재생 완료 플래그가 「0」이라고 하는 콘텐츠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는, 콘텐츠 ID에 대응지어, 콘텐츠의 속도, 곡조, 리듬, 연대(발매 연월일), 랭킹 정보, 재생 횟수 이력, PD에의 전송 이력, 그리고, 플레이 리스트명 등의 플레이 리스트 등의 정보도 기억된다. 랭킹 정보로서는, 시장에서의 콘텐츠의 판매 랭킹, 콘텐츠 서버(3)를 이용하는 유저의 시청 랭킹 등이 있다.
또한, 콘텐츠가 영상의 콘텐츠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는, 프로그램명, 영화의 타이틀명, 및 연대(공개년) 등도 포함된다. 또한,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16)의 조작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그 콘텐츠의 레이팅(평가)의 평가치도,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콘텐츠 메타 데이터로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평가치의 작성은, 콘텐츠의 시청 전이나 콘텐츠를 시청한 후 등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1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PC(1)가 콘텐츠 서버(3)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로부터 상세 메타 데이터를 취득하고,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7)에는, 콘텐츠의 리스트 등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PC(1)의 조작 입력부(16)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지시함으로써, 콘텐츠 서버(3)에의 액세스를 요구한다.
PC(1)의 기본 GUI 제어부(57)는, 유저의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조작 입력부(16)를 통해서 입력받아,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에 공급한다. 스텝 S1에서,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는, 기본 GUI 제어부(57)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서, 네트워크 통신부(59)를 제어해서, 콘텐츠 서버(3)에 액세스시켜,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를 요구시킨다. 네트워크 통신부(59)는, 통신부(20)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콘텐츠 서버(3)에 액세스하여,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를 요구한다.
콘텐츠 서버(3)의 통신부(20)는, PC(1)로부터의 액세스를 받으면, 스텝 S11에서, CPU(11)의 제어 하에,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 미리 등록된 유저 ID(identification) 및 패스워드를 요구하기 위한 인증 화면 데이터를, 네트워크(2)를 통해서 송신한다.
PC(1)의 네트워크 통신부(59)는, 스텝 S2에서, 통신부(20)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콘텐츠 서버(3)로부터의 인증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증 화면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를 통해서, 기본 GUI 제어부(57)에 공급한다. 기본 GUI 제어부(57)는, 기본 표시 처리부(56)를 제어해서,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로부터의 인증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증 화면을, 표시부(17)에 표시시킨다. 유저는, 표시부(17)에 표시되는 인증 화면에 따라서, 조작 입력부(16)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기본 GUI 제어부(57)는, 유저의 조작에 대응하여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조작 입력부(16)를 통해서 입력받고, 입력된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에 공급한다.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는, 스텝 S3에서, 기본 GUI 제어부(57)로부터의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네트워크 통신부(59)를 제어해서, 콘텐츠 서버(3)에 송신시킨다. 네트워크 통신부(59)는, 통신부(20)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콘텐츠 서버(3)에 송신한다.
콘텐츠 서버(3)의 통신부(20)는, PC(1)로부터의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CPU(11)에 공급한다. CPU(11)는, 스텝 S12에서, 통신부(20)에 의해 수신된 유저 ID 및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PC(1)의 유저를 인증하고, 스텝 S13으로 진행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에 기억되어 있는 다종다양한 콘텐츠 중,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를, 통신부(20)를 제어해서, 네트워크(2)를 통해서 송신시킨다.
PC(1)의 네트워크 통신부(59)는, 스텝 S4에서, 통신부(20)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콘텐츠 서버(3)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에 공급하고, 콘텐츠 파일 기억부(73) 및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각각 기억시킨다. 즉,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는, 콘텐츠 데이터를, 파일로서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에 기억시키고, 콘텐츠 ID, 기억된 콘텐츠 파일명, 및 메타 데이터 등을, 콘텐츠 정보로서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한다. 여기에서,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된 콘텐츠의 정보는, 예를 들면, 마이라이브러리로서 화면에 표시된다.
스텝 S5에서,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는, 네트워크 통신부(59)를 제어해서,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에 액세스시켜, 콘텐츠 서버(3)로부터 취득한 콘텐츠의 상세 메타 데이터를 요구시킨다. 네트워크 통신부(59)는, 통신부(20)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에 액세스하여, PC(1)에 기억된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송신하고, 그 상세 메타 데이터를 요구한다.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의 통신부(20)는, PC(1)로부터의 액세스를 받으면, 스텝 S21에서, CPU(11)는, 유저를 인증한다. 이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를 처음으로 이용할 때는, 유저 등록이 행해진다. 따라서, CPU(11)는, PC(1)의 유저가 등록 완료의 유저인 경우에, PC(1)의 유저를 인증하고, 스텝 S22로 진행하여, 상세 메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6)에 기억되어 있는 다종다양한 콘텐츠의 상세 메타 데이터 중,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 ID의 상세 메타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상세 메타 데이터를, 통신부(20)를 제어해서, 네트워크(2)를 통해서 송신시킨다. 또한, 등록 완료의 유저가 아닌 경우, PC(1)의 유저에 대하여, 유저 등록을 구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6에서, PC(1)의 네트워크 통신부(59)는, 통신부(20)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로부터의 상세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세 메타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에 공급한다.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상세 메타 데이터를, 콘텐츠에 대응지어,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기억시킴과 함께,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에 공급시킨다.
스텝 S7에서,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로부터의 상세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ALM 데이터베이스(71)에 기억시킨다.
예를 들면, 상세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의 콘텐츠 ID, 장르 정보, 서브 장르 정보, 아티스트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세 메타 데이터는, 장르에 한하지 않고, 다른 메타 데이터(콘텐츠의 속도(Bpm)를 나타내는 「Tempo(템포)」, 콘텐츠의 곡조가 장조인지 단조인지를 나타내는 「Major(메이저)」, 콘텐츠의 리듬이 타주적(Percussive)인지 고요(Quiet)한지를 나타내는 「Rythm Ratio(리듬의 비율)」, 콘텐츠의 음역이 고음역(Hi)인지 저음역(Low)인지를 나타내는 「HiMid(고음역)」, 콘텐츠가 발표(발매)된 년을 나타내는 「연대」, 유저의 시청 랭킹을 나타내는 「Ranking(랭킹)」 등)를 더욱 자세하게 분류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콘텐츠를 해석한 해석 데이터 등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해석 데이터란, 콘텐츠의 속도(템포), 콘텐츠 전체의 곡조(메이저, 마이너), 콘텐츠의 리듬(타악기의 사용률) 등을 해석한 데이터의 것이다.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그 서브 장르를, 아티스트 그룹으로 하고, 아티스트 그룹 ID에 대응지어,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1)에 등록하고, 콘텐츠의 아티스트를, 아티스트 ID에 대응지어, 아티스트 일람 테이블(82)에 등록하고, 서브 장르인 아티스트 그룹에, 서브 장르로 분류되는 콘텐츠의 아티스트명이 포함되도록, 각각의 ID를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에 등록한다.
또한, 이미, 서브 장르가 아티스트 그룹으로서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등록 완료의 아티스트 그룹에, 서브 장르로 분류되는 콘텐츠의 아티스트가 추가된다.
이상과 같이, PC(1)에서는, 상세 메타 데이터 서버(5)로부터 취득된 상세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아티스트 링크 정보가, ALM 데이터베이스(71)에 기억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PC(1)가,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했을 때에 상세 메타 데이터를 취득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기동 시, 또는 소정의 시간 때마다,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를 검색하고, 상세 메타 데이터가 없는 것이 있으면, 취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1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PC(1)로부터, PD(7)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PD(7)에 있어서도, PC(1)와 마찬가지로, 도 3의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 내지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 및 기억부(19)에 구축되는 ALM 데이터베이스(71),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 콘텐츠 파일 기억부(73)가 구성된다.
PD(7)는, 도시하지 않은 USB 케이블을 통해서 PC(1)에 접속되어 있고, PC(1)의 표시부(17)에는, 예를 들면, PD(7)에의 전송을 지시하기 위한 전송 버튼 등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PC(1)의 조작 입력부(16)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전송 버튼을 눌러서, PD(7)에 전송할 콘텐츠를 선택한다.
