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761A -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및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및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3761A KR20080013761A KR1020070078619A KR20070078619A KR20080013761A KR 20080013761 A KR20080013761 A KR 20080013761A KR 1020070078619 A KR1020070078619 A KR 1020070078619A KR 20070078619 A KR20070078619 A KR 20070078619A KR 20080013761 A KR20080013761 A KR 200800137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cell
- cell separator
- composition
- epoxy resin
- mo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1—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32—Epoxy compounds containing three or more epoxy groups
- C08G59/3218—Carbocyclic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62—Alcohols or phenols
- C08G59/621—Pheno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3—Gas-impermeable carbon-containing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6—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3/00—Use of EP, i.e. epoxy resin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707/04—Carb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몰딩 재료이고, (A)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C) 경화 가속화제, 및 (D) 탄소 재료를 함유하는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전술한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를 수득하기 위한 몰딩(molding)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의 개략적 투시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10)는, 평판 부분(11)의 양측에 복수개의 분할벽(12)을 소정 간격으로 돌출된 상태로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연료 전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10)를 분할벽(12)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 (도 1의 수직 방향)으로 겹쳐 쌓아 올린다. 이러한 쌓아 올림은, 인접한 분할벽(12)들의 쌍들에 의해 형성된 채널(13)을 통해 반응성 가스 (수소 또는 산소)가 유동하게 하여준다.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는, 흑연과 같은 전도성 재료 및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전술한 바와 같은 모양으로 몰딩함으로써 제조된다.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의 형성 방법으로서, 수지 재료로서 에폭시 수지 또는 페놀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전술한 조성물을 가스 또는 냉각수용 유동로가 구비된 몰드(mold)에 넣고, 가열 압착 몰딩에 의해 몰딩하여 조성물을 열 프레스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몰딩 방법에서, 특히 팽창 흑연이 탄소 재료로 사용될 경우, 높은 전도성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팽창 흑연이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로 바람직하다고 언급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을 참조). 또한, 근년에는, 가열 압착 몰딩을 대신하여, 사출 몰딩에 의해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여 몰딩 주기를 단축하려는 연구가 있어왔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를 참조).
특허 문헌 1: JP-A-2000-285931
특허 문헌 2: JP-A-2004-327136
통상적으로, 전도성이 높은 몰딩 물품을 수득하려는 경우,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전도성 재료의 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전도성 재료의 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치수 정확성이 악화되거나 또는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출 몰딩을 몰딩 방법으로 실시할 경우, 유동성의 저하는, 몰드로의 조성물 충전이 실패하는 현상, 다시 말해서, 충전부족(short shot)이 유발되기 쉬워진다. 반대로, 전도성 재료의 비를 감소시키는 것은 전도성의 감소를 야기하여,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로서의 문제에 마주치게 된다. 또한, 조성물이 동일한 경우조차도, 사출 몰딩에 의해 형성된 몰딩 물품은 가열 압착 몰딩에 의해 형성된 몰딩 물품에 비해 전도성이 열등하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및 유동성 또는 강도는 서로 상충하는 특성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유동성 및 강도가 조합되어 있고, 사출 몰딩가능하며, 전도성이 높은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을 포함하고, 전도성, 강도, 치수 정확성 및 내열성이 탁월한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기재 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를 제공한다:
