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426A - 진단 및 치료용 컨쥬게이트된 방향족 화합물 - Google Patents

진단 및 치료용 컨쥬게이트된 방향족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426A
KR20080015426A KR1020077028299A KR20077028299A KR20080015426A KR 20080015426 A KR20080015426 A KR 20080015426A KR 1020077028299 A KR1020077028299 A KR 1020077028299A KR 20077028299 A KR20077028299 A KR 20077028299A KR 20080015426 A KR20080015426 A KR 20080015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optionally substituted
subject
lower alkyl
substituted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 로이 모건
Original Assignee
데크-테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크-테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데크-테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1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1/00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doubly-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51/72Hydrazones
    • C07C251/74Hydrazones having doubly-bound carbon atoms of hydrazon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1/78Hydrazones having doubly-bound carbon atoms of hydrazon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51/80Hydrazones having doubly-bound carbon atoms of hydrazon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Oximes (>C=N—O—); Hydrazines (>N—N<); Hydrazones (>N—N=) ; Imines (C—N=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1/00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doubly-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51/72Hydrazones
    • C07C251/82Hydrazones having doubly-bound carbon atoms of hydrazon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Vi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AIDS & HIV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합물, 조성물 및, 전암성(procancerous) 및 암성(cancerous) 병태를 포함하는 과증식성 병태(hyperproliferative conditions)의 치료에 있어서의 상기 화합물 및 조성물의 사용 방법이 본원에 개시되었다. 한 구체예에서, 공명 조절 화합물(resonance modulating compound)을 포함하는 상기 화합물은 커플링제(coupling agent)로서 상기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어, 면역계와 상호작용하여, 면역 기능을 모니터 또는 자극한다. 이러한 공명 조절자는 고유의 전자기 특성을 가져, 상기 공명 조절 제제가 적용된 표적 영역으로 면역 세포를 유인한다. 표적 영역의 (전압 진폭과 같은) 전자기적 특성은 상기 공명 조절자의 존재로 변경되고, 면역 기능의 지표로서 작용한다. (인가된 전자기장과 같은) 외부 자극 또한 면역 자극 및 유인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공명 조절자에 인가될 수 있다. 공명 조절자의 특정 실시예가 개시되며, 이들 물질은 일반적으로 공명하는 분자 내 쌍극자 모멘트를 가져, 생물학적 환경과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그들의 치료 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치료 작용 부위에서 응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혈소판 생성을 자극한다.

Description

진단 및 치료용 컨쥬게이트된 방향족 화합물 {CONJUGATED AROMATIC COMPOUNDS FOR DIAGNOSIS AND THERAPY}
미국 정부는 본 발명의 특정 권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개에 관련된 일부 연구는 국립 암 연구소 승인번호 R43 CA89772-01 하에 수행되었다.
본 출원은, 그의 전부가 참조로서 본원에 삽입된, 2005년 5월 4일에 출원된 미국 정규출원 제60/678,089호의 선출원일의 이점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전염성 질환 및 종양 질환의 진단 및/또는 치료에서의 면역 기능의 모니터링(monitoring) 방법 및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은 전염성 병원체 및/또는 염증과 관련된 과증식(hyperproliferative) 병변과 같은 병변의 치료 방법을 개시한다.
면역요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선천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상의 면역 반응의 조절(modulation)을 포함한다. 전자기장 및 면역과 같은 생물학적 기능 사이에는 관련성이 있다고 인식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670,386호는 암세포의 양극성 분자 성분에서의 극성의 주기적, 빠른, 교대적 변화를 일으키는 고주파 전자기 방사선에 종양 세포를 노출함으로써 강한 항원성 종양 특이적 항원의 발현이 유도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초고주파 방사선의 결점 중 하나는 이것이 원치않는, 생물 조직을 잠재적으로 손상시키는 가열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전자기 방사선 및 면역 간의 관련성은 또한 미국 특허 제6,038,478호에 기술되었으며, 이는 소망하는 지점에 전극을 인입하고 림프구를 유인하는데 충분한 전류로 조직을 자극함으로써 림프구를 체내 소망하는 지점으로 유인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공보 2002/0072646에서 저 에너지 교류의 전류 자기장은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유사하게, WO 02/062418은 대상을 자기장 또는 초고주파의, 각이 조정된(angularly modulated) 전자기장에 노출시킴으로써 면역 기능을 향상시킴을 개시한다.
The Biomedical Engineering 핸드북 (CRC Press 1995)의 50장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생물계는 종종 그들과 관련된 전기적 활성을 갖는다. 이들 활성은 일정한 DC 전계, 전하 운반 입자의 일정한 흐름 또는 전류, 또는 다소 시간 의존적인 또는 생화학적 현상과 관련된 시변(time varying) 전계 또는 전류일 수 있다. 생체 전기 현상은 생물학적 구조 내 이온 또는 대전(charged) 분자의 분포, 및 특정 작용으로부터 기인된 상기 분포의 변화와 관련된다.
전자기적 생체 임피던스(bioimpedance)는 진단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WO 01/076475는 생물학적 조직 내에서 전기적 맴돌이 전류(eddy current)를 유도하기 위한 교대적인 자기장의 용도를 개시한다. 발진 회로는 목적하는 조직에 인접하는 코일 내에 전류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결과로서 생기는 전압의 진폭이 조직의 전도율에 대해 비례하므로, 생체 임피던스의 변화는 전립선 종양 과 같은 종양과 관련된 조직의 변화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분화 조직 유형에 대한, 다른 조직 임피던스 측정 장치는 WO 01/67098에 개시된다. 이들 PCT 공보 (WO 01/076475 및 WO 01/67098) 모두의 개시는 본원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생물학적 유기체와 그들의 세포 구성 성분에서의 전자기장의 효과는 이전부터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이 상관성을 이용하기는 어려웠으며, 면역계와 변조 전자기 방사선의 외원(external source)을 더욱 효과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요구되어 왔다.
단백질 포스파타아제(Protein phosphatase)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되고도 별개인 패밀리(family)로 구성된다: 단백질 세린/트레오닌 포스파타아제 및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PTP). 인간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인간 PTP)는 모든 진핵생물에서 크고 다양한 패밀리의 단백질로서 존재한다. 각 PTP는 적어도 하나의, 촉매 활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시스테인 및 아르기닌 잔기를 포함하는 11-잔기 서열 모티프(motif)로 특징되는 보존 영역(conserved domain)으로 구성된다. PTP 서열은 세린 또는 트레오닌, 산 또는 알칼리 포스파타아제에 대해 유사성을 공유하지 않는다. PTP 패밀리 내의 구조상 다양성은 촉매 영역의 NH2― 또는 COOH- 말단에 부착된 비-촉매 서열의 변화로부터 주로 기인된다. 세포 내 포스페이트(phosphate) 대사 및 영역에 관여하는 많은 PTP가 있다. 세포 외 구획의 다양성은 아마도, PTP에 노출되고, 포스페이트 이동을 촉매하는 여러 리간드(ligand)를 반영한다.
PTP는 일반적으로 두 하위 집단(subgroup)으로 분류된다. 제1 하위 집단은 단일 보존 촉매 포스파타아제 영역을 포함하는 저 분자량의, 세포 내 효소로 구성된다. 알려진 모든 세포 내 유형 PTP는 단일 보존 촉매 포스파타아제 영역을 포함한다. PTP의 제1 하위 집단의 예는, 세포골격 단백질의 상동 부위를 포함하는 태반 PTP 1B, T-세포 PTP, 랫트 뇌 PTP, 신경 포스파타아제(STEP), 및 세포질 포스파타아제를 포함한다.
PTP의 제2 하위집단은 고분자량의, R-PTP로 불리는 수용체 연결(link)된 PTP를 포함한다. R-PTP는 일반적으로 세포 내 촉매 부위, 단일 막투과 구획, 및 추정의 리간드 결합 세포 외 영역을 포함한다. R-PTP의 추정의 리간드 결합 세포 외 "수용체" 영역의 구조 및 크기는, 상동성이 높은 R-PTP의 세포 내 촉매 부위와는 반대로 매우 다르다(divergent). 모든 R-PTP는, 오직 하나의 촉매성 포스파타아제 영역을 갖는 HPTPβ로 불리는 R-PTP의 두드러진 예외와 함께, 두개의 연달아 중복된 촉매성 포스파타아제 상동 영역을 갖는다.(Tsai 등, J.Biol.Chem.266(16):10534-10543(1991)).
R-PTP의 한 예는 백혈구 공통 항원(leukocyte common antigen, LCA)(Ralph,S.J.,EMBO J.,6:1251-1257(1987))이다. LCA는 모든 백혈구와 그들의 혈구형성 전구체(hemopoietic progenitor)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당단백질 패밀리이다. 여러 종(species)으로부터의 LCA 서열에서 주목할만한 정도의 유사성이 인지된다(Charbonneau 등,Proc.Natl.Acad.Sci.USA 85:7182-7186(1988)). LCA는 T200, B세포 유형에 대한 B220, 마우스 유전적 마커 Ly-5, 및 더욱 최근의 CD45를 포함하는 상이한 명칭으로 문헌에서 언급된다(Cobbold 등,Leucocyte Typing Ⅲ, ed.A.J.McMichael 등,pp.788-803(1987)). CD45는 T 세포 활성화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연구는 Weiss A.,Ann.Rev.Genet.25:487-510(1991)에서 재고되었다.
R-PTP의 다른 예는 백혈구 공통 항원 관련 분자(leukocyte common antigen related molecule, LAR)이다(Streuli 등,J.Exp.Med.168:1523-1530(1988)). 추가로, 공개된 출원 WO92/01050은 인간 R-PTP-α,β와 γ를 개시하며, 또한 이들 세 R-PTP의 보존 영역 중에서 발견된 구조적 상동성의 특징(nature)과 이 단백질 패밀리의 다른 구성원들을 보고한다.
세포 외 PTP는 표면 인식(surface recognition) 및 백혈구 세포 표면 인식의 부착 분자와 관련된다. PTP는 인간 세포에 관련될 뿐만 아니라, 원핵 세포와 바이러스 및 세균에도 존재한다. 병원성 세균 예르시니아(Yersinia)의, 림프절 페스트(bubonic plague)의 원인물질(causative agent)인 Yop2b 티로신-특이적 PTP는 필수적인 발병력(virulence) 결정인자이다.
여러 연구는 생리 작용에서의 PTP의 중요성을 증명하였다. T- 및 B-림프구, 과립구 및 대식세포의 표현형적 결점 및 과증식 습성은 암 및 자가면역 질환의 발달에서 중요 문제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원에서 기술된 화합물, 조성물 및 면역 반응의 조절, 특히 자극을 위한 상기 화합물 및 조성물의 사용 방법은 예를 들어 암 치료에 유용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가지며,
Figure 112007087210986-PCT00001
여기서 Ar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은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02
이고, 여기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4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또한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탄수화물, 아미노산, 펩티드, 지방산, 뉴클레오시드 또는 핵산과 같은 생체분자와 함께 유도체화(derivatize)된다. 한 관점에서, 상기의 유도체화는 화합물의 용해도 및/또는 화합물이 특정 조직, 세포 또는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것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일반식에 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는 이러한 생체 분자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개시된 화합물은 치료 반응을 자극하는데 효과적인 공명 조절자(resonance modulator)이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것은 (면역자극과 같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공명하는 분자 내 쌍극자 모멘트(또는 전자 밀도)를 갖는 공명 조절 화합물을 투여하여 생물학적 환경과 상호 작용하도록 함에 의한, (면역 반응과 같은) 치료 반응의 자극 방법이다.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표적 부위에 대한 국소 적용, 피부 내 펠렛의 삽입, 병든 기관 내에 배치, 및 흡입을 포함하는, 제한되지 않은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공명 조절 화합물은,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 부근의 표적 영역 내로의 림프구와 같은 면역 세포의 침윤(infiltration)으로 일부 특징되는 면역 반응을 자극할 수 있다. 표적 영역의 전자기적 성질은 또한 면역 세포가 표적 영역으로 들어감에 따라 변화되고, 이들 전자기적 변화는, 대상의 면역 반응의 적절성을 측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공명 조절자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적 신호에 의해) 탐지된다. 면역 반응의 결핍은 이와 같이, 예를 들어 면역 세포의 예상되는 결집(aggregation)의 부재에 의해 신속하게 탐지되고, 적절한 치료적 또는 예방적 시술이 행해진다. 상기 시술의 하나는, 표적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또한 전신에 원격적으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외부 전자기적 자극에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전자기적 자극들의 예는, 상기 화합물을 통해 전기 전위(electrical potential)를 가로질러 흐르는 전류, 유도된 자기장, 또는 상기 화합물에 조사된 (레이저 에너지와 같은) 방사 에너지이다.
공명 조절 화합물의 특정 예는 아릴 화합물, 특히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공명 조절 화합물은 상기에 설명한 일반식을 갖는다.
어떤 구체예에서, 개시된 화합물은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n은 0이고, 이를테면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고,
Figure 112007087210986-PCT00003
여기서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OR5, -SR5, -SO2N(R5)2, -SO2CN, -SO2R6, -SO2N3, N3, -CN, -N(R5)C(O)R6, -R6이고;
각 R5는 독립적으로 H, 저급 알킬, 탄수화물, 지방산, 아미노산, 펩티드, 뉴클레오시드 또는 핵산이고; R6는 저급 알킬 또는 C-글리코시드이고; 또한 Ar, X 및 Y는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다.
다른 구체예에서, X는 결합(bond)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구조에서 X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04
를 포함하는 결합을 나타낸다.
상기 화합물의 대표적 구체예는, n=0일 때,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지며,
Figure 112007087210986-PCT00005
여기서 Ar, Y, R7 및 R8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가지며,
Figure 112007087210986-PCT00006
여기서 G는 -CH2-, -C(O)-, -N-, ―, -O-, 또는 -S-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이고; 또한 Y',Q, Y, X, Ar, R7 및 R8은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다.
본원에서 개시된 다른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것들을 포함하고,
Figure 112007087210986-PCT00007
여기서 R5는 H, -OR6, -SR6, -SO2N(R6)2, -SO2CN, -SO2R7, -SO2N3, N3, -CN, -N(R6)C(O)R7, 또는 -R7이고;
R1 및 R6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저급 알킬이고;
R2 및 R7는 독립적으로 저급 알킬이고; 또한 Ar은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아릴기이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특정 구체예는 아릴히드라존(arylhydrazone)을 포함한다. 다른 예는 아릴 니트로히드라존, 이를테면 페닐히드라존, 이를테면 폴리아릴 모노니트로- 또는 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Figure 112007087210986-PCT00008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09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10
이고,
여기서 R1 은 수소, 히드록시, (2- 또는 4-히드록시페닐과 같은) 히드록시페닐, 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아지도, 니트릴, 아미노, 디메틸아미노, 설페이트, 메틸술포네이트, 포스페이트, 숙시네이트이고;
R2는 비치환된 페닐기(C6H5), 또는 C6H4OH, C6H4N3, C6H4CN, 4-HO-C6H4-C6H4, C6H4OPO2OH, C6H4OSO2H, C6H4ONH2, C6H4NHMe2, C6H4OSO2Me, C6H4OCO(CH2)XCO2H, 또는 C6H5Cl과 같은 치환된 페닐기이고;
Ar은 C6H3-2,4(NO2)2, C6H4-4(NO2), C6H4-3(NO2), 또는 C6H3-2,4(NO2)2와 같은 니트로페닐이고;
R3 = -O-, -S-, -CH2-, -N-, ―, -CHA- 및 -CHOA-이고; 여기서 A = 아릴, 에스테르, 아미드, 지질, 탄수화물 또는 펩티드이고;
Y = H, (CH)XCH3 (x = 0-12), -S-CH3, 니트릴, 아미노, 니트로, 아지도, 숙시네이트 또는 아미드이고; 또한
Z = H, (CH)XCH3 (x = 0-12), -S-CH3, 니트릴, 아미노, 니트로, 아지도, 숙시네이트 또는 아미드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이들 화합물들은, 생물학적 환경과 정전기적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공명하는 분자 내 쌍극자 운동을 갖고, 특정 예에서 R-PTP CD45+ PTP 아형(subtype)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R-PTP의 세포 외 촉매적 수용체 또는 일반적으로 림프구와 상호 작용한다. 이 상호작용은 상기 화합물이 적용된 표적 지역에 (T-림프구와 같은) 림프구를 유인한다. 비록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이 비공유 관계(non-covalent affiliation)일 수 있다 해도, 이들은 일반적으로 실질적인 화학 반응성이 결여되고, 어떠한 국부적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예를 들어 림프망(lymphatic network)으로부터 림프구(예를 들어 예를 들어 CD45RO+ 또는 CD45RA+ 림프구인, CD45+ T-림프구와 같은 T-림프구)를 동원(mobilization)시킴으로써,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화합물에 노출되어 온 신체의 표적 영역에서 면역학적 활성을 집중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은 또한, 림프계에서 발견되는 것들과 같은 면역 세포의 분산망(distributed network)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표적 영역으로부터 원격의 지점에서, 예를 들어 비장에서 면역계를 자극할 수 있다. 이 면역 반응의 동원은 전염병 또는 종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적용 부위로부터 원격의 면역계 활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상기 개시된 화합물의 신체에 대한 능력은, 상기 화합물이 표적 세포 그 자체에 세포독성 또는 (에스트로겐성 또는 항-에스트로겐성 활성과 같은) 다른 약리적 작용이 실질적으로 없으면서, 면역 자극제로서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화합물이 표적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기 때문에, 신체의 자연적 방어는 소망하는 치료 효과를 간접적으로 달성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상기 약물은 체표면 상에(예를 들어 피부 상에) 잔류할 수 있고, (형성이상(dysplastic), 종양성(neoplastic), 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같은) 표적 세포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피부에 침투함 없이, 원격 면역 효과를 갖는다. 상기 약물은 또한, 새로운 조제 형태, 이를테면 정제 또는 결정으로 조제될 수 있는데, 이는 치료 요법의 표적인 세포에 상기 약물을 반드시 접촉시킬 필요 없이, 면역 자극이 요망되는 환경과의 연장된(prolonged) 접촉을 제공한다. 그러한 조제 형태의 다른 것들은, 심지어 대상의 신체와의 직접적인 접촉 또는, 피부 내로의 또는 피부를 통과하는 침투없이, 또는 (결정을 포함하는) 고체 형태로 그들의 효과를 발휘하는 피부 내로 상기 조제 형태를 도입함으로써, 그들의 원격 면역활성화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피부에 부착될 수 있는 용기(container)(이를테면, 밀봉된 붕대 또는 비침투성 파우치)를 포함한다. 조제 형태는 또한 정제 또는 좌약을 포함하며, 이는 혈관이 아닌 체강 내로 도입될 수 있어 (이를테면, 질, 항문 또는 복막), 병에 걸린 조직(이를테면, 질 자궁, 항문 상피 또는 복막 전이)과 접촉하는 체액에 용해될 수 있다.
