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690A -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690A
KR20080012690A KR1020060073910A KR20060073910A KR20080012690A KR 20080012690 A KR20080012690 A KR 20080012690A KR 1020060073910 A KR1020060073910 A KR 1020060073910A KR 20060073910 A KR20060073910 A KR 20060073910A KR 20080012690 A KR20080012690 A KR 20080012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ness
water
regeneration
soft water
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2690A/ko
Priority to CN2007800290873A priority patent/CN101500467B/zh
Priority to PCT/KR2007/003755 priority patent/WO2008016283A1/en
Priority to EP07807959.7A priority patent/EP2046187A4/en
Priority to RU2009103011/12A priority patent/RU2390304C1/ru
Priority to AU2007279512A priority patent/AU2007279512B2/en
Publication of KR2008001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29Water softening arrangements
    • A47L15/42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salt container or the ion exchang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는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연수통;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가 저수되는 재생통; 상기 연수통의 연수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경도를 감지하는 경도센서; 및 상기 경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경도가 설정 값보다 클때 상기 재생통의 재생수가 상기 연수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재생 밸브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는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연수통;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가 저수되는 재생통; 상기 연수통의 연수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경도를 감지하는 제 1 경도센서; 상기 연수통의 입수구 측에 구비되어 경도를 감지하는 제 2 경도센서; 및 상기 제 1 경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경도와 상기 제 2 경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경도차가 설정 값 이하이면 경고하는 경고 수단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의 제어방법은 연수통의 연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경도와 설정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경도가 설정 값 이상이면 재생밸브가 개방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의 제어방법은 연수통의 연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연수통의 입수구측으로 입수 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연수배출구 측의 경도와 상기 입수구측의 경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경도 차이 값이 설정 값 이하이면 경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의 제어방법은 연수통의 연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상기 경도와 설정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경도가 설정 값 이상이면 재생밸브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재생밸브가 닫혀 재생과정이 종료되는 때에 상기 연수통의 연수배출구 측의 세척수와 상기 연수통의 입수구측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연수배출구 측의 경도와 상기 입수구측의 경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경도 차이 값이 설정 값 이하이면 경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여, 연수장치가 적절한 주기로 재생되어 연수장치의 연수화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수장치의 재생통에 소금이 적절한 시기에 보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수장치의 재생능력이 향상되어, 연수화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식기 세척기, 연수장치, 재생수, 소금, 경도센서, 밸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Water softener for dish 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of}
도 1은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수 장치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다른 연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연수 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쩨 3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1: 디스플레이 172: 밸
300: 연수 장치 306: 재생밸브
330: 제 1 경도센서 340: 제 2 경도센서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용되는 터브와 터브 내에 장착되는 노즐을 통하여, 터브 내에 수용되는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거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떨어지게 함으로써, 식기를 세척하는 가전기기이다.
상세히,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이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의 하측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집수 및 유동 되도록 하는 섬프와, 터브 내에 형성되는 분사노즐 및 섬프와 연결되어 분사노즐로 세척수가 이동되도록 하는 워터 가이드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 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워터 가이드를 통과하 여 분사 노즐로 이동되는 세척수는 분사 노즐 끝 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이렇게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터브 내에 수납되는 식기의 표면에 부딪혀서,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거기 등의 이 물질이 터브의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한다.
그리고,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구비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저면에 안착 되어 세척수를 펌핑 하는 섬프와, 상기 섬프에 유입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맞추어 연수화 하는 연수장치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연수 장치는 세척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금속성 이온을 흡착하여 제거해주는 이온 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연수통과,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켜 연수화 능력을 향상 위한 소금이 저장되는 소금통이 포함된다.
그러나, 종래의 연수장치는 적절한 시기에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연수장치가 재생되도록 하는 소금물이 적절한 농도를 유지하지 못하여, 연수장치의 연수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연수장치가 적절한 주기로 재생되도록 하며, 소금물의 농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는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연수통;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 하기 위한 재생수가 저수되는 재생통; 상기 연수통의 연수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경도를 감지하는 경도센서; 및 상기 경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경도가 설정 값보다 클때 상기 재생통의 재생수가 상기 연수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재생 밸브가 포함된다.