(1)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몰딩 재료이고, (A)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C) 경화 가속화제, 및 (D) 탄소 재료를 함유하는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경화제 (B)가 2 이상의 페놀계 히드록실 기를 갖는 것인,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탄소 재료 (D)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35 내지 85 중량%이고, 탄소 재료의 5 내지 100 중량%가 팽창 흑연인 것인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및
(5)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을 사출 몰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가 수지 성분으로 사용됨으로써, 사출 몰딩에 의해, 전도성, 치수 정확성, 및 고온에서의 강도가 탁월한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하기에 상세히 기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로 칭함)은 (A)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C) 경화 가속화제, 및 (D) 탄소 재료를 필수 성분으로 함유한다.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의 사용은, 생성된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의 강도와 내열성을 개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에폭시 수지의 강도와 내열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유리 전이 온도를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유리 전이 온도를 높이는 수단으로, 다관능성 에폭시 수지 또는 단량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가교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낮은 가교 밀도에서 조차도, 강질 골격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는, 나프탈렌 고리로 인한 강질 구조를 가지며, 이것이 유리 전이 온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높은 강도 및 내열성을 나타내게 한다. 또한, 나프탈렌 고리는 평면 구조를 가지고, 공간입체적 장애가 극도로 작은 구조를 취한다. 이에 따 라, 간극이 거의 없고 강도가 더 높은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가, 이와 유사하게 평면 구조를 갖는 흑연 결정을 후술하는 탄소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효과는, 팽창 흑연과 같은 플레이크성 흑연을 사용할 때에 현저해진다.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는, 나프톨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 단량체형 에폭시 수지 등을 포함한다. 에폭시 당량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이다. 에폭시 당량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수득되는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는 취성(brittle)으로 된다. 반면에, 에폭시 당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오직, 내열성과 강도가 낮은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만이 수득된다.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를 경화제와 반응시켜, 에폭시 경화 생성물을 형성한다. 다양한 공지된 화합물을 경화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폴리아민, 예컨대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 멘텐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N-아미노에틸피페라진, m-자일렌디아민 및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또는 이의 카르보네이트; 산 무수물, 예컨대 프탈산 무수물,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메틸나드산 무수물, 도데실숙신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및 폴리아젤라산 무수물; 폴리페놀, 예컨대 페놀 노볼락 및 크레졸 노볼락; 폴리메르캅탄; 음이온성 중합 촉매, 예컨대 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이미다졸 및 에틸메틸이미다졸; 양이온성 중합 촉매, 예컨대 BF3 및 이의 복합체; 및 추가로, 열 분해 또는 광 분해에 의해 전술한 화합물을 형성하는 잠재성 경화제가 포함되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복수종 의 경화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것 중에서, 경화제, 예컨대 폴리아민 또는 이의 카르보네이트, 산 무수물, 폴리페놀 및 폴리메르캅탄은, 그 자신이 중부가 반응에 의해 에폭시 화합물과 반응하여 경화 생성물을 구성하기 때문에, 중부가형 경화제로 불리운다. 과량의 또는 부족량의 중부가형 경화제는 미반응 관능기를 잔존시키므로, 이의 첨가량은 적당한 범위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중부가형 경화제는, 에폭시 수지 전구체의 에폭시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2 당량의 양으로, 특히 0.8 내지 1.1 당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반면에, 음이온성 중합 촉매 및 양이온성 중합 촉매는 에폭시기에 대한 중부가 촉매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적당한 첨가 범위는 없고, 첨가량은 반응 속도에 의존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들 촉매는 촉매형 경화제 또는 부가형 경화제로 불리운다. 또한, 이들 촉매를 중부가형 경화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이들은 중부가형 경화제에 의해 야기되는 경화 반응을 가속화시키기 때문에, 경화 가속화제로도 불리운다.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 속도는, 경화제의 종류와 양, 열경화성 수지의 종류 및 경화 가속화제의 종류와 양을 다양하게 선택함으로써, 임의로 변화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목적하는 경화 조건에 의존하여, 열경화성 수지, 경화제 및 경화 가속화제의 종류와 양을 용이하게 결정할 것이다.