PC(1)의 기본 GUI 제어부(57)는, 유저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조작 입력부(16)를 통해서 입력받고, PD 전송 제어부(60)에 공급한다. 스텝 S51에서, PD 전송 제어부(60)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기본 GUI 제어부(57)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서, 유저가 전송을 원하는 콘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ALM 데이터베이스(71),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 및 콘텐츠 파일 기억부(73)로부터 판독시킨다.
즉, PD 전송 제어부(60)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시킨다.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를 참조하여,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 정보(메타 데이터 등)를 판독하여, PD 전송 제어부(60)에 메타 데이터를 공급하고, 그 중의 콘텐츠 파일명으로부터,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을 판독하여, 그 데이터(콘텐츠 데이터)를 PD 전송 제어부(60)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플레이 리스트와 함께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 완료인 콘텐츠 데이터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의 PD 전송 이력을 확인함으로써, 전송 완료인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콘텐츠 데이터는 판독되지 않고, 플레이 리스트만이 전송되게 된다.
또한, PD 전송 제어부(60)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로부터 판독된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의 아티스트명에 대응지어진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ALM 데이터베이스(71)로부터 판독시킨다.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는, 아티스트 테이블(82) 및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 블(83)을 참조하여,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의 아티스트명의 아티스트 ID, 및 이것에 대응하는 아티스트 그룹 ID를 판독하고, 또한,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1)로부터, 아티스트 그룹 ID에 대응하는 아티스트 그룹명을 판독하고, 판독한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PD 전송 제어부(60)에 공급한다.
스텝 S52에서, PD 전송 제어부(60)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로부터 판독된 콘텐츠에 관한 데이터(콘텐츠 데이터, 메타 데이터, 및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PD 통신부(61)에 전송시킨다. 또한, 이 때, PD 전송 제어부(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중, 상위 20의 우선 순위를 갖는 아티스트만의 정보를 전송시킨다. 이것에 대응하여, PD 통신부(61)는, 유저가 전송을 원하는 콘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부(20) 및 USB 케이블을 통해서, PD(7)에 전송한다.
스텝 S61에서, PD(7)의 통신부(20)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PC(1)로부터의 콘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에 공급한다. 스텝 S62에서, PD(7)의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는, 콘텐츠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를, PD(7)의 콘텐츠 파일 기억부(73) 및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각각 기억하고,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PD(7)의 ALM 데이터베이스(71)에 기억한다.
즉,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는, 콘텐츠 데이터를, 파일로서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에 기억시키고, 콘텐츠 ID, 기억된 콘텐츠 파일명, 및 메타 데이터 등을, 콘텐츠 정보로서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하고, PC(1)로부터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ALM 데이터베이스(71)에 등록한다.
이상과 같이, PD(7)에 있어서도, 아티스트 링크 정보가 ALM 데이터베이스(71)에 기억된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하는 PC(1)에서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편집 처리 등은, PD(7)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도 9는, 표시부(17)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표시 화면은,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다른 표시 화면으로도 절환되는 영역과, 절환되는 일없이 기본 기능 표시 화면(202)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성되고, 도 9의 예에서, 다른 표시 화면으로도 절환되는 영역에는,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이 표시되어 있다. 즉, 기본 기능 표시 화면(202)은, 기본 표시 처리부(56)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고,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은,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다.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은, 크게 나누어,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 의해 구성된다. 배치로서는,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 아래에,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 및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의 상부에는,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으로부터, 재생을 행하기 위한 화면(예를 들면,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만의 화면)으로 표시를 복귀하기 위한 아티스트 링크 편집 종료 버튼(214)과, 하나 앞의 화면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되돌아가기 버튼(215)이 배치되어 있고,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과,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 및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의 사이에는,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과,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 및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과의 표시 비율을 변경하기 위한 스크립터 바(216)가 배치되어 있다.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 및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 행해진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편집은, 즉석에서,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의 표시에 반영된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서의, 유저의 선택 지시나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편집도, 즉석에서,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의 표시에 반영된다.
이하, 각 화면에 대하여 순차로 자세히 설명한다.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에는, 아티스트 일람 테이블(82)에 기억되어 있는 아티스트명의 일람(AT1 내지AT6)이 아티스트 아이콘과 함께 표시된다. 또한, 아티스트 AT5가 첨부된 아티스트 아이콘(이하, 아티스트 AT5의 아이콘이라고도 함)은, 다른 아티스트의 아이콘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아티스트 AT5의 콘텐츠의 데이터가,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에 기억되어 있지 않고, 콘텐츠의 정보가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아티스트 AT4의 아이콘 상에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커서(221)가 표시되어 있다.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 내의 하부에는, 아티스트 일람 테이블(82)에 신규 아티스트를 추가하기 위한 아티스트 추가 버튼(222), 아티스트 일람 테이블(82)로부터, 커서(221)에 의해 선택중인 아티스트를 삭제하기 위한 아티스트 삭제 버튼(223), 커서(221)에 의해 선택중인 아티스트를, 기점 아티스트로 하여, 그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 표시시키기 위한 아티스트 링 크 서치 버튼(224)이 배치되어 있다.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의 우측에는,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에 표시되는 아티스트명의 일람을 스크롤하기 위한 스크롤 바(225)가 구비되어 있다.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과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의 사이에는,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에서 커서(221)에 의해 선택중인 아티스트를,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 선택중인 아티스트 그룹에 추가하기 위한 아티스트 그룹 추가 버튼(231)이 배치되어 있다.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는,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1)에 기억되어 있는 아티스트 그룹(지금의 경우, 아티스트 그룹 AG2 및 AG3)의 일람이 폴더 아이콘과 함께 표시된다. 또한, 아티스트 그룹 AG2가 첨부된 폴더 아이콘(이하, 아티스트 그룹 AG2의 아이콘이라고도 함)은, 다른 아티스트 그룹의 아이콘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아티스트 그룹 AG2에 포함되는 아티스트가, 기점 아티스트로 되어, 그 아티스트 링크 정보가,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아티스트 그룹 AG2의 아이콘 상에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커서(241)가 표시되어 있다.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 있어서는, 디폴트에서는, 폴더 아이콘은 닫은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닫은 상태의 폴더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열린 상태의 폴더 아이콘이 표시됨과 함께,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정보가 참조되어, 열린 폴더 아이콘의 아래에, 그 폴더 아이콘 대응하는 아티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아티스트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아티스트 그룹 AG2 및 AG3의 폴더 아이콘이 모두 열리고, 각 아티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아티스트의 아이콘이,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에서의 오더 정보의 순으로 위에서부터 표시되어 있다.
도 9의 예의 경우, 아티스트 그룹 AG2의 폴더의 아래에는, 아티스트 그룹 AG2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AT2, AT3, 및 AT5의 아티스트 아이콘이 표시되고, 아티스트 그룹 AG3의 폴더의 아래에는, 아티스트 그룹 AG3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AT2, AT4, 및 AT5의 아티스트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아티스트 그룹 AG3의 이외에도 아티스트 그룹이 관리되고 있지만, 도 9의 예에서는, 표시 스페이스가 없으므로,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고, 예를 들면, 유저에게, 스크롤 바(246) 등이 조작됨으로써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 표시된다.
