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450A -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450A
KR20080016450A KR1020070074180A KR20070074180A KR20080016450A KR 20080016450 A KR20080016450 A KR 20080016450A KR 1020070074180 A KR1020070074180 A KR 1020070074180A KR 20070074180 A KR20070074180 A KR 20070074180A KR 20080016450 A KR20080016450 A KR 20080016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wireless connection
parameter
modified
end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948B1 (ko
Inventor
웨이-펭 첸
첸시 주
조나단 알. 아그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은 제1 채널을 사용하는 기지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제2 채널을 사용하는 종단점에 대해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종단점에 대한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명은 또한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수정될 것임을 종단점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을,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도록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접속 확립, 수정 요청 메시지, 무선 접속 파라미터, 중계국, 기지국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CONNECTION PARAMETERS IN A WIRELESS NETWORK}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6년 8월 18일에 출원되었으며 발명이 명칭이 "MANAGING A WIRELESS NETWORK"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60/822,861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네트워크 서비스 및 VoIP(Voice over IP) 제품이 계속적으로 성장 및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기능성에 대한 요구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여러 기지국,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또는 컨택트 포인트를 이용하는 네트워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의 최신 기술은 802.16이며 이는 WiMAX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WiMAX는 광대역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며 큰 규모의 영역(이론적으로는 31마일까지)에 대한 적용범위를 제공하는 하나의 기지국을 갖는다. 그 밖의 다른 무선 네트워킹 기술로는, 3G(Third Generation),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및 일반적으로 WiFi로 알려진 802.11을 들 수 있다.
WiMAX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의 이점을 활용하기 위한 종단점의 능력은 충분히 강한 신호를 찾아내고 그 신호를 록(lock)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 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가 간섭을 받는 영역(예를 들어, 터널 또는 빌딩 내에서 두 개의 기지국의 적용범위가 중첩되는 영역에서, 그 범위의 에지)에서 종종 어려울 수 있다. 가능한 해결책 중 하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며, 다른 해결책은 추가적인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운영 비용이 증가하고 백홀 링크(backhaul link)에 대한 액세스가 제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해결책으로서는, 802.16 규격의 일부로서 802.16j 중계 워킹 그룹(Relay Working Group)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 802.16j가 있다. 802.16j는, WiMAX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및/또는 스루풋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계국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중계국은 기지국 및 종단점 양쪽 모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백홀 링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유형의 네트워크는, 종단점과 하드와이어 접속 간에 두 개 이상의 무선 접속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멀티홉 네트워크로 칭해질 수 있다.
기지국 및 종단점 양쪽 모두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은, 중계국이 송수신해야 하는 데이터량을 증가시킨다는 점은 명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계 국은 무선 접속을 이용하여 종단점과 기지국 간에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전송하는 양쪽 일을 수행한다. 무선 네트워크 내의 중계국은 종종 하나의 채널만을 이용하여 종단점과 그 밖의 중계국 및 기지국 양쪽 모두에 통신 관련 니즈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채널의 용량은 유한하며 일부 상황에서는 특정 중계국의 셀 내에서의 트래픽 수요를 지원하기에 불충분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이전의 방법 및 시스템과 연관된 불이익 및 문제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실질적으로 제거하거나 감소시킨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방법은 제1 채널을 사용하는 기지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제2 채널을 사용하는 종단점에 대해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종단점에 대한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수정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수정될 것임을 종단점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방법은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을,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도록 수정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또한 요청된 수정이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 행해질 것임을 나타내는 긍정 응답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및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또한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종단점에 전달하고 종단점에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종단점이 수정된 제2 무선 접속을 이용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수정된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종단점에 대한 접속을 확립함에 있어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접속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방법은,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중계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중계국은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종단점에 대해 제2 무선 접속이 확립된다. 본 방법은 또한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수정 트리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중계국에, 중계국이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도록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을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중계국은 제1 아이덴티티와 연관될 수 있다. 본 방법은 또한,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 요청된 수정이 행해질 것임을 나타내는 긍정 응답을 수신함에 의해, 중계국에 대한 제2 아 이덴티티를 생성하고 중계국에 대한 제2 아이덴티티 및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접속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시스템은 제1 채널을 사용하는 기지국에 대한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채널을 사용하는 종단점에 대한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동작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는 또한,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종단점에 대한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인터페이스는 또한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수정될 것임을 종단점에 통지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 시스템은 또한 인터페이스에 결합되고,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을,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게끔 수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시스템은,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중계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중계국은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종단점에 대해 제2 무선 접속이 확립된다. 