상기의 것 중에서, 둘 이상의 페놀계 히드록실 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로는, 전술한 폴리페놀, 예컨대 페놀 노볼락, 크레졸 노볼락, 비스페놀 A 노볼락, 아르알킬형 페놀 노볼락, 트리페닐메탄형 페놀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나프톨 노볼락 및 페놀 디시클로펜타디엔 수지, 및 비스페놀 A가 포함된다. 둘 이상의 페놀계 히드록실 기를 갖는 경화제의 사용은, 내열성이 높은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화 가속화제가 사용된다. 경화 가속화제는, 에폭시 수지와 중부가형 경화제의 반응을 가속화시키며, 루이스 염기와 이에 대한 공여 물질로부터 선택된다. 경화 가속화제의 종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의 예로는 인 화합물, 예컨대 트리페닐포스핀, 트리-o-톨릴포스핀, 트리-p-톨릴포스핀, 트리-m-톨릴포스핀, 트리벤질포스핀, 트리스(p-메톡시페닐)포스핀, 트리스(p-tert-부톡시페닐)포스핀, 트리-2,4-퀴놀릴포스핀, 트리-2,5-퀴놀릴포스핀, 트리-3,5-퀴놀릴포스핀, 트리-n-옥틸포스핀,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n-프로필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n-부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메톡시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2-카르복실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테트라페닐포스포늄 테트라-p-톨릴보레이트, 벤질페닐포스포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 테트라페닐포스포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p-톨릴페닐포스포늄 테트라-p-톨릴보레이트; 아민 화합물, 예컨대 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및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이미다졸 화합물, 예컨대 2-메틸이미다졸, 2-운데실이미다졸, 2-헵타데실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1-벤질-2-메틸이미다졸, 1-벤질-2-페닐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메틸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에틸-4-메 틸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운데실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운데실이미다졸륨 트리멜리테이트, 1-시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륨 트리멜리테이트, 2,4-디아미노-6-[2'-메틸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4-디아미노-6-[2'-운데실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4-디아미노-6-[2'-에틸-4'-메틸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4-디아미노-6-[2'-메틸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의 이소시아누르산 부가물, 2-페닐이미다졸의 이소시아누르산 부가물, 2-메틸이미다졸의 이소시아누르산 부가물, 2-페닐-4,5-디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5-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 및 2,3-디히드로-1H-피롤로[1,2-a]벤즈이미다졸; 디아자비시클로 화합물, 예컨대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 (DBU로 약칭),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넨-5 (DBN으로 약칭) 및 6-디부틸아미노-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 또는 이의 유기산 염; 및 우레아 화합물, 예컨대 3-페닐-1,1-우레아, 3-(p-클로로페닐)-1,1-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1,1-우레아, 3-(o-메틸페닐)-1,1-우레아, 3-(p-메틸페닐)-1,1-우레아, 3-(메톡시페닐)-1,1-우레아 및 3-(니트로페닐)-1,1-우레아가 포함되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트리페닐포스핀은, 저가이고 용이하게 입수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경화 가속화제이다. 경화 가속화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이다.
탄소 재료는, 탄소 원자로 주로 구성된 전도성 재료이고, 구체적으로는, 팽창 흑연, 인공 비늘형 흑연, 인공 구상 흑연, 천연 비늘형 흑연, 카본 블랙 카본 파이버, 카본 나노파이버, 카본 나노튜브, 다이아몬드형 카본, 풀러렌(fullerene), 카본 나노혼(nanohor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비늘형 흑연은 박편형 결정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팽창 흑연은, 비늘형 흑연을 농축 황산, 질산, 과산화수소 용액 등으로 처리하고, 상기 화학 용액을 박편형 결정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시킨 후, 추가 가열에 의해 상기 삽입된 화학 용액이 기화할 때에 박편형 결정 사이의 공간이 팽창하여 수득되는 흑연이다. 팽창 흑연은 벌크 밀도가 낮고, 표면적이 크며, 이의 입자는, 비늘형 흑연 및 구형 흑연에 비하여, 더욱 얇은 박편형 형태의 것이다. 이에 따라, 수지와 함께 혼합했을 때에, 높은 전도성의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가 수득되게 할 수는 전도성 통로를 용이하게 형성한다. 또한, 팽창 흑연은 박편형의 형태이므로, 인공 흑연 및 천연 흑연에 비하여 가요성이 있고, 이를 사용한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가 또한 가요성으로 된다.