다른 면에서 상기 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는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연수통;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가 저수되는 재생통; 상기 연수통의 연수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경도를 감지하는 제 1 경도센서; 상기 연수통의 입수구 측에 구비되어 경도를 감지하는 제 2 경도센서; 및 상기 제 1 경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경도와 상기 제 2 경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경도차가 설정 값 이하이면 경고하는 경고 수단이 포함된다.
또 다른 면에서 상기 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의 제어방법은 연수통의 연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경도와 설정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경도가 설정 값 이상이면 재생밸브가 개방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 다른 면에서 상기 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의 제어방법은 연수통의 연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연수통의 입수구측으로 입수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연수배출구 측의 경도와 상기 입수구측의 경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경도 차이 값이 설정 값 이하이면 경고하는 단계 가 포함된다.
또 다른 면에서 상기 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의 제어방법은 연수통의 연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상기 경도와 설정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경도가 설정 값 이상이면 재생밸브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재생밸브가 닫혀 재생과정이 종료되는 때에 상기 연수통의 연수배출구 측의 세척수와 상기 연수통의 입수구측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연수배출구 측의 경도와 상기 입수구측의 경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경도 차이 값이 설정 값 이하이면 경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여, 연수장치가 적절한 주기로 재생되어 연수장치의 연수화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수장치의 재생통에 소금이 적절한 시기에 보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수장치의 재생능력이 향상되어, 연수화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연수장치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실(180)이 형성되도록 하는 터브(190)와, 상기 케이스(19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세척실(180)을 전방에서 개폐하는 도어(130)와, 상기 터브(190)의 하측에 형성되어 세척수를 집수하고 이 물질을 거르는 필터링 작용을 하여 다시금 펌핑 하는 섬프(220)와, 상기 터브(190)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캡(200)이 구비되는 연수장치(300: 도 2 참조)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터브(190)는 대략 직육면체로서 내부에 세척실(18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세척실(190) 내벽의 상하에 가이드 레일(191)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가이드 레일(191)을 따라 상부 랙(140)과 하부 랙(150)이 슬라이딩 되어 인출 또는 인입된다.
또한, 상기 도어(130)는 상기 도어(1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도어(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당기거나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세척실(180)의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130)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130)의 배면에 일부 노출되는 배기팬(131)을 포함한 응축장치가 형성되어, 상기 식기 세척기(100)가 건조 행정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상기 세척실(180) 내부의 습기가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110)를 덮는 탑 커버(120)가 결합 된다. 상기 탑 커버(120)의 상면에 노출되는 장착되는 제어 패널(170)이 포함되는 제어부가 상기 탑 커버(120)의 하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패널 에(170)에는 상기 식기 세척기(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71)와 밸(172)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는 후술 되는 재생밸브(306)의 개폐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171)와 상기 밸(172)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장치(300)를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수 장치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200)의 상면 중앙 부위에는 세척수를 집수하여 펌핑 하는 섬프(260)와, 상기 섬프(26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플로미터(220)가 구비된 에어 브레이크(210)와,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연수화한 후에 상기 섬프(260)로 공급하는 연수장치(3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는 대략 판넬 형성으로 그 내부에 소정의 챔버들이 구비되며, 상기 터브(190)의 측벽과 상기 케이스(110)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의 일부분에는 배수 유로(212)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 유로(212)의 일단에는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배수구(213)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 유로(212)의 타 단은 상기 섬프(260)로부터 배수되는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배수 유입구(214)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 유로(212)의 일부분에는 자연배수를 방지하는 자연배수방지장치가 형성되어, 배 수과정 이외에는 자연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의 하부에는 세척수 유입구(219)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세척수 유입구(219)의 상측에는 세척수 챔버(215)가 형성된다. 상기 세척수 챔버(215)는 상기 세척수 유입구(219)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를 일시 저장하며, 이러한 세척수의 일부는 상기 터브 연통홀(211)로 유출되어, 상기 세척실(180)로 유입된다.