본 시스템은 또한,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수정 트리거를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는 또한, 제1 채널을 이 용하는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중계국이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하게끔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을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중계국에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특정 실시예들의 기술적 이점들은, 종단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변경할 필요없이 기지국이 종단점과 중계국 간의 무선 접속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게 해주는 점을 포함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는 임의의 종단점을 갱신할 필요없이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갱신될 수 있다. 기지국이 무선 접속 파라미터들을 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또한 무선 자원의 할당시에 보다 높은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기술적 이점들은 이하의 도면,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특정 이점들을 열거하였지만, 여러 실시예들은 이 열거된 이점들의 모두 또는 일부를 포함하거나 이들을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 및 이들의 이점을 보다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1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각종 통신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네트워크들(11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네트워크(110)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네트워크들과 결합하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설계된 각종 통신 네트워크 중 임의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10)는 인터넷 액세스, 온라인 게이밍, 파일 공유, P2P(peer-to-peer) 파일 공유, VoIP 호출,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그 밖의 임의의 유형의 기능의 이용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네트워크(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각종 프로토콜 중 임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자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10a)는 WiMAX로 일반적으로 공지된 802.16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120))과 중계국(예를 들면, 중계국(130))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10a)는 802.16j를 구현함으로써 중계국(130)을 이용할 수 있게 해 줄 수 있다. 중계국을 이용하는 WiMAX 네트워크는 이동 멀티홉 중계(MMR : mobile multihop relay) 네트워크로 칭해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기지국(120)은 무선 접속(150)의 파라미터들을 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단점들(140a-140d)의 트래픽 수요가 변동됨에 따라, 기지국(120)은 각 무선 접속의 주파수, 프레임 지속기간 및/또는 대역폭을 조정하여서 무선 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혹은 환경 변화에 따라 무선 접속(150)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데에 있어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동적인 자원 재활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접속(150)의 파라미터들은 특정 종단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접속(150)의 파라미터들을 수정하는 것은, 종단점이 중계국 또는 기지 국과 통신하는 방식을 수정하지 않고도 행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4개의 네트워크들(110a-110d)을 포함하지만,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웹페이지, 이메일, 텍스트 채팅, VoIP, 및 인스턴트 메시징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포함하여 신호, 데이터 및/또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정의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네트워크의 범주, 크기 및/또는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110a-110d) 중 임의의 하나가 LAN, WAN, MAN, PSTN, WiMAX 네트워크,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과 같은 글로벌 분산 네트워크, 또는 그 밖의 임의의 형태의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킹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110a, 110c, 110d)는 종단점(140) 및/또는 노드(170) 간의 패킷, 셀, 프레임, 또는 그 밖의 다른 정보 부분(본원에서는 전반적으로 패킷이라 칭함)의 통신을 제공한다. 네트워크(110)는, 유선 링크(160), 무선 접속(150), 노드(170) 및/또는 종단점(140) 중 임의의 갯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 및 간략함을 위해, 네트워크(110a)는 WiMAX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MAN이며, 네트워크(110b)는 PSTN이며, 네트워크(110c)는 LAN이며, 네트워크(110d)는 WAN인 것으로 한다.
네트워크(110a, 110c, 110d)는 IP 네트워크일 수 있다. IP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만들고 각 패킷을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를 따라 선택된 목적지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를 전송한다. 네트워크(110b)는 교환국, 중앙국, 이동 전화 교환국, 페이저 교환국, 원격 단말기, 및 전세계에 걸쳐 위치해 있는 그 밖의 다른 관련 원격 통신 장비를 포함할 수 있는 PSTN이다. 네트워크(110d)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네트워크(110b)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110b 또는 110d)의 일부일 수 있다(예를 들면, 노드(170e 또는 170c)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PSTN(110d)이 네트워크(110a, 110c, 110d) 등의 PSTN이 아닌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네트워크(110a, 110c 및/또는 110d) 중 어떠한 네트워크라도 인터넷(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포함하여 다른 IP 네트워크에 결합될 수 있다. IP 네트워크는 데이터 전송에 있어 공통의 방법을 공유하기 때문에, 서로 다르지만 상호접속된 IP 네트워크 상에 위치한 디바이스들 간에 신호들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IP 네트워크에 결합되는 것 외에도, 게이트웨이와 같은 구성요소 또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10a, 110c 및/또는 110d) 중 어떠한 네트워크라도 논(non)-IP 네트워크에 또한 결합될 수 있다.
네트워크(110)는 복수의 유선 링크(160), 무선 접속(150), 및 노드(170)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유선 링크(160), 무선 접속(150), 및 노드(170)를 통해 여러 네트워크를 접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단점들(140)을 서로 상호접속시키고 임의의 네트워크(110)에 혹은 그 일부에 결합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종단점들(140)에 접속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110a-110d)의 상호접속으로 인해, 종단점들(140)이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시그널링을 제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임의의 중간 컴포넌트들 또는 디바이스들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신호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단점들(140)의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110a-110d)에 결합된 각 네트워크 컴포넌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접속(150)은 예를 들어 WiMAX를 이용하여 두 개의 컴포넌트들 간에 무선 접속을 행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WiMAX 기지국 및/또는 중계국의 확장된 범위로 인해 네트워크(110a)가 비교적 적은 수의 유선 링크를 이용하여 MAN과 연관된 더 큰 규모의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도시 주위에 기지국(120)과 여러 중계국(130)을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여러 중계국(130)은 대도시 전역에서 무선 접속(150)을 이용하여 기지국(120) 및 무선 종단점(140)과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120)은 유선 접속(160a)을 통해 다른 기지국들,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없는 네트워크 컴포넌트들, 및/또는 네트워크(110d) 또는 인터넷 등의, MAN 외의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노드(170)는 네트워크 컴포넌트, 세션 경계 제어기, 게이트키퍼, 기지국, 컨퍼런스 브리지, 라우터, 허브, 스위치, 게이트웨이, 종단점, 또는 통신 시스템(100)에서 패킷의 교환을 허용하는 임의의 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임의의 기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내장 로직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드(170a)는 링크(160j)를 통해 기지국(120)에 유선 접속되고 링크(160a)를 통해 네트워크(110d)에 유선 접속되는 다른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서, 노드(170a)는 각종 기타 기지국, 중계국, 및/또는 종단점과의 몇몇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노드(170e)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110b), 즉 PSTN 네트워크가 네트워크(110d)와 같은 다른 non-PSTN 네트워크, 즉 IP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로서 노드(170e)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이용되는 각종 프로토콜 간의 통신을 변환하도록 작동한다.
