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648A -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648A
KR20080013648A KR1020060076036A KR20060076036A KR20080013648A KR 20080013648 A KR20080013648 A KR 20080013648A KR 1020060076036 A KR1020060076036 A KR 1020060076036A KR 20060076036 A KR20060076036 A KR 20060076036A KR 20080013648 A KR20080013648 A KR 20080013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mold
insert
mounting member
spr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창완
Original Assignee
하창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창완 filed Critical 하창완
Priority to KR1020060076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3648A/ko
Publication of KR2008001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63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springs being part of the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는 너트의 내부 전체에 삽입되더라도 사출성형품을 간편하게 금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너트가 인서트되는 사출성형품의 불량을 용이하게 방지할 목적으로, 사출성형품을 제조하는 금형에 설치되어 너트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에 있어서, 너트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삽입체, 상기 삽입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두 개로 분리된 금형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체를 지지하는 스프링설치부재, 상기 스프링설치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프링설치부재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후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사출성형, 금형, 너트지지장치

Description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NUT SUPPORTER FOR INSERT MO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와 도 3은 도 1의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에 관련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삽입체 12 : 와이어 13 : 스프링설치부재
14 : 탄성부재 15 : 자석 16 : 충진제
본 발명은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너트가 인서트되는 사출 성형품의 불량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성형용 금 형의 너트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합성수지를 가열하여 유동화하여 이것을 금형에 압입하고, 상호 맞물리는 금형 사이에 형성되는 사출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이며, 너트 등을 사출성형품에 인서트하기 위하여 너트를 상호 맞물리는 금형 사이에 너트를 놓고 상기한 바와 같이 금형 내부에 유동성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너트가 내장된 사출성형품을 제조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금형(101)에 너트지지돌기(101a)를 형성하고, 상기 너트지지돌기(101a)에 너트(102)를 삽입한 뒤, 다른쪽 금형(103)으로 닫아서 금형(101)과 금형(103) 사이에 유동성 합성수지를 주입 냉각하여 너트(102)가 인서트된 사출성형품(100)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너트를 금형의 너트지지돌기에 배치한 뒤에 간편하게 이탈시키기 위하여 너트지지돌기의 돌출 정도를 낮게 형성하기 때문에, 너트의 내부 공간에 합성수지가 주입되어 막히게 되어 너트 내부면을 수작업으로 긁어내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너트의 자세에 따라 작업도중에 너트가 너트지지돌기로부터 이탈할 수 있어 사출성형품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너트의 내부 전체에 삽입되더라도 사출성형품을 간편하게 금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너트가 인서트되는 사출성형품의 불량을 용이하게 방 지할 수 있는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출성형품을 제조하는 금형에 설치되어 너트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에 있어서, 너트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삽입체, 상기 삽입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두 개로 분리된 금형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체를 지지하는 스프링설치부재, 상기 스프링설치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프링설치부재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후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너트지지장치는 사출성형품을 제조하는 금형(1,2) 즉 두 개로 분리되는 금형(1,2)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최종적인 제품인 사출성형품(3)에 인서트되는 너트(4)를 지지하는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너트(4)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삽입체(11)가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금형 중의 어느 한 금형(1)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체(11)의 중앙부에는 와이어(12)가 설치되고, 두 개로 분리된 금형 중의 어느 하나의 금형(1)에 스프링 설치부재(13)가 설치되어 상기 삽입체(11)를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설치부재(13)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4)가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설치부재(13)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12)의 후단부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삽입체(11)가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삽입체(11)가 너트(4)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한 것이다.
더우기 두 개의 금형(1,2) 사이에 배치되는 너트(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설치부재(13)의 앞쪽면에 홈(13a)을 형성하고, 상기 홈(13a)에 링형상의 자석(15)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설치부재(13)의 홈(13a)의 내부와 상기 자석(15)의 외부면 사이에 충진제(16)를 내장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제(16)는 자석(15)이 스프링설치부재(13)의 홈(13a) 내부에 고정함과 더불어 자석(15)의 자기력을 차단하여 너트(4)를 바른 자세로 쉽게 배치하게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는 일예로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금형(1)에 설치되는 삽입체(11)에 너트(4)를 배치한 뒤, 다른쪽 금형(2)을 금형(1)에 밀착시키고, 두 개의 금형(1,2) 사이에 유동성 합성수지를 압입하면 너트(4) 주위에 합성수지가 충진되며, 두 개의 금형(1,2)을 도 3과 같이 분리할 때, 삽입체(11)가 금형(2)과 같이 이동하는 사출성형품(3)에 인서트된 너트(4)와 같이 이동하더라도 탄성부재(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초기 상태로 리턴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너트(4)의 내부 직경과 삽입체(11)의 외부 직경이 정밀하게 일 치하더라도 너트(4)로부터 삽입체(11)가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너트(4)의 내부에 유동성 합성수지가 유입되는 것이 매우 줄게 되어 너트(4) 내부를 긁어내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한편 사출성형품(3)에 인서트되는 너트(4)의 자세가 경사진 경우에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4)를 삽입체(11)에 배치하면 자석(15)이 너트(4)를 고정하기 때문에 금형(1,2)의 이동에 따른 진동에도 너트(4)가 삽입체(11)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4)를 구비한 사출성형품(3)을 쉽게 제조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출성형품에 인서트되는 너트를 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나, 너트와 유사한 형상인 와셔, 파이프 등과 같은 중공 형상의 부품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는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는 너트의 내부 전체에 삽입되더라도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삽입체가 사출성형품에 인서트되는 너트와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너트를 인서트한 사출성형품의 불량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사출성형품에 인서트된 너트의 내부를 긁어내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사출성형품을 제조하는 금형에 설치되어 너트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에 있어서,
    너트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삽입체,
    상기 삽입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두 개로 분리된 금형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체를 지지하는 스프링설치부재,
    상기 스프링설치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프링설치부재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후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설치부재의 앞쪽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링형상의 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설치부재의 홈의 내부와 자석의 외부면 사이에 충진제를 내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
KR1020060076036A 2006-08-08 2006-08-08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 KR20080013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036A KR20080013648A (ko) 2006-08-08 2006-08-08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036A KR20080013648A (ko) 2006-08-08 2006-08-08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648A true KR20080013648A (ko) 2008-02-13