개시된 화합물의 어떤 구체예는 세포 독성(cytotoxic)이 있다. 대표적인 세포 독성 화합물은 특정 조직, 세포 또는 수용체, 예를 들어, 표적 세포에서 핵을 형성(nucleate)하거나 또는 자가 집합(self-assemble)한다. 한 면에서, 상기 화합물은 특정 세포 유형에 대해 선택적으로 세포 독성이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종양 세포에서 표적화된 자가-결집(self-aggregation)은 약물 활성의 국소화된 증가를 달성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이를 대상의 피부에 적용함에 의해, 예를 들어 피부 표면에 국소적으로 겔로서 적용함에 의해 투여되며, 또는 달리는 피부 내로,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의 결정 또는 펠렛의 진피 내 배치에 의해 도입된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은 또한, 상기 화합물을 체내로, 예를 들어 (악성 종양 또는 전이 병변과 같은) 병에 걸린 기관 또는 종양 내로 도입하여 투여되어, 국소 면역 반응, 림프계로부터 림프구의 동원, 및 표적 기관 또는 종양에서의 면역 반응의 지휘를 자극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기관기관지(troncheobrionchial) 또는 입인두(oropharyngeal) 투여를 위한 분무 제제로 투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흉벽 유방암 병변 또는 자궁 상피암종과 같은 전이성 또는 표피 병변에 또는 여기에 인접하도록 국소 적용된다. 상기 화합물은 표적 영역에서 면역 반응을 자극하기 위해, 치료적으로 충분히 상기 병변에 근접한 영역 상의, 대상의 상피에 또는 표피 표면에 적용된다. (유방암의 흉벽 재발병 또는 자궁 또는 상피암과 같은) 표면(superficial) 병변의 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상기 병변에 직접적으로 적용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원발성(primary) 암 또는 피부성 전이와 같은) 피부 병변에 적용되지 않고, 대신 화합물이 접촉하지 않는, 신체 내 하위의(subjacent) 종양을 덮는 체표면에 배치되며, 이를테면 상기 종양 및 화합물은 상기 화합물이 이를 통해 투과하지 않는 외피(integumentary) 구조에 의해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림프계 내의 전이 세포, 또는 자궁, 유방, 항문 또는 전립선과 같은 기관 또는 구조 내 종양과 같은, 신체 내 깊은 곳의 종양 세포에 항-종양 효과를 갖도록, 대상의 피부 상에 또는 피부를 덮도록 적용될 수 있다.
개시된 화합물은, 내부 또는 외부의 체표면 병변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병변은 생식기 또는 항문 병변과 같은 항문생식기(anogenital) 병변, 예를 들어 사마귀 또는 악성종양, 이를테면 원발성 악성종양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개시된 예에서, 상기 병변은 자궁경부 사마귀와 같은, 여성 생식관의 생식기 사마귀와 같은 내부 병변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병변은 전암성(procancerous) 병변이다. 게다가, 일부 예에서, 상기 병변은 HPV-유도된 병변과 같은 유두종바이러스(papillomavirus) 관련 병변이다. 또한 다른 예에서, 상기 병변은 발바닥 사마귀(plantar wart), 실모양 사마귀(filiform wart), 편평 사마귀(flat wart) 또는 지루 사마귀(seborrheic wart)와 같은 비성병(non-venereal) 사마귀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상기 개시된 화합물은 조직의 종양 방지 또는 연기(delaying)와 같은 예방(prophylactic)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이를테면 전암성 병변에의 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질암 및, 음경 또는 외음부의 원발성암과 같은 외부 생식기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병리(pathology)에 의해 유발되는 생식기 병변의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체표면 병변에 국소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병변 내에 펠렛을 주입(injection) 또는 배치하여 피부 내에 도입된다. 또한, 상기 제제는 상기 병변에 패드(pad)로 적용되고, 상기 패드는 하루 이상 또는 일주일 이상과 같이 연장된 시기 동안 상기 병변 상에 배치하여 둔다.
다른 예에서, 상기 병변은 감염 또는 염증이 유도된 피부 병변이다. 상기 병변은 사마귀와 같은, 바이러스로 유도된 병변, 예를 들어, 유두종바이러스로 유도된 사마귀일 수 있다. 또는, 치료될 수 있는 병변은, 피부의 세균(예를 들어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또는 바이러스(예를 들어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 감염, 또는 피부 종양(예를 들어 편평 또는 기저 세포 암종 또는 원발성 흑색종과 같은 피부암)이다.
상기 화합물의 면역 자극 활성 또는 PTP 활성화 활성 또는 면역조절 활성은, 상기 화합물을 (시변(time varying) 전기장, 시변 자기장, 및/또는 방출성(radiating) 전자기장과 같은) 전자기장, 예를 들어 화합물의 증가된 공명 조절을 유도하는 장(field)에 노출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장은, 대상에 투여된 화합물의 부근에 자기 프로브를 배치하거나, 또는 두 전극 사이의 화합물을 통과하는 전류를 제공하거나, 또는 레이저 에너지로 화합물을 조사(irradiate)하는 레이저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면역계의 활성은 편리한 패치 또는 펠렛을 사용함으로써, 또한 화합물의 공명 조절자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전자기장을 유도함으로써, 화합물을 피부의 표적 영역에 적용하는 것으로 편리하게 상승 조절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피부 표면에서 상기 공명 조절자는 외부로 인가된 전자기장과 면역계 사이에서 편리한 커플러(coupler)로서 작용하고, 이는 특히 공명 조절자의 부위에서 국소적 면역 기능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면역 기능은 공명 조절 화합물로부터 먼, 전신적으로(systemically) 향상될 수 있다고도 여겨진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PTP(이를테면, 면역계의 구성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능력은, 면역 기능을 모니터하는데 상기 화합물이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 화합물의 적용(예를 들어 피부에 적용된 패치로)은 PTP 발현 세포, 예컨대 면역계의 세포 구성요소(cellular component)를 표적 영역으로 동원함이 관찰되어 왔다. 상기 면역 세포의 유인(attraction)은 명백히 수지상 세포 및 다른 초기 림프 세포와의 정전기적 상호 작용 및 유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들 세포는 공명 조절자 부근에서 결집하고, 이들이 결집한 표적 영역에서의 전자기적 특성(예를 들어, 생체 임피던스)을 변화시킨다. 변화된 전자기적 특성은, 예를 들어, 심지어 전극에 걸쳐 인가된 전위(voltage potential)의 부재의 경우에도, 표적 영역에 걸쳐 검출가능한 전압 차의 진폭 변화로서 검출 가능하다. 특정 구체예에서, 전극은 화합물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고유의 변화하는 전압은 시간에 걸친 화합물의 공명 조절에 의해 생성된다. 이들 변화하는 전위의 진폭은 면역 기능을 모니터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정상 대조군과 비교함에 따른 전극 사이의 전압 진폭의 감소는 면역 기능 부전(impaired immune function)의 지표이다.
파형의 진폭(또는 다른 전자기적 특성)은 화합물에 대한 대상의 면역계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모니터 될 수 있다. 시간에 걸친 전압 진폭의 증가는, 면역 반응이 발생했음 (또한 림프구와 같은 면역 작용 세포가 표적 영역으로 이동했음)을 지시한다. 만약 상기 진폭의 증가가 소정의 역치 미만이라면(예를 들어 예상된 증가의 적어도 10%, 25% 또는 50%), 그 후 면역 부전에 대한 원인을 평가하거나 교정하기 위해 추가의 진단 또는 치료 시술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엄격한 탐색이, 면역 부전 반응의 감염, 독성 또는 종양(neoplastic) 원인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면역 반응은, 화합물의 증가된 공명 조절을 유도하는 전자기장에 공명 조절 화합물을 노출시킴으로써 상승조절(upregulate)될 수 있다. 적절한 항-감염성 또는 항-종양(anti-neoplastic) 화학치료제로의 다른 접근이 대상의 치료를 개시하기 위함일 수 있다.
개시된 제제는, 상기 제제를 대상에게 투여함으로써(예를 들어 피부 전이(cutaneous metastasis) 위쪽 또는 주변의 표적 영역에 국소 적용함으로써) 종양을 치료하는데 특히 효과적이다. 그 후 그의 공명 조절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제에 외부의 전자기장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면역자극 효과가 증가된다. 외부의 전자기장은 예를 들어, 국부적 자기장을 유도하는 자기 프로브, 전극을 가로질러 적용된 유도 외부 전류(induced external current), 또는 공명 조절 화합물의 공명 조절을 자극하는 레이저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결과적인, 표적 영역으로의 항원 제시 세포(예를 들어 수지상 세포) 및 면역 작용 세포(예를 들어 T-세포)의 증가된 동원은, 종양 표적에 대한 직접적인 면역감시(immunosurveillance) 및 면역 작용 활성를 돕는다. 상기 제제는 예를 들어, 자궁경부, 항문 또는 질 암종, 이를테면 세포의 악성 변형(transformation)을 유도하는 HPV 감염 관련 암종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개시된 제제는, RPTP 발현 세포, 이를테면 CD45+ 세포, 이를테면 CD45+ T-림프구 또는 RPTP 또는 CD45+ 발현하는 감염 세포를 통한 또는 이에 대한 면역 반응을 자극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세포의 예는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에 대한 반응에서 생성된 림프구, 예컨대 유두종바이러스, 예를 들면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또는 면역 결핍 바이러스(예를 들어 HIV)에 감염된 세포이다.
특정의 면역 반응 모니터링 방법에서, 화합물은 대상과 (예를 들면, 대상의 피부 상에 또는 피부 내에) 접촉하여 둔다. 상기 방법의 한 면에서, 상기 화합물은 공명 조절자이며, 상기 화합물 고유의 공명 조절은 상기 화합물의 특징적인 파형(waveform)을 야기한다. 상기 화합물로부터 검출된 상기 파형(이를테면 전위 또는 다른 전자기파의 교번(alternation))은, 변경된 면역 기능과 관련된, 화합물로부터 생성된 파형을 검출하기 위해 모니터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파형은 화합물에서의 시간에 걸친 전압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예를 들면 시간에 걸쳐 나타나는, 예상된 증가로부터 감소한 진폭을 갖는 파형을 검출함으로써 모니터된다. 상기 방법의 일부 구체예에서, 변경된 면역 기능과 관련된 상기 파형이 검출된 후, 진단 또는 치료 시술이 상기 파형의 검출에 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술은, 변경된 면역성의 특정 사항(이를테면 감소된 수 또는 기능 또는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T-세포와 같은 특정 세포) 또는 변경된 면역성의 원인(이를테면 면역 기능을 변경시키는, 면역결핍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종양과 같은 종양성(neoplastic) 병태의 존재)을 검출하기 위해 고안된 진단 시술이 될 수 있다. 또는, 변경된 면역성의 검출은, 치료 시술, 이를테면 항-종양성(neoplastic) 또는 항-감염성 치료(이를테면 항생물성(antibiotic) 또는 항바이러스성 약물)의 투여, 및/또는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합물의 공명을 조절하도록 한다. 화합물의 공명을 조절하는 것은, 화합물의 공명 조절을 증가시켜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는, 화합물에 유도된 전자기장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향상된 면역 기능은, 공명 조절 화합물의 적용 부위로의 T-림프구(이를테면 CD45+ T-림프구)의 향상된 동원으로 구성된다.
개시된 방법은 또한 치료적으로 유효한 용량의 공명 조절 화합물에 종양을 노출시키고, 화합물의 공명 조절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부의 전자기장을 상기 화합물에 적용하고, 또한 이로써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의 항-종양 효과를 증가시키는,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방법은,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감염(이를테면,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감염과 같은 세균 감염 또는 바이러스 감염, 이를테면 HPV 또는 HIV 감염, 또는 병원체에 의해 PTP가 발현되는 다른 감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상기 치료적 양은, 세포의 PTP 세포 외 수용체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데 충분하다. 다른 치료의 특정 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대상의 피부에, 또는 감염 또는 종양(neoplasia) 영역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대상의 피부, 또는 유두종바이러스(이를테면 HPV)에 감염된 비뇨생식 또는 항문생식 상피(이를테면, 항문, 질 또는 자궁경부 상피)에 대한 국소적 겔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상피는 형성이상 또는 이형성의(metaplastic) 상피로서, 이를테면 자궁경부 상피내 또는 고등급(high grade) 또는 편평 상피내 종양(squamous intraepithelial neoplasm)(CIN/HSIL), 항문 상피내 종양(AIN/HSIL) 또는 편평 암종(carcinoma)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0.25% 겔로서, 치료 효과를 갖기에 충분한 기간, 이를테면 적어도 5일동안 대상에게 국소적으로 적용되었다. 특정 치료 방법에서, 겔은 매일 적용되고, 또한/또는 상기 효과적인 양은 상기 화합물을 적어도 0.25% 함유하는 국소 겔의 적어도 2 g이다.
개시된 화합물의 별난 특성은 또한, 수지상 세포 및/또는 림프구를, 인 비트로 또는 인 비보 어느 쪽에서든 집중시키는(concentrating) 방법에 이들이 사용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RPTP+ 세포, 이를테면 림프구(예를 들면 CD45+ 세포, 이를테면 T-림프구)는, 생물학적 조직 (또는 세포)을 효과량의 제제에 노출시킴으로써 생물학적 조직으로부터 (또는 조직 내에서) 집중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제는, RPTP+ 세포(이를테면 림프구)를 대상의 피부에 적용하여 제제의 적용 부위 및 그 주변에 집중시킨다. 그러나, RPTP+ 세포들, 이를테면 림프구 및/또는 수지상 세포는, 유방, 결장(colon) 또는 전립선 종양과 같은, 제제가 도입된 신체의 임의의 표적 영역으로 유인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제는, 림프구 및/또는 수지상 세포와 같은 RPTP+ 세포를 포함하는 조직 배양 내에, 상기 제제로 이들을 유인하기 위해 도입될 수 있다. 세포 소집단(sub-population)의 선택적인 집중은 이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또한, 예를 들어, 이들 세포 표면 마커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CD45RO+ 및 CD45RB+ 세포의 집중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CD45RO+의 선택적인 발현이 일어나는데 이는 세포 독성 활성에 관여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저혈소판증(thrombocytopenia)의 치료에서, 예를 들어 혈소판 생성을 자극함에 의한 혈소판 수치를 자극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되었다. 이 방법의 한 구체예는 감소된 혈소판 수를 갖는 대상의,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로의 치료를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저혈소판증의 대상은 종양성(neoplastic), 자가면역 또는 감염성 장애의 결과로서 감소된 혈소판 수치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은 자가면역 저혈소판증, 또는 예를 들어 세포 독성 항종양성 약물에 의해 유도된, 독성 저혈소판증을 갖는다.
개시된 화합물, 조성물 및 이들의 용도에 대한 방법의 앞서 말한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처리되는 하기의 여러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Ⅰ. 약어
A-007: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
AMTR(A-007 Magnetic Transistor Resonator): A-007 자성 트랜지스터 공진기
An(Antigen): 항원
APC(Antigen Presenting Cell): 항원 제시 세포
BDP-DNP: 2,6-디벤질리덴시클로헥사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
DC(Dendritic Cell): 수지상 세포
DNP: 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
PTP: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
Ⅱ. 용어
다른 언급이 없다면, 기술적인 용어는 종래의 관용법에 따라 사용된다. 분자 생물학에서 일반적인 용어의 정의는 Benjamin Lewin, Genes V, Oxford University Press 발행, 1994 (ISBN 0-19-854287-9); Kendrew 등(eds.), The Encyclopedia of Molecular Biology, Blackwell Science Ltd. 발행, 1994 (ISBN 0-632-02182-9); 및 Robert A. Meyers (ed.),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a Comprehensive Desk Reference, VCH Publishers, Inc. 발행, 1995 (ISBN 1-56081-569-8)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틀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변형은 반대의 언급이 없는 경우 이미 정의된 바와 동일한 변형이다.
이러한 용어들이 인용에 의해 도입된 문헌과 상충하는 경우, 본 문헌에 정의된 용어의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다양한 구체예의 고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기 특정 용어의 설명을 제공한다:
알킬기: 알킬기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에이코실(eicosyl), 테트라코실 등과 같은, 1 내지 24 탄소 원자의 분지쇄 또는 직쇄의 포화 탄화수소기이다. "저급 알킬"기는 1 내지 10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된 분지쇄 또는 직쇄의 탄화수소이다.
아릴기: 아릴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페닐, 나프틸, 플루오레닐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탄소-기반 방향족 기를 나타낸다. 용어 "방향족(aromatic)"은 또한 "헤테로아릴기(heteroaryl groups)"를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방향족 기의 고리 내에 도입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방향족 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원자의 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질소, 산소, 황, 및 인을 포함한다. 아릴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킬, 알키닐, 알케닐, 아릴, 할라이드, 니트로, 아미노, 에스테르, 케톤, 알데히드, 히드록시, 카르복시산, 또는 알콕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될 수도 있고,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사하게, 용어 "아랄킬(aralkyl)"은, 아릴기에 부착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알킬기를 갖는 아릴기를 의미한다. 아랄킬기의 예는 벤질기이다.
동물: 살아있는 다세포 척추동물로서, 예를 들어 포유류 및 조류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용어 포유동물은 인간 및 비-인간 포유동물 양자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용어 "대상(subject)"은 인간 및 수의(veterinary) 대상 양자를 포함한다.
항원: 동물에서 T-세포 반응 또는 항체의 생성을 자극할 수 있는 화합물, 조성물, 또는 물질로서, 동물 내로 주입 또는 흡수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항원은 이종유래 면역원(heterologous immunogen)에 의해 유도된 것들을 포함하는, 특정 체액 또는 세포 면역의 생성물과 반응한다. 용어 "항원(antigen)"은 모든 관련된 항원성 에피토프(antigenic epitope)를 포함한다.
암성(cancerous): 악성 종양 또는 병변을 의미한다. 예로는 음경, 외음부, 질, 자궁경부, 또는 외피(integument)의 원발성(primary) 암을 포함한다. 음경 암의 예는 침습성 편평세포암종이다. 질 암의 한 예는 편평세포암종이다. 임의의 이러한 종양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CD 마커: CD(분화집단(Cluster of differentiation) 마커는 상이한 클래스의 림프구에 대한 세포 표면 마커로서 기능할 수 있다. 특정의 인간 백혈구 항원(HLA)에 대한 특정 단일클론성 항체의 결합에 의해 CD가 측정된 계통 명명법이 개발되어왔다. CD 마커에 관한 추가의 정보는 예를 들어, Roitt 등의 Immunology((6th Edition), 2001)에 개시되어 있다. CD 마커의 특정 서브세트(subset)는 CD45 마커이며, 이는 백혈구 공통 항원(LCA)이다. CD45 RA, CD45RB 및 CD45RO는 CD45+ 세포들의 세브세트인 제한된 LCA들이며, Roitt,등의 Appendix 2에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들 LCA의 일부 특성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87210986-PCT00011
화학주성(Chemotaxis): 화학적 화합물에 반응하여, 백혈구와 같은 단세포 또는 유기체가 이동하는 것.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화학주성은 정전기적 특성을 포함하여, 화합물의 임의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화학요법(Chemotherapy); 화학요법제(chemotherapeutic agents):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질병, 예를 들어 종양(neoplasm)과 같은 비정상적 세포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치료에 치료적 유용성을 가지는 임의의 화학제제. 한 구체예에서, 화학요법제는 고형 종양과 같은 종양(neoplasm)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제제이다. 당업자들은 유용한 화학요법제를 손쉽게 동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Slapak 및 Kufe, Principles of Cancer Therapy, Chapter 86 in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4th edition; Perry 등, Chemotherapy, Ch. 17 in Abeloff, Clinical Oncology 2nd ed., ⓒ 2000 Churchill Livingstone, Inc; Baltzer L, Berkery R (eds): Oncology Pocket Guide to Chemotherapy, 2nd ed. St. Louis, Mosby-Year Book, 1995; Fischer DS, Rnobf MF, Durivage HJ (eds): The Cancer Chemotherapy Handbook, 4th ed. St. Louis, Mosby-Year Book, 1993를 참조한다).