종단점(140) 및/또는 노드(170)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부호화된 로직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단점(140a-140c)은 IP 전화, 컴퓨터, 비디오 모니터, 카메라, PDA, 셀룰라 폰, 또는 네트워크(110)를 이용하여 패킷들(또는 프레임들)의 통신을 지원하는 임의의 기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종단점(140)은 또한, 무인 또는 자동화 시스템, 게이트웨이,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타 중간 컴포넌트 또는 기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특정한 수 및 구성의 종단점, 접속, 링크 및 노드가 예시되어 있지만, 통신 시스템(100)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임의의 수 및 구성의 이러한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의 엘리먼트는 서로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거나(로컬) 또는 통신 시스템(100) 전체에 걸쳐 분산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기지국(210) 및 중계국(250)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네트워크(200)는 임의의 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기지국, 종단점, 중계국,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및/또는 신호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거나 이 통신에 관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간략함을 위해, 네트워크(200)는 네트워크(205), 기지국(210), 종단점(240) 및 중계국(250)을 포함한다. 기지국(210)은 프로세서(212), 메모리 모듈(214), 인터페이스(216), 라디오(217) 및 안테나(218)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중계국(250)은 프로세서(252), 메모리 모듈(254), 라디오(257) 및 안테나(258)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WiMAX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접속의 제공과 같은 기능을 기지국 및/또는 중계국에 제공하기 위해 서로 협동할 수 있다. 네트워크(205)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단독으로, 혹은 다른 기지국(210) 컴포넌트들, 예를 들면 메모리 모듈(214)과 결합하여 기지국(210)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또는 그 밖의 임의의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 리소스, 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부호화된 로직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는, 본원에 개시된 여러 무선 특징들을 종단점(240a) 또는 중계국(250)과 같은 종단점 또는 중계국에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프로세서(212)는, 특정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들이 수정되어야 하는 시기 및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 모듈(214)은, 자기 매체, 광 매체, RAM, ROM, 이동가능 매체, 또는 그 밖의 임의의 적절한 로컬 또는 원격 메모리 컴포넌트들(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포함하는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 모듈(214)은 기지국(210)에 의해 활용되는 소프트웨어 및 부호화된 로직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모듈(214)은, 기지국(210)과 직접적으로(예를 들면, 종단점(240a)) 또는 간접적으 로(예를 들면, 종단점(240b, 240c)) 연관된 여러 무선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214)은 또한, 리스트,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를 적절한 종단점 및/또는 중계국으로 라우팅하는 방법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메시 구조와 상반되는) 트리 구조가 종단점으로부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210)으로부터 종단점(240b)으로의 공지의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로, 또는 이 경로의 일부는 메모리 모듈(214)에 저장될 수 있다.
기지국(210)은 또한 기지국(210)과 네트워크(205) 간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유선 통신에 이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216)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216)는, 기지국(210)이 유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205)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데에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포맷팅 또는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라디오(217)는 안테나(218)에 결합되거나 혹은 그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라디오(217)는 무선 접속을 통해 다른 기지국, 중계국 및/또는 종단점에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217)는 디지털 데이터를, 적절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들을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들 파라미터는 프로세서(212) 및 메모리 모듈(214)의 몇몇 조합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무선 신호는 그 후 안테나(218)를 통해 적절한 수령처(예를 들면, 중계국(250))에 전송될 수 있다.
안테나(218)는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안테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테나(218)는, 2GHz와 66GHz 사이의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전방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 또는 섹터 안테나,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향성 안테나는 임의의 방향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섹터 안테나는 특정 영역 내에 있는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으며, 패널 안테나는 비교적 직선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데에 이용되는 LOS(line of sight) 안테나일 수 있다.
중계국(250)은 기지국(210)의 컴포넌트들과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중계국(250)은 유선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하나의 예외일 수 있다. 이는, 중계국(250)이 무선 접속만을 이용하여서 유선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중계국(250)이 유선 접속없이 설치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네트워크 유선이 각 중계국에 런아웃(run out)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초기 설치 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기지국(210)과 마찬가지로, 중계국(250)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52)는, 단독으로, 혹은 다른 기지국(250) 컴포넌트들, 예를 들면 메모리 모듈(254)과 결합하여 중계국(250)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또는 임의의 적절한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리소스, 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부호화된 로직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는, 본원에 개시된 여러 무선 특징들을 종단점(240b, 240c) 또는 기지국(210)과 같은 종단점 또는 중계국에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프로세서(252)는, 중계국(250)이 기지국(210)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접속의 요청된 수정을 따를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52)가 기지국(210)의 요청에 따를 것으로 결정할 경우, 프로세서(252)는 기지국(210)에 의해 제공되는 접속 파라미터에 부합하도록 라디오(257b)를 구성하는 데에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 모듈(254)은, 자기 매체, 광 매체, RAM, ROM, 이동가능 매체, 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적절한 로컬 또는 원격 메모리 컴포넌트들(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포함하는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 모듈(254)은 중계국(250)에 의해 활용되는 소프트웨어 및 부호화된 로직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모듈(254)은, 중계국(250)과 연관된 명칭 또는 아이덴티티 및/또는 중계국(250)과 연관된 무선 접속(예를 들면, 무선 접속(260b, 260c))의 중심 주파수, 프레임 지속기간 및 대역폭과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254)은 또한, 리스트,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를 적절한 종단점, 기지국 및/또는 중계국에 라우팅하는 방법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257)는 안테나(258)에 결합되거나 혹은 그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라디오(257)는, 무선 접속을 통해 다른 기지국, 중계국 및/또는 종단점에 전송될 디지털 데이터를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각 라디오(257)는 관련된 자체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채널은 하나 이상의 무선 접속에 의해 이 용될 수 있다. 