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327A -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혼합제조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 Google Patents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혼합제조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327A
KR20080014327A KR1020060075863A KR20060075863A KR20080014327A KR 20080014327 A KR20080014327 A KR 20080014327A KR 1020060075863 A KR1020060075863 A KR 1020060075863A KR 20060075863 A KR20060075863 A KR 20060075863A KR 20080014327 A KR20080014327 A KR 2008001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dough
wheat flour
sa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0072B1 (ko
Inventor
최두석
Original Assignee
최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석 filed Critical 최두석
Priority to KR102006007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07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각 분말을 함유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를 분말화하여 반죽에 첨가하여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 성분과 상기 재료의 자연색소가 반죽에 침투할 수 있도록 혼합 반죽한 후, 상기 각 5개의 분말을 함유한 반죽을 만들어 숙성시킨 후, 숙성된 반죽을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등의 제면기에 각각의 면을 만들거나, 또는 위 5개의 분말을 색깔별로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함유한 반죽을 상호 다층적으로 접착시켜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황색과 자주색, 베이지색 등으로 구성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을 제조한다.
본 발명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면류는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에 나타난 각 고유의 색과 맛에 의해 음식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와 오디 성분에서 우러난 항산화 작용 등으로 항암작용 및 노화억제작용, 면역증진작용, 혈액순환촉진작용, 피부병 억제 및 당뇨병 억제작용 등을 함으로써 성인병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 칼국수, 수제비, 냉면

Description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혼합 제조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THE PRODUCTION METHOD OF NOODLES CONTAINING MIX-POWDER OF WILD BERRIES, SHIITAKE, SILKWORMS, CORDYCEPS, AND MULBERRY AND THEREOF NOOD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들을 혼합하여 제조한 칼국수, 수제비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들을 혼합하여 제조한 냉면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들을 혼합하여 제조한 칼국수, 수제비의 절개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들을 혼합하여 제조한 냉면의 절개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면류에 관한 것이 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오디(桑實)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뽕나무(Morus alba L) 및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열매로서 한방에서 상심, 상실, 오심, 흑심 등으로 지칭된다. 오디는 취화과(聚花果)로 작은 수과(瘦果)가 많이 모여 이루어진 장원형으로 길이 1∼2㎝, 지름 0.5∼0.8㎝이며 황갈색, 갈홍색 또는 암자색을 띠고 짧은 줄기가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오디에는 노화억제 항산화 색소인 C3G(cyanidin-3-glucoside), 고혈압억제물질인 루틴(lutin), 혈당 저하 물질 DNJ(Deoxynojirimycin)등 건강기능 식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했다.
오디에 함유된 항산화 색소 C3G는 노화억제 효과가 있는 토코페롤 보다 오디의 C3G 최고함량은 1.27%로 포도의 23배, 유색미의 2.3배에 달한다.
C3G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로 특히 오디에 함유된 C3G는 단일물질로 존재하기 때문에 색소의 추출과 분리, 정제가 다른 작물에 비해 쉽기 때문에 활용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고혈압치료효능을 갖고 있는 오디에는 루틴함량이 메밀보다 많고 혈당을 떨어뜨리는 DNJ는 뽕잎과 비슷한 양이 들어 있어 오디의 당분을 이용한 당뇨병 환자식 개발에 유망하다.
오디는 동의보감에도 ‘까만 오디는 뽕나무의 정령이 모여 있는 것이며 당뇨병에 좋고 오장에 이로우며 오래 먹으면 배고픔을 잊게 해준다.’는 내용과 함께 귀와 눈을 밝게 해주고 백발을 검게 만든다는 구절이 포함돼 있어 예로부터 노화억 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진 오디의 연구는 약제 및 색소에 한정되었을 뿐, 오디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제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 복분자(Wild Berries, Rubus coreanus)에 대한 연구가 식품 등에 많이 연구되고 있고, 서울대 안용중 교수팀과 함께 연구를 진행해 복분자 열매와 잎, 줄기, 뿌리에서 추출한 성분이 노화방지와 위암 원인균 억제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복분자에는 항산화 작용으로 노화억제작용을 하는 폴리페놀함유가 풍부하고, 기타 체내에 생성된 독성분인 알칼로이드의 인체흡수를 막고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탄닌과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어 여러 식품에 응용되고 있다.
