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335A - 다중송신 다중수신을 지원하는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시스템에서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송수신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송신 다중수신을 지원하는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시스템에서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송수신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335A
KR20080016335A KR1020060078339A KR20060078339A KR20080016335A KR 20080016335 A KR20080016335 A KR 20080016335A KR 1020060078339 A KR1020060078339 A KR 1020060078339A KR 20060078339 A KR20060078339 A KR 20060078339A KR 20080016335 A KR20080016335 A KR 20080016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quality
subband
feedback information
subbands
pr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359B1 (ko
Inventor
김호진
리지안준
김성진
서정훈
박창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359B1/ko
Priority to JP2007213189A priority patent/JP4505001B2/ja
Priority to US11/840,918 priority patent/US7764931B2/en
Priority to EP14167017.4A priority patent/EP2765727A1/en
Priority to EP07016290.4A priority patent/EP1890413B1/en
Publication of KR2008001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 H04B7/066Combined feedback for a number of channels, e.g. over several subcarriers lik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35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 H04L2025/0342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transmission using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777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2025/03802Signalling on the revers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송신 다중수신(MIMO) -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OFDM)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송신 방법은, 송신기로부터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과 복수의 서브밴드들을 사용하여 송출된 신호들에 대해 채널품질 지시 값들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밴드들 중 최적의 전송 성능을 보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그룹 및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부호 행렬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 그룹의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과 상기 결정된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각 단말에서 서브밴드별로 측정된 채널품질 값들과 해당 선부호 행렬/벡터들을 공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공간 및 주파수 다이버시티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공간 및 시간 자원들의 적절한 선택이 가능하며 피드백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MIMO, OFDM, CQI, SUB-BAND, PRECODE

Description

다중송신 다중수신을 지원하는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F CHANNEL QUALITY IN MIMO-OFDM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IMO-OFDM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피드백 정보 송신에 관련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의 생성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 그룹핑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송신 다중수신(Multi-Input Multi-Output: 이하 MIMO라 칭함) 기술과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함) 기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품질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형 고속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MIMO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MIMO는 다중의 입출력을 갖고 있는 안테나 시스템을 뜻하며 각 안테나마다 서로 다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정보의 양과 신뢰를 높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현재까지의 제2세대 및 제3세대 이동통신에서는 단일 송수신 안테나를 쓰기 때문에 빠르고 폭 넓은 데이터 처리에 한계가 있다.
MIMO와 더불어 OFDM 또한 3세대 이후의 이동통신 기술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OFDM은 주파수와 시간을 분할해 사용자들에게 할당하는 방식으로 광대역 전송에 유리하며,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춰 주파수와 시간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때문에 이미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tio Broadcasting: DAB), 디지털 TV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에서 채택됐으며 5MHz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대역에서도 정식 규격으로 채택됐다. 반면 기존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은 이동환경에서 최대 144kbps 전송 속도에 불과하여, 대용량 무선데이터 처리가 어렵다.
현재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제한된 주파수 자원을 통한 고품질, 대용량의 멀 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제한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해서 많은 용량의 데이터를 보내는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의 대표적인 것이 MIMO 시스템이다. MIMO 시스템은 주파수 자원을 더 늘리지 않고도 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MIMO 시스템은 고속 전송 시 발생하는 심벌간의 간섭,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OFDM이 함께 사용된다. OFDM은 데이터를 병렬 처리함으로써 고속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저속으로 분할하여, 다수의 반송파들을 통해 동시에 전송한다. 저속의 병렬 반송파들을 사용함으로써 심벌구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심벌간 간섭이 줄어들게 되고, 또한 보호구간(Guard Interval)의 사용으로 거의 완벽히 심벌간 간섭이 제거된다.
또한 OFDM은 여러 개의 반송파들을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에 강하다. 결국 이러한 두 기술들을 결합함으로써 MIMO 시스템의 장점은 그대로 이용하고 단점은 OFDM 시스템을 이용해 상쇄시킬 수 있다.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과 복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가지는 형태가 일반적인 MIMO 시스템이다. 이러한 MIMO 시스템에 OFDM을 결합한 구조가 MIMO-OFDM 시스템의 기본이 된다.