또한, 세척수의 일부는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 내부에 형성된 입수 유로(216)를 통하여, 상기 연수장치(300)의 연수통(310)과 연통 되는 입수구(311)로 유입된다. 이렇게 상기 연수통(311)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연수통(310) 내부에 장착된 이온교환수지에 의해 연수화 되고, 상기 연수통(310)의 일 측에 형성된 연수배출구(312)를 통과하여 상기 섬프(260)로 유입된다.
또한, 나머지의 세척수는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의 내부에 형성된 재생수 챔버(218)로 유입된다. 상기 재생수 챔버(218)에 저수되는 재생용수는 상기 연수통(310)의 일 측에 형성된 소금이 저장되는 재생통(320)으로 유입되어 소금물로 변하여 저수된다.
또한, 상기 섬프(260)는 상기 연수 배출구(312)로부터 유출되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섬프(260)에 형성된 세척수 펌프(2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터브(190) 내에 설치되는 워터 가이드 또는 하부 노즐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섬프(260)의 일 측에 배수펌프(250)가 더 형성되어 세척수가 식기 세척기(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수 배출구(312)에는 후술 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하는 경도 센서(217: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다른 연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300)는 이온교환수지가 장착되는 연수통(310)과, 상기 연수통(3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위한 소금물이 저장되는 재생통(320) 및 상기 연수통(310)과 상기 재생통(320) 사이에 형성되어 소금물의 소통을 제어하는 재생밸브(306)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연수통(310)의 내부에는 이온교환수지가 장착되고, 이러한 이온 교환수지는 상기 입수유로(216)과 상기 입수구(311)를 통과하여 상기 연수통(310)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연수화 한다. 그리고 연수화된 세척수는 상기 연수통(3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연수배출구(312)로 배출되어 상기 섬프(260)로 유입되고, 상기 섬프(260)에 형성된 세척 펌프(240)에 의하여 상기 세척실(180)에 장착되는 상부 랙(140)과 상기 하부 랙(150)에 수납되는 식기로 분사된다.
또한, 상기 연수배출구(312)에는 경도 센서(217)가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경도 센서(217)는 한 쌍의 전극을 가지는 전극 센서로서 전극 사이의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통하여 경도를 감지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연수 배출구(312)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경도는 세척수에 포함된 칼슘 이온 또는 마그네슘 이온과 같은 금속성 이온의 함유량을 의미하는 데, 금속성 이온이 많으면 많을수록 높은 경도를 의미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세척수는 세척수에 금속성 이온의 함유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게 되는 성질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 사이의 전압 또는 전류의 양은 변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세척수의 경도가 측정된다. 이러한 상기 경도 센서(217)는 세척수의 경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경도 값을 상기 제어부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경도 센서(217)는 상기 연수 배출구(312)에 한정되어 장착되지 아니하며, 세척수가 연수 배수구(312)로부터 배수되는 세척수 유로상에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이온 교환수지는 세척수에 함유된 금속성 이온을 흡착하면서 그 부피가 증가 되고, 금속성 이온의 흡착능력이 저하되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이온 교환수지의 금속성 이온을 제거하는 과정을 이온 교환수지의 재생이라 하며, 이러한 재생과정에서 재생수로서 소금물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연수통(310)의 일 측에는 내부에 소금이 저장되는 상기 재생통(320)이 형성된다. 상기 재생통(320)의 일 측에는 재생수 유입구(321)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의 재생수 유출구(221)로부터 유출되는 재생용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세히, 재생용수는 상기 재생통(320)에 저장되는 소금을 용해하여 재생수인 소금물로 변하여 상기 재생통(320)에 저수된다.
또한, 상기 재생통(320)과 상기 연수통(310)을 연통 연결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재생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재생 유로 상에는 재생 유로 내부를 따라 흐르는 재생수의 소통을 제어하는 재생 밸브(306)가 형성된다. 상세히, 재생 밸브(306)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된다.