또한,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 유저의 조작 입력부(16)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의 조작에 따라서, 각 아티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아티스트의 순번을 변경함으로써,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서의 순번도 변경되고, 도 5의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이 대응하는 아티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아티스트의 우선 순위(오더 정보)를 교체할 수 있다.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 내의 하부에는,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1)에 신규 아티스트 그룹을 추가하기 위한 아티스트 그룹 추가 버튼(242),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1)로부터, 커서(241)에 의해 선택중인 아티스트 그룹을 삭제하기 위한, 혹은, 커서(241)에 의해 선택중인 아티스트를, 대응하는 아티스트 그룹으로부터 삭제하기 위한 삭제 버튼(243),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 일에 써내어진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취입하기 위한 취입 버튼(244), 및, 커서(241)에 의해 선택중의 적어도 1개의 아티스트 그룹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XML 파일에 써내기 위한 써내기 버튼(245)이 배치되어 있다.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의 우측에는,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 표시되는 아티스트 그룹의 일람을 스크롤하기 위한 스크롤 바(246)가 구비되어 있다.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는, 유저의 조작에 대응하여, 기점으로 되는 기점 아티스트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가, 트리 형식으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서는, 좌측에, 기점 아티스트를 나타내는 기점 아이콘(251)이 표시되고, 중앙에, 기점 아티스트가 포함되는 아티스트 그룹을 나타내는 폴더 아이콘(252-1 및 252-2)이 표시되고, 우측에, 기점 아티스트가 포함되는 아티스트 그룹 중, 포커스되어 있는 아티스트 그룹에 다른 포함되어 있는 관련 아티스트의 관련 아이콘(253-1 및 253-2)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기점 아이콘(251)과 폴더 아이콘(252-1 및 252-2)의 사이에는, 양자를 연결함으로써 링크를 나타내는 라인이 표시되고, 폴더 아이콘(252-1)과 관련 아이콘(253-1 및 253-2)의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라인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하, 폴더 아이콘(252-1 및 252-2)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간단히 폴더 아이콘(252)이라고 칭한다. 또한, 관련 아이콘(253-1 및 253-2)에 대해서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간단히 관련 아이콘(253)이라고 칭한다.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서는, 이와 같이, 아티스트 그룹도 표시됨으 로써, 유저는, 기점 아티스트와 관련 아티스트가 어떠한 이유(즉, 아티스트 그룹)로 관련되어 있는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기점 아티스트가 포함되는 아티스트 그룹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폴더 아이콘(252)도 복수 표시되고, 또한, 아티스트 그룹에 관련 아티스트가 복수 포함되는 경우에는, 관련 아이콘(253)도 복수 표시된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아티스트 AT2가 기점 아티스트로서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아티스트 AT2의 문자가 기점 아이콘(251)에 첨부되어 표시되어 있고, 아티스트 AT2가 포함되는 아티스트 그룹 AG2, AG3의 문자가 각각 폴더 아이콘(252-1 및 252-2)에 첨부되어 표시되어 있는데, 그 중, 포커스되어 있는 아티스트 그룹 AG2에 포함되는 다른 아티스트 AT3 및 AT5의 문자가 각각 관련 아이콘(253-1 및 253-2)에 첨부되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예의 경우, 관련 아이콘(253-2)에 첨부된 아티스트 AT5의 문자가 괄호로 둘러싸여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아티스트 AT5의 콘텐츠가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에 기억되어 있지 않고(즉,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그레이 아웃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에서, 유저의 조작 입력부(16)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의 조작에 의해, 아티스트 AT3의 아이콘이 선택된 다음에, 아티스트 링크 서치 버튼(224)이 눌러진 경우, 혹은,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서, 관련 아이콘(253-1)이 클릭된 경우에는, 그 관련 아이콘(253-1)이 나타내는 아티스트 AT3이 기점 아티스트로 되고, 기점 아티스트로 된 아티스트 AT3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가, ALM 데이터베이스(71)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 표시된다.
즉, 표시된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서는, 기점 아티스트로 된 아티스트 AT3의 문자가 기점 아이콘(251)에 첨부되어 표시되고, 아티스트 AT3이 포함되는 아티스트 그룹 AG2의 문자가 폴더 아이콘(352)에 첨부되어 표시되고, 포커스된 아티스트 그룹(이 경우, 아티스트 그룹 AG2)에 포함되는 다른 아티스트의 문자(이 경우, AT2와, 그레이 아웃된 AT5)가 관련 아이콘(253)에 첨부되어 표시된다.
이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 입력부(16)의 조작에 의해, 아티스트 그룹 AG3이 포커스된 경우,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는, 아티스트 그룹 AG3의 폴더 아이콘이,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의 가장 위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스크롤이 행해지고, 다른 아티스트 그룹의 아이콘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한편, 포커스로부터 떨어진 아티스트 그룹 AG2의 폴더 아이콘은, 다른 아티스트 그룹의 아이콘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서는, 유저의 조작 입력부(16)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의 조작에 의해, 기점 아이콘(251) 또는 관련 아이콘(253)이 선택(예를 들면, 더블 클릭)된 경우에는, 선택된 아이콘이 나타내는 아티스트의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된다. 이 때, 그 관련 아이콘(253)이 대응하는 아티스트가 기점 아티스트로 되고, 기점 아티스트로 된 아티스트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가, ALM 데이터베이스(71)에 기초하여 트리 표시된다.
또한, 더블 클릭된 아이콘이 나타내는 아티스트의 콘텐츠가 PC(1)에 기억되 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아이콘이 대응하는 아티스트(예를 들면, AT5)가 기점 아티스트로 되고, 기점 아티스트로 된 아티스트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도, ALM 데이터베이스(71)에 기초하여 트리 표시되지만, 재생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 있어서, 각 아티스트의 아이콘의 근방, 즉, 기점 아이콘(251)의 좌측 옆, 및 관련 아이콘(253-1 및 253-2)의 우측 옆에는, 각각, 기점 아이콘이나 관련 아이콘에 대응하는, 알파벳의 「m」이 첨부된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1 내지 261-3)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하,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1 내지 261-3)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간단히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이라고 칭한다.
이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에 관한 상세 내용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지만, 각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1 내지 261-3)이 각각 선택되면, 대응하는 아티스트명(AT2, AT3, 또는 AT5)에 관한 검색 요구가, 직접, 콘텐츠 서버(3)에 대하여 행해지고, 그 결과, 도 9에 있어서, 이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는, 선택된 아티스트명을 검색 키로 하여, 콘텐츠 서버(3)에서 아티스트가 검색된 결과가 표시되는 검색 결과 화면(301)(후술하는 도 17)이 표시된다.
또한, 선택된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에 대응하는 아티스트의 콘텐츠가,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에 기억되어 있어도 있지 않아도(즉,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되어 있어도 있지 않아도), 이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으로부터, 뮤직 사이트(이하, 콘텐츠 서버(3)를 나타냄)에 대하여, 직접, 아티스트의 검색 요구가 실행된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서의 폴더 아이콘(252)의 상하부에는, 기점 아티스트가 포함되는 다른 아티스트 그룹을 나타내는 폴더 아이콘에 표시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롤 버튼(271-1 및 271-2)이 각각 배치되어 있고, 관련 아티스트 아이콘(253)의 상하부에는, 다른 관련 아티스트를 나타내는 관련 아이콘에 표시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롤 버튼(272-1 및 272-2)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 입력부(16)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의 조작으로, 그 관련 아이콘의 순번을 교체하는 것에 의해, 도 5의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이 대응하는 아티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아티스트의 우선 순위(오더 정보)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기본 기능 표시 화면(202)은, 기본 표시 처리부(56)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며,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표시가 절환되는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 등에 대하여, 그 화면을 둘러싸도록, 항상 그 외측에 표시된다.
기본 기능 표시 화면(202)에는, 음량을 조정하기 위한 볼륨 버튼(281), 콘텐츠를 CD 등으로부터 취입하기(부호화하여 기록하기) 위한 취입 버튼(282), 콘텐츠나 플레이 리스트 등을 PD(7)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튼(283), 뮤직 사이트(즉, 콘텐츠 서버(3))에 액세스하기 위한 뮤직 사이트 버튼(284-1), 다른 유저와 콘텐츠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을 행하기 위하여 네트워크(2)를 통해서 외부의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뮤직 커뮤니티 버튼(284-2), 콘텐츠의 정지중에는 재생을 지시하고, 콘텐츠의 재생중에는 일시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재생 조작 버튼(285),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기 위한 정지 버튼(286),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대하여 1개 전의 콘 텐츠를 지시하기 위한 「전으로」 버튼(287),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대하여 1개 다음의 콘텐츠를 지시하기 위한 「다음으로」 버튼(288), 및, 재생중의 콘텐츠명 및 아티스트명이나 화상 등이 제시되는 제시부(289) 등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을 참조하면서 행해지는, PC(1)에서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편집 처리를, 도 10 내지 도 1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조작 입력부(16)를 조작하고, 아티스트 링크 편집을 지시하면,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7)에는, 도 9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유저는, 조작 입력부(16)를 조작함으로써, 커서(2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에서, 추가할 아티스트 AT4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 아티스트 AT4를 추가시키고자 하는 아티스트 그룹 AG2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그 후, 아티스트 그룹 추가 버튼(231)을 누른다.
