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684A -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충전식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충전식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684A
KR20080014684A KR1020070080534A KR20070080534A KR20080014684A KR 20080014684 A KR20080014684 A KR 20080014684A KR 1020070080534 A KR1020070080534 A KR 1020070080534A KR 20070080534 A KR20070080534 A KR 20070080534A KR 20080014684 A KR20080014684 A KR 20080014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erminal
control circuit
overcurrent detection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445B1 (ko
Inventor
아츠시 사쿠라이
가즈아키 사노
도시유키 고이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 검출 상태에 있어서 저소비 전류이고, 또한 자동 복귀 임피던스가 계산하기 쉬운, 사용하기 편리한 충방전 보호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전류 검출 단자를 VSS 단자에 풀 다운하는 풀 다운 회로는 과전류 검출 단자와 스위치 회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풀 다운 회로와 VSS 단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충전식 전원 장치{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CIRCUIT AND CHARGING TYPE POW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와, 충방전 제어 회로를 내장하는 충전식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2차 전지를 이용한 충전식 전원 장치는 2차 전지를 보호하기 위해서, 2차 전지의 과충전이나 과방전 및 부하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2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가 이용되고 있다. 충방전 제어 회로는 2차 전지를 보호하는 것과 소비 전류를 삭감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회로가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충전식 전원 장치를 도 7에 나타낸다.
종래의 충전식 전원 장치는, 외부 단자(105와 106) 사이에 접속된 부하(103)에, 2차 전지로부터 스위치 회로(102)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지만, 외부 단자(106)에 접속된 과전류 검출 단자(113)가 과전류 검출 전압보다 높아진 경우, 충방전 제어 회로(210)는 스위치 회로(102)가 OFF하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를 과전류 검출 상태라고 한다.
과전류 검출 상태에서는 풀 다운 회로(219)의 N 채널 트랜지스터(251)와 스위치 회로(220)의 N 채널 트랜지스터(252)가 ON하고, 과전류 검출 단자(113)는 저항(253)을 통하여 VSS 단자(112)에 풀 다운된다. 과전류 검출 상태가 된 후, 외부 단자(105와 106)로부터 부하(103)가 제거되면, 과전류 검출 단자(113)의 전압은 VSS에 가까워져 가고, 과전류 검출 전압을 하회한 경우에, 충방전 제어 회로(210)는 과전류 검출 상태를 해제하고 스위치 회로(102)를 ON한다.
이상과 같은 회로의 동작을 자동 복귀 동작이라고 한다. 또한, 자동 복귀할 때의 외부 단자(105와 106) 사이의 임피던스를 자동 복귀 임피던스라고 한다.
또한, 외부 단자(105와 106) 사이에 충전기(104)가 접속되고, 2차 전지(101)가 소정의 전압치보다 높아진 과충전 상태에서는 충방전 제어 회로(210)는 스위치 회로(102)가 OFF하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를 과충전 검출 상태라고 한다.