전술한 강도 및 내열성의 개선 효과를 비롯한 상기의 이유로, 탄소 재료가 팽창 흑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탄소 재료는 전체적으로 팽창 흑연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의 일부로서 팽창 흑연을 포함하고 그의 나머지로서 전술한 탄소 재료(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탄소 재료 중의 팽창 흑연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이다. 팽창 흑연의 비가 낮을 경우, 접촉 저항이 증가한다. 또한, 팽창 흑연의 비 가 높을 경우, 팽창 흑연은 벌크 밀도가 낮기 때문에, 화합물 제조에서 혼련시에 재료 취급성이 열등하고, 작업 환경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
탄소 재료의 함량은, 탄소 재료의 종류에 의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량 중 35 내지 85 중량%이다. 탄소 재료의 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전도성이 감소한다. 반면에, 탄소 재료의 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강도가 감소하고, 화합물의 유동성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몰딩에 있어서 몰드로 사출할 때에, 몰드 중에서 몰딩 재료의 압력 분포가 폭넓어지게 되어, 수득된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의 치수 정확성이 악화된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몰딩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사출 몰딩을 실시할 때에 현저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 및 다른 성분, 예컨대 탄소 재료를 건식 혼합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를 가열 용융할 수 있고, 또는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탄소 재료와 같은 다른 성분을 그에 첨가한다. 또한, 복수의 혼합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건식 혼합에 의해 사전에 혼합된 재료를 가열 용융할 수 있다.
혼합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헨셀(Henschel) 혼합기, 리본 혼합기, 플라내터리(planetary) 혼합기, 모르타르 혼합기, 콘 혼합기, V 혼합기, 압력 혼련기, 패들 혼합기, 이축 압출기, 단축 압출기, 밴버리(Banbury) 혼합기, 2롤 밀, 3롤 밀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혼합된 재료를 분쇄하거나 과립화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분류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는, 이렇게 얻어진 조성물을 몰딩함으로써 수득된다. 몰딩 방법으로서, 공지된 방법, 예컨대 사출 몰딩, 사출 압착 몰딩, 압출 몰딩 및 압착 몰딩이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사출 몰딩이, 몰딩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임의 몰딩 방법에 있어서, 몰딩 조건은 조성물의 화합화 비에 의존하여 적당하게 설정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몰딩 후에 절단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의 모양과 구조에 대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모양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묘사할 것이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시키는 것으로 해석하진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6
표 1에 나타낸 제형 표시에 따라, 전체 재료 500 g을 10 리터의 헨셀 혼합기에서 사전 혼합한 다음, 100℃의 챔버 온도에서 1리터의 압력 혼련기에서 5 분 동안 혼련한다. 생성된 생성물을 분쇄기로 약 1 mm 크기의 입자로 분쇄하여, 몰딩 재료를 수득하고, 이를 사출 몰딩한다. 표 1에서의 제형 단위는 중량%로 표현되어 있다. 나프톨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나프탈렌 단량체형 4관능성 에폭시 수지의 구조식은 하기에 나타낸다:
나프톨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 단량체형 4관능성 에폭시 수지
몰딩 조건에 대하여, 사출 몰딩 기계로서 몰드 체결력(clamping force)이 80 t인 열경화성 수지용 몰딩 기계 (Hishiya Seiko Co., Ltd. 제조)를 사용하고, 실린더 온도를 호퍼(hopper) 하에 50℃로 설정하고, 노즐 온도를 90℃로 설정하고, 몰드 온도를 170℃로 설정하고, 사출 속도를 20 mm/초로 설정하고, 경화 시간을 60 내지 180 초로 설정하였다. 몰딩 압력을 30 내지 70 MPa의 범위로 적당하게 설정하였다. 몰딩 재료를 한 측면이 100 mm이고 두께가 2 mm인 정사각형 박판 시료로 사 출 몰딩하고,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그의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1) 전도성의 평가:
관통 방향에서의 저항을, 도 2에 나타낸 방법으로 측정하여, 전도성을 평가하였다. 시료(21)를, 탄소 페이퍼(22)가 중간삽입된 전극(23) 사이에 두었다. 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 (전류계(24)로 측정) 및 탄소 페이퍼 사이의 전압 (전압계(25)로 측정)로부터 전기 저항을 계산하고, 시료의 면적을 곱하여, 관통 방향에서의 저항을 얻었다.