유도체(Derivative): 유도체는 모 화합물(parent compound)로부터 유도되거나, 또는 이론상 유도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일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 DC): 수지상 세포는 1차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항원 제시 세포(APC)이다. 수지상 세포는 플라즈마사이토이드(plasmacytoid) 수지상 세포 및 골수양(myeloid) 수지상 세포를 포함한다. 그들의 주요 기능은 조직에서 항원을 확인 및 가공하고, 림프 조직으로 이동시키고 T-세포 연쇄단계(cascade)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항원성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다. 미성숙 수지상 세포는 골수에서 기원하고 미성숙 세포로 말초(periphery)에 존재한다.
DC는 미성숙, 항원-포획 세포로부터 성숙한 항원-제시, T 세포-프라이밍 세포로 발달시키고; 항원을 면역원으로 변환하고, 시토카인, 케모카인, 동시자극성(costimulatory) 분자 및 프로테아제와 같은 분자를 발현하여 면역 반응을 개시할 수 있다.
히드라존(Hydrazone): R2C=NNR2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이중 결합된 산소가 =NNR2로 치환됨에 의해 케톤 또는 알데히드와는 상이하다. 히드라존은 일반적으로 카르보닐기와 히드라진의 축합에 의해 생성된다. 아릴 히드라존은 적어도 하나의 R 기가 아릴기, 예를 들어 페닐기(페닐히드라존)인 히드라존이다. 니트로페닐히드라존은 페닐 고리에 하나 이상의 NO2 치환체를 갖는 페닐히드라존이다.
면역 반응(Immune response): 외부(비-자기성(non-self)) 제제(agent)에 대한 유기체의 반응. 자극에 대한 면역 반응은 B-림프구, 또는 T-림프구와 같은, 면역계의 세포에 의해 수행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반응은 특정 항원에 대해 특이적이다.("항원-특이적 반응(antigen- specific response)")
감염원(Infectious agent): 대상을 감염시킬 수 있는 감염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이러스, 세균 및 균류를 포함한다.
고유 전자기 파형(Inherent electromagnetic waveforms): 화합물의 특성으로서 생성된 파형으로, 전류, 전기 전위, 또는 자기장의 의도적인 적용과 같은, 능동적으로 유도된 전자기 현상과는 무관하다. 파형의 예는 시간에 따라 전압을 교대함으로써 생성된 파형이며, 예를 들어 종종 예측가능한 방식으로(예를 들어 사인파(sine wave)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양전위 및 음전위 사이를 교대한 파형이다. 파형은 화합물과 접촉하고 있는 두 전극 간의 전기 전위를 측정하는 전압 측정기와 같은, 다양한 전자기 모니터 장치에 의해 모니터될 수 있다.
시술(Intervention): 시술은 대상의 생리학적 또는 의학적 상태를 탐지하거나 영향을 주기 위해 행해지는 행위이다. 진단적 시술은 예를 들어 혈액 검사, 생검, 영상 연구 또는 신체 실험과 같은 실험실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대상의 상태를 검출한다. 치료적 시술은 예를 들어 외과적 수술을 수행하거나, 약물 투여 또는 다른 치료를 수행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치료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대상의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분리된(Isolated): "분리된(isolated)" 생물학적 성분(예를 들어 수지상 세포 또는 림프구, 또는 그들 세포의 개체군(population))은 상기 성분이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유기체의 세포의 다른 생물학적 성분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정제된 것이다.
면역 부전의 실험실 증거(Laboratory evidence of impaired immunity): 특정의 실험실에서 허용되는 기준 이하의 백혈구 세포 수, 감소된 (T-림프구와 같은) 림프구의 농도와 같은 면역 감소의 증거, 또는 면역계의 임의의 세포의 일반화된 부전 활성의 증거로서 일반적으로 의학적으로 수용되는 객관적인 실험실 데이터. 특별한 예에서, 상기 데이터는 손상된 세포성 면역 또는 체액 면역, 또는 양자를 나타낸다.
화학반응성의 결여(Lacking chemical reactivity): 일부 공명 조절 화합물은 그들의 공명 안정성 때문에, 정전기적으로 활성이지만, 생리학적인 조건(신체에서) 하에서 실질적으로 비-반응성이다. 그러한 화학 반응성의 결여는 전신(이를테면 구부(oral) 또는 정맥내) 투여 후 실질적으로 변화없이 불변되고 분비되는 화합물을 야기한다. 이러한 반응성 결여의 예는, 예를 들어, 신체에서 A-OO7의 N-메틸화의 부재에 의해 나타난다.
백혈구(Leukocyte): "백혈구(white cell)"로도 불리는 혈액 중의 세포로서, 감염성 유기체 및 외부의 물질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것에 관여한다. 백혈구는 골수로부터 생성된다. 백혈구에는 2개의 주요 그룹: 다형핵 백혈구(호중성 백혈구, 호산구(eosinophil), 호염기성 백혈구) 및 단핵 백혈구(단핵구 및 림프구)에서 세분된 5개의 주요 유형이 있다. 감염이 존재하면, 백혈구의 생성이 증가한다.
종양(Neoplasm): 비정상적 세포 증식으로서, 양성 및 악성 종양과, 다른 증식성 이상들을 포함한다.
임의의(Optional) 또는 임의로(optionally): 이러한 용어들은, 후속적으로 기재된 사건 또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필수는 아니며, 상세한 설명은 상기 사건 또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및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유두종바이러스(Papillomavirus): 유두종바이러스는 정20면체 대칭, 캡소미어(capsomere), 및 약 8,000 bp의 이중-나선 원형 DNA 게놈을 가진, 작고, 외피가 없는(nonenveloped) 바이러스이다. 모든 유두종바이러스들은 유사한 유전적 조직을 갖는다. 바이러스성 게놈은 세포질 변형 및 바이러스 DNA 복제에 요구되는 유전자를 인코딩하는 전기 영역(early region), 캡시드 단백질에 대한 코드인 후기 영역(late region), 및 복제의 기원과 전사 및 복제에 대한 다수의 조절 요소를 함유하는 조절 영역(regulatory region)으로 분리된다.
유두종바이러스는 고도의 종 특이성을 갖는다. 다른 종에 대한 인유두종바이러스(HPV)의 자연적 전달의 알려진 예들은 없다. 유두종바이러스는 또한, 점막층 또는 피부의 표면 편평 상피만을 감염시키고 대부분의 일부 양성 상피성 종양을 생성하면서, 현저한 정도의 세포적 향성(cellular tropism)을 나타낸다. 특정 바이러스 타입은 피부 또는 점막층 유형에 대한 선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HPV-11은 다른 신체 부위의 피부 상피는 쉽사리 감염시키지 않지만, 생식관 또는 기도의 점막층 상피는 감염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유두종바이러스는 침습성 암의 발생으로 이끌 수 있는 세포 증식 및 변형을 유발한다. HPV 감염은 자궁경부 및 항문암의 발생과 연관되어 있다.
생식기 사마귀(genital wart)는 통상적으로 HPV에 의해 유발된다. 유두종바이러스는 피부 및 점막에 작은 성장(사마귀)을 일으킨다. 생식기 및 항문 부근의 HPV로의 감염은 음경, 외음부, 요도, 질, 자궁경부, 및 항문 주변(항문 주위)에 사마귀(항문성기 콘딜로마)를 유발할 수 있다. HPV의 50개 이상의 상이한 타입들이 분류되어 있다. 6 및 11을 포함하는, 몇몇 타입들은 융기되고(raised), 거칠며, 쉽게 관찰되는 생식기 사마귀와 관련된다(특히, 여성에서). 다른 타입들은 편평 사마귀와 관련된다. 더욱 중요하게도, 몇몇 타입들은 자궁경부에서의 전-악성(premalignant) 및 악성 변화들과 관련된다(비정상적 팝도말검사(Pap smear)). 이들은 타입 16, 18, 31, 39, 45, 51, 및 52를 포함한다. 연구는 또한 HPV 및 헤르페스 바이러스 양자의 존재가 자궁경부암 발생의 좋은 암시인 것을 나타낸다.
외부 생식기상의 병변은 쉽게 인지된다. 음경에서, 생식기 사마귀는 여성의 생식기 또는 양 성(either sex)의 항문 주변보다 더 건조하고 더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습한 생식기 영역에서 가장 잘 성장하고, 단독으로 또는 군집하여 생길 수 있는, 융기되고, 거칠고, 살색의 "사마귀 모양"으로 보이는 종양으로 성장한다. 치료 없이 방치되면, 항문 및 외음부 주변의 사마귀는 급속히 커져서, "콜리플라워-형(cauliflower-like)" 외관을 가진다. 여성들에게서, HPV는 질 및 자궁경부로 침입할 수 있다. 이러한 사마귀들은 편평하고 특수한 절차 없이는 쉽게 관찰할 수 없다. HPV는 자궁경부에서 전-악성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자궁경부 형성이상), 이러한 병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의 팝 도말검사는 HPV를 탐지하는데 중요하다.
유두종바이러스 관련 병변: 병변과 관련된 HPV의 확인과 같은, 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의 징후가 있는 병변.
약제학적 제제 또는 약물: 대상에게 적절히 투여되었을 때 원하는 치료적 또는 예방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조성물 또는 화학적 화합물. 약제학적 제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학요법제 및 항-감염제를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본 발명에서 유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종래의 것이다. E. W. Martin에 의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9th Edition (1995))는 본원에서 개시된 화합물의 약리학적 전달을 위해 적절한 조성물 및 제형을 기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담체의 성질은 채택되는 투여의 특별한 유형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비경구적 제형은 통상적으로 담체(vehicle)로서 물, 생리적 염수, 평형 염 용액, 수용성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등과 같은 약리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체를 포함하는 주사가능한 유체를 포함한다. 고체 조성물 (예를 들어, 파우더, 알약, 정제, 또는 캡슐 형태)에 대해서, 종래의 비-독성 고체 담체는 예를 들어, 약리학적 등급의 만니톨, 락토오스, 전분,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생물학적으로-중성인 담체에 더하여, 투여될 약리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소듐 아세테이트 또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와 같은, 습윤 또는 유화제, 보존제, 및 pH 완충제 등의, 소량의 비-독성 보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제된(Purified): 용어 "정제된(purified)"은 완전한 정제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용어로서 의도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정제된 림프구의 제조는 림프구가 신체 내의 자연 환경에서보다 더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공명 조절자(Resonance modulator): 생물학적 환경과 정전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공명하는 분자내 쌍극자 운동(또는 전기밀도)을 갖는 화합물. 공명 조절자는 또한 화합물의 분자내 공명에 의해 생성된 진동 주파(oscillating frequency waves)의 방출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공명은 면역계의 (수지상 세포와 같은) 세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전기적 성질을 전달하여 면역을 상향-조절 및/또는 증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공명 조절자는 면역 세포를 잡아당기고, 공명 조절자에 인접한 말초 면역계의 표적 영역에 이들을 집중시킬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순환 면역 세포(예를 들어 림프절 또는 비장과 같은 림프성 조직 및 말초 혈액에 있는 면역 세포 등)에 원거리 효과를 갖기도 한다. 많은 공명 조절자는 결정 구조를 갖는다. 공명 조절자 후보를 선택하기 위한 분석의 예들은 실시예 14에 기재되어 있다.
시그마 파(Sigma wave): 조직배양 및 크리스탈로부터 기록되는 시그마 파는 심장 및 신체 내 다른 바이오리듬으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적 에너지의 기준선보다 높거나 약간 높은 파이다. 그러므로 시그마파는 A-007에 대한 노출 후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 및 시간에 따른 진폭 증가를 측정한다.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Subject in need of immunostimulation): 면역계의 일반적인 또는 특정한 자극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병태를 갖는 대상. 예로는 면역 결핍을 가진 대상(예를 들어 HIV로 감염되거나 또는 최근 다른 면역억제 약물 또는 화학요법을 받은 사람), 및 면역 반응의 자극에 의해 개선될 수 있는 병태를 가진 사람(예를 들어 림프종과 같은 면역 기능을 변화시키는 종양 또는 병원체에 감염된 대상)를 포함한다. 특정 예에서, 상기 대상은 종양 이외의 병태, 예를 들면 감염 또는 면역손상(예를 들어 감염성 또는 약리학적으로 유도된 면역결핍)에 기인한 병태에 대한 면역자극을 필요로 한다. 다른 예에서,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은 면역 기능 손상의 실험실 증거를 갖는 대상이다.
치료적 유효량 : 질병의 퇴행을 유발하거나 또는 진행을 억제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하거나, 또는 통증 또는 종창과 같은 질병에 의해 유발된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투여량.
저혈소판증(Thrombocytopenia): 혈소판(트롬보사이트(thrombocyte)) 수의 감소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정상적인 혈소판 수준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그러한 레벨은 자동화된 수단에 의해 쉽게 측정된다. 정상적인 레벨은 사용된 검출 수단에 의존하는 실험실들 간에 상이하다. 그러나, 저혈소판증은 응고의 감소 및 (예를 들어 잇몸, 코, 또는 내부 장기들로부터의) 병적인 출혈을 가져온다.
변경된 면역 기능과 관련된 파형 : 향상된 또는 감소된 면역 기능을 갖는 대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주목되는 파형. 예를 들어, 전압 전위 파형의 진폭은 공명 조절 화합물이 대상에게 적용된 후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진폭의 증가는 통상적인 면역 기능의 결과이며, 면역 세포들(예를 들어 림프구)의 동원 및 상기 화합물의 적용 부위에 대한 이들의 이동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동일한 대상에서 건강할 때 행해진 기준선 측정보다 낮은 진폭의 증가, 또는 대상의 개체군에서 통계적으로 정상인 범위보다 낮은 증가는, 변경된(손상된) 면역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특별한 개인 또는 개체군에 대해 측정된) 정상보다 더 큰 진폭의 증가는 정상보다 높은(supra-normal) 면역 기능의 징후이다.
다른 설명이 없다면,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단수의 용어인 "a" "an" 및 "the"는 문맥상 명백히 그렇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용어 "또는"은 문맥상 명백히 그렇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및"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용어 "포함한다(comprises)"는 "포함한다(includes)"를 의미한다. 또한, 물질, 방법, 및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Ⅲ. 몇 가지 구체예들의 상세한 설명
본원에 개시된 특정 방법들은 감염성, 종양성(neoplastic) 및/또는 염증성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히드라존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방법들은, 예를 들어 사마귀와 같은 감염성, 종양성 또는 염증성 병변과 같은 체표면 병변에 대한 편리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포함한다.
이론과 결합되지 않고, 일부 화합물들은 공명 조절자로서 작용하고, PTP의 활성제로서 작용한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화합물은 면역계 및 외부 모니터 또는 조절자 간의 커플링(coupling)제로서 및/또는 면역자극제로서 작용한다. 상기 화합물들은, 예를 들어 (CD45+ 수용체 림프구 또는 수지상 세포와 같은) 면역계의 세포질 성분과 상호작용하는 것과 같이, PTP와 상호작용하여, 면역 세포의 성숙, 및 면역 반응에서 면역성의 다른 세포질 성분의 보충(recruitment)을 촉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면역 세포를 조절자의 근처로 유인하는 화합물의 능력 또한 국소적인 병태의 치료를 위해 면역 반응이 요구되는 (종양과 같은) 신체 내의 표적 영역에 대해 면역 반응이 지시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또한 원격 림프 조직 또는 전이 병변과 같은 먼 부위에서의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면역 상태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고, 또한 (면역 기능의 조작(manipulation)을 포함하는) 시술이 수행되도록 하는, 면역계에 신규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한다.
공명 구조는, 전자 밀도가 비편재화(delocalize)된 화합물의 복합(composite) 전기 구조를 나타낸다. 다중 교대 형식 구조(multiple alternative formal structure)는 공명 구조로 언급되며, 분자는 이들 구조의 공명 하이브리드(hybrid)로 기재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컨쥬게이트된 방향족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비편재화된 전자 밀도를 갖는 다중 교대 형식 구조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공명 조절자의 특정 실시예는 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이고(A-007로 언급됨), 상기 화합물은
Figure 112007087210986-PCT00012
이고,
R1은 OH이고, R2는 C6H4OH이고, X는 C6H3-2,4(NO2)2이다. 공명 조절 화합물의 많은 다른 실시예가 본원에 개시되었고, 이중 일부가 첨부된 도 12, 16 및 17에 나타나있다. 이들은 포르밀 및 아세틸바르비투르페닐히드라존 유사물을 포함한다. 다른 예는 2,6-디벤질리덴시클로헥사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이고,
Figure 112007087210986-PCT00013
여기서 X는 니트로페닐(C6H3-2,4(NO2)2)이고, R1은 H이고, R2는 비치환된 페닐, 및 R3은 CH2이다.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A-007)을 포함하는, 본원에 개시된 공명 조절자 화합물은, 이들이 일반적으로 세포막 수용체에 대해 친화성을 가지기 때문에, 센서 및 면역 조절자로서 작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도 1은 컨쥬게이트된 아릴 히드라존 및 CD45+ T-림프구 표면 수용체 간의 상호 작용의 개략도이다.
도 2는 A-007의 구조식을 도해한 것이다.
도 3은 컨쥬게이트된 아릴 히드라존의 공명 구조의 개략도이다.
실시예 1
페닐히드라존을 이용한 공명 조절
본 실시예는 조절(modulating) 및 감지기(sensor) 성질 모두를 갖는, 특히 적합한 컨쥬게이트된(conjugated) 방향족 화합물을 개시한다. 그러한 화합물의 몇몇은
Figure 112007087210986-PCT00014
와 같은, 폴리아릴 모노니트로- 또는 디니트로페닐히드라 존을 포함하고,
여기서 R1은 수소, 히드록시, 2- 또는 4-히드록시페닐, 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아지도, 니트릴, 아미노, 디메틸아미노, 설페이트, 메틸술포네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로소, 숙시네이트 또는 수소결합이 가능한 다른 수용성 친전자성(electrophilic)기이고; R2는 C6H5, C6H4OH, C6H4N3, C6H4CN, 4-HO-C6H4-C6H4, C6H4OPO2OH, C6H4OSO2H, C6H4NH2, C6H4NHMe2, C6H4OSO2Me, C6H4OCO(CH2)XCO2H, 또는 C6H5Cl이고; 또한 Ar은 C6H3-2,4(NO2)2, C6H4-4(NO2), C6H4-3(NO2), 또는 C6H3-2,4(NO2)2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화학 구조는, 컨쥬게이트된 전자가 풍부한/부족한 영역의 다중 쌍극성 배위(multiple dipolar configuration) 사이에서 공명할 수 있어, 분자간 수소 결합의 이동뿐만 아니라 상보적 부위와의 친핵성/친전자성 인력(attraction)이 잠시의 시간 동안 존재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공명하는 mini-dipoles는, 예를 들어, 모두 면역계 내 세포 조절자(cellular regulator)의 필수 구성 요소인, 아미노산(이를테면, 시스테인, 트레오닌, 아르기닌), 탄수화물(점다당류) 및 당단백에 존재하는 -SH, -COOH, -NH2-CH-NH3 +를 당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림프구 상의 CD45+RA 수용체 표면 상의 3 또는 4 아미노산과의 단순한 상호 작용은, 조직, 기관 및 순환계로 CD4+/CD8+의 유입과 함께 T-세포 단계적 반응(cascade)의 개시를 가능케 하는 수식된(modified) 표면 단 백질(RO, RB)의 발현을 유도한다고 여겨진다. 수소 결합 및 인력이 전기적 자극에 의해 조절되는 동안인 "잠시의 시간(moment in time)"에서, 이들 구조가 본래 갖는 일시적인 정전기적 상호 작용은 증가되며, 이는 NMR 분광법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컨쥬게이트되어 또한 아릴 결합을 통해 붙어있는, 다중 공명 구조가 가능한 다중 음전성 모이어티(electronegative moieties)의 존재는, 진동 주파(oscillating frequency wave)를 발생시킨다. 본원에 기재된 (A-007과 같은) 일부 공명 조절자는, 정전기적 상호 작용을 위한 전자가 과잉이라는 점에서, 충분한 "전자 수(electron count)"를 가진다. 상기 과잉은 단백질 및 다른 생체분자에 존재하는 친전자성/친핵성 중심의 인력을 허여하며, 또한 이들은 구조 안정을 위해 (전자의 이송 및 공유 결합 형성를 통해) 반응할 필요가 없다. 대신, 환경과의 간단한 "flirtations"은 공명 조절자의 구조의 변화 없이, CD45+ 수용체와 같은, 다른 폴리머 분자의 구성의 변화를 유도한다고 여겨진다.