과충전 검출 상태에서는, 충전기(104)에 의해서 과전류 검출 단자(113)의 전압이 VSS보다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충방전 제어 회로(210)는 스위치 회로(220)의 N 채널 트랜지스터(252)를 OFF하고, 풀 다운 회로(219)의 저항(253) 및 기생 다이오드(254)를 통하여 충전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02-238173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충전식 전원 장치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현상으로 소비 전류가 증대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도 8은 종래의 충방전 제어 회로(210)에서의 풀 다운 회로와 스위치 회로의 단면도이다. 과전류 검출 상태에서는, 과전류 검출 단자(113)가 외부 단자(106)와 부하(103)와 외부 단자(105)를 통해 VDD 단자(111)에 풀 업되기 때문에, 과전류 검출 단자(113)로부터 N 채널 트랜지스터(252)의 Pwell에 베이스 전류가 흘러들고,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501)가 ON하여 VDD 단자(111)로부터 저항(253)을 통해 VSS 단자(112)를 향하여 전류가 흐르고, 충방전 제어 회로의 소비 전류가 증대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자동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501)가 ON하지 않게 될 때까지 상기 베이스 전류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즉 자동 복귀 임피던스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스위치 회로와 풀 다운 회로는, 자동 복귀 임피던스가 2차 전지(101)의 전압에 의해서 비선형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자동 복귀 임피던스의 계산이 복잡해진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과전류 검출 상태에 있어서 저소비 전류이며, 또한 자동 복귀 임피던스가 계산하기 쉬운, 사용하기 편리한 충방전 보호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차 전지의 전압을 감시하여 2차 전지의 과충전을 검출하는 과충전 검출 회로와, 2차 전지와 외부 단자의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치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과전류 검출 단자의 전압에 의해 감시하여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 회로와, 각 검출 회로의 신호에 의해서 스위치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와, 충방전 제어 회로에 의해서 제어되고 과전류 검출 상태일 때에 과전류 검출 단자를 풀 다운하는 풀 다운 회로로 이루어지는 충방전 제어 회로로서, 풀 다운 회로와 VSS 단자 사이에 충전기가 접속되었을 때에 충전기 검출 회로의 신호에 의해서 풀 다운 회로와 VSS 단자의 접속을 분리하는 스위치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충전식 전원 장치에 의하면, 과전류 검출 상태에 있어서 저소비 전류이며, 또한 자동 복귀 임피던스가 계산하기 쉬운, 사용하기 편리한 충전식 전원 장치 및 충방전 보호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제1 실시예의 충전식 전원 장치의 회로 블록이다.
충전식 전원 장치(10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101)와, 충방전 전류를 조정할 수 있는 전류 조정 수단으로서의 스위치 회로(102)와, 외부 단자(105 및 106)와 스위치 회로(102)를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110)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단자(105 및 106) 사이에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의 부하(103)나 충전 기(104)가 접속된다.
충방전 제어 회로(110)는 2차 전지(101)와 접속되는 VDD 단자(111) 및 VSS 단자(112)와, 스위치 회로(102)의 제어 단자인 출력 단자(114)와, 과전류 검출용의 과전류 검출 단자(113) 및 과전류 검출 회로(117)와, 과충전 검출 회로(115)와, 각 검출 회로의 신호에 의해서 스위치 회로(102)를 제어하는 내부 제어 회로(116)와, 충전기 검출 회로(118)와, 풀 다운 회로(119)와, 스위치 회로(120)로 구성되어 있다. 과충전 검출 회로(115)는 콤퍼레이터(121)와 기준 전압 회로(122)와 저항(123 및 124)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전류 검출 회로(117)는 콤퍼레이터(131)와 기준 전압 회로(132)로 구성되어 있다. 충전기 검출 회로(118)는 정전류 회로(141)와 N 채널 트랜지스터(142)로 구성되어 있다. 풀 다운 회로(119)는 N 채널 트랜지스터(151)와 기생 다이오드(154)와 저항(1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회로(120)는 N 채널 트랜지스터(152)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충전식 전원 장치는, 외부 단자(105 및 106)에 부하(103)가 접속된 경우에는, 스위치 회로(102)에 부하에 따른 전류가 흐른다. 여기서, 외부 단자(106)에 접속된 과전류 검출 단자(113)가 기준 전압 회로(132)의 전압보다 높아진 과전류 상태에서는, 콤퍼레이터(131)로부터 내부 제어 회로(116)에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내부 제어 회로(116)는 출력 단자(114)를 통해 스위치 회로(102)에 방전을 정지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상태를 과전류 검출 상태라고 한다. 내부 제어 회로(116)는 제어 신호에 소정의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과전류 검출 상태에서는 풀 다운 회로(119)의 N 채널 트랜지스터(151)와 스 위치 회로(120)의 N 채널 트랜지스터(152)가 ON하고, 과전류 검출 단자(113)는 저항(153)을 통해 VSS 단자(112)에 풀 다운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과전류 검출 상태가 된 후, 외부 단자(105 및 106)로부터 부하(103)가 제거된 경우에는, 과전류 검출 단자(113)의 전압은 VSS 단자에 가까워져 가고, 기준 전압 회로(132)의 전압을 하회한 경우에, 과전류 검출 상태가 해제된다. 이 동작을 자동 복귀 동작, 또한 자동 복귀할 때의 외부 단자(105와 106) 사이의 임피던스를 자동 복귀 임피던스라고 한다.