채널의 특징(예를 들면, 주파수 및 대역폭)은 각 무선 접속의 수, 주파수 및 사이즈를 결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는 그 후, 디지털 데이터를 적절한 주파수 및 대역폭을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이들 파라미터는 기지국(210) 또는 프로세서(252)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 후 각 라디오로부터의 무선 신호는 안테나(258)를 통해 적절한 수령처(예를 들면, 기지국(210))에 송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국(250)의 두 개의 라디오가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은 서로 다른 유형의 라디오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디오(257a)는 기지국(210)과 통신하는 데에 이용되는 종단점 스타일 라디오일 수 있으며, 라디오(257b)는 종단점(240b, 240c)과 통신하는 데에 이용되는 기지국 스타일 라디오일 수 있다. 따라서, 종단점(240)의 관점에서 보면 중계국(250)은 기지국으로 보일 수 있으며, 기지국(210)의 관점에서 보면 중계국(250)은 종단점으로 보일 수도 있다. 이는 무선 네트워크로 하여금, 종단점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방식을 수정할 필요없이 중계국을 구현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안테나(258)는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안테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테나(258)는, 2GHz와 66GHz 사이의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섹터 안테나,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단점(240)은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기지국(210) 또는 중계국(250)과 주고 받을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종단점일 수 있다. 몇몇 가능한 유형의 종단점(240)은 데스크톱 컴퓨터, PDA, 셀룰라 폰, 랩톱, 및/또는 VoIP 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210) 및 중계국(250)의 여러 구성요소들이 특정 실시예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작동하는 방법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예시된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예를 위해, 종단점(240b, 240c)은 각각 중계국(250)과의 무선 접속(260b, 260c)을 확립한 것으로 가정될 것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선 접속(260b, 260c)을 통해 통신되는 데이터량이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무선 접속(260d)을 통해 기지국(210)에 송신되거나 혹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210)은 메모리(214)를 이용하여 무선 접속(260a-260d)을 통해 통신되는 데이터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정보는 개별적 종단점에 기초한 평균 데이터 레이트, 또는 사용중인 서비스 유형에 기초한 데이터 레이트, 또는 그 밖의 다른 원하는 유형의 데이터 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무선 접속의 주파수 및/또는 대역폭이 수정되어야 하는 시기 및 방법을 판정할 수 있다. 이 예를 위해, 종단점(240b)이 최근에 중계국(250)과의 무선 접속(260b)을 확립한 것으로 가정한다. 종단점을 추가하면 무선 접속(260b, 260c)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량을 증가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기지국(210)은 이를 알게 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12) 및 메모리(214)를 이용하여 무선 접속(260b, 260c)의 파라미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정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 한다. 프로세서(212) 및 메모리(214)는 또한 무선 접속(260b, 260c)의 파라미터들이 수정되어야 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210)은 또한 무선 접속(260b, 260c)에 대한 수정이 임의의 다른 무선 접속(260)에 영향을 미칠지와, 영향을 미칠 경우 무선 접속(260b, 260c)에 대한 수정을 수용하기 위해 이들에 어떠한 수정이 행해지는 것이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최근에 결정된 새로운 무선 접속(260b, 260c) 파라미터들은, 중계국(250)이 결정된 파라미터들에 따라 무선 접속(260b, 260c)을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중계국(250)에 송신될 수 있다. 이 수정 요청 메시지는 무선 접속(260b, 260c)의 결정된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 기지국(210)으로부터의 최종 통지(announcement)를 기다리기 위한 제안된 시간, 및 중계국(250)에 대한 새로운 명칭 또는 아이덴티티(예를 들면, 새로운 중계국 ID(RSID))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수정 요청 메시지는 주파수 및 대역폭 수정 요청(FBC-REQ)을 포함할 수 있다. FBC-REQ가 일단 송신되면, 기지국(210)은 중계국(250)으로부터의 응답(예를 들면, FBC-RSP)을 기다리는 동안 FBC 응답(FBC-RSP) 타이머를 시작시킬 수 있다. FBC-RSP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에 응답이 오지 않을 경우, 혹은 응답이 부정 응답(예를 들면, 요청된 수정을 거부)이거나 불완전한 경우, 무선 접속(260b, 260c)의 파라미터들을 수정하려는 시도는 중단될 수 있다.
중계국(250)은 안테나(258)를 통해 FBC-REQ를 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257a)는 FBC-REQ를 프로세서(252)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접속(260b, 260c)에 대한 요청된 수정에 따를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중 계국(250)이 요청된 수정을 따를 수 없는 것으로 프로세서(252)가 판정한 경우, 요청을 무시하거나(예를 들면 응답을 전송하지 않음) 혹은 부정 응답(예를 들면, FBC-REQ를 거부하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중계국(250)이 FBC-REQ를 따를 수 있는 경우 무선 접속(260b, 260c)에 대한 요청된 수정을 따를 수 있음을 나타내는 FBC-RSP와 같은 긍정 응답을 기지국(210)에 전송할 수 있다. FBC-RSP를 전송한 후, 중계국(250)은, 중계국(250)이 기지국(210)으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릴 수 있는 시간을 가리키는 MOB_NBR-ADV(mobility neighborhood advertisement) 타이머를 시작시킬 수 있다.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는 MOB_NBR-ADV를 기지국(210)으로부터 수신하기 전에 MOB_NBR-ADV 타이머가 타임아웃될 경우, 중계국(250)은 다른 FBC-RSP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국(250)이 FBC-RSP를 전송하는 것을 시도하는 횟수는 실시예의 동작 필요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송된 FBC-RSP의 횟수가 일단 초과되거나 혹은 기지국(210)으로부터의 MOB_NBR-ADV가 수정이 없거나 불완전함을 가리키면, 중계국(250)은 무선 접속(260b, 260c)의 파라미터들을 수정하려는 시도를 중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FBC-RSP는 서로 다른 결과를 가리키는 서로 다른 번호의 확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의 확인 코드는 긍정 응답을 가리킬 수 있으며, 2의 확인 코드는, FBC-REQ가 지원되지 않은 파라미터로서 거부된 것을 가리킬 수 있으며, 7의 확인 코드는, 이 FBC-RSP가 이전의 FBC-RSP를 재전송한 것임을 가리킬 수 있다.