MIMO 시스템의 송신기에서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수신 안테나를 가지는 단말들을 위해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는데, 이를 위해 단말들로부터 채널품질 정보를 피드백 받을 필요가 있다.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들이 사용되는 특성상, 송신기가 수신하게 되는 전체 채널품질 정보의 양은 매우 크며 이는 상향링크 시그널링에 큰 오버헤드로 작용한다. 특히 MIMO-OFDM의 경우, 복수의 반송 파들(즉 서브밴드들)에 대한 각각의 채널품질이 더 포함되어야 하며, 이는 상향링크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송신기에서 데이터 스트림들을 효율적으로 송신 안테나들에 매핑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와 같은 피드백 정보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가장 단순한 첫 번째 방안은 모든 서브밴드들 혹은 가장 좋은 N개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품질 정보를 송신기로 전송하는 것이지만 매우 큰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요구된다. 두 번째 방안은 몇 개의 서브밴드들을 미리 선택하고, 미리 선택된 서브밴드들만을 스케쥴링에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두 번째 방안은 OFDM 기술의 장점(즉 주파수 선택 다이버시티)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된다. 또 다른 방안은 각 M개의 인접한 서브밴드들로 이루어진 서브밴드 그룹들을 이용하여, 각 서브밴드 그룹별로 채널품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시그널링 효율은 그룹핑 크기에 큰 영향을 받게 되는데, 그룹핑 크기의 최적값을 채널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해야 한다는 부담을 가진다. 더욱이 인접한 서브밴드들의 채널 상황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다중송신 다중수신(MIMO) 기술 및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OFDM) 기술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품질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MIMO-OFDM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을 보고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중송신 다중수신(MIMO) -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OFDM)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과 복수의 서브밴드들을 사용하여 송출된 신호들에 대해 채널품질 지시 값들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밴드들 중 최적의 전송 성능을 보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그룹 및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부호 행렬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 그룹의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과 상기 결정된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중송신 다중수신(MIMO) -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OFDM)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과 복수의 서브밴드들을 사용하여 송출된 신호들에 대해 채널품질 지시 값들을 측정하는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측정기와,
상기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밴드들 중 최적의 전송 성능을 보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그룹 및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부호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 그룹의 서브밴드별 채널품 질 지시 값과 상기 결정된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정보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다중송신 다중수신(MIMO) 기술과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OFDM) 기술을 지원하는 시스템(이하 MIMO-OFDM 시스템이라 칭함)에서 하향링크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즉 채널품질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피드백 정보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
단일 혹은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MIMO-OFDM 시스템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주요한 과제 중의 하나는 피드백 정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OFDM 시스템에서는 전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서브밴드들로 분할하고 각각의 서브밴드들을 단말들에게 개별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근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아래의 사항들이 본 발명의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1) 피드백에 기반하여 오버헤드 감소의 측면에서 서브밴드들을 그룹핑함. (단순히 인접한 서브밴드들만으로 결정되지 않음)
2) 공간 및 주파수 도메인들에서 공통적으로(jointly) 채널품질 정보를 결정함.
3)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를 지원할 수 있음. (다중 사용자로 한정되지 않음)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기(120)는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 혹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 소스(110)로부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단말들(여기에서는 복수의 단말들을 도시함; 130, 132, 134)을 위한 데이터 스트림들을 제공받는다. 송신기(120)는 단말들(130, 132, 134)에게 채널품질 측정의 기준이 되는 신호, 즉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들(130 내지 134) 각각은 상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의 채널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각 단말(130 내지 134)에서 생성된 피드백 정보는 미리 정해지는 채널, 즉 피드백 채널을 통해 송신기(120)로 전송한다.
송신기(120)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라 현재 전송주기에서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들, 상기 각 단말들을 위한 송신 안테나들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하는데 사용할 송신 전력과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라 칭함)들을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단말들을 위한 데이터 스트림들은 상기 선택된 송신 전력과 MCS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송출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은 상기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들이 상호간에 직교하도록 선부호화(Precoding)라는 과정을 거쳐 전송될 수 있다. 선부호화는 MCS를 거친 신호들에 소정의 선부호 행렬을 곱하여 상기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들이 상호간에 직교하도록 함으로써 송신 다이버시티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선부호 행렬은 입력되는 신호들에 곱해지는 복소 가중치들로 이루어지며, 유니터리 행렬 혹은 넌-유니터리 행렬로 구성되는데, 각 단말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절차의 간소화를 위해 단말들(130 내지 134)은 사용 가능한 선부호 행렬들의 셋인 코드북을 미리 저장하여 두고, 상기 측정된 채널품질에 따른 적절한 선부호 행렬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피드백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송신기(120)는 마찬가지로 상기 동일한 코드북을 미리 저장하여 두고, 상기 피드백 정보가 지시하는 선부호 행렬을, 해당 단말의 신호들이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전송되기 이전에 적용한다. 이때 선부호 행렬이 적용되는 경우 데이터 스트림들 및 송신 안테나들의 조합들을 가상 안테나들이라 칭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는, 각 단말별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는 선부호 정보와 상기 선택된 선부호 행렬에 대해 최대의 전송 성능을 보이도록 선택된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채널품질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밴드들은, 단지 인접된 서브밴드들을 그룹핑하였던 기존의 기술과는 달리, 적용되는 선부호 행렬과 측정된 채널품질에 따라 최적으로 그룹핑된다. 송신기는 단말로부터 제공된 피드백 정보에 따라 최대의 전송 성능을 보이는(achieve) 선부호 행렬을 판단하고 해당(associated) 채널품질에 따라 다른 전송 파라미터들(송신 전력, MCS 등)을 결정한다.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들이 제공되는 경우 송신기는 복수의 피드백 정보들을 고려하여 전송율 합(sum rate)을 최대화하는 선부호 행렬을 선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IMO-OFDM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기(200)는 매핑기(210), 부호화 및 변조부(220), 선부호화부(230), OFDM 변조기들(242, 244) 및 Mt개의 송신 안테나들(252, 254)로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복수의 단말들에게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할 것이나, 실제로 전송을 위해서는 단지 하나의 단말 및 단지 하나의 송신 안테나가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매핑기(210)는 통신중인 단말들, 즉 사용자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제공받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들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제어기(260)로부터 입력받는다. 제어기(26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그룹핑된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예를 들어 반송파대간섭비(Carrier to Interference ratio: C/I) 등)들을 나타내는 채널품질 정보와 상기 각 채널품질 지 시 값별로 선택된 선부호들을 나타내는 선부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피드백 정보 수신기와, 상기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최대의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데이터 스트림, 서브밴드, MCS, 선부호 및 사용될 송신 안테나 등의 전송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스케쥴러로 이루어진다.
매핑기(210)는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중 상기 피드백 정보 분석기(260)의 제어에 근거하여, 전송할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하여 부호화 및 변조부(220)로 제공한다. 부호화 및 변조부(220)를 구성하는 복수의 MCS 블록들(222, 224, 226, 228)은 각각 매핑기(210)로부터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받으며, 제어기(260)에 의해 결정된 MCS에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 및 변조한다. 상기 MCS 블록들(222 내지 228)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은 선부호화부(230)로 전달된다.