스텝 S101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그룹에의 아티스트의 추가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아티스트 그룹 추가 버튼(231)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조작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면,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스텝 S101에서, 아티스트 그룹에의 아티스트의 추가가 지시되었다고 판정하고, 스텝 S102로 진행한다.
스텝 S102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를 제어해서,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편집을 행하게 한다. 즉,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선택중인 아티스트 그룹에, 선택중인 아티스트의 정보를 추가한다. 이 때,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에서는, 아티스트 그룹 AG2의 아티스트 그룹 ID에 대응지어, 아티스트 AT4의 아티스트 ID가 추가 등록된다. 이 아티스트 대응 링크 테이블(83)의 갱신 정보는,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에 공급된다.
스텝 S103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로부터의 아티스트 대응 링크 테이블(83)의 갱신 정보를,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에 공급한다.
스텝 S104에서,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는,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을 재묘화한다.
이에 의해,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는, 아티스트 그룹 AG2의 폴더의 아래에, 아티스트 AT2, AT3, AT5의 아티스트 아이콘에, 아티스트 AT4의 아티스트 아이콘이 추가되어 표시된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서는, 기점 아티스트인 아티스트 AT2가 포함되는 아티스트 그룹 AG2가 첨부된 폴더 아이콘(252-1)에 라인을 통해서, 아티스트 그룹 AG2에 포함되는 다른 아티스트인 아티스트 AT3 및 AT5의 문자가 첨부된 관련 아이콘(353-1 및 353-2)에, 도시하지 않은 아티스트 AT4의 관련 아이콘이 추가되어 표시된다.
또한, 지금의 경우, 추가된 아티스트가, 아티스트 그룹에서의 가장 낮은 오 더 정보가 설정되는 경우를 도시했지만, 가장 높은 오더순이나 중간 정도의 오더순을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아티스트 일람 화면(211) 및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 행해지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편집은,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에도 즉시 반영된다.
스텝 S101에서, 아티스트 그룹에의 아티스트의 추가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05로 진행한다.
스텝 S105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그룹으로부터의 아티스트의 삭제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9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 예를 들면, 아티스트 그룹 AG3에 포함되는 아티스트 AT4의 아이콘 상에 커서(241)를 표시시킨 상태(즉, 아티스트 AT4의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로, 유저가 조작 입력부(16)를 조작함으로써, 삭제 버튼(243)을 누른다.
삭제 버튼(243)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조작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면,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스텝 S105에서, 아티스트 그룹으로부터의 아티스트의 삭제가 지시되었다고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106로 진행한다.
스텝 S106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를 제어해서,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편집을 행하게 한다. 즉,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선택중인 아티스트 그룹으로부터, 선택중인 아티 스트의 정보를 삭제시킨다. 이 때,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에서는, 아티스트 그룹 AG3의 아티스트 그룹 ID와 아티스트 AT4의 아티스트 ID가 대응지어진 정보가 삭제된다. 이 아티스트 대응 링크 테이블(83)의 갱신 정보는,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에 공급된다.
스텝 S107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로부터의 아티스트 대응 링크 테이블(83)의 갱신 정보를,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에 공급한다.
스텝 S108에서,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는,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을 재묘화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17)에는, 아티스트 그룹 AG3의 링크(관련)로부터 아티스트 AT4가 해제된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과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이 표시된다.
또한, 스텝 S101에서, 아티스트 그룹에의 아티스트의 추가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되고, 또한, 스텝 S105에서, 아티스트 그룹으로부터의 아티스트의 삭제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4에서 행해진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재묘화는, 스텝 S108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재묘화와 동시에 행해진다.
스텝 S105에서, 아티스트 그룹으로부터의 아티스트의 삭제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11의 스텝 S109로 진행한다. 스텝 S109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신규 아티스트 그룹의 추가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 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9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 아티스트 그룹 추가 버튼(242)이 눌려지면,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의 제어 하에, 아티스트 그룹 리스트 표시 처리부(103)에 의해 명칭 미설정의 아티스트 그룹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유저가, 조작 입력부(16)를 구성하는 키보드 등으로 아티스트 그룹명(예를 들면, AG4)을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유저는 원하는 그룹명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음악 프로듀서가 프로듀스한 아티스트의 집합의 그룹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 프로젝트」라고 하는 아티스트 그룹명을 입력하거나, 발레 음악의 그룹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발레」라고 하는 아티스트 그룹명을 입력하는 등, 원하는 그룹명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원하는 그룹명의 신규 아티스트 그룹을 만들 수 있으므로, 그 아티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아티스트끼리 어떻게 관련을 갖는 것인지, 이유 부여를 행할 수 있다.
신규 아티스트 그룹(아티스트 그룹 AG4)의 추가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조작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면,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스텝 S109에서, 신규 아티스트 그룹의 추가가 지시되었다고 판정하고, 스텝 S1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0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를 제어해서,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2)의 편집을 행하게 한다. 즉,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2)에, 지시된 아티스트 그룹의 정보를 추가시킨다. 예를 들면, 이 때, 도 4의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2)에서는, 아티스트 그룹 AG4의 이름(AG4)과 아티스트 ID(예를 들면, AGID_4)가 추가된다. 또한, 지금의 경우, 아티스트 그룹 AG4에, 아티스트는 추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편집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2)의 갱신 정보는,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에 공급된다.
스텝 S111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로부터의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2)의 갱신 정보를,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에 공급한다.
스텝 S112에서,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는,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2)의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을 재묘화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17)에는, 도 9의 아티스트 그룹 AG2 및 AG3의 아이콘에, 또한 아티스트 그룹 AG4의 아이콘이 추가된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이 표시된다.
스텝 S109에서, 신규 아티스트 그룹의 추가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3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그룹의 삭제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9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 아티스트 그룹 AG3의 아이콘 상에 커서(241)를 표시시킨 상태(즉, 아티스트 그룹 AG3의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로, 유저가 조작 입력부(16)를 조작함으로써, 삭제 버튼(243)을 누른다.
삭제 버튼(243)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조작 입력부(16)로부터 입력 되면,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스텝 S113에서, 아티스트 그룹의 삭제가 지시되었다고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114로 진행한다.
스텝 S114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를 제어해서,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2)의 편집을 행하게 한다. 즉,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2)로부터, 선택중인 아티스트 그룹의 정보를 삭제시킨다. 예를 들면, 이 때, 도 4의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82)로부터, 아티스트 그룹 AG3의 이름(AG3)과 아티스트 그룹 ID(AGID_3)가 삭제된다.
또한, 스텝 S115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를 제어해서,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편집을 행하게 한다. 즉,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로부터, 선택중인 아티스트 그룹의 정보를 삭제시킨다. 예를 들면, 이 때, 도 4의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로부터, 아티스트 그룹 AG3의 아티스트 그룹 ID(AGID_3)에 대응하는 정보가 전부 삭제된다. 이들의 ALM 데이터베이스(71)의 갱신 정보는,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에 공급된다.
스텝 S116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로부터의 ALM 데이터베이스(71)의 갱신 정보를,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에 공급한다.
스텝 S117에서,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는, ALM 데이터베이스(71)의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을 재묘화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17)에는, 도 9의 아티스트 그룹 AG2 및 AG3의 아이콘 중, 아티스트 그룹 AG3의 아이콘이 삭제된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 및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로 이루어지는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이 표시된다.
또한, 스텝 S109에서, 신규 아티스트 그룹의 추가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되고, 또한, 스텝 S113에서, 아티스트 그룹의 삭제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12에서 행해진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재묘화는, 스텝 S117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재묘화와 동시에 행해진다.