기지국(210)은 안테나(218)를 통해 FBC-RSP를 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217)는 프로세서(212)가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디지털 형태의 FBC-RSP를 프로세 서(212)에 표시할 수 있다. FBC-RSP는, 중계국(250)이 FBC-REQ를 따를 수 있음을 기지국(210)에 알려줄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210)은 다음의 방송된 MOB_NBR-ADV 메시지 내에 결정된 파라미터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 MOB_NBR-ADV는 기지국(210)에 의해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통지이며 기지국(210)의 이웃내의 임의의 기지국 및/또는 중계국(예를 들면, 중계국(250))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포함한다. MOB_NBR-ADV는 종단점, 중계국 및 기지국으로 방송될 수 있다. MOB_NBR-ADV는, 무선 접속(260b)이 이용할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 중계국(250)에 대한 새로운 명칭 또는 아이덴티티, 및 중계국(250)이 무선 접속(260b, 260c)을 위한 새로운 파라미터를 사용할 것을 시작해야 하는 시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국(250)에 대한 새로운 아이덴티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MOB_NBR-ADV의 수신은, 중계국(250)에게 무선 접속(260b, 260c)에 대한 수정을 진행해야 함을 알려주는 것일 수 있다. 중계국(250)은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새로운 중계국으로서 보여질 수도 있다.
중계국(250)은 MOB_NBR-ADV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 메시지를 종단점(240b, 240c)에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계국(250)은 MOB_NBR-ADV 메시지를 종단점(240b, 240c)에 전송하기 전에 수정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이 메시지는 어떠한 조작도 없이 단순히 반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MOB_NBR-ADV는 종단점(240b, 240c)으로 하여금 새로운 중계국이 존재하며 이 새로운 중계국과 연관된 관련 정보가 무엇인지를 알게 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단점(240b, 240c)이가 MOB_NBR-ADV를 수신하면, 자신들의 관점으로부터는 MOB_NBR-ADV 메시지에 상 세히 있는 바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중계국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중계국(250)은 또한 MOB_NBR-ADV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으며, MOB_NBR-ADV가 중계국(250)으로 전달되는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중계국(250)은 수정 타이머를 시작시킬 수 있다. 수정 타이머는 기지국(21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예를 들면, FBC 요청 내의 정보)에 기초하여 확립될 수 있다. 수정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중계국(250)은 새로운 중계국으로의 이행을 시작하고 무선 접속(260b, 260c)을 위한 새로운 파라미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중계국(250)이 MOB_NBR-ADV을 수신하는 시각과 제2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는 시각 사이에, 중계국(250)은, 종단점(240b, 240c)에게 새로운 중계국(250)으로 핸드오버될 것임을 알리는 핸드오프 메시지(예를 들면, MOB_BSHO-REQ(mobility base station hand over request))를 방송할 수 있다. 종단점(240b, 240c)은 그 후 핸드오프 애크놀리지먼트(acknowledgement)(예를 들면, MOB_BSHO-IND(mobility base station hand over indic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이 애크놀리지먼트를 전송한 후, 중계국(250) 및 종단점(240b, 240c)은 자신의 라디오(예를 들면, 수정 주파수 및/또는 대역폭)를 조정하여 새로운 무선 접속(260b, 260c)을 사용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라디오가 조정되면, 종단점(240b, 240c) 양쪽 모두가 중계국(250)과 재접속될 수 있다. 중계국(250)에 재접속하는 것과 연관된 레이턴시는, 종단점(240b, 240c)이 MOB_NBR-ADV 및 MOB_BSHO-REQ 메시지를 이전에 수신하였으며 새로운 기지국 및 기존의 기지국이 동일한 물리적 장치를 갖기 때문에 감소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드오버 최적화 정보가 MOB_BSHO-REQ 메시지 내에 포함 되어서 종단점(240b, 240c)이 몇몇 네트워크 엔트리 프로세스들을 스킵하고 중계국(250)에 대한 접속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상이한 여러 실시예 및 특징들이 기술되었다. 특정 실시예들은 운영 니즈(needs) 및/또는 컴포넌트 제한에 따라 이들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써, 네트워크(200)는 각종 조직 및 사용자의 니즈에 대해 상당한 적응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는 여러 개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수도권에 대해 무선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거나, 여러 중계국과 함께 단일 기지국을 사용하여 필요한 서비스 적용범위(coverag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중계국(250)은 다소의 라디오(radios)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특정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예시된 방법에서는 특히 기지국이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방법은 중계국이 기지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 및 종단점에 대해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305 및 310)에서 시작한다. 중계국은 둘 이상의 종단점에 대해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간략히 하기 위해, 단지 하나의 종단점에 대해서만 집중할 것이다.
임의 시점에서, 기지국은 제2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 중 하나가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것을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의 종단점은 기지국에 대해 최근에 확립된 무선 접속을 가질 수 있거나, 종단점은 또 다른 근처의 무선 컴포넌트로부터의 간섭에 직면하게 될 수 있다. 이유에 상관없이, 일단 기지국이 제2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면, 기지국은 수정 요 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315)에서, 중계국이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의 경우, 수정 요청은 주파수 및 대역폭 변경 요청(FBC-REQ)일 수 있다.
중계국이 수정 요청을 수신하면, 중계국은 그에 연관된 모든 무선 접속 뿐 아니라, 임의 다른 파라미터 또는 변수들을 평가하여 그것이 수정 요청을 따를 수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중계국이 수정 요청을 따를 수 있는 것으로 판정하면, 단계(320)에서 기지국에 긍정 응답을 송신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의 경우, 긍정 응답은 FBC 응답(FBC-RSP)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국이 부정 응답을 송신하면, 제2 무선 접속의 파라미터를 수정하려는 시도는 중단될 수 있다.