선부호화부(230)에는 K개의 선부호화기들(232, 234)이 포함되며, 각 선부호화기로는 최대 Mt개의 신호들이 입력된다. 상기 선부호화기들(232, 234)은 MCS 블록들(222 내지 228)로부터 부호화 및 변조된 신호들을 제공받으며, 제어기(260)에 의해 결정된 선부호 정보가 지시하는 선부호 행렬을 상기 입력된 신호들에 곱하고, 상기 곱셈 결과 선부호화된 신호들을 송신 안테나들(252, 254)에 각각 대응하는 OFDM 변조기들(242, 244)로 전달한다.
OFDM 변조기들(242, 244) 각각은 역고속퓨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블록 및 주기적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추가기로 구성되 며, 상기 IFFT 블록은 입력된 NC개의 신호들을 Nc개의 서브밴드 성분들을 포함하는 시간 영역의 신호들로 변환하며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들은 상기 CP 추가기에 의해 생성된 CP가 첨부된 후 직렬로 변환되어 해당 송신 안테나(252, 254)를 통해 송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피드백 정보 송신에 관련된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기(300)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들(302, 304), OFDM 복조기(306), 선부호 복호기(308), 선부호 할당기(314),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측정기(310) 및 피드백 정보 생성기(31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는 데이터의 수신에 관한 구성요소들을 생략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들(여기에서는 복수로 도시함, 302, 304)로부터 수신된 OFDM 신호는 OFDM 복조기(306)에 의해 CP 제거 및 고속퓨리에 변환을 거친 후 병렬로 선부호 복호기(308)에 전달된다. 선부호 복호기(308)는 상기 OFDM 복조기(306)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대해 선부호 할당기(314)로부터 제공된 선부호 행렬을 곱한다. 이를 위해 선부호 할당기(314)는 송신기와의 사이에 약속된 코드북의 선부호 행렬들을 순차적으로 선부호 복호기(308)에게 제공한다.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측정기(310)는 선부호 복호기(308)로부터의 신호에 포함된 파일럿을 검출함으로써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CQI) 값들을 측정한다. 피드백 정보 생성기(312)는 상기 코드북의 모든 선부호 행렬들에 대해 서브밴드별 CQI 값들을 수집하고, 이들을 큰 순서대로 정렬하여 채널품질 목록들을 생성한 후, 최대의 전송 효율을 보이는 미리 정해지는 개수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CQI 값들과 해당 선부호 행렬들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피드백 정보는 피드백 채널을 통하여 송신기로 피드백된다. 상기 피드백 정보의 생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의 생성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단계들은 송신기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여야 하는 각 단말의 피드백 정보 생성기(312)에서 개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4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들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변수들은 모두 양의 정수이다.
N은 사용 가능한 서브밴드들의 개수이다.
M은 각 사용자에서 피드백을 위해 선택한 최적 서브밴드들의 개수이다.
G는 그룹핑된 서브밴드들의 개수, 즉 그룹핑 크기로서 M의 약수로 정해지거나 적어도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L은 피드백되는 서브밴드 그룹들의 개수로서 M/G로 계산된다.
K는 사용자별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 안테나들에 매핑시키기 위해 적용되기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에 미리 저장되는 선부호 행렬들의 전체 개수로서, 코드북 크기라 칭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02단계에서 단말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N개의 서브밴드들을 통해 송출된 신호들에 대해 측정된 채널품질에 기초하여, 미리 약속된 코드북의 각 선부호 행렬에 대해 최적 M개의 서브밴드들을 선택한다. 여기서 최적 M개의 서브밴드들이라 함은 해당 선부호 행렬이 적용된 경우 가장 높은 채널품질 지시(Channel Quality Indication: 이하 CQI라 칭함) 값들을 가지는 M개의 서브밴드들을 의미한다. k번째 선부호 행렬에 대해 선택된 M개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CQI 값들은 다음과 같다.
Ek = {CQI_SBk,1, CQI_SBk,2, ..., CQI_SBk,M} (k = 1, 2, ... K)
404단계에서 단말은 전송율 합(sum rate)의 관점에서 최대의 전송 효율을 가지는 선부호 행렬과 해당 G개의 서브밴드들을 선택한다. 여기서 선택된 G개의 서브밴드들은 상기 선택된 선부호 행렬에 관련된 서브밴드 그룹을 형성한다. 즉 단말은 각 선부호 행렬과 해당 G개의 서브밴드들에 대해 전체 스트림에 대한 전송율 합을 계산하고, 최대의 전송율 합을 가지는 선부호 행렬 및 해당 G개의 서브밴드들을 선택한다. 406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G개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CQI 값들은 각 선부호 행렬에 대한 나머지 CQI 값들 중에서 제거된다. 이는 상기 선택된 G개의 서브밴드들이 중복하여 피드백 정보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408단계에서 단말은 현재까지 선택된 서브밴드들의 개수가 피드백 정보로 전송될 수 있는 개수인 M개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은 현재까지 형성된 서브밴드 그룹들의 개수가 L개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선택된 서브밴드들의 개수가 M개에 도달하지 못하였다면 상기 404단계로 복귀하며 반면 M개에 도달하였으면 410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41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404단계를 통해 선택된 M개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CQI 값들을 나타내는 채널품질 정 보과 해당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는 선부호 정보(즉 선부호 행렬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 그룹핑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는 M=4, K=2, G=1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코드북(K=2)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선부호 행렬들 U1, U2에 대해 전체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품질 지시(CQI) 값들을 측정하여 큰 순서대로 정렬함으로써 각 선부호 행렬에 대한 채널품질 목록을 작성한다. 상기 채널품질 목록은 송신기에서 각 선부호 행렬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얻을 수 있는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CQI) 값들을 포함한다. 즉 상기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은 OFDM 수신 신호에 대해 선부호 행렬을 적용한 이후에 측정된 값들이다.