스텝 S113에서, 아티스트 그룹의 삭제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12의 스텝 S118로 진행한다. 스텝 S118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써내기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9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 원하는 아티스트 그룹 AG2 및 AG3의 아이콘 상에 커서(241)를 표시시킨 상태(예를 들면, 아티스트 그룹 AG2 및 AG3의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로, 유저가 조작 입력부(16)를 조작함으로써, 써내기 버튼(245)을 누른다.
써내기 버튼(245)의 누름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조작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면,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스텝 S118에서,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써내기가 지시되었다고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119로 진행한다.
스텝 S119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를 제어해서, ALM 데이터베이스(71)로부터, 선택중인 아티스트 그룹의 아티 스트 링크 정보를 파일에 써내게 한다. 즉,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ALM 데이터베이스(71)로부터, 아티스트 그룹 AG2 및 AG3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예를 들면, XML 파일에 써내고, PC(1)의 기억부(19)에 기억시킨다. 또한, 파일 형식으로서는, XML 파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XML 파일로서 써내어지므로, 써내어진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다른 PC(1) 등에 전송시키고, 다른 PC(1)에서, 다음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취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스텝 S118에서,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써내기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2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0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취입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9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212)에서, 유저가 조작 입력부(16)를 조작함으로써, 취입 버튼(244)을 누른다.
이에 대응하여,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에 의해 파일 선택을 재촉하는 윈도우(자화면)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유저가, 조작 입력부(16)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으로 취입할 XML 파일을 선택한다.
XML 파일의 선택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스텝 S120에서, 파일의 취입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121로 진행한다.
스텝 S121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를 제어해서, 선택된 XML 파일에서, ALM 데이터베이스(71)를 갱신하는 편집을 행한다. 즉, ALM 편집 제어부(52)는, 선택된 XML 파일을 취입하고, XML 파일에 기술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와, 기존(ALM 데이터베이스(71))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머지한다. 즉,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54)를 제어해서, XML 파일에 기술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 중, 기존(ALM 데이터베이스(71))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에 없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예를 들면, 아티스트의 정보, 아티스트 그룹의 정보, 아티스트와 아티스트 그룹의 대응지음)를 추가한다. 이들 ALM 데이터베이스(71)의 갱신 정보는,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에 공급된다.
스텝 S122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로부터의 ALM 데이터베이스(71)의 갱신 정보를,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에 공급한다.
스텝 S123에서,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51)는,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에 의한 ALM 데이터베이스(71)의 편집에 대응하여,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을 재묘화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17)에는, 취입된 아티스트 링크 정보에 의해 추가된 아티스트나 아티스트 그룹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추가된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이 표시된다.
스텝 S120에서, 파일의 취입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스텝 S124로 진행한다. 스텝 S124에서,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아티스 트 링크 편집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유저가 조작 입력부(16)를 조작함으로써, 도 9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의 상부에 배치되는 아티스트 링크 편집 종료 버튼(214)을 누른다.
조작 입력부(16)를 이용한 아티스트 링크 편집 종료 버튼(214)의 누름에 대응하여,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스텝 S162에서, 아티스트 링크 편집의 종료가 지시되었다고 판정하고,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표시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편집은 종료된다.
또한, 스텝 S124에서, 아티스트 링크 편집의 종료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10의 스텝 S10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 편집 처리 중, 아티스트 그룹에의 아티스트의 추가 및 삭제, 아티스트 그룹의 추가 삭제, 아티스트 링크 정보의 써내기 및 취입을 대표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아티스트 일람 파일(81)에의 아티스트의 추가 및 삭제, 혹은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83)의 아티스트 그룹에서의 아티스트의 우선 순위를 교체 등, 그 밖의 편집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세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편집 가능함과 함께, 친구가 작성한 아티스트 링크 정보, 혹은,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등으로부터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취입할 수 있으므로,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에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아티스트의 정보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즉, 마이라이브러리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의 아티스트의 정보도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자신이 콘텐츠를 갖고 있지 않는 아티스트나, 자신이 모르는 아티스트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기점 아티스트나 관련 아티스트의 콘텐츠를 갖고 있어도 있지 않아도,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의 기점 아티스트나 관련 아티스트의 옆에 표시되는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을 조작함으로써, 다음에 설명한 바와 같이, 직접, 콘텐츠 서버(3)에 액세스하여, 대응하는 아티스트를 검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PC(1)에 표시되는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213)으로부터, 직접, 콘텐츠 서버(3)에 콘텐츠를 검색시키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부(17)에는,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의 제어에 의해, 도 9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이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조작 입력부(16)를 조작함으로써, 아티스트 AT5의 문자가 그레이 아웃되어 있는 관련 아이콘(253-2)의 우측 옆에 표시되어 있는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3)을 선택한다. 또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다른 아티스트(AT2가나 AT3)의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52)는,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3)의 선택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조작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면,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3)이 선택되었다고, 즉, 콘텐츠 서버(3)에서의 검색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하고, 스텝 S201에서,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53)를 제어해서, ALM 데이터베이스(71)로부터,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3)에 대응하는 아티스트명(지금의 경우, 아티스트 AT5)을 취득시켜,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에 공급시킨다.
스텝 S202에서,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는, 취득된 아티스트명의 검색 요구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아티스트명이 「XXXXXX」인 경우,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는, 콘텐츠 서버(3)에의 아티스트명 「XXXXXX」를 이용한 검색 요구 데이터로서, 도 14에 도시되는 검색 URL을 생성한다.
도 14에는, 아티스트명이 「XXXXXX」인 경우의 검색 URL 「http://music_site.jp/servlet/ArtistFinder?TEMPLATE-SS_ArtLnkSrch_Rslt.html&INTERVAL=30&Name_WORD=XXXXXX」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music_site.jp」는, 예를 들면, 콘텐츠 서버(3)의 URL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 검색 URL은, 콘텐츠 서버(3)에 대하여, 아티스트명 「XXXXXX」에 대한 검색을 요구하는 데이터이다.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는,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에, 생성한 검색 요구 데이터(즉, 검색 URL)를 공급하므로, 스텝 S203에서,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는, 네트워크 통신부(59)를 제어해서, 검색 요구 데이터를, 콘텐츠 서버(3)에 송신시킨다. 네트워크 통신부(59)는, 통신부(20)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검색 요구 데이터를, 콘텐츠 서버(3)에 송신한다.
콘텐츠 서버(3)의 통신부(20)는, 네트워크(2)를 통해서, PC(1)로부터의 검색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여, CPU(11)에 공급한다. CPU(11)는, 스텝 S221에서, 콘텐츠 서버(3)의 검색 요구 데이터에 기재된 아티스트명을 검색 키로 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에 기억되어 있는 다종다양한 콘텐츠의 아티스트명을 검색하고, 아티스트명에 대하여 검색한 검색 결과를, 통신부(20)를 제어해서, 네트워크(2)를 통해서 PC(1)에 송신시킨다.
PC(1)의 네트워크 통신부(59)는, 통신부(20)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콘텐츠 서버(3)로부터의 검색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검색 결과를,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에 공급한다.