기지국이 응답을 수신할 때, 기지국은 중계국이 수정 요청을 따를 수 있어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송신할 것임을 알고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해 방송될 수 있는 이동성 NA(mobility neighbor advertisement)(MOB_NBR_ADV)를 포함할 수 있다. MOB_NBR_ADV는 기지국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결합된 임의 무선 컴포넌트들에게 다른 중계국 및 기지국들의 아이덴티티 및 파라미터를 알려줄 수 있다. 이 메시지는 중계국에 대한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수 있고, 새로운 아이덴티티는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는 새로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종단점에 대한 새로운 접속을 확립할 때 중계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단계 360).
중계국이 그 응답을 송신한 후,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동안 제1 타이머를 기동시킬 수 있다. 중계국이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중계국은 또 다른 긍정 응답을 송신할 것이다(단계 335). 일부 실시예의 경우, 이것은 단계(320)에서 송신된 긍정 응답과 동일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단계(335)에서 송신된 긍정 응답은 이것이 반복된 긍정 응답임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FBC-RSP에서의 확인 코드를,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되었으므로 이것이 송신됨을 나타내는 7로 확립할 수 있다). 반면, 중계국이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 메시지를 종단점에 전달할 수 있다(단계 330).
단계(345)에서 중계국은 종단점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의 경우, 핸드오버 요청은 이동성 기지국 핸드오버 요청(MOB_BSHO_REQ)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버는 종단점이 초기 아이덴티티 및 채널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는 중계국으로부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에 포함된 새로운 아이덴티티 및 채널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는 동일한 중계국으로 넘겨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정단점은 그것이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MOB_BSHO 표시(MOB_NBR-IND)와 같은 응답으로 핸드오버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단계(350)에서, 중계국은 제2 타이머가 만료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의 경우, 제2 타이머는 중계국이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기동되었을 수 있다(단계 325). 제2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았으면, 중계국은 이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단계(350)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는 핸드오버를 준비할 충분한 시간을 종단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355)에서, 일단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중계국은 자신이 기지 국에 의해 제공된 새로운 채널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종단점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그 자신을 재구성할 수 있다. 그 후, 단계(360)에서, 종단점 및 중계국은 중계국의 새로운 아이덴티티 및 채널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재접속된다.
도 3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들은 필요에 따라 결합, 수정 또는 삭제될 수 있으며, 또한 흐름도에 추가의 단계들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단계들이 임의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여러 실시예들에 대해 여러 구현 및 특징들을 논의하였지만, 이러한 구현 및 특징들은 각종 실시예에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특정 도면에 대해 논의된 특징들 및 기능은, 운영 니즈 및 바램에 따라 도 1과 같은 도 다른 도면에 대해 논의된 특징들 및 기능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특정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변경, 대체, 수정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100) 내에 포함된 종단점, 기지국, 및 중계국과 같은 다수의 구성요소에 대해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은 특정의 라우팅 아키텍처나 니즈에 순응하도록 결합, 재배열 또는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들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은 통신 시스템(100)에 별도의 외부 컴포넌트들로서 제공되거나,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구성요소들 및 그들의 내부 컴포넌트의 배열에서의 상당한 유연성을 고려한다.
당업자라면 기술된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경, 대체 및 수정 실시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형, 대체, 수정, 및 변경 실시예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1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각종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특정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기지국과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신 시스템
110a-110d : 네트워크
120 : 기지국
130 : 중계국
140a-140d : 종단점
150a-150d : 무선 접속

Claims (41)

  1.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채널을 사용하는 기지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제2 채널을 사용하는 종단점에 대해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종단점에 대한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수정될 것임을 상기 종단점에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을,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도록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수정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 행해질 것임을 나타내는 긍정 응답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및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갱신된 아이덴티 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상기 종단점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종단점에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종단점이 상기 수정된 제2 무선 접속을 이용할 것을 요청함-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수정된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종단점에 대한 접속을 확립함에 있어 상기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 타이머를 기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 상기 요청된 수정이 행해질 것임을 나타내는 반복 긍정 응답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제2 타이머를 기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을,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도록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는 이동성 NA(mobility neighborhood advertisement; MOB_NBR-ADV)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 상기 요청된 수정을 행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부정 응답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접속 및 상기 제2 무선 접속은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WiMAX)용 802.16 월드와이드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을 활용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방법.
  10.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중계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상기 중계국은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종단점에 대해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함-,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수정 트리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중계국에,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을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 조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제1 아이덴티티에 연관되며,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 터에 대해 상기 요청된 수정이 행해질 것임을 나타내는 긍정 응답을 수신함에 의해,
    상기 중계국에 대한 제2 아이덴티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국에 대한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방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는 이동성 NA(mobility neighborhood advertisement; MOB_NBR-ADV)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접속 및 상기 제2 무선 접속은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WiMAX)용 802.16 월드와이드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을 활용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중심 주파수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방법.
  16.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제1 채널을 사용하는 기지국에 대한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채널을 사용하는 종단점에 대한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종단점에 대한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수정될 것임을 상기 종단점에 통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을,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게끔 수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 조정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또한,
    상기 요청된 수정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 행해질 것임을 나타내는 긍정 응답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및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상기 종단점에 전달하고,
    상기 종단점에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종단점이 상기 수정된 제2 무선 접속을 이용할 것을 요청함-를 송신하고,
    상기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수정된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종단점에 대한 접속을 확립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1 타이머를 기동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또한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 상기 요청된 수정이 행해질 것임을 나타내는 반복 긍정 응답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2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상기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을,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게끔 수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는 이동성 NA(mobility neighborhood advertisement; MOB_NBR-ADV)를 포함하는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시스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대역폭을 포함 하는 시스템.