다음에, 외부 단자(105 및 106)에 충전기(104)가 접속된 경우에는, 2차 전지(101)가 저항(123)과 저항(124)으로 분압된 전압이 기준 전압 회로(122)의 전압보다 높아진 과충전 상태에서는, 콤퍼레이터(121)로부터 내부 제어 회로(116)에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내부 제어 회로(116)는 출력 단자(114)를 통해 스위치 회로(102)에 충전을 정지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상태를 과충전 검출 상태라고 한다. 내부 제어 회로(116)는 제어 신호에 소정의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과충전 검출 상태에서는, 충전기(104)에 의해서 과전류 검출 단자(113)의 전압이 VSS 단자(112)의 전압보다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N 채널 트랜지스터(142)가 ON하여 정전류 회로(141)에서 풀 업되어 있는 N 채널 트랜지스터(142)의 드레인을 과전류 검출 단자(113)의 전압으로 풀 다운한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 회로(120)의 N 채널 트랜지스터(152)를 OFF로 하고, 풀 다운 회로(119)의 저항(153) 및 기생 다이오드(154)를 통하여 흐르는 충전 전류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출력 단 자(114)와 스위치 회로(102)는 각각 충전용과 방전용을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풀 다운 회로와 스위치 회로의 단면도이다.
과전류 검출 상태에서는 과전류 검출 단자(113)가 부하(103)와 VDD 단자(111)에 풀 업된다. 여기서, N 채널 트랜지스터(151)는 ON하고 있으므로, 저항(153)으로부터 N 채널 트랜지스터(152)에 전류가 흘러든다. 그러나, N 채널 트랜지스터(152)도 ON하고 있으므로, Pwell의 전압은 VSS 단자(112)의 전압이 되고, 기생 바이폴라는 ON하지 않으며, 충방전 제어 회로의 소비 전류는 증대하지 않는다.
또한 기생 바이폴라가 ON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 복귀 임피던스는 다음 식으로 간단하게 나타난다.
RZ = (VDD/VREF-1)×RPD (식 1)
단, RZ는 자동 복귀 임피던스, VDD는 2차 전지(101)의 전압, VREF는 기준 전압 회로(132)의 전압, RPD는 풀 다운 회로(119)의 저항값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충전식 전원 장치에 의하면, 과전류 검출 상태에 있어서 저소비 전류이며, 또한 자동 복귀 임피던스가 계산하기 쉬운, 사용하기 편리한 충전식 전원 장치 및 충방전 보호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제2 실시예의 충전식 전원 장치의 회로 블록이다.
제1 실시예의 충전식 전원 장치와의 차이는 풀 다운 회로(319)의 접속 관계 에 있다. 즉, 과전류 검출 단자(113)에 저항(353)이 접속되고, 저항(353)에 N 채널 트랜지스터(351)와 기생 다이오드(354)가 접속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검출 동작은 제1 실시예의 충전식 전원 장치와 동일하다.
도 4는 제2 실시예의 풀 다운 회로와 스위치 회로의 단면도이다.
과전류 검출 상태에서는, 과전류 검출 단자(113)가 부하(103)로 VDD 단자(111)에 풀 업된다. 여기서, N 채널 트랜지스터(351)는 ON하고 있으므로, 저항(353)으로부터 N 채널 트랜지스터(152)에 전류가 흘러든다. 그러나, N 채널 트랜지스터(152)도 ON하고 있으므로, Pwell의 전압은 VSS 단자(112)의 전압이 되고, 기생 바이폴라는 ON하지 않고 충방전 제어 회로의 소비 전류는 증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의 풀 다운 회로와 스위치 회로에서는, Pwell를 공통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면적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5는, 제3 실시예의 충전식 전원 장치의 회로 블록이다.