도 4는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식기 세척기의 작동 조건이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부(401)와,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하고 경도 신호를 발생하는 경도 센서(404)와, 상기 경도 센서(404)에 의해 감지되는 경도의 기준 설정 값이 저장되는 메모리부(403)와, 상기 경도 센서(404)로부터 입력되는 경도와 상기 메모리부(403)에 저장된 설정 값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402) 및 상기 제어부(402)의 제어신호에 의해 재생밸브(406)를 개폐하는 구동부(405)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경도센서(404)는 상기 연수 배출구(312)에 설치되고, 한쌍의 전극을 구비하여 전극 사이의 전류량 또는 전압을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전류량 또는 전압에 대응되는 경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402)로 송출한다. 이러한 경도센서(312)는 바람직하게 급수 행정시 경도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403)에는 상기 경도 센서(404)에 의해 감지되는 경도의 기준이 되는 설정 값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경도 센서(404)로부터 입력되는 경도를 상기 메모리부(403)에 저장되는 설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구동부(405)로 개방 또는 폐쇄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405)는 상기 제어부(402)로부터 송출되는 개방 또는 폐쇄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 밸브(406) 및 급수밸브(407)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 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01)을 통하여 세척조건을 입력하고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식기 세척기(100)는 급수 과정이 포함된 예비 세척과정과 본 세척과정을 수행하고, 식기에서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 행정과 식기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여 식기가 세척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급수 과정은 급수 밸브가 개방되어(S501), 세척수가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을 통과하고, 상기 연수통(310)을 지나면서 상기 연수 배출구(312)로 배출되어 상기 섬프(26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경도센서(404)가 작동되어 경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402)로 경도를 송출한다.(S502)
그리고,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경도 센서(404)로부터 입력되는 경도와 상기 메모리부(403)에 저장되는 설정값과 비교하여(S503), 경도가 설정 값보다 작으면 그 이전단계(S502)를 유지한다.
이에 반하여, 경도가 설정 값보다 크면 건조 행정여부를 판단하여(S504), 건조 행정이 아니면 그 이전 단계(S503)를 유지하고, 건조 행정이면 상기 급수 밸브(407)을 폐쇄하고 상기 재생밸브(406)를 개방하여 상기 연수장치(300)가 재생과 정이 수행되도록 한다.(S505)
그 다음,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식기 세척기(100)가 건조과정을 완료하였는지를 판단하여 미완료이면, 상기 재생 밸브(406)를 계속하여 개방한다. 이에 반하여, 건조과정이 완료이면 상기 재생밸브(406)를 폐쇄하여(S507), 상기 식기 세척기(100)의 모든 세척과정이 종료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하되, 제 1 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는 다르게 제 1 경도 센서(330)와 제 2 경도 센서(3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경도센서(33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상기 연수 배출구(312)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경도 센서(340)는 상기 입수구(311) 측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경도 센서(330)와 상기 제 2 경도 센서(340)에서 감지되는 각각 경도는 후술 되는 제어부(702)로 송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식기 세척기의 작동 조건이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부(701)와, 상기 연수 배출구(312) 측에 형성되는 제 1 경도센서(704)와, 상기 입수구(311) 측에 형성되는 제 2 경도 센서(705)와, 상기 연수장치(300)의 연수화 능력에 대한 설정 값이 저장되는 메모리부(703)와, 상기 제 1 및 제 2 경고 센서(704)(705)의 차이 값이 상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702) 및 상기 제어부(702)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707) 및/또는 상기 밸(708)을 구동하는 구동부(706)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제 1 경도 센서(704)로부터 입력되는 경도와 상기 제 2 경도 센서(705)로부터 입력되는 경도의 차이를 산출하고, 상기 메모리부(703)에 저장되는 설정 값과 비교하여, 설정 값 이하이면 상기 구동부(706)로 상기 디스플레이(707) 및/또는 상기 밸(708)에서 소금보충이라는 경고음 또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고음 또는 메시지에 의해 소금보충 시기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수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수 장치(300)이 재생과정이 종료되면, 급수 밸브가 개방되어(S801), 세척수가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을 통과하고, 상기 연수통(310)을 지나면서 상기 연수 배출구(312)로 배출되어 상기 섬프(26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1 경도센서(704)와 제 2 경도 센서(705)가 작동되어, 상기 연수통(310)을 통과하기 전의 경도와 통과 후의 경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2)로 송출한다(S802).
이어서, 상기 제어부(702)는 상기 급수밸브(708)을 폐쇄 제어한다(S803).