  23. 무선 인터페이스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중계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상기 중계국은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종단점에 대해 제2 무선 접속을 가짐-,
    상기 인터페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수정 트리거를 식별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또한, 상기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하게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제2 무선 접속을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중계국에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제1 아이덴티티에 연관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 상기 요청된 수정이 행해질 것임을 나타내는 긍 정 응답을 수신함에 의해, 상기 중계국에 대한 제2 아이덴티티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또한, 상기 중계국에 대한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는 이동성 NA(mobility neighborhood advertisement; MOB_NBR-ADV)를 포함하는 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중심 주파수 를 포함하는 시스템.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시스템.
  28. 로직(logic)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제1 채널을 이용하는 기지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종단점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종단점에 대한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수정될 것임을 상기 종단점에 통지하고,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을,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게끔 수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또한,
    상기 요청된 수정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 행해질 것임을 나타내는 긍정 응답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및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상기 종단점에 전달하고,
    상기 종단점에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종단점이 상기 수정된 제2 무선 접속을 이용할 것을 요청함-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수정된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종단점에 대한 접속을 확립함에 있어 상기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사용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또한,
    제1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 상기 요청된 수정이 행해질 것임을 나타내는 반복 긍정 응답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또한,
    제2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상기 제2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을,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게끔 수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는 이동성 NA(mobility neighborhood advertisement; MOB_NBR-ADV)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5. 로직(logic)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중계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고-상기 중계국은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종단점에 대해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함-,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수정 트리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중계국에,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을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제1 아이덴티티에 연관되며,
    상기 코드는 또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 상기 요청된 수정이 행해질 것임을 나타내는 긍정 응답을 수신함에 의해,
    상기 중계국에 대한 제2 아이덴티티를 생성하고,
    상기 중계국에 대한 상기 제2 아이덴티티 및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아이덴티티 메시지는 이동성 NA(mobility neighborhood advertisement; MOB_NBR-ADV)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중심 주파수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0.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채널을 사용하는 기지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수단,
    제2 채널을 사용하는 종단점에 대해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수단,
    상기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종단점에 대한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 의 파라미터의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수정될 것임을 상기 종단점에 통지하는 수단, 및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을,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도록 수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시스템.
  41.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중계국에 대해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수단-상기 중계국은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종단점에 대해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함-,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수정 트리거를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제1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중계국에,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는 상기 제2 무선 접속을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 조정 시스템.
KR1020070074180A 2006-08-18 2007-07-24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0940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286106P 2006-08-18 2006-08-18
US60/822,861 2006-08-18
US11/627,759 2007-01-26
US11/627,759 US7623863B2 (en) 2006-08-18 2007-01-26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connection parameters in a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450A true KR20080016450A (ko) 2008-02-21
KR100940948B1 KR100940948B1 (ko) 2010-02-05

Family

ID=3871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180A KR100940948B1 (ko) 2006-08-18 2007-07-24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23863B2 (ko)
EP (1) EP1890442B1 (ko)
JP (1) JP4962208B2 (ko)
KR (1) KR100940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7394A (zh) * 2020-07-17 2020-10-23 上海布鲁可科技有限公司 一种可配对件之间的配对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6198B2 (en) * 2006-08-18 2010-07-13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channels in a wireless network
US7917149B2 (en) 2006-08-18 2011-03-29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using wireless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JP4840043B2 (ja) * 2006-09-21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20080188226A1 (en) * 2007-02-02 2008-08-07 Tzu-Jane Tsai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9094518B2 (en) * 2007-05-12 2015-07-28 Alcatel Lucent Location based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videos or notes
US8059592B2 (en) * 2007-05-14 2011-11-15 Via Telecom Co., Ltd. Access terminal which handles multiple user connections
CN101692738B (zh) 2007-06-08 2013-08-07 夏普株式会社 移动通讯系统、基站装置及移动站装置
ES2398860T3 (es) * 2007-09-06 2013-03-22 Sharp Kabushiki Kaisha Aparato de comunicación y método de comunicación
US8259630B2 (en) * 2007-12-21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ubcarrier allocation in relay enhanced cellular systems with resource reuse
US8229449B2 (en) * 2007-12-21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subcarrier frequency resources for a relay enhance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8428608B2 (en) 2007-12-21 2013-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source allocation in relay enhanced cellular systems
US8520559B2 (en) * 2008-04-02 2013-08-27 Alcatel Lucent Method for routing via access terminals
US8675550B2 (en) * 2008-06-14 2014-03-18 Alcatel Lucent Method for backhaul interference management with access terminal router
BRPI0913648A2 (pt) * 2008-07-01 2015-10-20 Nokia Siemens Networks Oy offset de preâmbulo para estações de base femto
CN102017692B (zh) * 2008-07-25 2013-04-24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在无线中继通信网络中用于网络拓扑结构重构的方法和装置
JP5137746B2 (ja) * 2008-08-28 201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279794B2 (en) * 2008-09-24 2012-10-02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data forwarding and dynamic reconfigu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01415236B (zh) * 2008-11-25 2010-1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可视通话业务的自适应调节方法以及可视移动终端
JP5287429B2 (ja) * 2009-03-30 2013-09-1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端末
US20100260113A1 (en) * 2009-04-10 2010-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protocol for newly joining relay stations in relay enhanced cellular systems
GB2469689A (en) 2009-04-24 2010-10-27 Nec Corp Relay communications system