여기서 U1이 선택되는 경우 최대의 전송 효율을 보이는 4개의 채널품질 지시자(CQI)들(M=4), 즉 CQI_SB5, CQI_SB2, CQI_SB9, CQI_SB7을 얻으며, U2가 선택되는 경우 최대의 전송 효율을 보이는 4개의 CQI들, 즉 CQI_SB3, CQI_SB5, CQI_SB1, CQI_SB8을 얻는다. 각 선부호 행렬에 대해 최적(best) CQI들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알고리즘은 본 발명의 요지와 큰 관련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면 먼저 U1에 대한 1개의 최적 CQI인(G=1) CQI_SB5가 U2에 대한 최적 CQI인 CQI_SB3과 비교된다. CQI_SB5가 CQI_SB3보다 큰 경우 U1에 대해 CQI_SB5가 피드백 정보로서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CQI_SB5는 U1 및 U2에 대한 채널품질 목록에서 삭제된다.
다음으로 U1에 대한 다음 최적 CQI인 CQI_SB2가 CQI_SB3과 비교된다. CQI_SB2가 CQI_SB3보다 작은 경우 U2에 대한 CQI_SB3이 피드백 정보로서 선택된다. 또한 CQI_SB1이 CQI_SB2보다 크므로 U2에 대한 CQI_SB1이 피드백 정보로서 선택되고, CQI_SB2가 CQI_SB8보다 크므로 U1에 대한 CQI_SB2가 피드백 정보로서 마지막으로 선택된다.
피드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4개의 서브밴드들(M=4)이 모두 선택되었으므로, 피드백 정보에는 4개의 서브밴드들 SB5, SB3, SB1, SB2에 대한 채널품질 정보와 각 CQI에 대해 적용된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는 선부호 정보가 하기 <표 1>과 같이 포함된다.
선부호 정보 채널품질 정보
U1 CQI_SB5
U2 CQI_SB3
U2 CQI_SB1
U1 CQI_SB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드백 정보에 포함되는 CQI들은 그 크기가 큰 순서대로 포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 그룹핑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는 M=4, K=2, G=2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코드북(K=2)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선부호 행렬들 U1, U2에 대해 전체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품질 지시(CQI) 값들을 측정하여 큰 순서대로 정렬함으로써 각 선부호 행렬에 대한 채널품질 목록을 작성한다. 여기서 U1이 선택되는 경우 최대의 전송 효율을 보이는 4개의 CQI들(M=4), 즉 CQI_SB5, CQI_SB2, CQI_SB9, CQI_SB7을 얻으며, U2가 선택되는 경우 최대의 전송 효율을 보이는 4개의 CQI들, 즉 CQI_SB3, CQI_SB5, CQI_SB1, CQI_SB8을 얻는다. 그러면 먼저 U1에 대한 2개의 최적 CQI들(G=2)인 CQI_SB5, CQI_SB2의 합이, U2에 대한 최적 CQI들인 CQI_SB3, CQI_SB5의 합과 비교된다. CQI_SB5와 CQI_SB2의 합이 CQI_SB3과 CQI_SB5의 합보다 큰 경우, U1에 대해 CQI_SB5, CQI_SB2가 피드백 정보로서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CQI_SB5, CQI_SB2는 U1 및 U2에 대한 채널품질 목록들에서 삭제된다.
다음으로 U1에 대한 다음 최적 CQI들인 CQI_SB9, CQI_SB7의 합이, U2에 대한 다음 2개의 최적 CQI들인 CQI_SB3, CQI_SB1의 합과 비교된다. CQI_SB9와 CQI_SB7의 합이 CQI_SB3과 CQI_SB1의 합보다 작은 경우 U2에 대한 CQI_SB3, CQI_SB1이 피드백 정보로서 선택된다. 피드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4개의 서브밴드들(M=4)이 모두 선택되었으므로, 피드백 정보에는 2개의 서브밴드 그룹들(L=M/G=2)인 [SB5, SB2], [SB3, SB1]에 대한 채널품질 정보와 각 서브밴드 그룹에 대해 적용된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는 선부호 정보가 하기 <표 2>과 같이 포함된다.
선부호 정보 채널품질 정보
U1 CQI_SB5, CQI_SB2
U2 CQI_SB3, CQI_SB1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 그룹핑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는 M=4, K=2, G=4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코드북(K=2)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선부호 행렬들 U1, U2에 대해 전체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품질 지시(CQI) 값들을 측정하여 큰 순서대로 정렬함으로써 각 선부호 행렬에 대한 채널품질 목록을 작성한다. 여기서 U1이 선택되는 경우 최대의 전송 효율을 보이는 4개의 CQI들(M=4), 즉 CQI_SB5, CQI_SB2, CQI_SB9, CQI_SB7을 얻으며, U2가 선택되는 경우 최대의 전송 효율을 보이는 M개의 CQI들, 즉 CQI_SB3, CQI_SB5, CQI_SB1, CQI_SB8을 얻는다. 그러면 먼저 U1에 대한 4개의 최적 CQI들(G=4)인 CQI_SB5, CQI_SB2, CQI_SB9, CQI_SB7의 합이, U2에 대한 4개의 최적 CQI들인 CQI_SB3, CQI_SB5, CQI_SB1, CQI_SB8의 합과 비교된다. U1에 대한 CQI들의 합이 U2에 대한 CQI들의 합보다 큰 경우, U1에 대한 CQI_SB5, CQI_SB2, CQI_SB9, CQI_SB7이 피드백 정보로서 선택되며, 피드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4개의 서브밴드들(M=4)이 모두 선택되었으므로, 피드백 정보에는 1개의 서브밴드 그룹들(L=M/G=1)인 [SB5, SB2, SB9, SB7]에 대한 채널품질 정보와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해 적용된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는 선부호 정보가 하기 <표 3>과 같이 포함된다.