그 다음, 상기 제 1 경도센서(704)와 제 2 경도 센서(705)로부터 입력되는 각각 경도의 차를 산출함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부(703)에 저장되는 설정값을 읽어 들이고, 경도의 차와 설정 값을 비교하여, 경도의 차가 설정 값보다 크면 이전 단계(S803)를 유지한다. 이에 반하여, 경도의 차가 설정 값보다 작으면 상기 디스플레이(707)에서는 소금 보충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밸(708)에서는 경고음이 발생 되도록 한다.(S804, S805)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707)와 상기 밸(708)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702)는 전원이 온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온 상태이면 이전 단계(S805)를 유지하고, 전원이 오프 되었으면 종료한다(S806).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하되, 제 1 및 제 2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연수 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와 같이, 식기 세척기의 작동 조건이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부(901)와, 상기 연수 배출구(312) 측에 형성되는 제 1 경도센서(904)와, 상기 입수구(311) 측에 형성되는 제 2 경도 센서(905)와, 상기 연수장치(300)의 연수화 능력에 대한 제 1 설정값과 소급 보충에 대한 제 2 설정 값 이 저장되는 메모리부(903)와, 구동부(906)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902) 및 상기 제어부(902)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707) 및/또는 상기 밸(708)을 구동하며, 급수밸브(909)와 재생밸브(910)을 구동하는 구동부(706)가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다른 연수장치의 제어방법을 도면과 함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쩨 3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901)을 통하여 세척조건을 입력하고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식기 세척기(100)는 급수 과정이 포함된 예비 세척과정과 본 세척과정을 수행하고, 식기에서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 행정과 식기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여 식기가 세척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급수 과정은 급수 밸브가 개방되어(S101), 세척수가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을 통과하고, 상기 연수통(310)을 지나면서 상기 연수 배출구(312)로 배출되어 상기 섬프(26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2 경도센서(905)가 작동되어 경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902)로 경도를 송출한다.(S102)
그리고, 상기 제어부(902)는 상기 제 2 경도 센서(905)로부터 입력되는 경도와 상기 메모리부(903)에 저장되는 설정 값과 비교하여(S103), 경도가 설정 값보다 작으면 그 이전단계(S102)를 유지한다.
이에 반하여, 경도가 설정 값보다 크면 상기 급수밸브(909)를 폐쇄하고 건조 행정여부를 판단하여(S104,S105), 건조 행정이 아니면 그 이전 단계(S104)를 유지하고, 건조 행정이면 상기 재생밸브(910)를 개방하여(S106), 상기 연수장치(300)가 재생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S107)
그 다음, 상기 제어부(902)는 건조과정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107), 미완료이면 그 이전 단계(S107)을 유지하고, 건조과정이 완료이면, 상기 재생밸브(901)을 닫고 상기 급수밸브(909)를 개방한다(S108).
이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경도 센서(904)(905)가 작동되어 경도를 감지하고 상기 급수밸브(909)를 닫는다(S109, S110)
여기서, 상기 경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다음 급수시에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제 1 경도와 제 2 경도 차를 산출하고, 차가 설정 값보다 작으면 상기 디스플레이(907)에서는 소금 보충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밸(908)에서는 경고음이 발생 되도록 한다(S112).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902)는 전원이 오프 되었으면, 종료한다(S113).
상기 제 3 실시예는 연수장치의 성능을 감안하여 재생주기가 제어되도록 함과 동시에, 재생에 사용되는 소금의 적정량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알려질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연수장치의 동작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여, 연수장치가 적절한 주기로 재생되어 연수장치의 연수화 능력이 향상되 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수장치의 재생통에 소금이 적절한 시기에 보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수장치의 재생능력이 향상되어, 연수화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연수통;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가 저수되는 재생통;
    상기 연수통의 연수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경도를 감지하는 경도센서; 및
    상기 경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경도가 설정 값보다 클 때 상기 재생통의 재생수가 상기 연수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재생 밸브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 센서는 급수 행정시에 경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연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밸브는 건조 행정시에 개방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4. 연수통의 연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경도와 설정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경도가 설정 값 이상이면 재생밸브가 개방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밸브가 개방되는 단계는 건조과정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의 제어방법.