US9264097B2 (en) 2009-06-04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336193A1 (en) 2012-06-19 2013-12-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information for assisting user equipment
US8599768B2 (en) * 2009-08-24 2013-12-03 Intel Corporation Distributing group size indications to mobile stations
IL206455A (en) * 2010-01-28 2016-11-30 Elta Systems Lt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moving base stations and methods and useful devices in collaboration with the above
US20110216738A1 (en) * 2010-03-05 2011-09-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Station Acquisition
US8873480B2 (en) * 2010-10-01 2014-10-28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ynamic spectrum management, allocation, and sharing
WO2012041387A1 (en) * 2010-10-01 2012-04-05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ata in a wireless network
WO2012070044A1 (en) 2010-11-24 2012-05-31 Elta Systems Ltd. Architecture and methods for traffic management by tunneling in moving hierarchical cellular networks
WO2012070049A1 (en) 2010-11-24 2012-05-31 Elta Systems Ltd. Various routing architectures for dynamic multi-hop backhauling cellular network and various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IL218046B (en) 2012-02-12 2018-11-29 Elta Systems Ltd An architecture for a multi-directional relay and the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useful by the way
CN112437442A (zh) * 2020-07-31 2021-03-02 上海移远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6453A (en) 1985-12-10 1988-04-05 Schloemer Gerald R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requency channel assignment in a cellular or non-cellular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US5883884A (en) * 1996-04-22 1999-03-16 Roger F. Atkinson Wireless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hierarchical wireless repeaters with autonomous hand-off
FI106674B (fi) * 1998-05-14 2001-03-15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solukkoradiojärjestelmän toiminnan valvomiseksi
US20040203814A1 (en) 2002-03-06 2004-10-14 Ho Lester Tse Wee Method of allocating channels to base station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FR2853488B1 (fr) 2003-04-01 2005-07-15 Radiotelephone Sfr Procede de calcul et de visualisation des interferences mutuelles dans le sens descendant dans un reseau de radiotelephonie cellulaire a acces de type w-cdma
TWI360317B (en) * 2003-05-28 2012-03-11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chite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018893B2 (en) * 2003-09-03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facilitated communications
US7400856B2 (en) * 2003-09-03 2008-07-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facilitated communications
US7349665B1 (en) * 2003-12-17 2008-03-2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a wireless signal
JP2005217548A (ja) * 2004-01-27 2005-08-11 Nec Corp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
CN1951037A (zh) * 2004-05-07 2007-04-18 三星电子株式会社 宽带无线接入通信系统中能够最小化服务延迟的切换系统与方法
KR20060012242A (ko) * 2004-08-02 2006-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단말의 연계수행 방법
KR100876771B1 (ko) * 2004-08-17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압축 방법과 스캐닝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1784931A4 (en) * 2004-08-18 2012-10-0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DEVICE FOR TRANSPARENT FORWARDING
KR100630107B1 (ko) * 2004-11-04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정보의길이 가변적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58352A (ko) * 2004-11-25 200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주파수 영역 설정 방법
GB2421662A (en) * 2004-12-23 2006-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relay management
KR100584409B1 (ko) 2004-12-29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 기반의 셀룰러 시스템을 위한중계 통신 방법
JP2006196985A (ja) * 2005-01-11 2006-07-27 Kddi Corp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メディア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中継局のメディア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EP1734666A1 (en) * 2005-06-17 2006-12-20 Fujitsu Limited Resource management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2144466A3 (en) * 2005-06-17 2011-03-09 Fujitsu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control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1734667B1 (en) * 2005-06-17 2011-08-10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US8175600B2 (en) * 2005-08-13 2012-05-0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latencies during handover
US7738422B2 (en) 2005-08-23 2010-06-15 Alcatel-Lucent Usa Inc. Interference-reducing method of forward link scheduling for wireless networks
US20070086387A1 (en) * 2005-10-17 2007-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28801B1 (ko) * 2006-01-16 201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보고 방법
KR101084147B1 (ko) * 2006-01-02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스테이션을 이용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
US20070160020A1 (en) 2006-01-05 2007-07-12 Robert Osann Interleaved wireless mesh network
US20070177545A1 (en) * 2006-01-30 2007-08-02 Natarajan Kadathur S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s in a network
US8140077B2 (en) * 2006-04-19 2012-03-20 Nokia Corporation Handover or location update for optimization for relay st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7471942B2 (en) * 2006-05-18 2008-12-30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battery saving during idle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65073B2 (en) 2006-08-04 2012-04-24 Nokia Corporation Relay-station assignment/re-assignment and frequency re-use
US7756198B2 (en) 2006-08-18 2010-07-13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channels in a wireless network
US7917149B2 (en) 2006-08-18 2011-03-29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using wireless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7394A (zh) * 2020-07-17 2020-10-23 上海布鲁可科技有限公司 一种可配对件之间的配对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48415A (ja) 2008-02-28
EP1890442A2 (en) 2008-02-20
JP4962208B2 (ja) 2012-06-27
US7623863B2 (en) 2009-11-24
EP1890442A3 (en) 2011-01-26
US20080045215A1 (en) 2008-02-21
EP1890442B1 (en) 2012-09-19
KR100940948B1 (ko) 201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948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US10050838B1 (en) Self-organizing topology management
JP4957450B2 (ja) マルチラジオ無線ネットワークを実施するシステムと方法
KR100950357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채널들을 할당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73727B1 (ko) 그물형 네트워크의 중앙 제어 장치 및 방법
JP4473129B2 (ja) 制御されたwtruピア・ツー・ピア通信を有する無線通信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1675321B1 (en) Controller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100020733A1 (en) Synchronous messaging for mobile station
US20070153738A1 (en) Method for switching the use of an access point (AP)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WO2008033651A2 (en) Selecting a leader node for an ad hoc network based on services
US11570705B2 (en) Method of securing wireless backhaul, a child base station, a parent base station and methods in the child and parent base stations
GB2427788A (en) Inter-mode handover
KR102026641B1 (ko) 위성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RU2358396C2 (ru) Способ, промежуточная станция и центр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 коммутацией пакетов в самоорганизующейся сети радиосвязи
US11690006B2 (en) Connecting a wireless hub across multiple wireless networks
JP526378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WO2023287947A1 (en) Path switch to indirect communication through relay ue device in rrc connection state other than rrc connected
KR200376858Y1 (ko) 그물형 네트워크의 중앙 제어 장치
KR20050063423A (ko) 혼종 시스템에서의 라우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