공명 조절자의 특별히 개시된 구체예는 상기 화학식을 가지고, 여기서 R1은 OH, R2는 C6H4OH이고, 또한 X는 C6H3-2,4(NO2)2 이다(A-007). 이 화합물은 매우 음전성이다. 또한, A-00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재된 추가적 화합물과 같이 여러 공명 형태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히드라존에 의해 생성되는 대표적인 진동 주파는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 및 다른 초기의 림프 세포 구성 요소(lymphoid cellular elements)와 정전기적 상호 작용하여 면역성을 증진시킨다. 상기 상호 작용은, 피부에서의, 전위 선택적인 유입 및 진단상의 림프구 성분과 관련된 양자 분자 변화를 체계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디랙 방정식(들)(Dirac equation(s))에 삽입될 수 있다.
개시된 화합물의 일부 공명 형태의 안정화는, 공명 조절자가 림프구와 상호 작용함에 의한 검사 구역으로부터의 주파수 및 전기적 유출의 변경을 야기하는,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상호작용은 일반적으로 비공유 상호작용으로, 이를테면 정전기적 상호작용이다. 공명 주기는 이 상호작용에 의해 방해될 것이며, 상기 간섭(interference)은 모니터되고(예를 들어 시간에 걸친 전압의 파형에서의 변화 검출에 의해), 또한 활성의 지표로서 사용된다. 파형 양상에서의 변화는 전개되는(evolving) 세포 면역 반응의 존재를 지시한다(이를테면 수지상 세포 및 림프구의 침윤). 예상되는 파형의 부재 또는 다른 검출된 간섭 양상은 또한 추가의 조사 및/또는 치료를 요구하는 비정상적 면역 반응의 검출에 유용하다. 따라서 상기 공명 조절자는 면역계 및 외부 모니터 사이에서 커플링제로 작용한다.
공명 조절자는 세포 면역 활성의 검출뿐만 아니라, 또한 면역계를, 상기 활성을 변경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외부 물리적 조절자에 커플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공명기 프로브는 피부 표면에, 예를 들어 피부 표면이나 또는 이에 인접하도록 프로브를 적용함으로써 자기장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기 프로브는 상기 공명 조절자를 활성화시키고, 에너지 공명 발산을 자극하고 또한 조직 T-세포 접촉을 촉진한다. 따라서, 개체(individual)가 무자극된 T-세포-공명 조절자 상호 작용을 통해 면역 조절을 유도할 수 없다면, 외부의 프로그램된 자기장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의 극성화(polarization)가 면역 반응에 추가의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공명 조절자로서의 A-007과 외부 자기장의 용도는 A-007 자기 트랜지스터 공명기(A-007 Magnetic Transistor Resonator, AMTR)로 불린다.
일부 개시된 방법은 따라서, 면역 프로파일의 양자 화학 조절자/센서/전달자(transmitter)로서 기능할 수 있는 다양한 공명 조절자, 이를 테면 히드라존(hydrazones)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들 제제들은 따라서, 생물학적 네트워크를 통해 림프 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상피 표면(이를테면 피부)에서의 변화를 문서화 및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림프구 및 피부의 전구체 세포의 말초 조절은, 전신의 림프구, 및 외부 변화 및 물체(바이러스, 세균, 화학물질, 암세포 등)를 검출하는 생물계에 의한 천연 메카니즘에 대한 초기 징후 네트워크이다. 암 및 외부 화학물질/생물학적 물체에 의한 침입은, 전기적 및 긴급 행동 변화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건강을 보증하기 위해 모니터링/변경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말초 조절의 상태를 모니터하는 능력은 중요한 신규의 의학적 진단 및 치료 도구를 제공한다.
실시예 2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A-007)의
항-종양(neo-plastic) 및 면역 조절 특성
본 실시예는,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을 포함하 는 개시된 화합물이 항암 시험(IND 47,470)에서 상당한 항암 활성을 갖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0.25% 겔로서) 국소적 A-007로 치료받은 오십삼명(53)의 사람 중, 37%의 객관적 경감이 관찰되었으며, 이 중 10명은 완전 반응(complete response)을 나타내었다.
표 1. 일일 2회 암 병변에의 A-007 0.25% 겔의 국소적 적용에 대한 피부 전이(metastasis) 반응
Figure 112007087210986-PCT00015
KS =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H/N=머리/목; NHL=비 호지킨 림프종(non-Hodgkin's lymphoma); CR=완전 반응(complete response); PR=일부 반응(partial response)>50%; NR=무반응. 치료된 모든 환자는 A-007의 개시 전에 적어도 2번의 전신요법(항문성기암에 대한 국부 수술)을 받았다.
일부 개시된 화합물은 세포 독성 메카니즘을 통해 작용하지 않는다. 이는, 예를 들어, A-007 유도 국소 또는 전신 독성의 실질적인 부재에 의해 증명된다. A-007로 국소 처리된 인간 피부의 생체검사로부터의 조직화학분석은, 처리 동안 다양한 T-림프구(CD4+, CD3+, CD8+, 및CD45+)의 증가된 침윤물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확인해주었다. 처리 영역에서는 CD11c+ 수지상 세포의 증가된 피부 침윤물이 또한 관찰되었다. 현재까지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cal, IHC) 연구는, A-007에 노출시킨 후 인 비트로인 비보에서 면역 조절이 발생하였음을 밝혀냈다. 그러므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종종 병행적인 임상 위해를 유발하는 널리 퍼진 세포 독성 없이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X-선 결정학 데이터는 (단사정계(單斜晶系) 결정으로서의) A-007이, 비스-디페닐메탄기 내의 배향(orientation)만이 상이한, 두 개의 독특한 분자로서 본질적으로 존재함을 증명하며, 여기서 고리는 하기에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및 각 회전이성질체(rotamer) 내의 고리의 배향으로부터 약 90° 회전한 것)에 대해 거의 직각을 이룬다. 두 회전이성질체는 -HN-N=C=의 -NH 모이어티와 o-니트로기의 산소 사이의 강한 분자 내 수소 결합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체적인 생물학적 활성에 기여할 수 있는 A-007에 존재하는 적어도 세 개의 독특한 모이어티- 디히드록시-디페닐메탄, 히드라존 및 디니트로페닐 모이어티-가 존재한다. 그러나, A-007의 높은 친전자성에도 불구하고, 이는 인체 내의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화학 반응성이 실질적으로 결여되어 있다. 예를 들어, 히드라존기의 NH는 인 비보 메틸화(methylation) 또는 아실화(acylation)을 겪을 것이 일반적으로 예상되지만, A-007이 인간 대상에 투여될 때 그러한 수식은 실질적으로 결여된다. 실제로, 약 물은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은 채 배설된다. 또한, A-007은 체액에 매우 난용성이고, 혈액 내로 광범위하게 흡수되지 않는다. 국소적 A-007로 치료받은 대상 모두로부터의 혈액에서 A-007은 검출되지 않았다. A-007의 혈장 분석은 이의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Figure 112007087210986-PCT00016
실시예 3
면역계에 대한 효과
림프관을 포함하는 림프계는, 망상 연결 조직의 특수화된 형태인 림프 조직을 포함하는 다른 구조 및 기관과 연락한다. 림프관은, 구조상으로는 정맥과 닮았으나, 보다 얇은 벽과 더 많은 판막을 갖는, 보다 큰 림프관(lymphatics)으로 합쳐지는 모세림프관을 포함한다. 림프절은 얼굴, 목, 겨드랑이, 흉강(thoracic cavity), 창자(intestine), 사타구니, 팔꿈치 및 무릎에 가장 집중되며, 몸 전체에 분포한다. 피부의 얕은 림프 통로(channel)는 일반적으로 정맥을 따르며, 반면 깊은 림프관은 일반적으로 동맥을 따른다. 이들 림프관은 전신을 통틀어 림프 유체를 네트워크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세균 및 암세포와 같은 외부 세포에 대한 감시 및 방어의 기능을 하는 면역계의 중요한 분포 양상이다.
상기 림프계는 여러 유형의 림프구를 포함한다. 이들 림프구의 일부는, 세포 독성 물질을 방출함으로써 외부 세포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파괴하는 T-세포이다. 다른 림프구는 형질 세포로 분화하는 B-세포로서, 항원에 대하여 항체를 분비하여 항원의 제거를 돕는다. 림프절은 림프액으로 운반되는 외부 물질을 여과하고, 이로써 분리된 외부 물질은 식세포작용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비장, 흉선 및 편도(tonsil)은 B-세포, T-세포 및 다른 림프구를 생산하는 다른 림프 기관이다.
종양 세포가 진피 및 표피에 존재할 때, 림프계로부터의 수지상 세포는 종양 세포와 상호 작용하여, 다른 (T-림프구와 같은) 면역 작동 세포(immune effector cell)를 모집한다.
CD45+ 표면 수용체는 림프 내피 세포, 특히 수지상 세포 상에 존재한다. 수지상 세포(DC)는 면역 반응의 개시에 관여되는 항원 제시 세포(APC)이다. 면역계 보초(sentinel)로서 작용하는 DC는, 항원(An)을 획득하고, 그 후 T-림프구 풍부 영역으로 이송한다. DC는 말초 피부 조직과 같은 림프조직뿐만 아니라 림프 기관 내에 존재한다. 미성숙 DC가 항원과 상호 작용하면, 활성화되어, 성숙 APC는 특정 면역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피부와 같은 2차 림프 기관은 나이브 T-림프구 및 An-자극된 DC(APC) 모두를 T-세포 풍부 구역/네트워크(절(node) 등)으로 모집할 수 있다. 공동 집중된(co-localizing) 이들 초기 면역 반응은 인지(cognitive) T-세포 활성화를 구성한다.
암 및 투여된 화학 물질들 모두는, 건강한 세포에서 림프구 개체군의 집단적 분포 지능이라는 긴급 행동(emergent behavior)을 야기할 수 있다. 효과적인 인식 반응은 DC(APC) 및 림프구 사이토카인 효과기를 모두 필요로 한다. 화학 물질 및 종양 세포는 종종 마이크로조직화학(microhistochemical, MHC) 항원의 발현이 제한되고, 공동 자극 분자가 결핍되어, 이들은 APC의 효과적인 조절자가 아니다. 암 및 관련 질환의 발생 및 진행에 대한 한 메카니즘은, 림프 망에서의 긴급 행동을 달리 야기할 수 있는 MHC 항원 특성의 결핍이다. 유사하게, 목숨을 위협하는 화학 물질 및/또는 생물학적 접촉은 또한 긴급 림프 행동 양상을 유도할 수 있다. A-007을 포함하는, 본원에서 개시된 인자는 합텐/An으로서 및/또는 전자기장 효과(EFE)를 통해 작용하도록 충분히 전기적 특성이 부여된, 긴급 림프구 네트워크를 조절하기 위해 또는 상향 조절(up-regulate)하기 위한 유기 분자이다. 상기 개시된 화합물은 본원에서 공명 조절자(resonance modulator)로서 언급되는 새로운 종류의 르네상스(renaissance) 분자를 포함한다. CD45+의 상향 조절은 암 환자에서 관찰되는 A-007-유도 면역 조절에 대한 하나의 개시 부위로 여겨진다.
CD45+는 수지상 세포, 림프구, 단핵구, 및 백혈구, 그리고 일부 종양 세포에서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PTP)로서 발현되는데, 이것은 다른 PTP 구성원들과 함께 티로신 잔기를 인산화한다. 항-CD45 항체로의 CD45+ 수용체 부위의 차단은 T-세포 활성화를 억제하고, naive T-세포의 유사분열물질(mitogen(렉틴)) 활성화를 막는다. CD45+ 수용체 표면은 아르기닌, 세린/트레오닌 및 시스테인 모이어티를 포함하며, 이는 천연 리간드(ligand)를 APC 표면으로 결합 및/또는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티로실 포스페이트(tyrosyl phosphate)를 가수분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007을 포함하는, 개시된 화합물의 일부는 CD45+를 억제하거나 차단하지 않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g, Cys, Ser/Threo와의 정전기적/비공유 결합을 통해 CD45+ 림프구 및 수지상 세포를 (APC로) 상향 조절한다. A-007의 상이한 공명 상태는 상이한 면역 세포와의 상호 작용할 수 있다.
A-007-활성화된 DC는 나이브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와의 유사 분열의 개시 및 인간 말초 수지상 세포에서의 CD45+ 및 CD11c+ 수용체 모두의 상향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암 조직의 수지상 세포는 피부 병변의 국소 처리 동안 국소적 A-007에 노출된 후 CD45RA+로부터 CD45RO+/CD45RB+로 상승 조절된다. 따라서, A-007은 CD45+의 억제자가 아니라, 분자 부위의 상승조절자 또는 조절자이다. 이들 성질은 A-007의 결정 또는 이식된 피부 펠렛(pellet)이, 국지의 그리고 보다 먼 (비장의 수지상 세포 개체군과 같은) 면역 세포 개체군 모두를 증가시키고, 또한 CD8+ 세포 독성 림프구(CTL)과 같은 면역 작용 세포의 집중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기능기 치환이 가질 수 있는, A-007의 분자내/분자간 수소 결합 및 정전기성 상호 작용의 영향은 이하에 나타낸다.
이 증거는, 항원 제시 세포(APC)의 성숙을 유도하기 위해, A-007이 피부 및 다른 상피 표면에서 수지상 세포와 말초로(peripherally) 상호 작용하는 능력이 있음을 증명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세포 표면 수용체(CD45+)는 A-007에 의해 상승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개시 상호 작용은 수지상, 및 항원 제시 세포와 같은 다른 림프구 전구체를 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화학적 상호 작용을 통해, APC 및 다른 초기 인식 세포가 감지될 수 있고, 림프구 인식 연속 반응- CD4+, CD8+ 등 및 관련 사이토카인-의 성숙에 의해 조절된다.
A-007를 면역 조절자로서 적합하게 하는 이의 일부 별난 성질은, 유리 슬라이드 상에서 전류가 인가되는 두 개의 전선 사이에서 증발될 때 별난 패턴으로 배열하는 그것의 결정(crystal)의 능력에 의해 설명된다. 이 결정의 배열은, 9 볼트 배터리의 양극 및 음극의 리드에 각각 연결된 두 전선 사이의 유리 슬라이드 상에서 A-007의 알코올(5%) 용액을 공기 중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수득된다. A-007은, 전장(entire field)에 걸친 확산된 "점(spot)" 보다는, 양극(positive pole)에서 원주 패턴으로 응집된다. 자기장에서 알코올 용액의 증발이 일어날 때, 단단히 교착한 결정의 단일선(single line)이 슬라이드의 중간에 형성된다. 따라서, A-007은 유도된 전자기장과 상호 작용하는 전자기적 성질을 갖는다. 이 특성은 또한 다른 공명 조절자에 대한 스크리닝(screening) 테스트에 사용될 수 있다.
A-007의 이들 별난 전자기적 성질은 또한 이들 화합물의 전도성(conductance)에 의해 설명된다. 이는 A-007 결정으로부터 측정되었는데, 상기 결정에 해부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두 개의 미세전극을 부착시켰다. 이 전극은 결정 표면상에서 약 1.5 - 2㎜ 분리되었으며, 에너지는 접촉하여 측정되었다. Fluke ScopeMeter는 생성된 주파수(Hz)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외부에서 인가된 전류는 전혀 없었다; 따라서 측정된 주파수는 결정 그 자체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다. 기저 주파수로부터의 이들 일탈(excursion)은, 환경으로부터의 축적되고 간헐적으로 방출되는 에너지의 병진(translation) 형태로 여겨진다. 기저 주파수는 대기의 전자기 방사선과 같다. 기저 주파수로부터 적어도 30-40 Hz의 일탈은, 약 60 Hz의 기저 주파수로부터 (주파수의 피크에 의해 탐지된) 간헐적인 일탈에 의한 결정의 공명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기저로부터 적어도 20 Hz의 주파수에서, 예를 들어 30-40 Hz 사이로) 및/또는 적어도 매 5분당 한번(예를 들어 적어도 매 3분 당 한번) 에너지의 천연 주파수를 방사하는 이 능력은, 추가의 시험으로 공명 조절자가 스크리닝 및 선택되도록 하는 공명 조절자의 특성의 다른 예이다.
화학 물질의 결정 또는 압착 압축된(pressure pressed) 펠렛이, (말초 혈액으로부터 수득한) 나이브(naive) 인간 림프구와 함께 조직 배양 배지에 잠길 때, 림프구 및 수지상 세포는 결정 또는 펠렛 주변에 결집한다. A-007의 결정(0.5 ㎎)을, 5% 소혈청알부민, 항생 보존제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건강인의 혈액의 백혈구연층(buffy coat)로부터 수득한 나이브 림프구가 함유된 RPMI 배지에 넣는다. A-007 결정과의 접촉 후, 응집(agglutination) 및 증가된 유사분열 활성뿐만 아니라, A-007 공명 조절자 제제의 영역으로의 활성화된 수지상 세포의 공동 집중(colocalization)이 있었다.
테스트 제제 주변의 배양에서 나이브 림프구의 집합을 유도하는 제제의 능력은, 제제가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서 사용되는데 적합한 공명 조절자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데 고려되는 또 다른 요인이다. 1시간 이내에 집합을 유도하는 능력은, 화합물이 추가의 연구에 적합함을 특히 강하게 지시하는 것이다. "결집(aggregation)"은 현미경에 의해 볼 수 있는 증가와 같은, 림프구 수의 실질적인 증가를 의미한다.
공명 조절자의 다른 별난 전자기적 성질은, (전류와 같은) 전자기파의 진폭(amplitude) 증가가, 결정 주변에서 림프구가 성숙 및 점착됨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 파형을 수득하기 위해, A-007은,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멸균 현미경 유리 슬라이드에서 응축된다. 건조된 슬라이드는 RPMI(5% 소알부민)이 담긴 페트리 접시에 담그고, (약 5 ㎝ 떨어뜨린) 한 쌍의 멸균 미세전극을 배지에 넣고, A-007 선의 반대편 끝과 접촉하도록 두고 전압을 기록했다. A-007은 배지에서 용해되지 않고, 슬라이드 상에 지속적으로 남아있다. 유도 전류는 없었다; 따라서 측정된 전류는 공명 조절자 화합물 고유의 특성이다.
A-007에 노출되고 1시간 후, 림프구가 A-007 결정으로 이동하여 부착함에 따른, 시간에 걸쳐 측정된 전압의 진폭에서의 증가가 있었다. 결정이 용해하지 않으므로, 이들은 연속적인 상호 작용이 가능한 채로 남는다. 인 비트로, 약 24시간 후 세포 보존에 필요한 사이토카인의 결핍으로 림프구는 결국 죽는다.