또한, 누에(Bombyx mori)는 누에나방의 유충으로서, 몸빛은 희고, 검은 무늬가 있다. 누에는 뽕을 먹고 살며, 네 번의 잠을 자는 동안 네 번 탈바꿈한 후에 고치를 짓고, 그 고치 안에서 번데기가 되었다가 다시 나방이 되어 고치를 뚫고 나와 알을 낳은 뒤 죽는 곤충이다. 최근 약리 실험에서 진경(鎭痙)작용, 세균 억제, 항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경풍(驚風), 경간(驚癎), 중풍으로 말을 못하고 구안와사, 반신불수가 있을 때, 후두염, 두통, 안질, 피부 가려움증, 연주창, 자궁출혈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한의학에서는 풍을 없애고 위를 조화시킨다고 하여 풍습비증(風濕痺證),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플 때, 곽란, 위경련, 피부 가려움증 등에 사용한다. 누에 중 백강잠은 누에의 새끼벌레가 백강병에 걸려 죽은 것을 말린 것으로 희고 반듯한 것이 좋은 품질이다. 주로 4월에 취득하는데, 습기에 젖지 않도록 보관해야 하며 습기에 젖으면 독이 생긴다고 하였다. 백강잠은 찹쌀뜨 물에 담가서 주둥이는 버리고 생강즙에 볶아서 사용하는데, 예전에는 경련이나, 경기, 야제(夜啼)에 사용하였고 검은 기미를 없애서 안색을 좋게 하기도 한다.
그 외 동충하초는 맥각균목(Clavicipitales) 동충하초속(Cordyceps)에 속하는 약 100종은 흔히 털애벌레곰팡이로 알려져 있다. 동충하초(C. militaris)는 곤충에 기생하며 3~4㎝의 작은 버섯 모양의 자실체를 형성하는데, 이 자실체는 밝은 오렌지색의 갓을 갖는다. 이들은 흙이나 썩은 나무 위에 검은색 또는 갈색을 띤 곤봉 모양의 자실체를 만든다. 동충하초의 성분으로는 일반적인 5대 영양성분 이외에 cordycepin, cordyceptic acid, ophiocordin, ergosteryl-β-D-glucopyranoside, 22-dihydroergosterolry-β-glucopyranoside, N6-(2-hydroxyethyl)adenosine, 글루칸 및 복합다당류 등이 알려져 있지만 아직 유용성분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차 후 더 연구해 밝혀야 할 과제이다. 최근 중국의 Chen 교수 연구진(Hunan 의과대학교의 Institute of Combin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은 동충하초가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A/Sn(H-2a) origin이며 lymphoma cell line을 target cell로 한 Natural killer(NK) cell 활성을 측정하고 마우스 폐에 암세포인 B16 mouse melanoma cell을 감염시켜 동충하초 투여 후의 효과를 분석하였는데 동충하초 에탄올 추출물 CS-II 획분이 NK 활성을 촉진하였으며, B16 melanoma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연구소의 Chen, G. Z.와 Chen, G. L. 교수들은 마우스에 동충하초를 급여하면 면역세포인 T helper 세포 수가 증가하며, 말초혈관과 지라에서 Lyt-1/Lyt-2(T helper cell/T suppressor cell) 비율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 실험에서 비장의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식균세포 및 식균활성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충하초는 prednosolone acetate와 cyclophosphamide 같은 면역기능 억제 약물로부터 helper cell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들은 동충하초가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면역결핍증 환자를 치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오랜기간 음식에 이용한 표고버섯(shiitake, mushroom; Cortinellus shiitake) 분말과 상기 복분자, 누에, 동충하초, 오디를 분말화하여 반죽에 첨가하여 자연 그대로 색상이 칼국수나 냉면에 우러나와 아름다운 음식색상에 조화로운 맛을 내는 기능성 면류 등의 연구는 아직 없었다.
2006년 본 발명자는 우리나라 최초로 오디와 동충하초를 분말화하여 반죽에 첨가한 기능성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을 특허를 받은 바 있다.(특허등록 제10- 0586807호) 그러나, 상기 오디와 동충하초는 그 면 색상이 화려하지 않아 색상미가 눈에 띄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디 및 동충하초 풍미가 달콤하지 않아 별도 단맛을 위한 향신료나 설탕이 첨가되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면류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 조미료 재료로 많이 쓰이는 표고버섯분말과 달콤하면서 새콤한 풍미를 더해주는 복분자분말을 그 천연원료로 사용하여 홍색에 가까운 색상 등과 종래 특허받은 오디 및 동충하초, 누에분말에서 우러나오는 황토색 및 짙은 자주색 계열의 색상들이 어울려 맛깔난 칼국수 등의 면류와 냉면을 제조하게 되었다.