선부호 정보 채널품질 정보
U1 CQI_SB5, CQI_SB2, CQI_SB9, CQI_SB7
한편, 부호 행렬이 아니라, 각 선부호 행렬 중 각 송신 안테나에 해당하는 선부호 행렬의 열 벡터(column vector, 이하 선부호 벡터라 칭함)에 대한 채널품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각 단말에 대해 모든 송신 안테나들이 아니라 원하는 개수(랭크(rank)라 칭한다)의 송신 안테나들이 할당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은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서브밴드들을 각 선부호 행렬의 선부호 벡터별로 그룹핑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단계들은 미리 정의된 선부호 행렬들의 각 열벡터, 즉 각 선부호 벡터에 대해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 그룹핑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는 M=4, K=2, G=2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으며, 이 예에서 코드북(K=2)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선부호 행렬들 U1, U2는 2*2 행렬이며, 따라서 U1은 2개의 선부호 벡터들 U11, U12로 구분되고, U2는 2개의 선부호 벡터들 U21, U22로 구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선부호 벡터들 U11, U12, U21, U22에 대해 전체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품질 지시(CQI) 값들을 측정하여 큰 순서대로 정렬함으로써 각 선부호 벡터에 대한 채널품질 목록을 작성한다. 여기서 U11이 선택되는 경우 최대의 전송 효율을 보이는 4개의 CQI들(M=4), 즉 CQI_SB5, CQI_SB2, CQI_SB6, CQI_SB1을 얻으며, U12가 선택되는 경우 최대의 전송 효율을 보이는 4개의 CQI들, 즉 CQI_SB3, CQI_SB5, CQI_SB8, CQI_SB7을 얻는다. 또한 U21이 선택되는 경우 최대의 전송 효율을 보이는 4개의 CQI들, 즉 CQI_SB9, CQI_SB7, CQI_SB2, CQI_SB6을 얻으며, U22가 선택되는 경우 최대의 전송 효율을 보이는 4개의 CQI들, 즉 CQI_SB1, CQI_SB5, CQI_SB4, CQI_SB3을 얻는다.
그러면 먼저 U11에 대한 2개의 최적 CQI들(G=2)인 CQI_SB5, CQI_SB2의 합, U12에 대한 2개의 최적 CQI들인 CQI_SB3, CQI_SB5의 합, U21에 대한 2개의 최적 CQI들인 CQI_SB9, CQI_SB7의 합 및 U22에 대한 2개의 최적 CQI들인 CQI_SB1, CQI_SB5가 서로 비교된다. U11에 대한 CQI들의 합이 가장 큰 경우, U11에 대한 CQI_SB5, CQI_SB2가 피드백 정보로서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선택된 서브밴드들의 CQI들이 채널품질 목록에서 삭제된 후, U11에 대한 2개의 최적 CQI들인 CQI_SB6, CQI_SB1의 합, U12에 대한 2개의 최적 CQI들인 CQI_SB3, CQI_SB5의 합, U21에 대한 2개의 최적 CQI들인 CQI_SB9, CQI_SB7의 합 및 U22에 대한 2개의 최적 CQI들인 CQI_SB1, CQI_SB4가 서로 비교된다. U21에 대한 CQI들의 합이 가장 큰 경우, U21에 대한 CQI_SB9, CQI_SB7이 피드백 정보로서 선택된다.
피드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4개의 서브밴드들(M=4)이 모두 선택되었으므로, 피드백 정보에는 2개의 서브밴드 그룹들(L=M/G=2)인 (SB5, SB2, SB9, SB7)에 대한 채널품질 정보와 상기 서브밴드 그룹들에 대해 적용된 선부호 벡터들을 나타내는 선부호 정보가 하기 <표 4>와 같이 포함된다.
선부호 정보 채널품질 정보
U11 CQI_SB5, CQI_SB2
U21 CQI_SB9, CQI_SB7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 단말에서 서브밴드별로 측정된 채널품질 값들과 해당 선부호 행렬/벡터들을 공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공간 및 주파수 다이버시티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공간 및 시간 자원들의 적절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선부호 행렬/벡터에 대해 서브밴드의 그룹핑 크기에 의존함으로써 상위 몇 개에 해당하는 서브밴드들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각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의 값들이 평탄(Flat)하게 되는 한편, 다이버시티 이득을 충분히 얻을 수 있으므로, 피드백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다중송신 다중수신(MIMO) -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OFDM)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과 복수의 서브밴드들을 사용하여 송출된 신호들에 대해 채널품질 지시 값들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밴드들 중 최적의 전송 성능을 보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그룹 및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부호 행렬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 그룹의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과 상기 결정된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의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과정은,
    미리 약속된 코드북에 포함되는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행렬들의 열 벡터들에 대응하는 선부호 벡터들 각각에 대해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의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벡터들 각각에 대해 채널품질이 우수한 상위 M개(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의 서브밴드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벡터들 중 최대 전송율 합을 가지는 G(여기서 G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개의 서브밴드들을 포함하는 서브밴드 그룹과 해당 선부호 행렬 혹은 선부호 벡터를 피드백 정보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정보로 미리 정해지는 개수(L)개의 서브밴드 그룹들이 결정될 때까지 상기 결정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의 송신 방법.