도 15는, 아티스트명 「사카모토」로 검색한 경우의 검색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1행째의 <?xml version="1.0" encoding="Shift-jis"?>는, 이 검색 결과가, 버젼 1.0의 XML로 기술되어 있고, Shift-jis로 인코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2행째의 <search_result>와 36행째의 </search_result>는, 3행째 내지 35행째가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3행째의 <org_name_word> 사카모토 </org_name_word>는, 검색 키가 「사카모토」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4행째의 <all_count>5</all_count>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에 기억되어 있는 아티스트가 5개 히트했음을 나타내고 있다. 5행째의 <begin_index>1</begin_index>와, 6행째의 <end_index>5</end_index>는, 최초가 1건째이고, 최후가 5건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7행째의 <artist_count>5</artist_count>는, 아티스트가 5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8행째의 <page_count>1</page_count>는, 이 검색 결과의 기술이 1페이지뿐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9행째의 <item>과 35행째의 </item>은, 10행째 내지 34행째가 히트한 아이템(아티스트)마다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10행째의 <artist>와 14행째의 </artist>는, 11행째 내지 13행째에, 5건 중 1의 아티스트의 검색 결과가 기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11행째의 <url>http://music_site.jp/artist/80307744/70000417/</url>은, 콘텐츠 서버(3)에서의, 12행째의 아티스트의 페이지의 어드레스(URL)를 나타내고 있다. 12행째의 <art_name> 사카모토 하나코 </art_name>은, 「사카모토」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 히트한 아티스트의 이름이 「사카모토 하나코」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13행째의 <entry>12</entry>는, 콘텐츠 서버(3)에서의, 「사카모토 하나코」의 콘텐츠 수가 12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15행째의 <artist>와 19행째의 </artist>는, 16행째 내지 18행째에, 5건 중 1의 아티스트의 검색 결과가 기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16행째의 <url>http://music_site.jp/artist/80311316/VIA008957/</url>은, 콘텐츠 서버(3)에서의, 17행째의 아티스트의 페이지의 어드레스(URL)를 나타내고 있다. 17행째의 <art_name> 사카모토 타로 </art_name>은, 「사카모토」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 히트한 아티스트의 이름이 「사카모토 타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18행째의 <entry>8</entry>는, 콘텐츠 서버(3)에서의, 「사카모토 타로」의 콘텐츠 수가 8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20행째의 <artist>와 24행째의 </artist>는, 21행째 내지 23행째에, 5건 중 1의 아티스트의 검색 결과가 기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21행째의 <url>http://music_site.jp/artist/80312087/WMG4365/</url>은, 콘텐츠 서버(3)에서의, 22행째의 아티스트의 페이지의 어드레스(URL)를 나타내고 있다. 22행째의 <art_name> Mr.사카모토 </art_name>은, 「사카모토」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 히트한 아티스트의 이름이 「Mr. 사카모토」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23행째의 <entry>27</entry>는, 콘텐츠 서버(3)에서의, 「Mr. 사카모토」의 콘텐츠 수가 27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25행째의 <artist>와 29행째의 </artist>는, 26행째 내지 28행째에, 5건 중 1의 아티스트의 검색 결과가 기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26행째의 <url>http://music_site.jp/artist/80311556/UMLG00559/</url>은, 콘텐츠 서버(3)에서의, 27행째의 아티스트의 페이지의 어드레스(URL)를 나타내고 있다. 27행째의 <art_name> 사카모토 사카코</art_name>은, 「사카모토」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 히트한 아티스트의 이름이 「사카모토 사카코」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28행째의 <entry>241</entry>는, 콘텐츠 서버(3)에서의, 「사카모토 사카코」의 콘텐츠 수가 24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30행째의 <artist>와 34행째의 </artist>는, 31행째 내지 33행째에, 5건 중 1의 아티스트의 검색 결과가 기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31행째의 <url>http://music_site.jp/artist/80312032/EMI00271/</url>은, 콘텐츠 서버(3)에서의, 32행째의 아티스트의 페이지의 어드레스(URL)를 나타내고 있다. 32행째의 <art_name> 스즈키 모토와 사카모토 사카코</art_name>은, 「사카모토」를 이용하 여 검색한 결과 히트한 아티스트의 이름이 「스즈키 모토와 사카모토 사카코」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33행째의 <entry>12</entry>는, 콘텐츠 서버(3)에서의, 「스즈키 모토와 사카모토 사카코」의 콘텐츠 수가 12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기술된 XML 데이터가 검색 결과로서, 콘텐츠 서버(3)로부터 송신되어 온다.
도 13으로 되돌아가, 스텝 S204에서,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는, 이 검색 결과에 따라서, 표시처를 지정하는 표시 요구 데이터로서, 표시할 URL(이하, 표시처 URL이라고도 함)을 생성한다. 즉,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는, 도 15의 검색 결과에서의 4행째의 <all_count>5</all_count>에 기재된 숫자에 기초하여, 히트 건수가 몇 건인지를 판별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건 히트한 경우, 2건 이상 히트한 경우, 0건 히트한 경우에 따라서, 표시처 URL을 결정한다.
1건 히트한 경우, 예를 들면, 도 15의 검색 결과에 있어서, 「사카모토 하나코」밖에 히트하지 않은 경우, 도 15의 10행째의 <artist> 태그 중의 11행째의 URL(즉, 아티스트명 「사카모토 하나코」의 페이지의 URL)인 <url>http://music_site.jp/artist/80307744/70000417/</url>을, 그대로 추출하여, 표시처 URL로 한다.
2건 이상 히트한 경우, 재차, 아티스트명을 검색 키로 한 검색 URL(아티스트명이 「XXXXXX」인 경우, 「http://music_site.jp/servlet/ArtistFinder?TEMPLATE-ss_ArtLnkSrch_Rslt.html&INTERVAL=30&Name_WORD=XXXXXX」를, 표시처 URL로 한다. 또한, 도 15의 예는, 5건이므로, 이 경우에 대응한다.
또한, 0건 히트한 경우(즉, 1건도 히트하지 않은 경우)에도, 2건 이상 히트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차, 아티스트명을 검색 키로 한 검색 URL(아티스트명이 「XXXXXX」인 경우, 「http://music_site.jp/servlet/ArtistFinder?TEMPLATE-ss_ArtLnkSrch_Rslt.html&INTERVAL=30&Name_WORD=XXXXXX」를, 표시처 URL로 한다.
도 13으로 되돌아가,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55)는,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에, 결정한 표시처 URL을 공급하므로, 스텝 S205에서,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58)는, 통신 제어부(58)를 제어해서, 표시처 URL을, 콘텐츠 서버(3)에 송신시킨다. 네트워크 통신부(59)는, 통신부(20)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표시처 URL을, 콘텐츠 서버(3)에 송신한다.
콘텐츠 서버(3)의 통신부(20)는, 네트워크(2)를 통해서, PC(1)로부터의 표시처 URL을 수신하여, CPU(11)에 공급한다. CPU(11)는, 스텝 S222에서, 표시처 URL에 대응하는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화상 데이터나 html 데이터 등)를, 통신부(20)를 제어해서, 네트워크(2)를 통해서 PC(1)에 송신시킨다.
PC(1)의 네트워크 통신부(59)는, 통신부(20)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콘텐츠 서버(3)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기본 GUI 제어부(57)에 공급한다. 스텝 S206에서, 기본 GUI 제어부(57)는, 기본 표시 처리부(56)를 제어해서, 기본 기능 표시 화면(202)과 함께, 콘텐츠 서버(3)로부터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화면(301)을 표시부(17)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1건 히트한 경우에는, 도 17의 검색 결과 화면(301)이 표시부(17)에 표시되고, 2건 이상 히트한 경우에는, 도 18의 검색 결과 화 면(301)이 표시부(17)에 표시되고, 0건 히트한 경우에는, 도 19의 검색 결과 화면(301)이 표시부(17)에 표시된다.
도 17은, 표시부(17)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의 표시 화면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 17의 표시 화면에서의 다른 표시 화면으로도 절환되는 영역에는, 1건만(예를 들면, 도 15의 아티스트명 「사카모토 하나코」 1건만)이 히트한 경우의 콘텐츠 서버(3)가 제공하는 검색 결과 화면(301)이 표시되어 있다.
검색 결과 화면(301)의 최상부에는, 「뮤직 사이트」로서, 콘텐츠 서버(3)의 화면인 것을 명시하는 타이틀이 나타내어져 있다. 타이틀의 좌측 아래에는, 이전의 페이지로 되돌아가기 위한 되돌아가기 버튼(321), 다음의 페이지로 진행하기 위한 앞으로 가기 버튼(322), 표시를 그만두기 위한 중지 버튼(323), 표시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버튼(324), 표시를 설정되어 있는 홈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홈 버튼(32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아래에는, 뮤직 사이트에서의 사용 툴이 표시되어 있는 툴바(311)가 배치되어 있다. 툴바(311)에는, 구입할 콘텐츠 등을 일시 확보해 두기 위한 「카트 툴」, 뮤직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로그인 툴」, 구입할 콘텐츠를 간단히 결제하기 위해서 등록을 행하는 「간단 결제 등록 툴」, 및 「헬프 툴」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이들 툴을 선택함으로써, 표시는, 각 툴을 사용하기 위한 페이지로 이동한다.