(2) 고온에서의 굴곡 강도 측정:
고온에서의 굴곡 강도를 JIS K7171, 굴곡 특성의 플라스틱-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은, 100℃의 시험 대기 중에 자동온도조절장치가 장착된 인스트론(Instron)형 만능 시험기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3) 유동성 평가:
몰딩 재료의 유동성을 JIS K6911의 열경화성 플라스틱, 일반적 시험 방법 "압출형 유동, 유동이 우수한 페놀 수지"에 따라 160±3℃에서 측정하였다. 유출물의 양을 유동성의 지수로 취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실시예 8 | |
나프톨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EP 당량: 230) | 6.4 | 13.0 | 19.3 | 25.9 | ||||
나프탈렌 단량체형 4관능성 에폭시 수지 (EP 당량: 160) | 5.6 | 11.4 | 16.9 | 22.6 | ||||
비스페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EP 당량: 207) | ||||||||
오르토크레솔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EP 당량: 211) | ||||||||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EP 당량: 265) | ||||||||
노볼락형 페놀 수지 | 3.0 | 5.9 | 8.9 | 11.8 | 3.7 | 7.4 | 11.1 | 14.8 |
트리페닐포스핀 | 0.3 | 0.6 | 0.9 | 1.2 | 0.4 | 0.7 | 1.1 | 1.5 |
팽창 흑연 (평균 입자 크기: 300 ㎛) | 43.7 | 38.8 | 34.0 | 29.1 | 43.7 | 38.8 | 34.0 | 29.1 |
인공 흑연 (평균 입자 크기: 40 ㎛) | 43.7 | 38.8 | 34.0 | 29.1 | 43.7 | 38.8 | 34.0 | 29.1 |
처리 보조제 | 2.9 | 2.9 | 2.9 | 2.9 | 2.9 | 2.9 | 2.9 | 2.9 |
탄소 재료 함량 (중량%) | 87.4 | 77.6 | 68.0 | 58.2 | 87.4 | 77.6 | 68.0 | 58.2 |
100℃ 3점 굴곡 강도 (MPa) | 28 | 39 | 44 | 57 | 29 | 41 | 45 | 60 |
관통 방향에서의 저항 (mΩㆍ㎠) | 8 | 9 | 10 | 15 | 9 | 10 | 12 | 16 |
압출형 유동에 의한 유동성 (g) | 14 | 27 | 36 | 38 | 11 | 18 | 30 | 3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
나프톨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EP 당량: 230) | ||||||
나프탈렌 단량체형 4관능성 에폭시 수지 (EP 당량: 160) | ||||||
비스페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EP 당량: 207) | 6.2 | 12.6 | 18.7 | 25.0 | ||
오르토크레솔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EP 당량: 211) | 25.2 | |||||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EP 당량: 265) | 27.2 | |||||
노볼락형 페놀 수지 | 3.2 | 6.3 | 9.5 | 12.6 | 12.5 | 10.6 |
트리페닐포스핀 | 0.3 | 0.6 | 0.9 | 1.3 | 1.2 | 1.1 |
팽창 흑연 (평균 입자 크기: 300 ㎛) | 43.7 | 38.8 | 34.0 | 29.1 | 29.1 | 29.1 |
인공 흑연 (평균 입자 크기: 40 ㎛) | 43.7 | 38.8 | 34.0 | 29.1 | 29.1 | 29.1 |
처리 보조제 | 2.9 | 2.9 | 2.9 | 2.9 | 2.9 | 2.9 |
탄소 재료 함량 (중량%) | 87.4 | 77.6 | 68.0 | 58.2 | 58.2 | 58.2 |
100℃ 3점 굴곡 강도 (MPa) | 22 | 31 | 35 | 45 | 46 | 49 |
관통 방향에서의 저항 (mΩㆍ㎠) | 7 | 8 | 11 | 17 | 17 | 20 |
압출형 유동에 의한 유동성 (g) | 7 | 15 | 25 | 29 | 27 | 28 |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도성, 유동성 및 추가로 고온에서의 강도도 탁월한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가, 본 발명을 따라, 수지 성분으로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사출 몰딩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탄소 재료 함량과 3점 굴곡 강도 사이의 관계를 도 3에 그래프로 나타내고, 탄소 재료 함량과 관통 저항 사이의 관계를 도 4에 그래프로 나타내고, 탄소 재료 함량과 유동성 사이의 관계를 도 5에 그래프로 나타낸다. 탄소 재료 함량이 서로 동일한 경우조차도, 본 발명에 따른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의 사용이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저항을 감소시키고, 탁월한 유동성과 몰딩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을 그의 구체적 구현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화 및 개질이 그에 대해 행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출원은 2007년 8월 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14594에 기초한 것이며, 그의 내용이 참조로 본원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를 묘사하는 하나의 구현예 및 종래의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2는, 접촉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묘사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탄소 재료의 양 및 3점 굴곡 강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탄소 재료의 양 및 관통 저항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탄소 재료의 양 및 유동성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사용된 참조 번호는 각각 다음을 나타낸다.