Family

ID=3934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036A KR20080013648A (ko) 2006-08-08 2006-08-08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36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709B1 (ko) * 2012-03-21 2013-08-30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KR102011905B1 (ko) * 2018-11-27 2019-08-21 주은테크 주식회사 엠보 패턴 다양화 구현형 사출금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146Y1 (ko) * 1990-11-23 1992-11-12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인서트 매입형 사출금형의 인서트 받침구조
KR20000003131U (ko) * 1998-07-16 2000-02-15 김천국 몰드금형 인서트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146Y1 (ko) * 1990-11-23 1992-11-12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인서트 매입형 사출금형의 인서트 받침구조
KR20000003131U (ko) * 1998-07-16 2000-02-15 김천국 몰드금형 인서트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709B1 (ko) * 2012-03-21 2013-08-30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KR102011905B1 (ko) * 2018-11-27 2019-08-21 주은테크 주식회사 엠보 패턴 다양화 구현형 사출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6695B2 (ja) 剛性を有するワークピースのまわりに弾性材料をモールドするための方法
US7748717B2 (en) Housing part for a drive unit, as well as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40070454A1 (en) Die for insert molding and method for insert molding of collar
JP2007001232A (ja) メッシュ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メッシュフィルタ製造用射出成形金型
JP2014518786A (ja) 注射器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成形型組立体および方法
PL1882574T3 (pl) Układ wtryskiwania i sposób wtryskowego nakładania kształtki i zastosowanie układu wtryskiwania
KR20080013648A (ko) 사출성형용 금형의 너트지지장치
US20150382470A1 (en) Electronic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704011B1 (ko) 볼 조인트, 볼 조인트 제조 장치 및 볼 조인트 제조 방법
JP2006096025A (ja) 厚肉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
JP2007162733A (ja) クッション部材およびクッション部材の成形方法
JP2007076032A (ja)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CN108724607A (zh) 嵌件螺母总成和应用该嵌件螺母总成的塑料产品及该塑料产品的制造方法
KR101549006B1 (ko) 곡면을 갖는 스탬퍼의 제작방법 및 제작장치
JP2008012836A (ja) 樹脂メッキ部品付き中空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中空樹脂成形品
KR100531219B1 (ko) 터미널 삽입형 성형물의 사출성형방법 및 성형물 삽입용터미널
JP5264120B2 (ja) 成形品及び電子機器
JP2006181889A (ja) 金型装置
KR200394900Y1 (ko) 니들 게이트를 구비한 사출 금형장치
CN107833795B (zh) 一种线圈脚嵌件注塑成型的电磁继电器
JP3727129B2 (ja) 埋込物を有する樹脂成型品の製造方法
KR200273507Y1 (ko) 사출 성형기용 매니폴드
CN208052489U (zh) 自动脱螺纹注塑模具
TWI693140B (zh) 成形裝置及樹脂成形品的製造方法
JPH06262642A (ja) 射出成形機の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