툴바(311)의 아래에는, 콘텐츠를 카테고리별로 표시하기 위한 각 태그로 구 성되어 있는 카테고리 바(312)가 배치되어 있다. 카테고리 바(312)에는, 좌측으로부터, 최초의 페이지로 되돌아가기 위한 「홈」, 50음별로 콘텐츠를 표시하는 「50음 서치」, 방악의 콘텐츠만을 표시하는 「방악」, 양악의 콘텐츠만을 표시하는 「양악」, 애니메이션 노래의 콘텐츠만을 표시하는 「애니메이션」, 임의의 특집으로 픽업된 콘텐츠만을 표시하는 「특집」의 태그가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이들 태그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카테고리마다, 콘텐츠를 표시시킬 수 있다.
카테고리 바(312)의 아래에는, 검색 바(313)가 배치되어 있다. 검색 바(313)에는, 문자 입력 스페이스, 문자 입력 스페이스에 입력된 단어를 아티스트명으로 하여 검색하는 「아티스트명 검색 버튼」, 문자 입력 스페이스에 입력된 단어를 앨범명으로 하여 검색하는 「앨범명 검색 버튼」, 문자 입력 스페이스에 입력된 단어를 곡명으로 하여 검색하는 「곡명 검색 버튼」, 문자 입력 스페이스에 입력된 단어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하는 키워드 검색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문자 입력 스페이스에 단어를 입력하고, 원하는 검색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항목의 검색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 바(313)의 아래에는, 장르 검색이나 튜토리얼, 네트 캐쉬나 뮤직 쿠폰의 사용 방법, 콘텐츠 서버(3)에서의 악곡 랭킹 등이 표시되는 메뉴 표시부(314)와,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으로부터 지시된 아티스트명에 대한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검색 결과 표시부(31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검색 결과 화면(301)의 우측에는, 검색 결과 화면(301)을 스크롤 표시하기 위한 스크롤 바(316)가 배치되어 있다.
도 17의 예에서는, 1건만이 히트된 경우의 검색 결과 표시부(315)가 도시되어 있고, 검색 결과 표시부(315)에는, 도 15의 <url>http://music_site.jp/artist/80307744/70000417/</url>이 나타내는 아티스트명 「사카모토 하나코」의 페이지가 표시되어 있다.
즉, 검색 결과 표시부(315)에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대표 앨범의 화상, 장르 정보, 다른 추천 정보와 상세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는 「사카모토 하나코」의 아티스트 정보, 「사카모토 하나코」의 앨범 및 싱글 리스트, 및 「사카모토 하나코」의 콘텐츠의 오늘의 랭킹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밑줄이 표시되는 각 문자는, 각 문자가 선택됨으로써, 각 문자에 관한 정보가 자세히 표시되는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링크가 붙여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유저가 선택한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에 대응하는 아티스트의 페이지가 표시되므로, 유저는, 수고를 들이는 일없이, 원하는 아티스트의 콘텐츠를 확인하거나, 그 콘텐츠를 구입할 수 있다.
도 18은, 표시부(17)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의 표시 화면에서의 다른 표시 화면으로도 절환되는 영역에는, 도 15의 예의 5건이 히트한 경우의 검색 결과 화면(301)이 표시되어 있다.
도 18의 예에서는, 검색 결과 표시부(315)에는, 「사카모토」에서 검색한 아티스트 서치 결과(5건 중 1 내지 5건)가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사카모토 하나코 12곡」, 「사카모토 타로 8곡」, 「Mr.사카모토 27곡」, 「사카모토 사카코 241곡」, 「스즈키 모토와 사카모토 사카코 12곡」으로 서, 아티스트명과 그 아티스트의 콘텐츠 수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각 아티스트명에는, 밑줄이 표시되어 있으며, 각 아티스트명을 선택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각 아티스트의 페이지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도록 링크가 붙여져 있다.
따라서, 검색된 복수의 아티스트 중, 원하는 아티스트명을 선택함으로써, 도 1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아티스트의 페이지가 표시되므로, 유저는, 수고를 들이는 일없이, 원하는 아티스트의 콘텐츠를 확인하거나, 그 콘텐츠를 구입할 수 있다.
도 19는, 표시부(17)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의 표시 화면에서의, 다른 표시 화면으로도 절환되는 영역에는, 0건이 히트한, 즉, 1건도 히트하지 않은 경우의 검색 결과 화면(301)이 표시되어 있다.
도 19의 예에서는, 검색 결과 표시부(315)에는, 아티스트명 「아아아」로 검색한 아티스트 서치 결과로서, 「아아아 찾지 못했습니다」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는, 원하는 아티스트가 콘텐츠 서버(3)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예를 들면, 되돌아가기 버튼(321) 등을 조작함으로써, 도 9의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으로 표시를 복귀시켜, 다른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등, 즉시 다른 조작을 행하며,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에 있어서, 기점 아티스트나 관련 아티스트의 아이콘의 근방에, 각 아티스트에 대응하는 뮤직 사이트 아이콘을 설정하고, 뮤직 사이트 아이콘을 선택(클릭)하는 것만으로, 대응하는 아티스트명에 대한 검색을 콘텐츠 서버(3)에 대하여 요구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유저는, 수고를 들이는 일없이, 뮤직 사이트 아이콘을 선택한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기점 아티스트나 관련 아티스트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거나, 또한, 원하는 경우에는, 기점 아티스트나 관련 아티스트의 콘텐츠 등을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에 아이콘이 표시되는 기점 아티스트나 관련 아티스트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친구 등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파일 기억부(73)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의 아티스트인 경우도 있다. 즉, 유저는,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201)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보고, 처음으로 안 아티스트에 관한 정보를, 알고 싶다고 생각한 그 때에, 콘텐츠 서버(3)에서 검색할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에는, 그 아티스트의 콘텐츠를 구입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소지하고 있지 않은 콘텐츠의 구입을 재촉하여, 콘텐츠의 판매 촉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기점 아티스트나 관련 아티스트의 아이콘의 옆에, 뮤직 사이트 아이콘을 배치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아티스트 그룹의 폴더 아이콘의 옆에 뮤직 사이트 아이콘을 배치시키고, 콘텐츠 서버(3)에 대하여, 아티스트 그룹명에 의한 검색을 요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콘텐츠의 아티스트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화면에 표시시키는 예를 설명했지만, 콘텐츠의 아티스트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에만 한하지 않고, 관련 사이의 이유를 가시화하는 트리 표시에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기점 콘텐츠, 기점 콘텐츠가 포함되는 카테고리 그룹, 카테고리 그룹에 다른 포함되는 관련 콘텐츠 등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각 콘텐츠에 대응지어, 뮤직 사이트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하고, 뮤직 사이트 아이콘(261)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콘텐츠 서버(3)에서 대응하는 콘텐츠명에 의한 검색이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유저는, 원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콘텐츠 서버(3)에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점 아티스트의 아티스트 링크 정보를 트리 형식으로 표시하는 아티스트 링크 맵 프리뷰 화면(211)에 있어서, 기점 아티스트와 관련 아티스트의 사이에, 그 관련을 나타내는 아티스트 그룹을 표시시키도록 했지만, 아티스트 그룹의 표시는, 반드시, 기점 아티스트와 관련 아티스트의 사이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점 아티스트의 우측 옆에, 관련 아티스트를 배열시키고, 그 우측 옆에 아티스트 그룹을 표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동화상이나 음악 콘텐츠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동화상이나 음악에 한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등의 콘텐츠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도 2의 PC(1) 등의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PC(1)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휴대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인 PD(7)나, 휴대 전화기, 그 밖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기기나, AV(Audio Visual) 기기 등의 재생 장치, 기록 재생 장치나 가전(가정용 전 화 제품) 등의 CE(Consumer Electronics) 기기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아티스트를 이용한 검색 요구를, 악곡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3)에 송신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아티스트를 이용한 검색 요구는, 콘텐츠 서버(3)에 한하지 않고, 아티스트명을 검색 키로서 검색하는 서버이면, 다른 서버에 대해서도 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 자기 디스크(MD(Mini-Disk)(상표)를 포함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22)와 같은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유저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12)이나, 기억부(19)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로우차트에 도시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PC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PC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3의 ALM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3의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도 1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아티스트 링크 정보 편집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아티스트 링크 정보 편집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아티스트 링크 정보 편집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도 1의 PC가, 직접, 콘텐츠 서버에 콘텐츠를 검색시키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검색 URL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서버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검색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검색 결과에 따라서 결정되는 표시 URL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검색 결과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검색 결과 화면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검색 결과 화면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퍼스널 컴퓨터
3: 콘텐츠 서버
16: 조작 입력부
17: 표시부
51: 아티스트 링크 표시 처리부
52: 아티스트 링크 GUI 제어부
53: 아티스트 링크 처리 제어부
54: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처리부
55: 아티스트 검색 제어부
56: 기본 표시 처리부
57: 기본 GUI 제어부
58: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
59: 네트워크 통신부
71: ALM 데이터베이스
72: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73: 콘텐츠 파일 기억부
81: 아티스트 일람 테이블
82: 아티스트 그룹 일람 테이블
83: 아티스트 링크 대응 테이블
201: 아티스트 링크 맵 편집 화면
202: 기본 기능 표시 화면
211: 아티스트 일람 화면
212: 아티스트 그룹 일람 화면
213: 아티스트 링크 트리 화면
261-1 내지 261-3: 뮤직 사이트 아이콘
311: 검색 결과 화면

Claims (7)