(10):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11): 평판 부분
(12): 분할벽
(13): 채널
Claims (5)
-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몰딩 재료이고, (A) 나프탈렌 고리 포함 에폭시 수지, (B) 경화제, (C) 경화 가속화제, 및 (D) 탄소 재료를 함유하는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경화제 (B)가 2 이상의 페놀계 히드록실 기를 갖는 것인,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탄소 재료 (D)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35 내지 85 중량%이고, 탄소 재료의 5 내지 100 중량%가 팽창 흑연인 것인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
- 제1항에 따른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 제1항에 따른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을 사출 몰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214594A JP2008041444A (ja) | 2006-08-07 | 2006-08-07 |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用組成物、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
JPJP-P-2006-00214594 | 2006-08-0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3761A true KR20080013761A (ko) | 2008-02-13 |
Family
ID=3861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8619A KR20080013761A (ko) | 2006-08-07 | 2007-08-06 |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및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032176A1 (ko) |
EP (1) | EP1890352A1 (ko) |
JP (1) | JP2008041444A (ko) |
KR (1) | KR20080013761A (ko) |
CA (1) | CA259604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10223A (ja) * | 2005-01-31 | 2006-08-10 | Nichias Corp |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
JP2006249338A (ja) * | 2005-03-11 | 2006-09-21 | Nichias Corp | 導電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
CA2657156C (en) * | 2008-03-05 | 2014-02-18 | Weatherford/Lamb, Inc. | Composite material formulation |
JP5327583B2 (ja) | 2008-08-01 | 2013-10-30 | ニチアス株式会社 |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用樹脂組成物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
JP5257497B2 (ja) * | 2011-09-26 | 2013-08-07 | 日清紡ケミカル株式会社 | 燃料電池用多孔質セパレータ |
US9583358B2 (en) | 2014-05-30 | 2017-02-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ardmask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 by using the hardmask composition |
KR102287343B1 (ko) * | 2014-07-04 | 2021-08-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
JP6383203B2 (ja) * | 2014-07-25 | 2018-08-29 | Nok株式会社 | プレート一体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
KR102287344B1 (ko) | 2014-07-25 | 2021-08-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
KR102384226B1 (ko) | 2015-03-24 | 2022-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
KR102463893B1 (ko) | 2015-04-03 | 2022-1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
US11034847B2 (en) | 2017-07-14 | 2021-06-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ardmask composition, method of forming pattern using hardmask composition, and hardmask formed from hardmask composition |
KR102433666B1 (ko) | 2017-07-27 | 2022-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
KR102486388B1 (ko) | 2017-07-28 | 2023-0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그래핀 양자점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그래핀 양자점을 포함한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
WO2020218418A1 (ja) * | 2019-04-24 | 2020-10-29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双極板、電池セル、セルスタック、及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83627A (en) * | 1995-03-15 | 1997-11-04 | Tokuyama Corporation | Curable electroconductive composition |
CA2206384A1 (en) * | 1996-05-29 | 1997-11-29 | Eiki Togashi | A method of injection-molding for epoxy resin moldings and an injection-moldable epoxy resin composition |
DE60016295T2 (de) * | 1999-02-16 | 2005-05-04 | Nichias Corp. | Harzzusammensetzung |
JP3412141B2 (ja) * | 1999-09-22 | 2003-06-03 | 日清紡績株式会社 |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
KR100565421B1 (ko) * | 2000-07-27 | 2006-03-30 | 제일모직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 밀봉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
WO2002021620A1 (fr) * | 2000-09-04 | 2002-03-14 | Nippon Steel Chemical Co., Ltd. | Separateur pour pile a combustible, procede de production, et materiau utilise |
JP2002201257A (ja) * | 2000-12-28 | 2002-07-19 | Sumitomo Bakelite Co Ltd | 導電性エポキシ樹脂成形材料 |