따라서 공명 조절자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특성은, 화합물이 naive 림프구와 함께 배양에 배치되었을 때 공명 조절자에 의해 생성되는 고유의 전압에서 교대되는 전압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능력이다.
실시예 4
면역기능 모니터링
이들의 비범한 특성 때문에, (공명 조절자를 포함하는) 본원에 기재된 화합 물은 면역계와 관련된 전기적 활성을 모니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화합물은 면역 특성을 측정 및 조정하기 위한 분석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T-림프구 및 주파수 반응 사이의 선형 관계가 존재한다. 미량 천칭은, 50 Hz A-007 결정의 질량 민감도가 약 0.057 Hz㎠ng-1인 요인에 기인하여 존재하고, 이는 0.1 ㎍의 민감도인, 전기적으로 민감한 저울의 민감도보다 약 50배 더 높다. 결정은 세포 구성 요소의 전자기적 성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선택된 결정은 적어도 약 0.01, 0.03 또는 005 Hz㎠ng-1의 질량 민감도를 갖는다. 결정은, 전기적 상호 작용(압전기 공명기 효과)을 증폭하기 위해, 또한 전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석영 미세결정과 조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석영 미세결정은 조성물 총중량의 10-50%의 양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결정은 (림프구와 같은) RPTP+ 세포 개체군과, 히드라존 및 다른 공명 조절자의 존재하에 진동을 완전히 설명하도록 하는, 피부 조직과 등량인 전기 회로 사이에서 손쉬운 변환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 근본적으로 공명 조절자는, 조직 및 말초 면역계의 세포와 같은 세포 구성 요소와의 쌍극자 운동 및 정전기적 상호 작용의 공명기로서 작용한다. 공명 조절자는 이들 상호 작용이, 진단 목적을 위해 모니터되도록 하며, 치료 요법을 위해 변경되도록 한다.
면역 기능을 모니터하기 위해 공명 조절 화합물을 사용하는 능력은, 독소 또는 외부 항원과 같은 생물학적 손상을 인식하기 위한 대상의 변경된 능력의 빠른 진단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외부 화학 물질 또는 생물학적 제제에 노출되어 온 대상은 노출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절히 반응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공명 조절자가 면역계의 기능의 변화를 탐지한다면, 이러한 변경된 면역 상태는 가능한 미지의 독성 노출에 대해 대상에게 경고하는 보초로서 작용한다. 유사하게, (바이러스/세균 및 외상성 사고와 같은) 환경적 스트레스에 노출된 대상은 외부 바이러스, 화학물질 또는 암을 인식하지 못하는 수지상 세포를 가질 수 있다. 수지상 세포의 기능적 부전은, 면역 방어의 유의한 침투를 허여하며, 긴급 행동 메카니즘을 통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공명 조절자는 정상 신체 면역 및 자연 감시(natural surveillance) 활성에 관련하는 피부 세포 프로파일(profile)의 변화 검출 및 정량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동물 연구 및 인간 연구는, A-007과 같은 공명 조절자가 피부에 흡수되지 않으나, 수지상 세포, CD8+ 세포독성 림프구의 개체군, 및 이물(foreign) 노출 또는 자극에 대해 자연 조절을 필요로 하는 다른 세포 개체군을 유인하고 말초적으로 활성화시킴을 나타낸다. 만약 신체가 제안된 센서/자극제의 존재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적극적인 건강 모니터링(monitoring)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대상의 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공명 조절자를 유지하는 패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패치는 전압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압계는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로부터 수득된 유형의 파형 기록의 형태로 출력을 제공한다. 그 후, 시간에 걸친 전압 변화의 진폭은, 건강체에서 관찰된 변화와 비교하여 진폭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평가된다. 한 실시예에서, 전압 파형의 진폭은, 공명 조절자의 존재 하에서 예정된 값(예를 들어, 적어도 10% 또는 25%)과 같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정된 값 미만의 진폭 변화는, 독소 또는 병원체에 대한 노출과 같은 병적 손상(pathologic insult)의 지표로서 여겨진다. 이 결과는, 환경적 독소 또는 병원체의 검출, 또는 종양 또는 종양의 진행을 검출할 수 있는 영상 검사와 같은 더욱 특정한 검사에 대한 필요성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비정상 검사는, 화학치료 제제의 투여와 같은 치료 (또는 더욱 적극적인 치료)의 개시를 촉구할 수 있다.
고유의 진폭 및 진폭 변화는, 각 공명 조절 화합물에서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진폭 변화는 모든 공명 조절 화합물에서 발현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명 조절자의 이 특징의 인식, 그리고 면역 기능에 대한 접점(interface)으로 작용하는 이들의 능력은 개시된 방법의 근본으로 작용한다. 이 특성이 식별된 이상, 특정 질환 상태 또는 일반화된 면역 손상(immunocompromise)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각 화합물에 의해 생성된 진폭 및 진폭에서의 변화가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변환기 효과에 의한 최대의 A-007 전달(transmission)을 제공하기 위해, 압전기 결정이 공명 조절 화합물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실시예 5
화합물의 부가적 실시예
면역 조절 및/또는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양한 화합물이 본원에 개시되었으며, 이들 화합물의 다수는 또한 공명 조절 특성을 가진다. 이들 화합물은 사마귀 및, 항문성기 암, 생식기 암, 생식관 또는 피부암과 같은 체표면 병변을 치료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일반식을 가지며,
Figure 112007087210986-PCT00017
여기서 Ar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은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18
이고, 여기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 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4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또한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 또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어떤 구체예는,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n은 1 이상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07087210986-PCT00019
여기서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OR7, -SR7, -SO2N(R7)2, -SO2CN, -SO2R8,-SO2N3, N3, -CN, -N(R7)C(O)R8, 또는 ―R7이고;
R7은 H, 저급 알킬, 탄수화물, 지방산, 아미노산, 펩티드, 뉴클레오시드 또 는 핵산이고; 또한
R8은 저급 알킬 또는 C-글리코시드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7087210986-PCT00020
어떤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n이 0인 상술한 일반식을 갖는다. 상기 화합물의 어떤 예는 하기 화학식을 가지며,
Figure 112007087210986-PCT00021
여기서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OR5, -SR5, -SO2N(R5)2, -SO2CN, ―SO2R6, -SO2N3, N3, -CN, -N(R5)C(O)R6, -R6이고;
각 R5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저급 알킬이고; R6는 저급 알킬이고; 또한 Ar, X 및 Y는 상기한 바와 같다.
본원에서 개시된 다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것들을 포함하며,
Figure 112007087210986-PCT00022
여기서 R5는 H, -OR6, -SR6, -SO2N(R6)2, -SO2CN, -SO2R7, -SO2N3, N3, -CN, -N(R6)C(O)R7, 또는 -R7이고;
R1 및 R6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저급 알킬이고;
R2 및 R7은 독립적으로 저급 알킬이고; 또한 Ar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릴기이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모노 또는 폴리아릴 모노니트로- 또는 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이고,
Figure 112007087210986-PCT00023
여기서 R1은 수소, 히드록시, 2- 또는 4-히드록시페닐, 아세테이트, 니트로 소, 포스페이트, 아지도, 니트릴, 아미노, 디메틸아미노, 설페이트, 메틸술포네이트, 포스페이트, 숙시네이트 또는 수소결합이 가능한 다른 수용성 친전자성 기이고; R2는 C6H4OH, C6H4N3, C6H4CN, 4-HO-C6H4-C6H4, C6H4OPO2OH, C6H4OSO2H, C6H4NH2, C6H4NHMe2, C6H4OSO2Me, C6H4OCO(CH2)XCO2H, 또는 C6H5Cl이고; 또한 Ar은 하나 이상의 니트로 모이어티로 치환된 아릴기를 나타낸다. 어떤 구체예에서, Ar은 C6H3-2,4(NO2)2, C6H4-4(NO2), C6H4-3(NO2), 또는 C6H3-2,4(NO2)2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R1은 OH, R2는 C6H4OH이고 X는 C6H3-2,4(NO2)2이다.
한 구체예에서, 유용한 화합물은 하기의 구조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07087210986-PCT00024
여기서 R1은 수소, 히드록시, 2- 또는 4-히드록시페닐, 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아지도, 니트릴, 아미노, 디메틸아미노, 설페이트, 메틸술포네이트, 포스페이트, 숙시네이트 또는 수소결합이 가능한 다른 수용성 친전자성 기이고; R2는 C6H5, C6H4OH, C6H5, C6H4N3, C6H4CN, 4-HO-C6H4-C6H4, C6H4OPO2OH, C6H4OSO2H, C6H4NH2, C6H4NHMe2, C6H4OSO2Me, C6H4OCO(CH2)XCO2H, 또는 C6H5Cl이고; X는 C6H3-2,4(NO2)2, C6H4- 4(NO2), C6H4-3(NO2), 또는 C6H3-2,4(NO2)2이고; 또한 Y는 -O-, -S-, CH2-, -N-, ―, -CHA- 또는 -CHOA-이고, 여기서 A는 아릴, 에스테르, 아미드, 지질, 탄수화물 또는 펩티드 잔기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R1은 OH, R2는 C6H4OH, 그리고 Ar은 C6H3-2,4(NO2)2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7087210986-PCT00025
여기서 R1은 수소, 히드록시, 2- 또는 4-히드록시페닐, 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아지도, 니트릴, 아미노, 디메틸아미노, 설페이트, 메틸술포네이트, 포스페이트, 숙시네이트 또는 수소결합이 가능한 다른 수용성 친전자성 기이고; R2는 C6H4OH, C6H4N3, C6H4CN, 4-HO-C6H4-C6H4, C6H4OPO2OH, C6H4OSO2H, C6H4NH2, C6H4NHMe2, C6H4OSO2Me, C6H4OCO(CH2)XCO2H, 또는 C6H5Cl이고; X는 C6H3-2,4(NO2)2, C6H4-4(NO2), C6H4-3(NO2), 또는 C6H3-2,4(NO2)2이고; Y는 H, (CH)XCH3(x=0-12), -S-CH3, 니트릴, 아미노, 니트로, 아지도, 숙시네이트, 또는 아미드이고; 또한 Z는 H, (CH)XCH3(x=0-12), -S-CH3, 니트릴, 아미노, 니트로, 아지도, 숙시네이트, 또는 아미드이다. 특 정 실시예에서, R1은 H 또는 OH이고, R2는 C6H4OH 또는 C6H5이고, Ar은 C6H3-2,4(NO2)2이다.
추가의 유용한 화합물은 WO 94/05276('276 공보)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조로서 삽입되었다. '276 공보에 개시된 화합물은 현재 면역조절 및/또는 공명 조절 활성을 갖는다고 밝혀져 있다. 상기 화합물의 구체예는 하기 화학식을 가지며:
Figure 112007087210986-PCT00026
여기서 G는 -CH2-, -C(O)-, -N-, ―, -O-, 또는 -S-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이고;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OR5, -SR5, -SO2N(R5)2, -SO2CN, ―SO2R6, ―SO2N3, N3, -CN, -N(R5)C(O)R6, -R6이고; Ar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는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되고;
각 R5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저급 알킬이고; 또한 R6는 저급 알킬이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어떤 구체예는 하기 화학식으로 도시되고:
Figure 112007087210986-PCT00027
여기서
R2는 H, 저급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환식 또는 탄소환식 고리를 형성하고, 이는 임의로 아릴기에 융합되며;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H, -OH 및 -OR7로부터 선택된다.
여러 기술된 화합물에 대한 구조 및 합성 방법은 미국 특허 제 4,732,904호에 기술된 바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조로서 삽입되었다. 10-[(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조노]-1,2-디히드록시-10H-안트라센-9-온(DNPA)를 포함하는 일부 화합물은 상기 특허에 기재되지 않았다. 이 화합물의 합성은 0.1몰의 1,2-디히드록시-9,10-안트라퀴논을 50 ㎖의 에탄올 및 5 ㎖의 술폰산에 용해시켜 수행된다. 상기 용액을 부드럽게 교반하며 60 ℃까지 가열하고, 계속 교반하며 50 ㎖의 에탄올에 녹아있는 0.1 몰의 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을 천천히 첨가했다. 상기 용액을 2시간 동안 가열하고, 냉장고에서 냉각했다. DNPA의 진한 적색 결정이 생성되었다; m.p. 240-242℃; 수율 92%. 산물은 C20H12N4O7로 분석되었다: C, 63.98; H, 3.46; N, 11.13; NMR 및 질량 분광 일치.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 및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추가의 화합물은, 2004년 9월 16일에 공개된 WO 2004/078174에 개시되어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화합물은 본원에 참조로서 삽입되었다.
추가적인 공명 조절자의 실시예는 실시예 13에서 제공된다.
실시예 6
대상에의 투여를 위한 제형
상기 제제는 결정, 펠렛(pellet) 또는 겔/크림과 같은 여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예를 들어, 피하에 이식되거나, 또는 면역계가 부전된 환자, 또는 면역계를 하향 조절(down-regulating)시킬 수 있는 치명적 또는 독성 물질과 접촉한 환자의 상피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이를 표적 부위와 전자기적 접촉하도록 하는 (패치, 또는 2차원적 또는 3차원적 매트릭스와 같은) 모든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전자기적 접촉(electromagnetic contact)"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면역 조절 효과를 방휘하기 위한 충분한 접근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제는 치료될 (종양 또는 형성이상 상피와 같은) 병변에 또는 병변을 덮도록 적용된다. 상기 제제는 또한 화학적으로 변형되어, 원한다면, 예를 들어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또한 자가조절(auto- modulation)의 소실(loss)이 있는 암과 관련된 면역 기능의 변화를 검출하는데 유용하다.
한 실시예에서, 50 ㎎의 순수 화합물을 가압하고, 16-게이지 크기로 만들어 A-007의 펠렛을 조제하였다. A-007 덩어리는 GLP/GMP 공정을 이용하고, 첨가제 없이 조제하였다. 100% A-007의 용해 특성에 따라, 첨가제(스테아르산, 포비돈 등) 또는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가 여기에 첨가될 수 있다. 펠렛은 예를 들어, 25 ㎎, 50 ㎎ 및 75 ㎎ 용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펠렛 농도는, 관찰된 (용해율과 같은) 물리적 특성 및 동물 독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치료적으로 유효한 용량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투여되는 용량은 치료되는 병태 또는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또한 면역 반응을 집중시키기를 요구하는 (신체의 부분과 같은) 표적 영역에 적용하기 위해, 프로필렌 글리콜/메틸 셀룰로오스의 조제와 같은 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겔은, 겔에 부유시킨 활성 제제 50 ㎎처럼 튜브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겔은 (예를 들어 흉벽 피부, 등, 발의 피부, 얼굴 또는 항문 생식기 부위 또는 자궁 점막과 같은) 피부 또는 상피 표면에 적용하기에 특히 편리하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겔은 (직장(rectal) 또는 질 어플리케이터(applicator)와 같은) 연장된 어플리케이터 튜브로부터, 예를 들어 직장으로 또는 질 내로 적용되기 위해 투여된다.
또한, 상기 펠렛은 흉벽과 같은 표적 영역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제는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또는 다른 비독성 에어로졸(aerosol) 에 부유되거나, 또한 구강 또는 상부 기도(respiratory tract)의 암을 치료하기 위해 기관기관지(tracheobronchial) 또는 입인두(oropharyngeal) 영역 내로 도입시킨다.
상기 펠렛은, 요산(uric acid) 결정의 침착을 자극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고통스러운 결절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부 표면에의 적용은 피부 내로의 삽입보다 보다 바람직하나, 양 접근법 어느 것이든 본원에 기재된 면역 조절을 생성시킬 것이다.
실시예 7
면역 활성의 외부 모니터
이전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기재된 제제는, 병리학적 병태와 관련된 긴급 행동 변경의 존재 하에 모니터 및/또는 상승 조절 면역 프로파일을 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에서, 상기 모니터는, 생물학적 시스템과 상호 작용함에 의한, 공명 조절자와 같은, 상기 제제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상호 작용은 인 비트로 또는 인 비보 어느 것에 의해서든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는, 추가 분석을 위해, 대상에 또는 (조직 배양과 같은) 상기 대상으로부터 취한 생물학적 샘플에 적용될 수 있다.
공명 조절 제제(A-007)은 0.25% 프로필렌 글리콜/메틸 셀룰로오스 겔(0.5 g)로서, 림프종을 갖는 환자의 피부 상에 존재한다. 겔로서 나타내지만, 이는 또한 크림 또는 단순한 결정(50 ㎎) 또는 상피 표면 또는 피부의, 위에 또는 16-게이지 트로카(trochar) 바늘로 내부에 삽입되어 적용될 수 있는 펠렛 (50 - 100 ㎎)으로서 적용될 수도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제는 오렌지 겔로서 피부에 적용되며, 심전도 리드(leads)로서 사용되는 형태의 전극 탭(tab) 두 개를 피부 표면에 간격을 두고 부착시키고, 2 x 3 Tegaderm® 패치로 덮었다. 상기 전극은, 겔에 걸친 전압 전위를 측정하도록 하는 위치인, 겔의 양 끝쪽에 위치시켰다. 그 후, 상기 전압계의 두 프로브(probe)는, 각 전극 탭에 하나의 프로브를 접촉시켰다. 상기 전압계는 바람직하게는 시간에 걸친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오실로스코프와 결합되어, 시간에 걸친 검출 전압의 진폭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전압계는, 컴퓨터 상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 전압 파형을 필터링(filtering)하고, 보이도록 하고, 기록하고, 측정하고, 또한 분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갖는 Fluke® Scopemeter 192/196/199이다. 그 후, 시간에 걸친 전압의 진폭 변화는 공명 조절자에 대한 면역 반응을 모니터하기 위해 관찰된다.
피부에 상기 공명 조절자를 적용한 때의 기준선 진폭 및/또는 주파수를 확립한 후, 이어서 시험 부위로부터의 진폭 및 전기 전달의 빈도를 모니터하기 위해 상기 전극을 오실로스코프에 부착시켰다. A-007과 같은 공명 조절자에 대해, 시간에 걸친 전압 변화의 진폭은 증가할 것이다.
정상 대상에 7일간 패치를 부착한 후, 전압계 프로브의 팁을 전극 리드에 다시 부착시키고, 시간에 걸친 전압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측정은, 응집과 관련된 전기적 활성 및 패치의 표적 영역으로의 활성화된 수지상 세포의 이동에 의해 증가된 유사분열 활성으로 이뤄진다. (0부터 측정된) 파형의 진폭은 3 볼트에서 4볼트로, 약 25% 증가했다.