  1. 콘텐츠의 소정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와, 상기 속성을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선택된 속성의 정보, 및 상기 속성에 대응지어진 카테고리의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속성과 동일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지어진 속성인 관련 속성의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마다 나누어,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1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속성을 이용한 검색을, 정보 제공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수단
    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수단에 의한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검색 결과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2 표시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수단은, 상기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을 이용한 검색을, 정보 제공 장치에 요구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련 속성의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련 속성의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
  6. 콘텐츠의 소정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와, 상기 속성을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선택된 속성의 정보, 및 상기 속성에 대응지어진 카테고리의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속성과 동일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지어진 속성인 관련 속성의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마다 나누어,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속성을 이용한 검색을, 정보 제공 장치에 요구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7. 콘텐츠의 소정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와, 상기 속성을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선택된 속성의 정보, 및 상기 속성에 대응지어진 카테고리의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속성과 동일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지어진 속성인 관련 속성의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마다 나누어,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관련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속성을 이용한 검색을, 정보 제공 장치에 요구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070083521A 2006-08-21 2007-08-20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80017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23893A JP2008047017A (ja) 2006-08-21 2006-08-21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6-00223893 2006-08-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273A true KR20080017273A (ko) 2008-02-26

Family

ID=3910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521A KR20080017273A (ko) 2006-08-21 2007-08-20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6) US8683335B2 (ko)
JP (1) JP2008047017A (ko)
KR (1) KR20080017273A (ko)
CN (1) CN10055268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4910B2 (en) 2006-05-09 2014-04-08 Sonos, Inc. User interface to enable users to scroll through a large list of items
US9075509B2 (en) 2006-05-18 2015-07-07 Sonos, Inc. User interface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on a selected item in a list
EP2075749A4 (en) * 2006-10-16 2010-08-04 Fujitsu Lt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1672454B1 (ko) * 2009-10-30 2016-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트 이용 이력에 기반한 네트워크 컨텐트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장치
EP2599530A4 (en) * 2010-07-26 2014-05-14 Square Enix Co Ltd SERVER, GAME DEVICE AND PROGRAM EXECUTED BY THE SERVER
KR101810403B1 (ko) * 2011-05-13 2017-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318481A1 (en) * 2012-05-25 2013-11-28 Seshatalpasai Madala Configuring user interface element labels
US10055491B2 (en) 2012-12-04 2018-08-21 Sonos, Inc. Media content search based on metadata
US9953179B2 (en) 2013-05-29 2018-04-24 Sonos, Inc. Private queue indicator
US10095785B2 (en) 2013-09-30 2018-10-09 Sonos, Inc. Audio content search in a media playback system
US10028028B2 (en) 2013-09-30 2018-07-17 Sonos, Inc. Accessing last-browsed information in a media playback system
US9372610B2 (en) 2014-02-21 2016-06-21 Sonos, Inc. Media system controller interface
USD772918S1 (en) 2014-03-07 2016-11-29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5649S1 (en) 2014-03-07 2017-05-02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2420S1 (en) 2014-03-07 2017-07-18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92118B2 (en) 2014-03-18 2018-02-13 Sonos, Inc. Dynamic display of filter criteria
USD775632S1 (en) * 2014-03-07 2017-01-03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6266S1 (en) 2014-03-07 2017-05-09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524339B2 (en) 2014-07-30 2016-12-20 Sonos, Inc. Contextual indexing of media items
WO2016122668A1 (en) * 2015-01-30 2016-08-0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ultiple user data storage and separation
JP6386512B2 (ja) * 2016-10-28 2018-09-0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WO2018163906A1 (ja) * 2017-03-06 2018-09-13 株式会社ミックウェア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D854043S1 (en) 2017-09-29 2019-07-16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858224A (zh) * 2018-08-15 2020-03-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数字内容管理系统及方法、电子装置
USD963685S1 (en) 2018-12-06 2022-09-13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edia playback control
CN110888572A (zh) * 2019-10-31 2020-03-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消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49209B2 (en) * 1998-12-03 2002-06-20 Rovi Guid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related-program search feature
US6760721B1 (en) * 2000-04-14 2004-07-06 Real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metadata data
JP4644925B2 (ja) * 2000-10-12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EP1209581A3 (en) * 2000-11-27 2004-05-26 Yamaha Corporatio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using network
DE60143677D1 (de) * 2001-05-25 2011-01-27 Endeca Technologies Inc Hierarchisches datengesteuertes navigationssystem und verfahren für informationswiderauffindung
US20050198559A1 (en) * 2004-03-08 2005-09-08 Kabushiki Kaisha Toshiba Docu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ocumen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and docum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N1797578A (zh) * 2004-12-30 2006-07-05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根据不同属性进行书签分类储存和显示的方法
JP4656428B2 (ja) 2006-04-26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462175B2 (en) 2006-04-26 2013-06-11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7294036A (ja) 2006-04-26 2007-11-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70255705A1 (en) 2006-04-28 2007-11-01 Caterpillar Inc. Method of evaluating document con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49420A1 (en) 2014-05-29
US20160350417A1 (en) 2016-12-01
US8954855B2 (en) 2015-02-10
US20170293692A1 (en) 2017-10-12
US20080046397A1 (en) 2008-02-21
US8683335B2 (en) 2014-03-25
US20160085847A1 (en) 2016-03-24
US9652533B2 (en) 2017-05-16
US10621254B2 (en) 2020-04-14
CN100552681C (zh) 2009-10-21
US9268847B2 (en) 2016-02-23
US9443003B2 (en) 2016-09-13
JP2008047017A (ja) 2008-02-28
CN101131700A (zh) 2008-02-27
US20150106716A1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7273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US846217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656428B2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295934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JP2007036830A (ja) 動画管理システム、動画管理方法、クライアント、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6016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生成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67072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165249B2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06555B1 (ja) 複数の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可能な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JP433783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88967A (ja) コンテンツ供給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端末
JP6234080B2 (ja) 複数の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可能な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JP2002108909A (ja) 情報提供管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7058306A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JP2007280442A (ja) 情報再生装置、リスト作成方法、リスト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632109B2 (ja) 複数の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可能な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JP2002014976A (ja) 作品検索装置、作品検索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
JP2003280672A (ja) 著作物出力方法、通信システム、記録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1191518A (ja) 曲再生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