제1 실시예의 충전식 전원 장치와의 차이는, 풀 다운 회로(419)의 구성에 있다. 즉, 풀 다운 회로(419)가 N 채널 트랜지스터(451)와 기생 다이오드(454)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저항(153) 대신에 N 채널 트랜지스터(451)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소정의 저항값을 얻고 있다. 다른 구성 및 검출 동작은, 제1 실시예의 충전식 전원 장치와 동일하다.
도 6은, 제3 실시예의 풀 다운 회로와 스위치 회로의 단면도이다.
과전류 검출 상태에서는 과전류 검출 단자(113)가 부하(103)에서 VDD 단자(111)에 풀 업된다. 여기서, N 채널 트랜지스터(451)는 ON하고 있으므로, N 채널 트랜지스터(152)에 전류가 흘러든다. 그러나, N 채널 트랜지스터(152)도 ON하고 있으므로 Pwell의 전압은 VSS 단자(112)의 전압이 되고, 기생 바이폴라는 ON하지 않고 충방전 제어 회로의 소비 전류는 증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의 풀 다운 회로와 스위치 회로에서는, Pwell를 공통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면적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충전식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충방전 제어 회로의 풀 다운 회로와 스위치 회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의 충전식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의 충방전 제어 회로의 풀 다운 회로와 스위치 회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의 충전식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의 충방전 제어 회로의 풀 다운 회로와 스위치 회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충전식 전원 장치의 회로 블록이다.
도 8은 종래의 충방전 제어 회로의 풀 다운 회로와 스위치 회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 충전식 전원 장치
101 : 2차 전지
102 : 스위치 회로
103 : 부하
104 : 충전기
110, 210, 310, 410 : 충방전 제어 회로
115 : 과충전 검출 회로
116 : 내부 제어 회로
117 : 과전류 검출 회로
118 : 충전기 검출 회로
119, 219, 319, 419 : 풀 다운 회로
120, 220 : 스위치 회로
121, 131 : 콤퍼레이터
122, 132 : 기준 전압
141 : 정전류 회로
154, 254, 354, 454 : 기생 다이오드
501 :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Claims (5)

  1. 2차 전지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감시하고, 외부 단자와 2차 전지의 접속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로서,
    과전류 검출 단자의 전압을 감시하여 과전류 상태를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 회로와,
    상기 과전류 검출 회로의 출력을 받아,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2차 전지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과전류 상태에서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를 소정의 저항값으로 VSS 단자와 접속하는 풀 다운 회로와,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외부 단자에 충전기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는 충전기 접속 검출 회로와,
    상기 풀 다운 회로와 상기 VSS 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충전기 접속 검출 회로의 출력에 의해서 제어되는 스위치 수단으로 구성한, 충방전 제어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 다운 회로는,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와 드레인을 접속하고, 상기 제어 회로와 게이트를 접속한 N 채널 트랜지스터와,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접속한 저항으로 구성되는, 충방전 제어 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 다운 회로는,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와 접속한 저항과,
    상기 저항과 드레인을 접속하고, 상기 제어 회로와 게이트를 접속한 N 채널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치 회로를 구성하는 제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기판이 동일 전압인, 충방전 제어 회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 다운 회로는,
    상기 과전류 검출 단자와 드레인을 접속하고, 상기 제어 회로와 게이트를 접속한 N 채널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치 회로를 구성하는 제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기판이 동일 전압인, 충방전 제어 회로.
  5. 부하 또는 충전기를 접속하는 외부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에 접속된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와,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2차 전지 사이에 접속된 충방전 제어 스위치와,
    상기 2차 전지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감시하여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충방전 제어 회로로 이루어지는, 충전식 전원 장치.