이 실시예는 전압계로의 전기적 활성의 변화의 측정을 설명하지만, 전극 또한 국부 화학적-세포적 상호 작용에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외부 레이저 빔 센서로 감지할 수 있다. 화학 물질이 공명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전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화학 물질은 세포 상호 작용 연합(association)의 단계 신호를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어, 레이저와 같은 분자 스캐너(scanner)는, 상기 화학물질을 여기시키기(excited) 위해, 또는 A-007에 대해서는 404nm인 이의 흡수 파장에서 분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자 스캐너의 하나는, 에드먼드 인더스트리얼 옵틱스 고체 상태 조정 가능 레이저(Edmund Industrial Optics solid state tunable laser, 파장 425 nm)로서, A-007 공명 및 세포 상호 작용과 관련된 특정 여기(excitation)를 기록 또는 생성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이들 고성능 레이저는, 바코드 스캐너와 흡사한 나노 규모 상에서 A-007 스펙트럼의 특성을 인식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실시예 8
면역 기능 조절의 향상
개시된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어 면역부전으로 고통받는 대상에서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대상은 예를 들어, (HIV/AIDS와 같은) 면역 결핍 질환, 또는 (항종양 화학치료 약물로 유도된 백혈구 감소증(leucopenia) 또는 환경적 독소와 같은) 독소로 유도된 면역 결함을 갖는다. 다른 대상은 악성 종양의 대상에서 종종 나타나는 종류의 면역부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은 면역부전의 근본적 원인의 공지 여부가 고려되지 않는, 면역부전에 대한 사실에 근거한 실험적 증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커플링제로서 작용할 수 있고, 또는 면역계와 연락하여 면역계가 모니터되는 것뿐만 아니라, 또한 치료적으로도 조작(manipulate)되도록 한다.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제제를 표적 부위 내로 또는 인접하도록 도입함에 의해 (종양 근처와 같은) 표적화된 면역 반응이 표적 영역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기장에 상기 공명 조절자를 노출시키는 것은, 상기 제제의 전자기적 특성을 자극하여, 공명 조절자를 자극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제는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장의 한 실시예는 세포 수용체 표면과 최대한 인접하도록 (도 3에 나타낸 A-007의 형태 중 하나와 같은) 공명 조절자의 공명 형태의 가장 높은 집중(concentration)를 제공하는 주파수를 내거나(signal) 또는 맞춘다(tune). 이 실시예에서, 레이저는, A-007에 의해 나타나는 파장과 유사한 파장(400-450)을 갖는 레이저 에너지의 형태인 전자기장을 적용하기 위해 선택된다. 비록 A-007이 레이저를 발하는 특성을 갖지 않지만, 프로그램된 레이저는 이의 스펙트럼 특성을 인식할 수 있다. 2 AA 또는 3 V 배터리에 의해 생성된 간단한 자기장은 A-007의 표면 겔을, 9 V는 피하 펠렛을 비특이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보다 특정한 조정 가능 레이저는 상기 영역을 스캔할 수 있고, 인가된 최적의 전자기장에 보다 특이적일 수 있다. 원하는 주파수의 선택은 공명 조절자에서 보여지는 시간에 걸친 전압 변화의 진폭을 증가시킬 것이며,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거나 활성화할 것이다.
진피 및 표피 모두에 존재하는 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컨쥬게이트된(conjugated) 방향족 화합물을, 종양을 포함하는 표적 영역에 걸쳐 피부 표면에 적용한다. 상기 화합물이 수지상 세포 및 림프구를 표적 영역 내로 유인하지만, 종양은 종종 정상 면역 감시(surveillance)를 피할 수 있으며, 이는 공명 조절자의 증가된 활성화에 의한 면역 반응을 보다 자극하도록 돕는다.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된, 상기 영역을 덮고 위치하는 자기 프로브는 상기 강화된 활성화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자기 프로브는 발진기 회로, 주파수(frequency) 계수기, 전압 공급기, 및 오실로스코프를 포함하는 장치에 연결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화합물에 이의 공명 조절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 파동을 인가하여 활성화시킨다.
적합한 자기 파동 생성기의 예는 The Magnetic Pulser로, 이는 Health Canada로부터 입수 가능한, High Intensity Momentary Time-Variant Pulsed DC Magnetic Field Therapy Generator MODEL #: MPG5이다. The Magnetic Pulser(MPG5)는, 공명 조절자 화합물을 자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강한(~43,133 가우스), 순간적인(~2.5mS) 파동의 DC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고안되었다. 상기 자기 파동은 상기 화합물의 활성을 향상시키는데 충분한, 지속된 시기 동안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동의 DC 자기장은 5-60분 이상으로 인가될 수 있다.
2 AA 또는 3 V 배터리에 의해 생성된 간단한 자기장은 A-007의 표면 겔을, 9 V는 피하 펠렛을 비특이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인가되어야 하는 전자기장의 보다 구체적인 지시를 제공하도록, 보다 구체적인 조정 가능 레이저가 (상기 화합물이 국소적 적용된 영역과 같은) 상기 영역을 스캔할 수 있다. 상기 인가된 장의 원하는 주파수의 선택은 공명 조절자에 의해 생성되는 에너지의 진폭을 극대화할 것이다. 인가된 자기장의 지속 시간은 대상의 면역 상태에 따를 것이다; 보다 긴 기간의 자극은 더 나쁜 면역 상태를 갖는 대상에게 유용할 것이다. 일반적인 자기장이 사용되더라도, 바람직한 접근법은, 넓은 부위를 치료를 위한 파장 또는 에너지 특이적 조정 가능한 전달장치(transmitter)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치료의 효과는, 말초 T-세포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ry) 분석과 같은 가능한 양식으로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이들 편리한 테스트는 특정 공명 조절자에 대해 인가된 전자기장의 특성 선택에서의 부가적인 안내를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가된 전자기적 자극은 미국 특허 제6,190,893호에서 인가된 유형의 전기장이고, 이는 본원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전기적 자극을 위한 장치는, 표적 영역의 한 가장자리에 걸쳐진 골드 와이어(gold wire) 양극(cathode), 및 표적 영역의 가장자리의 반대편을 따라 위치하도록 한 실버 와이어(silver wire) 음극(anode)을 포함한다. EG&G Princeton Applied Research Potentiostat/Galvostat Model 263A (Oakridge, TN)가 정전위원(constant potential source)으로서 사용된다. 전기적 자극은 100 mV의 항정 전위(steady potential)에서 적어도 한 시간 동안 인가될 수 있다.
인체 또는 조직 배양 내의 공명 조절자에 전자기장을 인가하기 위해 다른 여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T 공보 WO 02/102457는 변환기(transducer), 및 상기 변환기에 AC 신호를 인가하는 발생기(generator)를 포함하는 그와 같은 장치를 개시하고, 여기서 전자기파는 0.1 Hz 내지 4000 Hz 사이의 기본 진폭으로 생성된다. 또한 유사한 장치가, 본원에 참조로서 삽입된 미국 특허 제 5,968,527호에서 보여진다.
일부 상황에서는, 공명 조절자에 자극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공명 조절자가 적용된 표적 영역의 전기적 특성을 모니터하기 위해 생체 임피던스 장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직접적인 생체 임피던스 측정 시스템은, 조직 전도율의 측정을 목적으로, 인간 또는 동물 신체 구획을 통해, 지속적이고 일정한 진폭(constant amplitude) 및 주파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전류 발전기를 사용한다. 30 KHz-30 MHz 범위의 주파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신체 구획에서의 지속적인 전류 흐름에 대한 임피던스는, 신체 구획에 걸친 전압 상이성을 생성하고, 생체 임피던스 계측기(meter)는 신체 구획에서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생체 임피던스 장치의 예는 WO 01/76475; 미국 특허 제 4,805,621호; 및 미국 특허 제 5,529,072호에 나타나있다. 생체 임피던스 프로브는 공명 조절자가 적용된 표적 영역에 걸쳐 위치되며, 전압 상이성이 상기 표적 영역에 걸쳐 인가된다. 생체 임피던스의 변화는 또한 대상의 면역계의 상태를 모니터하기 위해 사용된다. 증가된 생체 임피던스는 면역 상태 향상으로서 나타내어진다고 여겨진다.
실시예 9
림프종 치료에서의 개시된 화합물의 용도
실시예 7에 기술된 A-007 0.25% 겔(0.5 g)을 림프종을 가진 42세 환자의 피부에 적용하고, (총 림프구 계수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환자의 말초 림프구 프로파일의 향상뿐만 아니라, A-007과 관련하여 피부에서의 증가된 활성을 지시하는 시그마 파의 진폭에서의 증가가 있었다. 감지(sensoring)는, Fluke® Scopemeter 오실로스코프 및, 기록 및 환경적 백그라운드 노이즈의 구분이 가능한 PC 프로그램(192/196/199)으로 수행되었다. 전압 진폭에서의 25% 증가는 이 특정 실시예에서 면역의 양성 조절로서 여겨지고, 이는 림프구 프로파일에서의 향상과 일치한다.
실시예 10
자궁암 치료에서의 화합물의 용도
A-007 0.25% 겔(2 g)을 매일, 5일간 적용한, 1년 이상 지속된 초기 자궁암-인-시투(cervical cancer-in-situ)을 가진 23세의 여성은 극적 치료를 경험하였다. 표피의 암세포는 사라졌으며, CD45+ T-림프구의 유입으로 정상인 듯한 상피가 되었다. 상기 반응은, T-림프구의 증가된 조직화 및 암세포의 소멸과 관련된다.
실시예 11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
인간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PTP)는, 모든 진핵생물에 존재하는 단백질 의 크고 다양한 패밀리이다. 각 PTP는, 시스테인 및 촉매 활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아르기닌 잔기를 포함하는 11 잔기 서열 모티프를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존된 영역으로 구성된다. PTP 서열은 세린 또는 트레오닌, 산 또는 알칼리 포스파타아제와 어떠한 유사성을 공유하지 않는다. PTP 패밀리 내의 구조적 다양성은, 주로 촉매 영역의 NH2- 또는 COOH- 말단에 부착된 다양한 비촉매성 서열에서 기인한다. 세포 내 포스파타아제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 PTP 및 영역이 있다. 세포 외 구역(segment)의 다양성은, PTP에 노출되고 포스페이트 이동을 촉매하는 다양한 리간드를 반영한다.
세포 외 PTP는, 표면 인식에 관련된 PTP 수용체의 한 종류이고, 백혈구 세포 표면 인식의 부착 분자이다. PTP는 인간 세포에만 관련되는 것은 아니며, 원핵 생물 및 바이러스, 그리고 세균에도 존재한다. 병원성 세균인 예르시니아(Yersinia)에서, 림프절 페스트(bubonic plague)의 원인물질(causative agent)인 Yop2b 티로신 특이적 PTP는 필수적인 발병력(virulence) 결정인자이다.
다수의 연구가 생리적 작용에서의 PTP의 중요성을 증명했다. 표현형 결함과, T- 및 B-림프구, 과립구 및 대식세포의 과증식성 행동은 암 및 자가면역 질환의 발생에서의 중요 문제로 여겨진다.
PTP에 대한 촉매 영역은, Z. Jia, 등, Structural Basis for Phosphotyrosine Peptide Recognition by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Science 268 :1754-1758, 1995에서 검토된 바와 같이 결정학적 연구에서 기술되어 왔다. 이 참조문헌 및 Z. Xu 등, Negative regulation of CD45 by differential homodimerization of the alternatively splied isoforms, Nature Immunology 3:764-771, 2002는 PTP를 발현하는 여러 유형의 세포, 세균 및 바이러스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PTP 조절자로서의 아릴 히드라존에 대한 상호 작용 및 결과를 검토한다.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A-007)의 검토 및 그의 구조 특성 관계(도 1 및 3)는, 리핀스키의 "5의 규칙"(Lipinski's "Rule of 5")을 만족시키지 않음을 나타낸다. 상기 "5의 규칙"은 흡수 또는 침투에 대해, 약물이, 다섯 개 미만의 수소 결합 공여체, 열 개 미만의 수소 결합 수용체를 가지고, 분자량은 500 미만이고, 및/또는 계산된 log P는 5 미만일 것으로 예상한다(CAChe Group, Fujitsu, Beaverton, OR). 분명히 A-007 및 다른 히드라존은 결정학에 의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5 수소 결합 공여체를 초과하여 갖는다 (Klein,C.L., Gray.D., 및 Stevens,E.D.,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s of benzophenone phenylhydrazone derivatives with anticancer activity, Structural Chemistry 4 :377-383,1993). 따라서 이 환자에서 기술되는 림프구 및 암세포에 대한 외부 결합은, A-007 유형 아릴 히드라존의 구조적-행태 관찰과 일치하고, 여기서 상기 약물은 실질적으로 이것이 적용된 피부를 통해 흡수되지 않는다. 이의 효과는 따라서, 전자기적 효과로부터 기대됨에 따라 상당한 거리에 걸쳐 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007은 CD45+ PTP 아형의 세포 외 촉매 수용체 내에 잘 맞춰진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다른 화합물은, 역시 이들 수용체에 잘 맞춰지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7087210986-PCT00028
(HPV-유도 돌연변이를 통해 변형된) 자궁암 세포는, 수용체를 개량화하는 시스테인 잔기의 HS-SH 이량체화 및 사멸을 촉매하기 위한 이의 공명을 통해, A-007의 능력을 지원하는 A-007 결정의 존재 하에 세포 사멸을 겪는다. 이는 자궁암 환자에서 증명되어 왔다(표 2). A-007 0.25%를 갖는 국소적 겔을, 일일 2 g의 용량으로 5일간 질 내에 투여하였다. A-007 유도 세포 사멸은, HPV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HPV에 의해 변형되지 않은 양성 섬유모세포(fibroblast) 또는 건강한 상피 세포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 A-007과 같은 공명 조절자를 포함하는 상기 화합물을, HPV에 감염된 대상의 자궁/질 상피막에 국소적 적용하여, 암세포의 제거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입자의 제거, 및 CD45RO+CD4+ 및 CD8+ T-림프구의 상승 조절을 이룰 수 있다. A-007의 국소적 적용의 궁극적인 치료적 효과는 HIV 감염 세포의 세포 사멸의 유도이다(표 2, 도 10 및 13).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A-007은 T-림프구, 특히 CD45+, CD123+, CD4+ 및 CD8+ 세포의 존재를 증가시켰다. 특정 실 시예에서, CD45+, CD4+ 및 CD8+ 세포의 증가가 특히 주목된다. 특히, CD45RO+, CD45RA+ 및 CD45RB+의 증가가 주목된다.
표 2. 암에 걸린 인간에게 질 내로 적용된 A-007(0.25% 겔)의 효과
Figure 112007087210986-PCT00029
Figure 112007087210986-PCT00030
* 겔(0.25%)는 질 내로 투여되었다(일일 2 g, 5일간; 매 3-6주마다 반복될 수 있다). ** HPV 역가의 존재 & 변화. 주의: V-4, V-6 및 V-10 환자는 평가되고, 치료되지 않았다. CR - 완전 반응 ***반응 및 첫 반응일로부터의 기간. NA - 가능하지 않음. NC - 변화없음. + 국부 치료에서 발생한 변화. 두 명의 병리학자들이 IHC 결과를 각각 검토하였다. CD11c에서는 어떠한 변화도 없었다. NED - 질환의 증거 없음.
이 실시예에서는 겔로서 나타내었지만, 개시된 화합물은 크림 또는 단순 결정(50 ㎎) 또는 펠렛(50-100 ㎎)으로 적용될 수 있고, 단기 치료로 상피 표면 또는 피부 (또는 다른 표면) 위에 또는 16-게이지 트로카 바늘로 삽입하여 적용될 수 있다.
HeLa 암세포(HPV+)는, A-007 결정과 24시간 동안 인큐베이트하면 생괴사(necrobiosis) 및 사멸을 겪는다. 투명하고 건강한 암세포는 결정으로 이동한다. 그 후 세포막 화학 경계 및 PTP 수용체의 조절을 통해 세포는 하향 조절되고, 사멸의 원인이 되는 DNA 응집과 관련된 위축(pyknotic) 변화로 어두워진다(아래쪽 응괴된 어두운 염색 세포).
나이브(naive) T-림프구는 또한 A-007의 존재하에서 활성화된 림프구+의 응집과 함께 활성화된다.
따라서, A-007, 및 기술된 히드라존과 같은 다른 개시된 화합물은, 활성화된 T-세포에 의해 공격되는 HPV 양성 상피 세포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표 2) HPV 양성 세포에 직접적인 효과를 가져, A-007은 세포 및 바이러스의 사멸의 원인이 된다 (표 2). 아래 표에서 환자는 치료 후 더 이상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으며, 이는 상기 제제가 항-바이러스 특성 또한 갖는 것을 설명한다. 따라서, A-007은 T-림프구에서의 CD45+ 활성의 상승 조절뿐만 아니라, HIV에 감염된 세포의 세포 외막을 탈조절화(deregulation)하고 또한 상기 세포를 제거한다.
이들 발견은 HPV 감염된 자궁 상피 세포 및 PTP가 결합된 세포 외막을 포함하는 T-림프구가, A-007을 포함하는 개시된 제제와 상호 작용함을 제안한다. 상기 HPV 바이러스는 활성 세포회막 PTP 수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노출되었을 때 탈조절화 및 사멸을 겪을 수 있다. 실제 메카니즘에 상관없이, 상기 개시된 화합물은 HPV에 대해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 게다가, T-림프구는 A-007과 같은 공명 조절자에 의해 활성화 되어 표면 막 CD45+RO PTP의 존재를 촉진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촉매 수용체 부위 내에서의 HS-SH 형성을 통해 일어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휴지기(resting) 또는 나이브(naive) 세포를 나타내는 CD45+RA T-림프구는 외부 세포를 공격할 수 없으므로, CD45+RO 마커로의 전환은 세포 면역계의 세포 독성 아암(arm)의 활성화를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명 조절자는 실질적인 항-바이러스(항-HPV) 및 항-종양 활성을 갖는다. CD45+RO 세포의 비율은 상기 제제의 처리 후 실질적으로 증가한다.
예르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 병원체와 같은 PTP를 발현하는 세포, 또는 (HPV 감염된 상피 세포와 같은) 병원체에 감염된 PTP+ 세포 또한 A-007과 응집할 수 있다. 이 응집은, 시스테인의 산화 및 이황화 결합 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결합 형성은 세포의 완전성(integrity)를 파괴하고, 또한 세포가 괴사하고 바이러스를 방출한다. A-007의 존재하에서, 바이러스성 PTP 세포막 자가 산화는 바이러스 불활성화와 함께 일어난다. 표 1의 대부분의 환자는 또한, A-007 치료로 사라지는, HPV 유도된 핵 내 변화(intranuclear changes, CIN) 갖는 HPV+ 과증식(hyperplastic) 자궁 세포를 가진다. 이는 또한, A-007과 같은 공명 조절자를 포함하는 개시된 화합물이, HPV에 감염된 양성(benign) 및 과증식 세포뿐만 아니라 악성 세포 또한 파괴하는 능력을 가짐을 강조한다.
PTP CD45 수용체에 대한 향상된 결합 친화력 및 상승 조절을 갖는, 2,6-디벤질리덴시클로헥사온-2,4-디니트로페닐 히드라존과 같은 히드라존 유사체(analog)의 항암 및 항바이러스 활성은, 자외선에 대한 노출을 통해서도 증강된다. 자외선은, A-007과 아르기닌의 디이민(diimine) 모이어티 간의 디엘스-앨더 반응(Diels-Alder reaction), 및 시스테인의 HS-모이어티와의 부가체(adduct) 형성을 유도하여, CD45 수용체를 상승 조절시킨다 (도 1). 따라서 그러한 공명 조절자의 면역 조절,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 활성은 상기 화합물을 자외선에 노출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2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A-007)의
항-종양(neo-plastic) 및 면역 조절 특성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A-007, 도 12의 화합물 1)는, 항문 편평 세포암을 갖는 환자에서 유의한 항암 활성을 생성한다 (표 3). A-007을 0.25% 함유하는 국소적 겔(일일 2 g의 겔)을 항문 내에 매일 5일간 적용하고, 관찰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항문암에 적용된 A-007(0.25% 겔)의 효과
Figure 112007087210986-PCT00031
* 겔(0.25%)는 항문 부위에 국소적으로 투여되었다(5일간; 매 3-6주마다 반복될 수 있다). ** 조직학 - 편평 세포 또는 선암(adenocarcinoma), ***반응 및 첫 반응일로부터의 기간. ***HPV 역가 변화; NC - 변화없음. +치료에서 발생한 변화. +Pts는 치료 5일 후 수술을 받았다.