  4. 다중송신 다중수신(MIMO) -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OFDM)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과 복수의 서브밴드들을 사용하여 송출된 신호들에 대해 채널품질 지시 값들을 측정하는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측정기와,
    상기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밴드들 중 최적의 전송 성능을 보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그룹 및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부호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 그룹의 서브밴드별 채널품 질 지시 값과 상기 결정된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정보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의 송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품질 측정기는,
    미리 약속된 코드북에 포함되는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행렬들의 열 벡터들에 대응하는 선부호 벡터들 각각에 대해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의 송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 생성기는,
    상기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벡터들 각각에 대해 채널품질이 우수한 상위 M개(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의 서브밴드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벡터들 중 최대 전송율 합을 가지는 G(여기서 G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개의 서브밴드들을 포함하는 서브밴드 그룹과 해당 선부호 행렬 혹은 해당 선부호 벡터를 피드백 정보로 결정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피드백 정보로 미리 정해지는 개수(L)개의 서브밴드 그룹들이 결정될 때까지 상기 결정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의 송신 장치.
  7. 다중송신 다중수신(MIMO) -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OFDM)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과 복수의 서브밴드들을 사용하여 송출된 신호들에 대해 측정된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밴드들 중 최적의 전송 성능을 보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그룹 및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도록 결정된 피드백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선부호 행렬 및 최적의 서브밴드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의 수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미리 약속된 코드북에 포함되는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행렬들의 열 벡터들에 대응하는 선부호 벡터들 각각에 대해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벡터들 각각에 대해 채널품질이 우수한 상위 M개(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의 서브밴드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벡터들 중 최대 전송율 합을 가지는 G(여기서 G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개의 서브밴드들을 포함하는 서브밴드 그룹과 해당 선부호 행렬 혹은 해당 선부호 벡터를 피드백 정보로 결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로 미리 정해지는 개수(L)개의 서브밴드 그룹들이 결정될 때까지 상기 결정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의 수신 방법.
  9. 다중송신 다중수신(MIMO) -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OFDM)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과 복수의 서브밴드들을 사용하여 송출된 신호들에 대해 측정된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밴드들 중 최적의 전송 성능을 보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그룹 및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부호 행렬을 나타내도록 결정된 피드백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피드백 정보 수신기와,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선부호 행렬 및 최적의 서브밴드들을 선택하는 스케쥴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의 수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미리 약속된 코드북에 포함되는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행렬들의 열 벡터들에 대응하는 선부호 벡터들 각각에 대해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벡터들 각각에 대해 채널품질이 우수한 상위 M개(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의 서브밴드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밴드별 채널품질 지시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선부호 행렬들 혹은 상기 선부호 벡터들 중 최대 전송율 합을 가지는 G(여기서 G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개의 서브밴드들을 포함하는 서브밴드 그룹과 해당 선부호 행렬 혹은 상기 선부호 벡터를 피드백 정보로 결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로 미리 정해지는 개수(L)개의 서브밴드 그룹들이 결정될 때까지 상기 결정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의 수신 장치.
KR1020060078339A 2006-08-18 2006-08-18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49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339A KR101249359B1 (ko) 2006-08-18 2006-08-18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213189A JP4505001B2 (ja) 2006-08-18 2007-08-17 多入力多出力技術を用いる直交周波数分割多重化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ンネル品質を示すフィードバック情報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11/840,918 US7764931B2 (en) 2006-08-18 2007-08-1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representing channel quality in a MIMO-OFDM system
EP14167017.4A EP2765727A1 (en) 2006-08-18 2007-08-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representing channel quality in a MIMO-OFDM system
EP07016290.4A EP1890413B1 (en) 2006-08-18 2007-08-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representing channel quality in a MIMO-OFDM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339A KR101249359B1 (ko) 2006-08-18 2006-08-18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335A true KR20080016335A (ko) 2008-02-21
KR101249359B1 KR101249359B1 (ko) 2013-04-01

Family

ID=3889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339A KR101249359B1 (ko) 2006-08-18 2006-08-18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64931B2 (ko)
EP (2) EP1890413B1 (ko)
JP (1) JP4505001B2 (ko)
KR (1) KR1012493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717B1 (ko) * 2009-01-14 2010-10-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입출력 시스템의 선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1014034A2 (ko) * 2009-07-31 201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4207B2 (en) 2005-10-31 2013-11-2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quality feedback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KR100913856B1 (ko) * 2006-04-19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mimo 시스템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방법과 시스템
US8020075B2 (en) 2007-03-16 2011-09-13 Apple Inc. Channel quality index feedback reduction for broadband systems
US8831116B2 (en) 2007-03-20 2014-09-0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quality and precoding metric feedback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US8179775B2 (en) * 2007-08-14 2012-05-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ecoding matrix feedback processes, circuits and systems
KR101293373B1 (ko) 2007-06-25 2013-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US8457235B2 (en) * 2007-06-25 2013-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data in multiple antenna system