KR1020070080534A 2006-08-11 2007-08-10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충전식 전원 장치 KR101117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19195 2006-08-11
JP2006219195A JP4616222B2 (ja) 2006-08-11 2006-08-11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充電式電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684A true KR20080014684A (ko) 2008-02-14
KR101117445B1 KR101117445B1 (ko) 2012-02-29

Family

ID=3905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534A KR101117445B1 (ko) 2006-08-11 2007-08-10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충전식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37663B2 (ko)
JP (1) JP4616222B2 (ko)
KR (1) KR101117445B1 (ko)
CN (1) CN101123356B (ko)
TW (1) TWI4194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7920B2 (ja) * 2007-02-21 2011-09-2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及び充電式電源装置
CN101340084B (zh) * 2008-08-12 2012-09-05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放电过流保护恢复驱动电路、电池保护电路及系统
JP5627695B2 (ja) * 2010-09-10 2014-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の過電圧検出装置
TWI473386B (zh) * 2011-09-02 2015-02-11 Askey Technology Jiangsu Ltd 備用電池充電電路
JP6143492B2 (ja) * 2013-02-26 2017-06-07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充放電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装置
JP6370191B2 (ja) * 2013-12-11 2018-08-08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バッテリ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JP6301188B2 (ja) * 2014-05-14 2018-03-28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JP2015220771A (ja) * 2014-05-14 2015-12-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CN104348233B (zh) * 2014-11-19 2017-11-28 无锡中感微电子股份有限公司 电池保护电路及系统
JP6688568B2 (ja) * 2015-06-30 2020-04-28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バッテ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121B2 (ja) * 1997-02-04 2001-04-16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充電式電源装置
JPH11299113A (ja) * 1998-04-17 1999-10-29 Seiko Instruments Inc 充放電制御回路と充電式電源装置
JP3855565B2 (ja) * 1999-11-02 2006-12-13 株式会社リコー 充放電保護回路および該充放電保護回路を有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JP3471321B2 (ja) * 2000-05-12 2003-12-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充電式電源装置
CN100394670C (zh) * 2000-05-12 2008-06-11 精工电子有限公司 充电/放电控制电路和充电式电源装置
US6501248B2 (en) * 2000-09-28 2002-12-31 Ricoh Company, Ltd. Charge/discharge protection apparatus having a charge-state overcurrent detecto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3665574B2 (ja) * 2001-02-09 2005-06-2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と充電式電源装置
JP2006121900A (ja) * 2006-01-05 2006-05-11 Ricoh Co Ltd 充放電保護回路および該充放電保護回路を有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48478A (ja) 2008-02-28
TWI419432B (zh) 2013-12-11
TW200828726A (en) 2008-07-01
US20080036422A1 (en) 2008-02-14
CN101123356A (zh) 2008-02-13
CN101123356B (zh) 2011-10-05
JP4616222B2 (ja) 2011-01-19
KR101117445B1 (ko) 2012-02-29
US7737663B2 (en)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445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충전식 전원 장치
US11108246B2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circuit thereof
US11264792B2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apparatus and battery pack
KR101791697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7626360B2 (en) Charge-pump biased battery protection circuit
US10090690B2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US9214821B2 (en)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KR100777884B1 (ko) 충방전 제어회로와 충전식 전원장치
US10622819B2 (en) Rechargeable battery protection integrated circuit, rechargeable battery protection device, and battery pack
US9401607B2 (e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US20070103143A9 (en) Battery protection method and battery protection circuit
US6605925B2 (en) Power source circuit
KR101422887B1 (ko)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20150032818A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7675269B2 (en) Circuit and method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protection
KR101791698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20190096795A (ko) 충전 제어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제어 방법
JP2021158752A (ja) 充放電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装置
US20220368141A1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battery pack,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secondary battery
KR102057736B1 (ko) 배터리의 0v 배터리 충전방지 제어회로
KR20110048010A (ko)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