US6752937B2 (en) * | 2001-12-17 | 2004-06-22 | Quantum Composites, Inc. | Highly conductive molding compounds having an increased distribution of large size graphite particles |
US20050142413A1 (en) * | 2002-03-20 | 2005-06-30 | Sansho Kakou Co., Ltd. | Separator for fuel cel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
EP1453127A3 (en) * | 2003-01-30 | 2006-07-1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semifinished product thereof and a method of producing |
JP2004331677A (ja) * | 2003-04-30 | 2004-11-25 | Hitachi Chem Co Ltd | 封止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電子部品装置 |
KR100597897B1 (ko) * | 2004-06-19 | 2006-07-06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연료전지 분리판 성형용 소재, 그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제조된 연료전지 분리판 및 연료전지 |
JP4731884B2 (ja) * | 2004-11-10 | 2011-07-27 | ニチアス株式会社 | 導電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エポキシ樹脂成形体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
JP2006152170A (ja) * | 2004-11-30 | 2006-06-15 | Nichias Corp | 導電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6210223A (ja) * | 2005-01-31 | 2006-08-10 | Nichias Corp |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
JP2006249338A (ja) * | 2005-03-11 | 2006-09-21 | Nichias Corp | 導電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
-
2006
- 2006-08-07 JP JP2006214594A patent/JP2008041444A/ja active Pending
-
2007
- 2007-08-03 CA CA002596046A patent/CA259604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8-06 KR KR1020070078619A patent/KR200800137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8-06 US US11/882,809 patent/US2008003217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8-07 EP EP07015522A patent/EP1890352A1/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8041444A (ja) | 2008-02-21 |
EP1890352A1 (en) | 2008-02-20 |
US20080032176A1 (en) | 2008-02-07 |
CA2596046A1 (en) | 2008-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13761A (ko) |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조성물, 연료 전지 세퍼레이터, 및이의 제조 방법 | |
EP1686638B1 (en) | Fuel cell separator | |
EP1701400A1 (en) | Conductive epoxy resin composition and separator for fuel cell | |
EP1657269B1 (en) | Conductive epoxy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EP1826848B1 (en) | Separator material for solid polymer fuel cel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EP2048731B1 (en) | Resin composition for fuel cell separator and fuel cell separator manufactured therefrom | |
JP2006206790A (ja) | 導電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EP1930972B1 (en) | Separator material for fuel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JP4780257B2 (ja) | 燃料電池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6199812A (ja) | 導電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 |
CN109804492B (zh) | 燃料电池的致密性隔离物所用的树脂组合物 | |
JP5771780B2 (ja) | 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接着性組成物、燃料電池セパレータ、及び燃料電池 | |
EP3264506B1 (en) | Method for producing a fuel cell separator | |
JP5842093B2 (ja) |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 |
JP5857213B2 (ja) | 燃料電池セパレータ成形用材料、燃料電池セパレータ、及び燃料電池 | |
JP2009110944A (ja) |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用樹脂組成物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 |
JP6004357B2 (ja) |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 |
JP2006338908A (ja) |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 |
JP2007179945A (ja) |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70054689A (ko) | 연료전지 분리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JP2012252917A (ja) |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セパレータ | |
JP4832753B2 (ja) |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用樹脂組成物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 |
JP2015130357A (ja) | 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接着性組成物、燃料電池セパレータ、及び燃料電池 | |
JP2009093991A (ja) |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用樹脂組成物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 |
JP2015092492A (ja) | 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成形材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