US8125884B1 (en) * 2007-07-11 2012-02-28 Marvell International Ltd. Apparatus for pre-coding using multiple codebooks and associated methods
JP5235883B2 (ja) * 2007-08-09 2013-07-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周波数リソース割当方法
KR101478362B1 (ko) 2007-08-10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귀환데이터 전송방법
GB0721027D0 (en) * 2007-10-26 2007-12-05 Univ Bristol A selective cluster index scheduling implementation of OFDMA
CN104135313B (zh) 2008-02-28 2019-01-04 苹果公司 基站、移动站和用于操作第一无线节点的方法
US8233559B2 (en) * 2008-03-12 2012-07-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ilot in multi-antenna system
DE102008020141A1 (de) 2008-04-22 2009-10-29 Rohde & Schwarz Gmbh & Co. Kg Beurteilung der Feedback-Qualität in Kommunikationssystemen
CN101567714A (zh) * 2008-04-24 2009-10-28 夏普株式会社 用于信息反馈的子带判决方法、基站、用户设备以及通信系统
US8199836B2 (en) * 2008-05-02 2012-06-12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ulti-resolution precoding codebook
JP5262332B2 (ja) * 2008-06-17 2013-08-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
CN102077489B (zh) 2008-06-25 2014-11-05 苹果公司 包括关于无线信道的单独子带的反馈信息
TWI414157B (zh) * 2008-07-02 2013-11-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多輸入多輸出通信的秩及預編碼矩陣測量及報告方法及裝置
CN101651890A (zh) * 2008-08-11 2010-02-17 夏普株式会社 反馈上行控制信令的方法、基站、用户设备及通信系统
US8204453B2 (en) * 2008-08-20 2012-06-19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unit
CN101729474B (zh) * 2008-10-10 2013-05-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质量指数反馈方法和接收机
KR101253202B1 (ko) 2008-10-29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지원을 위한 다중 캐리어 결합 상황에서 효과적인 물리 채널 전송방법
EP2197125B1 (en) * 2008-12-12 2018-07-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mimo) communication scheme
KR101707680B1 (ko) 2008-12-21 2017-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JP4693897B2 (ja) * 2008-12-24 2011-06-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DE102009019685A1 (de) * 2009-02-09 2010-08-12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und Testvorrichtung zur Analyse eines über eine Funkstrecke kommunizierenden Geräts
KR101753391B1 (ko) 2009-03-30 201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8923143B2 (en) * 2009-06-29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Open loop channel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23844B2 (en) * 2009-08-14 2014-12-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ordinated beam forming and multi-user MIMO
US8780751B2 (en) 2009-08-24 2014-07-15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O2011053069A2 (ko) * 2009-10-30 2011-05-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전송 방법
WO2011074816A2 (ko) * 2009-12-15 2011-06-23 (주)팬택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
US8599708B2 (en) 2010-01-14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feedback based on reference signal
US8614981B2 (en) * 2010-01-29 2013-12-24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of channel information to support coordinated multi-point data transmission
US9288089B2 (en) 2010-04-30 2016-03-15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Orthogonal differential vector signaling
US9083576B1 (en) 2010-05-20 2015-07-14 Kandou Labs, S.A. Methods and systems for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using vector signal prediction
WO2011151469A1 (en) * 2010-06-04 2011-12-08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rror control coding for orthogonal differential vector signaling
JP5746349B2 (ja) * 2010-09-01 2015-07-08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転送されたチャネル条件情報に基づくデータの事前符号化
US11152977B2 (en) 2010-10-21 2021-10-19 Mediatek Singapore Pte. Ltd. Integrity and quality monitoring and signaling for sounding and reduced feedback
US20130058239A1 (en) 2010-10-21 2013-03-07 James June-Ming Wang Integrity and Quality Monitoring and Signaling for Sounding and Reduced Feedback
EP2647149A1 (en) * 2010-12-02 2013-10-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channel quality indication feedback accuracy in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interference prediction
CN102487290B (zh) * 2010-12-03 2014-05-2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传送终端及其传送天线选择方法
US8442145B2 (en) * 2010-12-03 2013-05-1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ransmitting terminal and transmit antenna selecting method thereof
US8934466B2 (en) * 2010-12-16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dulation-coding scheme set in very high throughput wireless systems
US9100162B2 (en) 2012-04-11 2015-08-04 Apple Inc. Adaptive generation of channel state feedback (CSF) based on base station CSF scheduling
US8867448B2 (en) 2012-05-15 2014-10-21 Apple Inc. Power-efficient adaptive channel state feedback in discontinuous reception scenarios
US9300373B2 (en) * 2012-06-19 2016-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lection of precoding vectors in lean-carrier systems
US8798590B2 (en) 2012-07-06 2014-08-05 Apple Inc. Mobile device which deletes duplicate preferred roaming list system records for improved performance
JP2014027608A (ja) * 2012-07-30 2014-02-06 Ntt Docomo Inc 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8989743B2 (en) 2012-08-28 2015-03-24 Apple Inc. Battery conservation in stationary conditions for a wireless device
KR102241045B1 (ko) 2013-04-16 2021-04-19 칸도우 랩스 에스에이 고 대역폭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5993151B (zh) 2014-02-02 2019-06-21 康杜实验室公司 低isi比低功率芯片间通信方法和装置
US9509437B2 (en) 2014-05-13 2016-11-29 Kandou Labs, S.A. Vector signaling code with improved noise margin
US11240076B2 (en) 2014-05-13 2022-02-01 Kandou Labs, S.A. Vector signaling code with improved noise margin
US9473286B1 (en) * 2014-12-01 2016-10-18 Sprint Spectrum L.P. Management of carrier-aggregation based on predicted intermodulation distortion
US9780847B2 (en) * 2015-03-27 2017-10-0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feedback design for frequency selective channels
EP3700154A1 (en) 2015-06-26 2020-08-26 Kandou Labs, S.A. High speed communications system