한편 면류제품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식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시판되고 있 는 면류제품들은 비교적 값이 싼 식품이면서 라면과 같이 단시간 내에 조리할 수 있도록 전처리되어 있는 것이 많아 조리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 어려운 많은 사람들이 주식 또는 부식으로 섭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주식 또는 부식으로 섭취되고 있는 면류제품은 면류와 함께 조리되는 양념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 반면, 면류 자체에 대해 기능성을 부여하는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를 분말화하고 칼국수, 수제비, 냉면의 반죽에 첨가하여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각분말들의 자연색소가 반죽에 침투할 수 있도록 숙성시킨 후, 상기 각각 5개 재료들이 함유한 다층적인 반죽을 접착시켜 홍색, 황토색, 황색과 짙은 자주색, 베이지색으로 구성하는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를 분말화하고 반죽에 첨가하여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 성분과 상기 색소가 반죽에 침투할 수 있도록 혼합 반죽한 후, 상기 각 5개의 분말들을 함유한 반죽을 만들어 숙성시킨 후, 숙성된 다층적인 반죽을 칼국 수, 수제비 및 냉면 등의 제면기에 각각의 면을 만들거나, 또는 위 5개의 분말을 색깔별로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함유한 반죽을 상호 접착시켜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황색과 자주색, 베이지색 등으로 구성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재료로 사용되는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동충하초를 트레이(tray)에 올려놓고 -20℃로 제품실(Product Chamber)을 예냉시켜 상기 동충하초를 고체상태의 냉동동충하초로 제조한다. 다시 상기 냉동 동충하초에 아이스뱅크를 가동시켜 -40℃로 냉동시키고 진공펌프를 가동하여 상기 냉동동충하초를 건조시켜 200메쉬 이하에서 분쇄하여 동충하초분말로 제조한다.
상기 오디는 5∼7월 중에 생산되는 오디를 사용한다. 상기 오디를 단시간 세척하고 0.5∼0.7㎝ 길이로 세절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1주일간 건조된 오디로 제조한다. 상기 건조된 오디를 90∼95℃에서 1∼2분간 볶고 분쇄하여 100∼200메쉬의 체에 내려 오디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복분자는 주로 7∼8월 중에 생산되는 검붉은 복분자 열매를 사용한다. 상기 복분자를 단시간 세척하고 0.5∼0.7㎝ 길이로 세절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1주일간 건조된 복분자로 제조한다. 상기 잘 건조된 복분자를 분쇄하여 100∼200메쉬의 체에 내려 복분자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표고버섯은 봄 내지 가을 중에 생산되는 표고버섯의 갓과 몸체를 사용 한다. 상기 표고버섯을 단시간 세척하고 1∼2㎝ 길이로 세절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1주일간 건조된 표고버섯으로 제조한다. 상기 건조된 표고버섯을 90∼95℃에서 1∼2분간 볶고 분쇄하여 100∼200메쉬의 체에 내려 표고버섯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동충하초(C. militaris)는 곤충에 기생하며 3∼4㎝의 작은 버섯 모양의 자실체를 형성하는데, 이 자실체는 밝은 오렌지색의 갓을 갖는데, 이와 같은 자실체와 갓을 이용한다. 상기 동충하초를 단시간 세척하고 0.5∼1㎝ 길이로 세절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1주일간 건조된 동충하초로 제조한다. 상기 건조된 동충하초를 90∼95℃에서 1∼2분간 볶고 분쇄하여 100∼200메쉬의 체에 내려 동충하초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복분자분말, 표고버섯분말, 누에분말, 동충하초분말 및 오디분말을 함유한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황색과 자주색, 베이지색으로 구성된 칼국수, 수제비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맥분 80.0∼90.0중량%, 동충하초분말 1.0∼8.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를 계량하고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한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킨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동충하초분말을 함유한 엷은 황색반죽을 제조한다.
소맥분 80.0∼90.0중량%, 오디분말 1.0∼8.0 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를 계량하고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한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킨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오디분말을 함유한 자주색반죽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다른 3개의 반죽, 즉 홍색인 복분자분말, 황토색인 표고버섯분말, 베이지색인 누에분말을 함유한 반죽도 만든다.
상기 복분자분말을 함유한 홍색반죽, 표고버섯분말을 함유한 황토색 반죽, 누에분말을 함유한 베이지색 반죽, 동충하초분말을 함유한 황색반죽과, 오디분말을 함유한 자주색반죽 각각을 1㎜ 두께로 제면기를 이용하여 가압성형하고 가압성형된 상기 5개의 각 반죽을 다층적으로 접착시켜 압출기를 이용하여 5㎜넓이로 압출성형하며 면을 압출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조된 복분자분말, 표고버섯분말, 누에분말, 동충하초분말 및 오디분말을 함유한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칼국수, 수제비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복분자분말, 표고버섯분말, 누에분말, 동충하초분말 및 오디분말을 함유한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냉면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맥분 75.0∼85.0중량%, 고구마전분 5.0∼10.0중량%, 동충하초분말 0.1∼3.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 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85.0중량%, 고구마전분 5.0∼10.0중량%, 오디분말 0.1∼3.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85.0중량%, 고구마전분 5.0∼10.0중량%, 누에분말 0.1∼3.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85.0중량%, 고구마전분 5.0∼10.0중량%, 표고버섯분말 0.1∼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85.0중량%, 고구마전분 5.0∼10.0중량%, 복분자분말 0.1∼3.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을 각각 제조한다.