실시예 13
개시된 화합물의 추가적 실시예
2,6-디벤질리덴시클로헥사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BDP-DNP)은, 배양(Rx 전-후)에서 자란 악성 편평 세포암(SCCA-HM)에 대한 세포 성장에 BDP-DNP의 효과(impact)에 의해 증명된 바와 같이, A-007에 비해 100배 이상의 면역 조절 항암 활성을 갖는다. BDP-DNP(0.4 mcg/mL)가 함유된 조직 배양 배지에서 배양 24시간 후 (L.R.Morgan, 미국특허 5,270,172), 림프구는 강력한 자극을 받고 (활성화된 T-림프구의 크고 하얀 응집) 또한 암세포의 파괴를 겪는다. 어떠한 암세포도 검출되지 않는다.
실시예 14
몇몇 활성 화합물의 특성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여기에 기술된 화합물들은 면역 시스템과의 진단 및 치료의 인터페이스를 모두 제공하며, 이들은 독립적으로 (특히 HPV 및 HPV 감염 세포에 대해, 예를 들면 HPV 감염과 연관된 질암 및 자궁경구암에 대해) 항종양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하기 특성을 갖는, 예를 들면 하기 특성들의 적어도 3 또는 5 또는 모두를 갖는 화합물들이 기술되었다:
(배양시 또는 생물체의 표면(예를 들면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CD45+ 림프구(예를 들면, CD45RO+ 및 CD45RA+ 림프구)의 공명 조절자 화합물에 대한 특정 인력.
(예를 들면 객체의 상피에 적용시) CD45RA+ 림프구의 CD45RO+ 림프구로의 상향조절.
고유의 전자기 속성의 소유, 예를 들면 결정이 증발되거나 전자기 에너지가 방출되었을 때 양으로 하전된 지점 및 음으로 하전된 지점간의 단일 라인의 응집된(agglutinated) 결정을 형성하는 능력.
림프구 이동(migration)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예를 들면 배양시 미경험 세포(naive cell)의 결집(aggregation)을 유도하는 것)의 소유.
상기 화합물들의 특정 예는 또한 그것이 개체의 피부에 적용된 후에 상기 화합물들로부터 측정된 교대 전압파(alternating voltages waves)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능력에 의해 특정지워진다. 특정 예들에서는, (예를 들면 림프구 기능이 손상된 것과 같이) 면역성이 손상된 대상에서 상기 증폭이 증가하는 것이 감소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었을때, 피부를 통한 흡수가 실질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그러한 화합물들은 Lipinski의 "5의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다. 피부에 적용되었을때, 그러한 화합물들은 피부통과 플럭스(flux)없이 피부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남을 수 있다.
잠재적인 공명 조절자는 또한 공명 조절자를 시사하는 화학 구조들, 즉 본 명세서에서 앞서 기술된 구조적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전성(electronegativity)을 갖는 폴리아릴 화합물들, 예를 들면 Casodex®, Naprelan®, Eulexin®, 및 Bextra®이 선택될 수 있다.
일단 후보자들이 잠재적 공명 조절자로서 선택되면, 그들이 림프구 배발생을 유도하고 림프구를 활성화시키는지 쉽게 분석할 수 있다. 그러한 분석법은 Morgan 등의, Anticancer Research 13:1763-1768 (1993)에서 발견되는데, 그것은 여기에 인용에 의해 삽입된다. 또한 Janossy 등, Clin. Exp. Immunol. 14:581-596 (1973)을 참조하라. 간단히 말하면, [3H]티미딘의 흡입이 배양시의 림프구에 대해 측정되었다. 림프구는 10% 소태아혈청 (FBS)이 첨가된 RPMI-1640 조직 배양 배지에서 배양되었다. 공명 조절자로 자극한 후, 삼중수소화된(tritiated) 티아민 (2-20 μCi/ml, 비활성(specific activity) 2 Ci/mmol)이 세포에 첨가되었고 그들과 항온보관되었다. [3H]티미딘의 흡입은 선택된 기간 후에 찬(cold) 10%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의 첨가에 의해 중지되었고, 샘플의 방성능을 섬광계수기로 측정하였다. 상기 % 림프모구(lymphoblast)는 고파워장(high-powered field; hpf) 당 블라스트의 수를 계수하여 결정하였고, % 활성화는 삼중수소화된 티아민의 흡입에 의해 결정되었다. 증가 전압은 실시예 7에서와 같이 오실로스코프에 의해 측정되었다.
표 4
공명 조절 특성의 예측
Figure 112007087210986-PCT00032
*Fan, Morgan, 등 (Adoptive Immunotherapy of Advanced Renal Cell Cancer using PHA-stimulated Autologous Lymphocytes, Anticancer Research 16, 230-239, 1993)에 기술된 절차가 림프모구 및 림프구 활성화의 정량에 사용되었다. 이 논문은 인용에 의해 여기에 삽입된다.
**오실로스코프에 의해 증가된 진폭이 측정됨.
이 절차는 전압 신호의 증가된 진폭과 림프구의 증가된 활성화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특히, 진폭이 더 많이 증가된 것은 림프구 활성화의 더 격렬한 향상이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분석법은 면역 활성화 활성을 위한 공명 조절 제제 후보자를 신속히 선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분석법을 사용하면, 적어도 20% 증가된 전압 진폭(예를 들면 적어도 50%의 증가된 진폭)이 면역체계에서 공명 조절 활성의 척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기준(예를 들면, 적어도 20%의 진폭 증가)을 만족하는 공명 조절 후보자는 추가의 사용 및 연구를 위해 선택되었다.
실시예 15
국소 제제
여기에 기술된 화합물들은 면역조절자, 항바이러스제, 또는 항종양제제(anti-neoplastic preparations)로서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국소 제제로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화합물은 2,6-디벤질리덴시클로헥사논-2,4-디니트로페닐히드 라존(BDP-DNP)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항문의, 질의 또는 자궁경부의 종양 (예를 들면 자궁경부 (CIN)과 같은) 비뇨생식 종양과 같은 악성 상피에 적용함에 의해, 상피 표면에 적용하기 위한 국소 제제에 위치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병에 걸린 대상에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제제를 투여하여 종양 세포의 퇴행 또는 제거를 유도함에 의해 종양(tumor(neoplasm))을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예에서, BDP-DMP의 투여는 종양에 국소적으로 BDP-DMP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나, 다른 형태의 투여, 예를 들면 경구, 흡입(inhalational), 주입(injected) 또는 피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6
흡입 제제
테트라히드로퓨란 내의 5% 용액 내의 화합물(여기서는 A-007)이 마우스의 호흡계로 30초 동안 15psi 압력 이하로 에어로졸되었다. 이는 상기 에어로졸을 마우스가 존재하는 폐쇄실로 방출함에 의하였다. 이러한 처치에 의해 처치된 마우스는 죽지 않았다. 5일 후에 그 마우스는 희생되었고 허파계를 기관 및 허파의 통째 절제에 의해 검사하였다. 표본의 조직 검사에서는 기관지 상피에 림프구 침윤(infiltration) (CD8+ 및 CD4+)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T-세포 조절은 자궁경부 및 피부에의 국소 적용에서와 보인 것과 동일한 패턴이 보였다. 대조군은 THF 단독으로 처치하였고 이때 림프구 침윤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7
활성 제제-수용체 상호 작용
여기에 기술된 화합물들이 CD45와 같은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델링 연구를 기술한다. 이들 연구들은 Sybyl 6.9.2 (Tripos Inc, St Louis, MO)로 수행되었다. 화합물들의 모델은 Sybyl 단편으로부터 제조되었고 그 후 (MMFF94 차지(charges)를 갖는) MMFF94 힘의 장(force field)을 이용하여 최적화되었다. 이들 모델들은 이어서 FlexX 1.13 및 Drug Score 스코어링 기능을 이용하여 1BZC 결정구조 활성부위로 도킹되었다. FlexX는 리간드의 다양한 베이스 단편이 도킹되는, 증가하는 단편 기반의 도킹을 수행하고, 이어서 리간드의 나머지는 베이스 단편 위치로부터 건설된다. 그러므로 리간드의 모든 가능한 배향 및 형태가 샘플되었다.
도 19는 본 방법에 따라 하기 화합물이 CD45와 도킹하는 것을 도해한다:
Figure 112007087210986-PCT00033
이들 연구에서, 도해된 화합물은 A-007보다 더 나은 결합 스코어를 갖는데, 이는 대체로 ARG 47에 의해 포켓으로 입구에서 더 단단히 붙들리게 되고 상기 도해된 화합물의 디히드록시비페닐 모이어티에의 긴밀한 접촉을 갖기 때문이다.
상기 도해된 화합물은 또한 그것이 CD45에 결합하는 곳에서 모이고 직접적인 세포독성 활성을 발휘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실시예 18
히드라존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공정
방법 1: 치환된 페닐히드라진 (0.148 몰)을 50℃에서 MeOH (300mL)에 현탁하였고 농축된 황산(20 mL)을 50℃에서 교반하며 첨가하였다. 상기 히드라진이 용해된 후에, MeOH (300mL) 내의 치환된 벤조페논 또는 아릴 케톤(0.1몰)을 50℃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첨가하였고 그 후 30분간 교반하였다. 용매는 증발되었고 (75%), 물(500mL)을 첨가하였고, 침전물을 3% 수성 NaHCO3로 세척하였다. EtOH, MeOH 또는 아세트산으로부터 재결정되었다. 완전한 요소의 및 스펨트럼의 분석(complete elemental and spectral analysis)이 모든 생산물에 대해 수행되었다.
방법 2: 두번째 일반 방법은 하기와 같이 진행된다: 치환된 아릴 히드라진 (2.7 mmol) 을 15 mL의 MeOH에 용해시키고 2.1 mmol의 케톤을 교반하며 첨가하였다. Dowex 50W- 50X2-100 양이온 교환 수지 (0.5 g) [Dow Corp., Baton Rouge, LA] 가 첨가되었다. 현탁액을 수조에서 75℃에서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혼합물은 물 진공 압력하에서 핫 필터되었고 수지는 3 x 0.5 mL의 MeOH로 세척되었다. 수집 플라스크의 내용물은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20 mL 의 증류수가 첨가되었다. 착색된 침전물은 여과, 건조 및 EtOH 또는 MeOH로부터 재결정되었다. 대표 수율은 80% 범위이었다.
N-벤즈히드릴리덴-N'-(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진을 방법 1을 사용하여 제조하여 EtOH 또는 MeOH로부터 노란색 결정을 82% 회수율로 얻었다; mp 232-234℃; IR: 3295(N-H), 2928(Ar-H), 1612(C=N), 1590, 1504, 1416, 1334, 1127 및 1091, 834, 777, 698 및 608 cm-1; 1H-NMR(DMSO, 400 MHz): δ 11.25(1 H, s, N-H), 9.07(1 H, s), 8.37 (1 H, d, J= 8 Hz), 8.22 (1 H, d, J= 8 Hz), 7.67 (4 H, m, J= 8 Hz) 7.41 (6 H, m, J= 8 Hz); Anal. Cald'd for C19H14N4O4: C, 62.98; H, 3.86; N, 15.46. Found: C, 63.17; H, 4.06; N, 15.49.
4-히드록시벤조페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을 방법 2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ETOH에 의해 수율 80%로 재결정되는 빨간색 바늘을 얻었다; mp 224-225℃; IR: 3541(N-H), 3271(N-H), 3098(O-H), 2905(Ar-H), 1621(C=N), 1591, 1511, 1418, 1329, 1276, 1130, 1083, 829 및 698 cm-1; 1H-NMR(DMSO, 400 MHz): δ 11.23(1/2 H, s, N-H), 10.99(1/2 H, s, N-H), 10.1(1 H, s, "broad" OH), 8.8(1 H, s), 8.41 (1 H, d, J= 8 Hz), 8.19(1 H, d, J= 8 Hz), 7.67 (2 H, m, J = 8 Hz), 7.48 (3 H, m, J= 8 Hz), 7.28(1 H, dd, J= 8 Hz), 7.04(1 H, dd, J= 8 Hz), 6.84(1 H, dd, J= 8 Hz); Anal. Calc'd. for C19H14N4O5: C, 59.07; H, 3.62. Found: C, 59.71, H, 3.84.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을 ETOH에 의해 수율 75%로 재결정되는 짙은 빨간색 결정으로서 합성하였다; mp 290-291℃; IR: 3631(N-H), 3491(N-H), 3272(0-H), 2905(Ar-H), 1614(C=N), 1518, 1415, 1322, 1206, 1143, 1107, 974, 864 및 827 cm-1; 1H-NMR(DMSO, 400 MHz): δ 11.59 (1 H, s, O-H), 11.15(1 H, s, N-H ), 10.12(2 H, s, O-H), 9.91(1 H, s, O-H), 8.85 (1 H, s), 8.48 (1 H, d, J= 8 Hz), 8.19(1 H, d, J= 8 Hz), 7.61 (1 H, d, J= 8 Hz), 6.95 (1 H, dd, J= 8 Hz), 6.8(1 H, dd, J= 8 Hz), 6.57(1 H, s), 6.46(1 H, dd, J= 8 Hz), 6.38(1 H, s), 6.31(1 H, dd, J= 8 Hz); Anal. Calc'd. for C19H14N4O8: C, 53.52; H, 3.28; N, 13.14. Found: C, 51.79; H, 3.19; N, 13.36.
l,2-디히드록시-10-안트라퀴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을 일반 방법 1을 사용하여 베이스 퀴논 및 2,4-DNP로부터 합성하였다. 수율은 92%이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48시간 동안 환류되었다. 화합물들은 냉각시에 반응으로부터 침전되었고 디옥산/헥산으로부터 빨간색 미세결정(microcrystal)으로서 침전되었다; mp 240-242℃; IR: 3502(N-H), 3287(N-H), 3113(0-H), 2925(Ar-H), 2559(Ar-H), 1618(C=N), 1595, 1501, 1441, 1335, 1298, 1135, 1091 및 781 cm-1; 1H-NMR(DMSO, 300 MHz): δ 11.97(1 H, s, N-H), 8.86(1 H, s), 8.47(1 H, d, J= 6), 8.38(1 H, s), 8.24 (1 H, d, J= 12 Hz), 8.17(2 H, m), 8.12 (2 H, m), 7.89 (4 H, m), 7.75 (3 H, m).
실시예 19
혈소판 수준의 자극
공명 조절자 (예를 들면 A-007)와 같은 기술된 화합물들의 또 하나의 기대하지 않은 속성은 약물을 투여받은 대상에서 혈소판 생성을 증가시키는 능력이다. 예를 들면, A-007을 수여받은 대상은 비장이 확대되었고 혈소판 생성이 증가되었다. 혈소판 생산의 이러한 증가는, 예를 들면, 면역 또는 종양(tumor, neoplasm) 질환, 또는 그러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세포독성 약물에 의해 유도된 저혈소판증을 앓고 있는 환자에 특히 유리하다. 예를 들면 혈소판 생산을 자극할 수 있는 A-007 또는 공명 조절자 또는 여기에 기술된 다른 화합물들은 그러한 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된다. 상기 약물은 여기에 기술된 임의의 방법으로 투여된다.
상기 기술된 방법에 따라 A-007을 수여받은 마우스는 확대된 비장 (비장비대) 및 증가된 혈소판 생성을 보이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여기에 기술된 화합물들은 골수외적인 거대핵세포를 제공하고 (골수외에서) 혈소판 생성의 능력을 갖는다.
실시예 20
체표면 병변의 치료
여기에 기술된 제제는 사마귀, HSV 수포, 건선, 및 피부암 등과 같은 광범위의 체표면 병변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병변은 상기 제제를 상기 병 변을 사라지게 하거나 또는 퇴행하게 하는데 충분한 기간 동안 상기 병변에 국소적으로 적용함에 의해 치료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제는 병변의 표면에 0.25% 겔로서, 하루 2g의 용량으로 3-10일간 적용한다. 병변의 소실이 달성될 때까지 치료가 필요한 만큼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치료 요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용량의 활성 성분이 임상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약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임상 환경에 따라 임상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량 1-10g, 2-5g, 또는 2-3g이 치료요법 도중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용량 요법은 하루 한번 (예를 들면 밤에), 하루 두번, 또는 더 자주일 수 있다. 치료의 총 지속은 임상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3-10일 동안 매일, 예를 들면, 5일 동안 매일), 필요에 따라 치료 요법은 간격을 두고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일 동안 매일 투여하고 이어서 25일간 처치하지 않고 다시 5일간 매일 처치하는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가 여러 실시예들에서 도해되고 기술되어, 본 발명은 그러한 원리들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특정 상세들이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하기의 청구범위의 의미와 범위 내에서 유래되는 모든 변형을 청구한다.

Claims (148)

  1. A-007 이외의,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34
    여기서 Ar은 하나 이상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는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35
    이고, 여기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 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또한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X가 NH이고 Y가 N일 때, n이 1이거나, R1이 R5이거나 또는 양쪽 모두이고; 또한 R5는 H 또는 저급 알킬인, 화합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r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할로알킬, 아실, 카르복시, 카르복스아미도, 카르보알콕시, 술폰산, 시아노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릴인, 화합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r은 두 개 이상의 전자 끄는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Ar은 디니트로페닐기인, 화합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1은 ―OR5, ―SR5, ―SO2N(R5)2, ―SO2CN, ―SO2R5,―SO2N3, N3, ―CN, ―N(R5)C(O)R6, ―R6,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된 페닐이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H, 저급 알킬, 탄수화물, 지방산, 아미노산, 펩티드, 뉴클레오시드 또는 핵산이고; 또한
    R6는 저급 알킬 또는 C-글리코시드인, 화합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2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3은 ―OR5, ―SR5, ―SO2N(R5)2, ―SO2CN, ―SO2R5, ―SO2N3, N3, ―CN, ―N(R5)C(O)R6, ―R6,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은 0인, 화합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은 1, 2, 또는 3인, 화합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은 0 또는 1인, 화합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 및 m 모두가 1인, 화합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이 1이고 m이 0인, 화합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36
    여기서 R5 및 R6가 독립적으로 ―OR7, ―SR7, ―SO2N(R7)2, ―SO2CN, ―SO2R8, ―SO2N3, N3, ―CN, ―N(R7)C(O)R8, ―R7이고;
    R7이 H 또는 저급 알킬이고; 또한
    R8이 저급알킬인, 화합물.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87210986-PCT00037
  16. 청구항 1에 있어서,
    X는 CH2, O, SO2, B이고;
    n은 0이고;
    R1은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38
    이고;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이거나, 또는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고; 또는 R4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또한
    R3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인, 화합물.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R1은 ―OR5, ―SR5, ―SO2NH2, ―SO2CN, ―SO2R5, ―SO2N3, N3, ―CN, ―N(R5)C(O)R6, ―R6,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R2 및 R3는 페닐기를 형성하는, 화합물.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39
    여기서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OR5, ―SR5, ―SO2N(R5)2, ―SO2CN, ―SO2R6, ―SO2N3, N3, ―CN, ―N(R5)C(O)R6, ―R6이고;
    각각의 R5는 H 또는 저급 알킬이고; 또한
    R6는 저급 알킬인, 화합물.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가지는, 화합물.
    Figure 112007087210986-PCT00040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R5 및 R6는 -OH인, 화합물.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X는 CH2이고, Y는 N 또는 CH인, 화합물.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41
    여기서 R5는 H, ―OR6, ―SR6, ―SO2N(R6)2, ―SO2CN, ―SO2R7, ―SO2N3, N3, ―CN, ―N(R6)C(O)R7, 또는 ―R7이고;
    R1 및 R6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저급 알킬이고; 또한
    R2 및 R7은 독립적으로 저급 알킬인, 화합물.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Ar은 니트로페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Ar은 디니트로페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87210986-PCT00042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R1은 H인, 화합물.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R2는 메틸 또는 에틸인, 화합물.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R5는 -OR6를 나타내는, 화합물.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7087210986-PCT00043
  31. 청구항 1 기재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조성물.