CN106664683B (zh) * 2015-06-30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0219169B1 (en) * 2015-07-09 2019-02-26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Hybrid MU-MIMO spatial mapping using both explicit sounding and crosstalk track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4216444A1 (en) 2017-04-14 2023-07-26 Kandou Labs, S.A. Pipelined forward error correction for vector signaling code channel
DE112018002643T5 (de) 2017-05-22 2020-05-07 Invention Mine, Llc Multimodale datengetriebene taktwiederherstellungsschaltung
US10116468B1 (en) 2017-06-28 2018-10-30 Kandou Labs, S.A. Low power chip-to-chip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US10693587B2 (en) 2017-07-10 2020-06-23 Kandou Labs, S.A. Multi-wire permuted forward error correction
EP3697128B1 (en) * 2017-11-17 2024-04-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CN116614338A (zh) 2017-12-28 2023-08-18 康杜实验室公司 同步切换多输入解调比较器的方法和装置
US10420161B1 (en) 2018-03-20 2019-09-17 Sprint Spectrum L.P. Controlling RF communication in a dual-connectivity scenario
US10873958B1 (en) 2019-05-10 2020-12-22 Sprint Spectrum L.P. Controlling PRB allocation for dual-connectivity service
US10797805B1 (en) * 2019-07-24 2020-10-06 Cisco Technology, Inc. Optimized frequency searching for simultaneously received packet detection
US11909472B2 (en) 2021-11-16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on of linear combination coefficients for precoding in frequency-selective channels
US11831472B1 (en) 2022-08-30 2023-11-28 Kandou Labs SA Pre-scaler for orthogonal differential vector signall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9503B2 (en) 2001-04-07 2005-02-22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in a transceiver for controlling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channel
US7020110B2 (en) * 2002-01-08 2006-03-2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MIMO-OFDM communication systems
US7613248B2 (en) * 2002-06-24 2009-11-0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processing with channel eigenmode decomposition and channel inversion for MIMO systems
US7065144B2 (en) * 2003-08-27 2006-06-20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independent spatial processing for wideband MISO and MIMO systems
US7668125B2 (en) * 2003-09-09 2010-02-23 Qualcomm Incorporated Incremental redundancy transmission for multiple parallel channels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6917821B2 (en) * 2003-09-23 2005-07-12 Qualcomm, Incorporate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iver processing with selection diversity
US7508748B2 (en) * 2003-10-24 2009-03-24 Qualcomm Incorporated Rate selection for a multi-carrier MIMO system
KR20060044335A (ko) * 2004-03-12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안정적 채널운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46923B1 (ko) 2004-03-12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시스템
US20060039489A1 (en) 2004-08-17 2006-02-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sed-loop transmit precoding
CN1741412B (zh) 2004-08-27 2011-06-08 清华大学 无线网络中子信道分配的方法
WO2006048037A1 (en) * 2004-11-05 2006-05-11 Ntt Docomo, Inc. Multiuser transmission system
KR100981514B1 (ko) * 2004-12-30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부분 채널 정보 피드백을 이용한 적응 부채널 및 비트 할당 방법
US7466749B2 (en) * 2005-05-12 2008-12-16 Qualcomm Incorporated Rate selection with margin sharing
TWI274482B (en) * 2005-10-18 2007-02-21 Ind Tech Res Inst MIMO-OFDM system and pre-coding and feedback method therein
US8315213B2 (en) 2006-03-31 2012-11-20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s among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access networ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717B1 (ko) * 2009-01-14 2010-10-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입출력 시스템의 선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1014034A2 (ko) * 2009-07-31 201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1014034A3 (ko) * 2009-07-31 201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전송 방법 및 장치
US9178679B2 (en) 2009-07-31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0413A2 (en) 2008-02-20
EP2765727A1 (en) 2014-08-13
EP1890413B1 (en) 2014-05-07
US7764931B2 (en) 2010-07-27
JP2008048418A (ja) 2008-02-28
JP4505001B2 (ja) 2010-07-14
KR101249359B1 (ko) 2013-04-01
EP1890413A3 (en) 2008-09-17
US20080043677A1 (en)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359B1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39723B1 (ko) 위상천이 기반의 프리코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송수신기
RU23699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множеством антенн
AU2007297958B2 (en) A method of transmitting using phase shift-based precoding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655757C (en) Method for reducing feedback information overhead in precoded mimo-ofdm systems
JP5269098B2 (ja) Mimo通信における開ループ事前符号化器循環
KR101341526B1 (ko) 위상천이 기반 프리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송수신기
TWI419498B (zh) Ofdm-mimo通信系統中改善系統效率之每資料流率控制(psrc)
KR100958092B1 (ko) Cqi및 송신 사전-코딩에 대한 피드백 리소스들의 적응적할당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5272075B2 (ja) Mimo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プリコーディング・マトリクスを用いる方法及び装置
CA2708110C (en) Precoder for spatial multiplexing, multiple antenna transmitter
JP5388356B2 (ja) プリコーディングウェイト生成方法、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
CN1973449A (zh) 在无线通信系统中使用多个天线收发分组数据的设备和方法
KR20100039858A (ko) 지연 다이버시티와 공간-주파수 다이버시티에 의한 송신 방법
TW201347477A (zh) 正蕉分頻多工無線通信系統中實施空間頻率區塊編碼方法及裝置
JP2011233969A (ja) フィードバック情報送信方法、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
EP1982451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transmit diversity and spatial multiplexing using antenna selection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WO2011125994A1 (ja) 通信制御方法、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
US8385838B2 (en)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in multiple antenna system
KR101382401B1 (ko)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 장치 및 방법
WO20071215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osed loop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environ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EP3573252A1 (en) A precoding strategy for data multicasting
KR20090076322A (ko)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KR20080036508A (ko) 순환지연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