  6.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연수통;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가 저수되는 재생통;
    상기 연수통의 연수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경도를 감지하는 제 1 경도센서;
    상기 연수통의 입수구 측에 구비되어 경도를 감지하는 제 2 경도센서; 및
    상기 제 1 경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경도와 상기 제 2 경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경도차가 설정값 이하이면 경고하는 경고 수단이 포함된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디스플레이와 밸 중 일부 또는 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수단은 소금보충을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9. 연수통의 연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연수통의 입수구측으로 입수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연수배출구 측의 경도와 상기 입수구측의 경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경도 차이 값이 설정 값 이하이면 경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하는 단계는 밸과 디스플레이 중 일부 또는 전부로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의 제어방법.
  11. 연수통의 연수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경도와 설정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경도가 설정 값 이상이면 재생밸브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재생밸브가 닫혀 재생과정이 종료되고난 다음에, 이 후에 연수를 생성할 때에 상기 연수통의 연수배출구 측의 세척수와 상기 연수통의 입수구측의 경도를 감지되는 단계;
    상기 연수배출구 측의 경도와 상기 입수구측의 경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 계; 및
    산출된 경도 차이 값이 설정 값 이하이면 경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의 연수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73910A 2006-08-04 2006-08-04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2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10A KR20080012690A (ko) 2006-08-04 2006-08-04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07800290873A CN101500467B (zh) 2006-08-04 2007-08-03 洗碟机及其控制方法
PCT/KR2007/003755 WO2008016283A1 (en) 2006-08-04 2007-08-03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07807959.7A EP2046187A4 (en) 2006-08-04 2007-08-03 DISHWASHING MACHINE AND CONTROL PROCESS THEREFOR
RU2009103011/12A RU2390304C1 (ru) 2006-08-04 2007-08-03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AU2007279512A AU2007279512B2 (en) 2006-08-04 2007-08-03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10A KR20080012690A (ko) 2006-08-04 2006-08-04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690A true KR20080012690A (ko) 2008-02-12

Family

ID=3934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910A KR20080012690A (ko) 2006-08-04 2006-08-04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26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8835A (zh) * 2018-05-16 2018-08-17 杭州洁浦科技有限责任公司 软水器装置及水槽式清洗机
CN110693433A (zh) * 2018-07-09 2020-01-1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软化装置、控制方法及洗碗机
CN110693431A (zh) * 2018-07-09 2020-01-1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软化装置、控制方法及洗碗机
WO2023136521A1 (ko) * 2022-01-13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8835A (zh) * 2018-05-16 2018-08-17 杭州洁浦科技有限责任公司 软水器装置及水槽式清洗机
CN110693433A (zh) * 2018-07-09 2020-01-1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软化装置、控制方法及洗碗机
CN110693431A (zh) * 2018-07-09 2020-01-1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软化装置、控制方法及洗碗机
WO2023136521A1 (ko) * 2022-01-13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009B1 (ko)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845839B1 (en) Water softening apparatus
KR101692719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JP6303196B2 (ja) 洗浄機に対して処理組成物の制御した注入を行う方法及び装置
KR20080012690A (ko)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7473B1 (ko) 연수장치
US20090056752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dishwashing machine having a steam generator
EA019827B1 (ru) Способ оптимизации фазы полоскания в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е, а также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1186156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자가 세척방법
KR10072201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RU2390304C1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JP2004129772A (ja) 食器洗い機
JP2003135361A (ja) 食器洗い機
KR0171517B1 (ko) 식기세척기의 세제량투입결정방법
WO2015051826A1 (en) Improved three-way valve suitable for use in a dishwasher
CN221083569U (zh) 洗碗机
JP2000233160A (ja) 洗浄機
JP2003135359A (ja) 洗浄機、及び電解水の生成装置
JP4034232B2 (ja) 食器洗浄機
KR20070117301A (ko) 드럼세탁기
JP2973167B2 (ja) 食器洗浄機の制御方法
JP2004016364A (ja) 食器洗い機
KR20220026823A (ko) 식기 세척기
KR101290393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14732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