상기 복분자분말을 함유한 홍색반죽, 표고버섯분말을 함유한 황토색 반죽, 누에분말을 함유한 베이지색 반죽, 동충하초분말을 함유한 황색반죽과 오디분말을 함유한 자주색반죽 각각을 1㎜ 두께로 제면기를 이용하여 가압성형하고 가압성형된 상기 5개의 각 반죽들을 다층적으로 접착시켜 압출기를 이용하여 2.5㎜넓이로 압출성형하며 면을 압출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조된 복분자분말, 표고버섯분말, 누에분말, 동충하초분말 및 오디분말을 함유한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냉면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다층 색깔로 구성된 면류를 제조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도면이나 실시예의 구성처럼 상기 5개의 색깔의 칼국수, 수제비, 또는 냉면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재료의 자연성분으로 그 색이 상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반죽으로 제조한 각각 색깔을 모아 5가지 각 색의 칼국수, 냉면, 수제비, 단색 단층 으로 구성된 면류 등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제조된 복분자분말, 표고버섯분말, 누에분말, 동충하초분말 및 오디분말을 함유한 반죽의 배합비 조성을 이하 표 1 내지 10에 나타낸다.
5개의 층으로 제조된 면류인 상기 복분자분말, 표고버섯분말, 누에분말, 동충하초분말 및 오디분말을 함유한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면류 등은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칼국수, 수제비, 만두피, 냉면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동충하초를 함유한 반죽의 배합비 조성(칼국수, 수제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소맥분 80.0 83.0 86.0 89.5
동충하초분말 8.0 6.0 4.0 1.0
분말냉소다 3.0 2.0 1.0 0.5
18% 식염수 9.0 9.0 9.0 9.0
오디분말을 함유한 반죽의 배합비 조성(칼국수, 수제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소맥분 80.0 83.0 86.0 89.5
오디분말 8.0 6.0 4.0 1.0
분말냉소다 3.0 2.0 1.0 0.5
18% 식염수 9.0 9.0 9.0 9.0
복분자를 함유한 반죽의 배합비 조성(칼국수, 수제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소맥분 80.0 83.0 86.0 89.5
복분자분말 8.0 6.0 4.0 1.0
분말냉소다 3.0 2.0 1.0 0.5
18% 식염수 9.0 9.0 9.0 9.0
표고버섯을 함유한 반죽의 배합비 조성(칼국수, 수제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소맥분 80.0 83.0 86.0 89.5
표고버섯분말 8.0 6.0 4.0 1.0
분말냉소다 3.0 2.0 1.0 0.5
18% 식염수 9.0 9.0 9.0 9.0
누에를 함유한 반죽의 배합비 조성(칼국수, 수제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소맥분 80.0 83.0 86.0 89.5
누에분말 8.0 6.0 4.0 1.0
분말냉소다 3.0 2.0 1.0 0.5
18% 식염수 9.0 9.0 9.0 9.0
동충하초분말을 함유한 반죽의 배합비 조성(냉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소맥분 75.0 80.0 83.0 85.0
고구마전분 10.0 9.0 7.0 5.0
동충하초분말 3.0 1.0 0.5 0.1
분말냉소다 3.0 1.0 0.5 0.9
18% 식염수 9.0 9.0 9.0 9.0
오디분말을 함유한 반죽의 배합비 조성(냉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소맥분 75.0 80.0 83.0 85.0
고구마전분 10.0 9.0 7.0 5.0
오디분말 3.0 1.0 0.5 0.1
분말냉소다 3.0 1.0 0.5 0.9
18% 식염수 9.0 9.0 9.0 9.0
복분자분말을 함유한 반죽의 배합비 조성(냉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소맥분 75.0 80.0 83.0 85.0
고구마전분 10.0 9.0 7.0 5.0
복분자분말 3.0 1.0 0.5 0.1
분말냉소다 3.0 1.0 0.5 0.9
18% 식염수 9.0 9.0 9.0 9.0
표고버섯분말을 함유한 반죽의 배합비 조성(냉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소맥분 75.0 80.0 83.0 85.0
고구마전분 10.0 9.0 7.0 5.0
표고버섯분말 3.0 1.0 0.5 0.1
분말냉소다 3.0 1.0 0.5 0.9
18% 식염수 9.0 9.0 9.0 9.0
누에분말을 함유한 반죽의 배합비 조성(냉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소맥분 75.0 80.0 83.0 85.0
고구마전분 10.0 9.0 7.0 5.0
누에분말 3.0 1.0 0.5 0.1
분말냉소다 3.0 1.0 0.5 0.9
18% 식염수 9.0 9.0 9.0 9.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도표 및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 도표 및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복분자분말, 표고버섯분말, 누에분말, 동충하초분말 및 오디분말을 함유한 면류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로 나타낸다.