    Figure 112007087210986-PCT00044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국소(topical) 겔 또는 용액을 포함하 는, 조성물.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국소 겔 또는 용액은 약 0.25% 이상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35.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서방성 조제 형태(sustained release dosage form)를 포함하는, 조성물.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조제 형태는 정제 또는 결정을 포함하는, 조성물.
  37.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흡입을 통해 전달되는데 적합한 것인, 조성물.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어로졸(aerosol)를 포함하는, 조성물.
  39. 청구항 6 기재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0. 청구항 16 기재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 제학적 조성물.
  41. 면역자극(immunostimulation)을 필요로 하는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A-007 이외의, 하기 화학식을 갖는 공명 조절 화합물을 상기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45
    여기서 Ar은 하나 이상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은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46
    이고, 여기서 R4 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또한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이거나, 또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선택은 면역부전(impaired immunity)의 실험실 증거(laboratory evidence)를 갖는 대상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43.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선택은, 감염성 병원체에 감염된 대상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44.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감염성 병원체는 바이러스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45.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병원체는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46.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선택은, 항문 또는 자궁경부(uterine cervix)의 형성이상(dysplasia)을 갖는 대상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47.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유두종바이러스로의 감염에 의해 유도된 형성이상을 갖는 대상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48.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을 대상에게 질 내로(intra-vaginally) 또는 항문 내로(intra-anally)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49.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질 내로 또는 항문 내로 서방성 조제 형태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50.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조제 형태는 정제 또는 결정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51.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피부 병변 이외의 부위에 국소적인 화합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5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피부 표면 부위에 국소적인 화합물의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피부 표면은 상기 화합물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며, 상기 면역 반응은 피부 표면 부위로부터 먼 곳에서 자극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53.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화합물을 흡입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54.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호흡 상피(respiratory epithelium) 감염 또는 종양(tumor)을 갖는 대상에게 흡입으로 투여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55.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면역 반응은 림프망(lymphatic network)에서 자극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56.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과증식성(hyperproliferative) 체표면 병변에 적용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57.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과증식성 체표면 병변은 항문, 자궁경부, 구부(oral), 음경, 질 또는 외음부 병변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58.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과증식성 체표면 병변은 전암성(precancerous) 병변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59. 청구항 58에 있어서, 상기 전암성 병변은, 광선각하증(actinic keratosis), 보웬양 광선각하증(Bowenoid actinic keratosis), 비소각하증(arsenical keratosis), 보웬병(Bowen's disease), 바이러스성 각하증(viral keratosis), 백반(leukoplakia), 퀘이라 홍색형성증(erythroplaquia of queyrat), 모반(nevus) 또는 사마귀(wart)를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 는 방법.
  60.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병변은 항문암, 자궁경부암, 기저세포암종 또는 편평세포암종, 흑색종, 음경암, 외음부암, 질암 또는 구강점막암으로부터 선택되는 원발성(primary) 종양(neoplastic) 병변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61.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체표면 병변은 건선(psoriasis) 병변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6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Ar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할로알킬, 아실, 카르복시, 카르복스아미도, 카르보알콕시, 술폰산, 시아노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된 아릴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63. 청구항 62에 있어서,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은 니트로페닐히드라존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64. 청구항 62에 있어서,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은 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65. 청구항 64에 있어서,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은 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66.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Ar은 다환(polycyclic)기를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67.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Ar은 치환된 페닐기를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68.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Ar은 두 개 이상의 전자 끄는 치환기(electron withdrawing substituent)를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69. 청구항 68에 있어서, 상기 Ar은 디니트로페닐기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70.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n은 0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71.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m은 1, 2 또는 3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 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7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m은 0 또는 1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73.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n 및 m 모두가 1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74.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n은 1 이고, m은 0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75.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47
    여기서 R5 및 R6가 독립적으로 ―OR7, ―SR7, ―SO2N(R7)2, ―SO2CN, ―SO2R8, ―SO2N3, N3, ―CN, ―N(R7)C(O)R8, ―R7이고;
    R7이 H 또는 저급 알킬이고; 또한
    R8이 저급알킬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76.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Figure 112007087210986-PCT00048
  77.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49
    X는 디니트로페닐기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50
    이고, 여기서 R2는 저급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3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4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4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78. 청구항 77에 있어서, 상기 R1은 H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79. 청구항 78에 있어서, 상기 공명 조절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면역자 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51
    여기서 R2는 저급 알킬이고;
    R5는 H, OH, -OR6, ―SO2NH2, N3, ―CN, ―SO2CN, ―SO2N3 또는 저급 알킬이고; 또한
    R6는 저급알킬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80.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상기 대상의 상피 표면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81. 청구항 80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상피 표면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은, 피부 표면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82. 청구항 80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상피 표면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은, 피부에 상기 화합물을 도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83.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면역 반응의 자극 방법은,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함에 의한 종양(tumor)의 치료 방법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84. 청구항 81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피부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은,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기 위해, 종양(tumor)을 덮고 있는 또는 종양(tumor)에 인접한 피부 부위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85. 청구항 84에 있어서, 상기 종양(tumor)은 악성 종양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86. 청구항 85에 있어서, 상기 종양(tumor)은 전이(metastasis)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87.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증가된 공명 조절을 유도하는 전자기장에 상기 화합물을 노출함에 의해 면역 자극을 강화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88.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은 자기 프로브(magnetic probe)에 의해 생성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89. 청구항 88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은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90.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에 대한 상기 대상의 면역계의 반응을 판정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의 공명 조절에 의해 생성된 파형(waveform)의 진폭(amplitude)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91. 청구항 90에 있어서, 상기 진폭이 치료적으로 바람직한 진폭 미만인 경우, 상기 화합물의 증가된 공명 조절을 유도하기 위해 전자기장에 상기 화합물을 노출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9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면역 반응의 자극 방법은, 세포 외 막-결합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를 발현하는 세포에 의한 또는 세포에 대한(against) 면역 반응의 자극 방법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93. 청구항 92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T 림프구이고, 또한 상기 면역 반응의 자극 방법은 항원에 대한 T-림프구에 의한 면역 반응의 자극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94. 청구항 93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CD45+ 바이러스로 감염된 세포이고, 또한 상기 면역 반응의 자극 방법은, 상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기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의 자극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95. 청구항 94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유두종바이러스 또는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96. 청구항 95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유두종바이러스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97. 청구항 96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유두종바이러스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98. 청구항 94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레트로바이러스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99. 청구항 98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인,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100. 청구항 92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활성 세포 외 막-결합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를 포함하는 바이러스로 감염된 세포이고, 또한 상기 면역 반응의 자극 방법은, 상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기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 자극을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방법.
  101. A-007 이외의, 하기 화학식을 갖는 공명 조절 화합물의 고유 전자기 파형 특성을 생성하도록, 공명 조절 화합물을 대상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52
    여기서 Ar은 하나 이상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은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53
    이고, 여기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고; X가 NH이고 Y가 N일 때, n이 1이거나, R1이 R5이거나 또는 양쪽 모두이고; 또한
    R5는 H 또는 저급 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전자기 파형은 상기 대상의 면역 상태를 지시하는, 공명 조절 화합물을 대상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및
    변경된 면역 기능과 관련된 파형에 대해 화합물에 의해 생성된 파형의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 모니터링(monitoring) 방법.
  102. 청구항 101에 있어서, 상기 파형의 모니터링 단계는, 외부 전류 또는 전위(voltage potential)의 인가 없이, 상기 화합물 전체에 걸친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의 검출을 포함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 모니터링(monitoring) 방법.
  103. 청구항 101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면역 기능에 관련된 상기 파형의 모니터링 단계는, 감소된 진폭을 갖는 파형의 검출을 포함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 모니터링(monitoring) 방법.
  104. A-007 이외의,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유효량을 병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54
    여기서 Ar은 하나 이상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는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55
    이고, 여기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 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또한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고; X가 NH이고 Y는 N일 때, n이 1이거나, R1이 R5이거나 또는 양쪽 모두이고; 또한
    R5는 H 또는 저급 알킬인,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
  105. 청구항 104에 있어서, 상기 병변은 과증식성 체표면 병변인,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
  106. 청구항 104에 있어서, 상기 과증식성 체표면 병변은 전암성 병변인,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
  107. 청구항 105에 있어서, 상기 병변은 항문, 자궁경부, 구부, 음경, 질 또는 외음부 병변인,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
  108. 청구항 106에 있어서, 상기 전암성 병변은, 광선각하증(actinic keratosis), 보웬양 광선각하증(Bowenoid actinic keratosis), 비소각하증(arsenical keratosis), 보웬병(Bowen's disease), 바이러스성 각하증(viral keratosis), 백반(leukoplakia), 퀘이라 홍색형성증(erythroplaquia of queyrat), 모반(nevus) 또는 사마귀(wart)를 포함하는,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
  109. 청구항 106에 있어서, 상기 전암성 병변은, 유두종바이러스 관련 병변인,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
  110. 청구항 104에 있어서, 상기 병변은 원발성(primary) 종양(neoplastic) 병변인,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
  111.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종양(neoplastic) 병변은 항문암, 자궁경부암, 기저세포암종 또는 편평세포암종, 흑색종, 음경암, 외음부암, 질암 또는 경구점막암인,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
  112.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원발성 종양(neoplastic) 병변은 전이 종양(neoplastic) 병변을 포함하는,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
  113.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병변은 음경 병변인,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 성 병변의 치료 방법.
  114.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병변은, 질 또는 외음부 병변인,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
  115. 청구항 105에 있어서, 상기 과증식성 체표면 병변은, 체내(internal body) 표면 병변인, 암성(cancerous) 또는 전암성 병변의 치료 방법.
  116. A-007 이외의,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의 유효량에 생물학적 조직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조직으로부터의 림프구 농축(concentrate) 방법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56
    여기서 Ar은 하나 이상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는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57
    이고, 여기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또한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고; X가 NH이고 Y가 N일 때, n이 1이거나, R1이 R5이거나 또는 양쪽 모두이고; 또한
    R5는 H 또는 저급 알킬인, 생물학적 조직으로부터의 림프구 농축 방법.
  117. 청구항 116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유효량에 살아있는 생물을 노출시키는 것은, 상기 살아있는 생물의 피부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조직으로부터의 림프구 농축 방법.
  118. 청구항 117에 있어서, 상기 피부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은, 상기 피부 표면에 상기 화합물의 국소 제제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조직으로부터의 림프구 농축 방법.
  119. 세포의 PTP 세포외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A-007 이외의,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58
    여기서 Ar은 하나 이상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은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59
    이고, 여기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또한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고; X가 NH이고 Y이 N일 때, n이 1이거나, R1이 R5이거나 또는 양쪽 모두이고; 또한
    R5는 H 또는 저급 알킬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20. 청구항 119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공명 조절을 증가시키기 위해, 화합물에의 외부 전자기장의 적용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로써 감염의 치료를 위한 상기 화합물의 면역자극 효과를 증가시키는,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21. 청구항 119에 있어서, 상기 감염은 바이러스 감염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22. 청구항 121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유두종바이러스 또는 레트로바이러스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23. 청구항 122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유두종바이러스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24. 청구항 123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유두종바이러스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25. 청구항 122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레트로바이러스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26. 청구항 125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27. 청구항 119에 있어서, 상기 감염은 세균(bacterial) 감염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28. 청구항 119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T-림프구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29. 청구항 128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CD45+ 림프구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30. 청구항 129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CD45+ 병원체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31. 청구항 130에 있어서, 상기 병원체는 인유두종바이러스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32. 청구항 119에 있어서, 자외선 방사에 상기 화합물 및 상기 세포를 노출시킴에 의한, 상기 화합물과 상기 수용체 간의 상호 작용 향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33. 청구항 119에 있어서, 상기 대상에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는, 형성이상(dysplastic) 또는 이형성의(metaplastic) 상피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34. 청구항 133에 있어서, 상기 상피는 비뇨생식 상피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35. 청구항 134에 있어서, 상기 비뇨생식 상피는 질, 자궁경부 또는 항문 상피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36. 청구항 133에 있어서, 상기 대상에의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편평 세포 암에의 상기 화합물의 적용을 포함하는,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37. 청구항 136에 있어서, 상기 종양(tumor)은 항문 편평 세포 암인,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38. 청구항 119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국소 겔의 적용을 포함하는,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39. 청구항 138에 있어서, 상기 국소 겔은 상기 화합물을 약 0.25% 포함하는,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40. 청구항 138에 있어서, 상기 대상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은, 치료 효과의 생성을 위해 충분한 기간 동안 적어도 매일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41. 청구항 14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은, 5일 이상 동안 적어도 매일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42. 청구항 119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하루 2 g 이상의 국소 겔이고, 여기서 상기 겔은 상기 화합물을 약 0.25% 이상 포함하는, 대상의 감염 치료 방법.
  143.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를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A-007 이외의, 하기 화학식의 공명 조절 화합물에 세포를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세포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의 활성화 방법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60
    여기서 Ar은 하나 이상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은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61
    이고, 여기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또한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세포막에 존재하는 세포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의 활성화 방법.
  144. 청구항 143에 있어서, 상기 공명 조절자에 세포를 노출시키는 것은, 상기 공명 조절자를 상기 세포에 대해 또는 상기 세포에 인접하도록 국소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세포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의 활성화 방법.
  145.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선택 단계;
    A-007 이외의,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 자극 방법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62
    여기서 Ar은 하나 이상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은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63
    이고, 여기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또한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는,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면역 반응 자극 방법.
  146.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는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
    하기 화학식의 세포독성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증식성 장애를 갖는 대상의 치료 방법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64
    여기서 Ar은 하나 이상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은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65
    이고, 여기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고; 또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 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또한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과증식성 장애를 갖는 대상의 치료 방법.
  147. 저혈소판증(thrombocytopenia)을 갖는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
    A-007 이외의, 하기 화학식을 갖는 세포독성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혈소판증의 치료 방법으로서,
    Figure 112007087210986-PCT00066
    여기서 Ar은 하나 이상의 전자 끄는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하고;
    X는 NH, CH2, O, ―, SO2, 또는 B이고;
    Q는 -(CH=CH)m-CH-이고;
    Y 및 Y'은 독립적으로 N, CH 및 B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내지 6이고;
    R1은 H, 저급 알킬,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Figure 112007087210986-PCT00067
    이고, 여기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 아랄킬, 티오알킬, 아미도알킬, 아미노, 아미노알킬, 니트로, 아지도이거나; Z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3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고;
    R3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또한
    Z는 H,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티오 알킬, 니트릴, 아미노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4-7 원(membered) 탄소환식 또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저혈소판증의 치료 방법.
  148. 청구항 147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저혈소판증의 치료 방법.
    Figure 112007087210986-PCT00068
KR1020077028299A 2005-05-04 2006-05-03 진단 및 치료용 컨쥬게이트된 방향족 화합물 KR20080015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808905P 2005-05-04 2005-05-04
US60/678,089 2005-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426A true KR20080015426A (ko) 2008-02-19

Family

ID=3695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299A KR20080015426A (ko) 2005-05-04 2006-05-03 진단 및 치료용 컨쥬게이트된 방향족 화합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888053A2 (ko)
JP (1) JP2008540428A (ko)
KR (1) KR20080015426A (ko)
CN (1) CN101262859A (ko)
AU (1) AU2006242244A1 (ko)
BR (1) BRPI0612330A2 (ko)
CA (1) CA2606599A1 (ko)
MX (1) MX2007013762A (ko)
WO (1) WO20061192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00145A (en) * 2005-08-26 2008-01-01 Dekk Tec Inc Hydrazone agents to treat cutaneous lesio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2904A (en) * 1984-12-24 1988-03-22 Morgan Lee R Antiestrogenic hydrazones
EP0249823B1 (de) 1986-06-16 1991-12-18 Pacesetter AB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Herzschrittmachers mittels Impedanzmessung an Körpergeweben
JPH05508777A (ja) 1990-07-11 1993-12-09 ニューヨーク ユニバーシティー 新規なレセプター型ホスホチロシンホスファターゼ
WO1994005276A1 (en) 1992-09-08 1994-03-17 Morgan Lee R Cytotoxic compounds
US5503157A (en) 1995-03-17 1996-04-02 Sramek; Bohumir System for detection of electrical bioimpedance signals
US5968527A (en) 1997-02-27 1999-10-19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The Protection of living systems from the adverse effects of stress
US6190893B1 (en) 1998-09-18 2001-02-2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active materials for stimulation of biological activity of bone marrow stromal cells
US7283868B2 (en) 2000-04-07 2007-10-1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pparatus for sensing human prostate tumor
NL1018287C2 (nl) 2001-06-14 2002-12-30 Georges Vanroy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op een levend lichaam aanleggen van een elektromagnetisch veld.
WO2004078174A1 (en) * 2003-02-28 2004-09-16 Morgan Lee R Resonance modulator for diagnosis and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19284A3 (en) 2007-01-11
CN101262859A (zh) 2008-09-10
EP1888053A2 (en) 2008-02-20
JP2008540428A (ja) 2008-11-20
AU2006242244A1 (en) 2006-11-09
CA2606599A1 (en) 2006-11-09
WO2006119284A2 (en) 2006-11-09
MX2007013762A (es) 2008-03-14
BRPI0612330A2 (pt) 2009-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8268B2 (ja) リンホカイン生産刺激剤
Xu et al. TLR9 agonist enhances radiofrequency ablation-induced CTL responses, leading to the potent inhibition of primary tumor growth and lung metastasis
Lian et al. Induction of an effective anti-tumor immune response and tumor regression by combined administration of IL-18 and Apoptin
JP5232103B2 (ja) 抗ウイルス剤組成物
EP2294186A2 (en) Inducing cell death by inhibiting adaptive heat shock response
JP2006521381A (ja) 診断および治療のための共鳴調節物質
TW201440789A (zh) 奈米粒子於輔助超音波治療癌症之用途
KR20080015426A (ko) 진단 및 치료용 컨쥬게이트된 방향족 화합물
JP7092662B2 (ja) ナイーブt細胞集団からのhpv抗原特異的t細胞の生成
US20090247641A1 (en) Hydrazone agents to treat cutaneous lesions
JP2001513070A (ja) レチノイドおよびその使用方法
Cheng et al. The organic arsenic derivative GMZ27 induces PML–RARα-independent apoptosis in myeloid leukemia cells
RU2369402C1 (ru) Химерный пептид для лечения эпителиальных и мезенхимальных злокачественных новообразований
US20240066008A1 (en) Device and Antitumor Drug for the Treatment of Neoplastic Cells
WO2003077899A1 (en) Anticancer composition
KR20090090460A (ko) 이미다조퀴놀린을 함유하는 대장암 항암제 및 방사선항암치료 보조제
Li et al. Design,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Dual JMJD3 and HDAC Inhibitors for Potential Cancer Therapy
KASZUBA-ZWOINSKA et al. E. ROKITA 2, J. MARCINKIEWICZ 3, W. ZARASKA 4, P. THOR 1 PULSATING ELECTROMAGNETIC FIELD STIMULATION PREVENTS CELL DEATH OF PUROMYCIN TREATED U937 CELL LINE
Shah Jehan Muttiah Regulation of apoptotic effects of Erythrocarpine E, a new Cytotoxic limonoid extracted from Chisocheton Erythrocarpus/Norliza bt Shah Jehan Muttia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