실시예 1
소맥분 80.0중량%, 동충하초분말 8.0중량% 및 분말냉소다 3.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동충하초분말을 함유한 엷은 황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0.0중량%과 오디분말 8.0중량% 및 분말냉소다 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오디분말을 함유한 자주색 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0.0중량%, 복분자분말 8.0중량% 및 분말냉소다 3.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복분자분말을 함유한 홍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0.0중량%과 표고버섯분말 8.0중량% 및 분말냉소다 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표고버섯분말을 함유한 엷은 황토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0.0중량%, 누에분말 8.0중량% 및 분말냉소다 3.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누에분말을 함유한 엷은 베이지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2차 숙성된 상기 5개의 각 반죽들을 다층구조로 쌓은 후 상기 전체 각 반죽들을 1㎜ 두께로 제면기를 이용하여 가압성형하고 가압성형된 황색 반죽과 자주색 반죽을 접착시켜 압출기를 이용하여 5㎜넓이로 압출성형하며 면을 압출하여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면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소맥분 83.0중량%, 동충하초분말 6.0중량% 및 분말냉소다 2.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동충하초분말을 함유한 엷은 황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3.0중량%과 오디분말 6.0중량% 및 분말냉소다 2.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오디분말을 함유한 자주색 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3.0중량%, 복분자분말 6.0중량% 및 분말냉소다 2.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복분자분말을 함유한 홍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3.0중량%과 표고버섯분말 6.0중량% 및 분말냉소다 2.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표고버섯분말을 함유한 황토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3.0중량%, 누에분말 6.0중량% 및 분말냉소다 2.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누에분말을 함유한 엷은 베이지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2차 숙성된 상기 5개의 각 반죽들을 다층구조로 쌓은 후 상기 전체 각 반죽들을 1㎜ 두께로 제면기를 이용하여 가압성형하고 가압성형된 황색 반죽과 자주색 반죽을 접착시켜 압출기를 이용하여 5㎜넓이로 압출성형하며 면을 압출하여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면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소맥분 86.0중량%, 동충하초분말 4.0중량% 및 분말냉소다 1.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동충하초분말을 함유한 엷은 황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6.0중량%과 오디분말 4.0중량% 및 분말냉소다 1.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오디분말을 함유한 자주색 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6.0중량%, 복분자분말 4.0중량% 및 분말냉소다 1.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복분자분말을 함유한 홍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6.0중량%과 표고버섯분말 4.0중량% 및 분말냉소다 1.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표고버섯분말을 함유한 엷은 황토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6.0중량%, 누에분말 4.0중량% 및 분말냉소다 1.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누에분말을 함유한 엷은 베이지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2차 숙성된 상기 5개의 각 반죽들을 다층구조로 쌓은 후 상기 전체 각 반죽들을 1㎜ 두께로 제면기를 이용하여 가압성형하고 가압성형된 황색 반죽과 자주색 반죽을 접착시켜 압출기를 이용하여 5㎜넓이로 압출성형하며 면을 압출하여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면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소맥분 89.5중량%, 동충하초분말 1.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동충하초분말을 함유한 엷은 황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9.5중량%과 오디분말 1.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오디분말을 함유한 자주색 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9.5중량%, 복분자분말 1.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복분자분말을 함유한 홍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9.5중량%과 표고버섯분말 1.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표고버섯분말을 함유한 엷은 황토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9.5중량%, 누에분말 1.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누에분말을 함유한 엷은 베이지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2차 숙성된 상기 5개의 각 반죽들을 다층구조로 쌓은 후 상기 전체 각 반죽들을 1㎜ 두께로 제면기를 이용하여 가압성형하고 가압성형된 황색 반죽과 자주색 반죽을 접착시켜 압출기를 이용하여 5㎜넓이로 압출성형하며 면을 압출하여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면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소맥분 83.0중량%, 동충하초분말 6.0중량% 및 분말냉소다 2.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동충하초분말을 함유한 엷은 황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3.0중량%과 오디분말 6.0중량% 및 분말냉소다 2.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오디분말을 함유한 자주색 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3.0중량%, 복분자분말 6.0중량% 및 분말냉소다 2.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복분자분말을 함유한 홍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3.0중량%과 표고버섯분말 6.0중량% 및 분말냉소다 2.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표고버섯분말을 함유한 엷은 황토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소맥분 83.0중량%, 누에분말 6.0중량% 및 분말냉소다 2.0중량%를 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상기 반죽을 1차 압축하고, 상기 1차 압축한 반죽을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켰다.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켜 누에분말을 함유한 엷은 베이지색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2차 숙성된 상기 5개의 각 반죽들을 다층구조로 쌓은 후 상기 전체 각 반죽들을 상하좌우로 신장시켜서 복분자분말, 표고버섯분말, 누에분말, 동충하초분말 및 오디분말을 함유한 수제비를 제조하였다.
이하 복분자분말, 표고버섯분말, 누에분말, 동충하초분말 및 오디분말을 함유한 냉면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로 나타낸다.
실시예 1
소맥분 75.0중량%, 고구마전분 10.0중량%, 동충하초분말 3.0중량% 및 분말냉소다 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중량%, 고구마전분 10.0중량%, 오디분말 3.0중량% 및 분말냉소다 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중량%, 고구마전분 10.0중량%, 누에분말 3.0중량% 및 분말냉소다 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중량%, 고구마전분 10.0중량%, 표고버섯분말 3.0중량% 및 분말냉소다 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중량%, 고구마전분 10.0중량%, 복분자분말 3.0중량% 및 분말냉소다 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상기 5개의 각각 반죽을 다층적으로 쌓은 후 각각을 1㎜ 두께로 제면기를 이용하여 가압성형한 후, 상기 가압성형된 상기 5개의 반죽을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반죽을 냉면성형 압출기로 2.5㎜넓이로 압출성형하여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냉면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소맥분 80.0중량%, 고구마전분 9.0중량%, 동충하초분말 1.0중량% 및 분말냉소다 1.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0.0중량%, 고구마전분 9.0중량%, 오디분말 1.0중량% 및 분말냉소다 1.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0.0중량%, 고구마전분 9.0중량%, 누에분말 1.0중량% 및 분말냉소다 1.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0.0중량%, 고구마전분 9.0중량%, 표고버섯분말 1.0중량% 및 분말냉소다 1.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0.0중량%, 고구마전분 9.0중량%, 복분자분말 1.0중량% 및 분말냉소다 1.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상기 5개의 각각 반죽을 다층적으로 쌓은 후 각각을 1㎜ 두께로 제면기를 이용하여 가압성형한 후, 상기 가압성형된 상기 5개의 반죽을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반죽을 냉면성형 압출기로 2.5㎜넓이로 압출성형하여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냉면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소맥분 83.0중량%, 고구마전분 7.0중량%, 동충하초분말 0.5중량% 및 분말냉소다 0.5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3.0중량%, 고구마전분 7.0중량%, 오디분말 0.5중량% 및 분말냉소다 0.5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3.0중량%, 고구마전분 7.0중량%, 누에분말 0.5중량% 및 분말냉소다 0.5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3.0중량%, 고구마전분 7.0중량%, 표고버섯분말 0.5중량% 및 분말냉소다 0.5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3.0중량%, 고구마전분 7.0중량%, 복분자분말 0.5중량% 및 분말냉소다 0.5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상기 5개의 각각 반죽을 다층적으로 쌓은 후 각각을 1㎜ 두께로 제면기를 이용하여 가압성형한 후, 상기 가압성형된 상기 5개의 반죽을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반죽을 냉면성형 압출기로 2.5㎜넓이로 압출성형하여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냉면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소맥분 85.0중량%, 고구마전분 5.0중량%, 동충하초분말 0.1중량% 및 분말냉소다 0.9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5.0중량%, 고구마전분 5.0중량%, 오디분말 0.1중량% 및 분말냉소다 0.9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0.0중량%, 고구마전분 9.0중량%, 누에분말 1.0중량% 및 분말냉소다 1.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5.0중량%, 고구마전분 5.0중량%, 표고버섯분말 0.1중량% 및 분말냉소다 0.9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5.0중량%, 고구마전분 5.0중량%, 복분자분말 0.1중량% 및 분말냉소다 0.9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상기 5개의 각각 반죽을 다층적으로 쌓은 후 각각을 1㎜ 두께로 제면기를 이용하여 가압성형한 후, 상기 가압성형된 상기 5개의 반죽을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된 반죽을 냉면성형 압출기로 2.5㎜넓이로 압출성형하여 5개의 각기 다른 색의 홍색, 황토색, 베이지색, 황색과 자주색으로 구성된 냉면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오디는 항산화색소(Cyanidin-3-glucoside;C3G)를 함유하고 있는데, C3G는 노화억제 효과가 있는 토코페롤보다 7배나 강한 노화억제를 보이고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을 가지므로, 이러한 오디를 함유한 반죽을 이용하여 제조한 면류 등도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질 것이라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오디는 단일물질로 존재하기 때문에 색소의 추출과 분리, 정제가 다른 작물에 비해 쉽기 때문에 반죽에서도 고유의 색인 자주색을 나타낼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2, 3, 4에서 제조한 면으로 칼국수를 조리하여 기호성의 정도를 관능검사하였다. 관능검사는 총 30명의 인원을 대상으로 5점 평가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상기 관능검사의 결과를 아래 표 11에 나타내었다.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와 오디분말을 함유한 칼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4.9 5.0 4.9 4.9
4.9 5.0 4.9 4.9
4.7 4.9 4.8 4.8
전체적 기호도 4.6 4.9 4.8 4.7
1: 매우 싫다, 2: 싫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매우 좋다.
상기 표 11에 의한 관능검사의 결과는 색, 맛, 향, 전체적 기호도 면에서 전체적으로 양호하였으며, 본 발명의 주재료인 소맥분 이외에 부재료로서 조미료 재료로 많이 쓰이는 표고버섯분말과 달콤하면서 새콤한 풍미를 더해주는 복분자분말을 그 천연원료를 사용하여 홍색에 가까운 색상 등과 종래 특허받은 오디 및 동충하초, 누에분말에서 우러나오는 황토색 및 짙은 자주색 계열의 색상들이 어울려 맛깔난 칼국수 등의 면류와 냉면을 제조하게 되었다. 특히, 색의 항목에서는 상기 부재료의 고유색으로 인해 반죽의 색이 변하여 칼국수의 기호도가 향상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 기호도 측면에서도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종래 우리나라 최초로 특허를 받은(특허등록 제10-0586807호), 오디와 동충하초를 분말화하여 반죽에 첨가한 기능성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등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 조미료 재료로 많이 쓰이는 표고버섯분말과 달콤하면서 새 콤한 풍미를 더해주는 복분자분말을 그 천연원료로 사용하였으며, 짙은 홍색에 가까운 색상 등과 종래 특허받은 오디 및 동충하초, 누에분말에서 우러나오는 황토색 및 짙은 자주색 계열의 색상들이 어울려 맛깔난 칼국수 등의 면류와 냉면을 제조하게 되었다. 이렇게 상기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분말을 함유한 반죽들을 접착하여 제조함으로써,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고유한 색과 맛으로 인해 칼국수, 수제비, 냉면 등 면류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칼국수, 수제비, 냉면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국민 대부분이 애호하는 칼국수, 수제비, 만두, 냉면을 생산하여 본 발명의 면류를 섭취시키도록 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와 오디가 항산화 작용으로 항암작용 및 노화억제작용, 면역증진작용, 혈액순환촉진작용, 피부병 억제 및 당뇨병 억제작용 등을 함으로써 성인병 등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4)

  1. 소맥분 80.0∼90.0중량%, 동충하초분말 1.0∼8.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18% 식염수를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0.0∼90.0중량%, 오디분말 1.0∼8.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0.0∼90.0중량%, 복분자분말 1.0∼8.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0.0∼90.0중량%, 표고버섯분말 1.0∼8.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80.0∼90.0중량%, 누에분말 1.0∼8.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단계;
    상기 별개로 반죽된 상기 5개의 반죽들을 각각 1차 압축하고 비닐로 덮어 25∼30℃에서 2∼4시간 1차 숙성시키고, 상기 1차 숙성시킨 반죽들을 좌우로 접어 2차 압축하고 15∼25℃에서 6∼8시간 2차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상기 2차 숙성된 상기 5개의 각 반죽들을 다층구조로 쌓은 후 상기 전체반죽들을 제면기로 가압성형한 후, 상기 가압성형된 상기 5개의 반죽들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 및
    상기 접착된 상기 5개의 반죽들을 여러 형상의 압출기로 압출형성하는 압출형성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함유한 제조한 칼국수 또는 수제비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칼국수 또는 수제비.
  3. 소맥분 75.0∼85.0중량%, 고구마전분 5.0∼10.0중량%, 동충하초분말 0.1∼3.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85.0중량%, 고구마전분 5.0∼10.0중량%, 오디분말 0.1∼3.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85.0중량%, 고구마전분 5.0∼10.0중량%, 누에분말 0.1∼3.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고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85.0중량%, 고구마전분 5.0∼10.0중량%, 표고버섯분말 0.1∼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별개로 소맥분 75.0∼85.0중량%, 고구마전분 5.0∼10.0중량%, 복분자분말 0.1∼3.0중량% 및 분말냉소다 0.5∼3.0중량%를 18% 식염수 9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상기 5개의 각각 반죽을 다층적으로 쌓은 후 제면기로 가압성형한 후, 상기 가압성형된 상기 5개의 반죽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 및
    상기 접착된 반죽을 냉면성형 압출기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함유한 냉면의 제조방법.
  4. 제3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냉면.
KR1020060075863A 2006-08-10 2006-08-10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혼합제조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KR100860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863A KR100860072B1 (ko) 2006-08-10 2006-08-10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혼합제조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863A KR100860072B1 (ko) 2006-08-10 2006-08-10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혼합제조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327A true KR20080014327A (ko) 2008-02-14
KR100860072B1 KR100860072B1 (ko) 2008-09-24

Family

ID=3934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863A KR100860072B1 (ko) 2006-08-10 2006-08-10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혼합제조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0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72B1 (ko) * 2007-09-04 2009-09-21 한솔영농조합법인 갈변 표고버섯 국수 및 그 제조 방법
JP2012125245A (ja) * 2010-12-16 2012-07-05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nnam National Univ 血糖降下機能性のグルテン無添加の生米麺製造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669558A (zh) * 2012-05-28 2012-09-19 开平市北立山食品有限公司 蛹虫草面及其制作方法
KR101463696B1 (ko) * 2013-10-07 2014-11-19 김규흔 녹차를 함유한 전통약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9414A (ko) * 2016-05-17 2017-11-27 최충기 항산화 활성을 갖는 오색분말을 이용한 냉면용 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색분말을 이용한 냉면용 면
KR102632977B1 (ko) * 2023-04-18 2024-02-02 이태형 표고버섯을 함유한 면류식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784A (ko) * 1998-03-03 1999-10-05 신차선 뽕잎분말을 함유하는 냉면 및 그 제조방법
KR100423737B1 (ko) * 2001-08-07 2004-03-2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이중편향날개를 가진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
KR100428996B1 (ko) * 2002-02-04 2004-04-29 이경순 동충하초분말, 누에분말, 뽕잎분말, 마분말,상황버섯분말을 함유하는 면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면류
KR20030075409A (ko) * 2002-03-18 2003-09-26 김영주 동충하초 분말과 번데기 분말을 주성분으로 한식품제조방법.
KR100468133B1 (ko) * 2002-11-28 2005-01-26 박동기 기능성 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97242B1 (ko) * 2005-08-11 2007-03-22 최두석 된장분말, 동충하초분말 및 뽕잎분말을 함유하는 면류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면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72B1 (ko) * 2007-09-04 2009-09-21 한솔영농조합법인 갈변 표고버섯 국수 및 그 제조 방법
JP2012125245A (ja) * 2010-12-16 2012-07-05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nnam National Univ 血糖降下機能性のグルテン無添加の生米麺製造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669558A (zh) * 2012-05-28 2012-09-19 开平市北立山食品有限公司 蛹虫草面及其制作方法
KR101463696B1 (ko) * 2013-10-07 2014-11-19 김규흔 녹차를 함유한 전통약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9414A (ko) * 2016-05-17 2017-11-27 최충기 항산화 활성을 갖는 오색분말을 이용한 냉면용 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색분말을 이용한 냉면용 면
KR102632977B1 (ko) * 2023-04-18 2024-02-02 이태형 표고버섯을 함유한 면류식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072B1 (ko)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072B1 (ko) 복분자, 표고버섯, 누에, 동충하초, 오디의 분말을 혼합제조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칼국수, 수제비 및 냉면
CN103932185B (zh) 铁皮石斛、蛹虫草、灵芝和茶叶的复方咀嚼片及制备方法
KR20080098949A (ko)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715209A (zh) 一种营养强化降血糖面粉
KR20140064404A (ko) 숙취 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0977848B1 (ko) 곰취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이 포함된 제빵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2079B1 (ko) 블루베리 호두 찐빵의 제조방법
KR100428996B1 (ko) 동충하초분말, 누에분말, 뽕잎분말, 마분말,상황버섯분말을 함유하는 면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면류
KR101464716B1 (ko) 동충하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86807B1 (ko) 동충하초분말, 오디분말을 함유하는 칼국수, 수제비 및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국수, 수제비및 냉면
KR102002080B1 (ko) 감, 잡곡 및 약용식물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KR100911773B1 (ko) 인삼이 포함된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된장
KR101438548B1 (ko) 오디 분말이 첨가된 기호성이 증대된 유색한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7229B1 (ko) 아스파라거스 및 차조기잎 성분을 포함하는 떡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80087558A (ko) 가래떡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3652A (ko) 상황버섯이 첨가된 건강 기능성 국수 제조방법
KR101341966B1 (ko) 갈색 가바쌀 분말을 함유하는 기호성이 증대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CN106307021A (zh) 一种杂粮野菜面粉及其制作方法
KR101402600B1 (ko) 즉석국수 제조방법
KR101269581B1 (ko) 느릅나무를 함유한 기능성 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6155A (ko) 인삼된장, 인삼가루된장 및 인삼환된장 그 제조방법
KR100697242B1 (ko) 된장분말, 동충하초분말 및 뽕잎분말을 함유하는 면류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면류
CN104286946A (zh) 一种酱卤牛肉及其制备方法
KR20190108980A (ko) 오죽잎을 이용한 오죽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죽면
KR102598945B1 (ko) 맛과 저장성이 개선된 찐빵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