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473B1 - 연수장치 - Google Patents

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473B1
KR100717473B1 KR1020050123714A KR20050123714A KR100717473B1 KR 100717473 B1 KR100717473 B1 KR 100717473B1 KR 1020050123714 A KR1020050123714 A KR 1020050123714A KR 20050123714 A KR20050123714 A KR 20050123714A KR 100717473 B1 KR100717473 B1 KR 100717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generation
ion exchange
exchange resin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진
윤상헌
전시문
한대영
박능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29Water softe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수가 저수되는 재생통;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연수통;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부피 변화에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밸브;가 포함되는 연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에 의하여, 연수통에 실장되는 이온교환수지의 열화 여부가 정확히 판단되고 불필요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행정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재생수와 소금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소금의 절약은 사용자에게 소금을 충진 해야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연수장치, 이온교환수지, 홀 센서, 솔레노이드밸브,

Description

연수장치{water softe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장치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 베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Ⅰ-Ⅰ'를 따라 절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통을 나타낸 후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324:홀 센서 325: 마그네틱
350: 재생제어부 313: 재생 밸브
본 발명은 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이온 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결정하여 재생하는 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세히,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 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세척수가 분사 노즐로 이동되고, 상기 분사 노즐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 노즐 끝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 표면에 부딪혀서,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이 터브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구비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는 섬프와, 상기 섬프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경도를 낮추어 연수화 하는 연수장치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연수 장치는 세척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금속성 이온을 흡착하여 연수화 하는 이온 교환 수지가 수용된 연수통과, 상기 이온 교환 수지를 재생시키기는 소금물을 생성하기 위한 소금이 저장되는 소금통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소금통은 소금을 투입하는 투입구를 가진다. 이러한 투입구는 상기 터브 저면으로부터 터브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는 캡에 의하여 개폐된다. 한편,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하여, 소금물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소금통내부에 저장된 소금이 부족하게 된 경우, 사용자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열고, 터브 저면에 돌출되어 있는 상기 투입구의 캡을 돌려서 연다. 그리고 상기 개구된 투입구를 통하여 소금을 투입한 다음 다시 상기 캡을 돌려서 잠근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식기세척기는 예비세척과, 본 세척과, 헹굼 및 건조의 단 계를 통하여 터브 내에 안치되는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상세히, 예비세척과정에서는 식기를 불리는 작용을 하고 본 세척과정에서는 세제와 함께 식기를 세척한다. 그리고 헹굼 단계에서는 식기에 묻어 있는 세제 및 오물을 완전히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건조 단계에서는 열풍 등을 이용하여 식기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한다.더욱 상세히, 상기 예비 세척단계에서 필수적으로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재생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연수장치에 있어서, 연수통 내에 수용되는 이온교환수지의 열화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장치의 미비로 인하여, 재생과정이 과도하게 반복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매 예비 세척단계에서 이온교환수지는 재생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과도하게 반복되는 재생과정은 재생수를 형성하기 위한 소금과 세척수의 과소비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 나아가서 사용자에게 필요 이상의 재생수 생성에 따른 소금부족으로 인하여, 소금충전을 빈번히 해야 하는 수고를 부담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는 적절한 시기에 연수장치를 작동시켜 이온교환수지의 과도한 재생행정을 줄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재생수가 저수되는 재생통;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연수통;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부피 변화에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밸브;가 포함되는 연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덮개에는 마그네틱이 포함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을 감지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밸브가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센서에 덮개가 감지되면 상기 밸브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연수통에는 상기 덮개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이온교환수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에 의하여, 연수통에 실장되는 이온교환수지의 열화 여부가 정확히 판단되고 불필요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행정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100)는 외관을 이루고 전방이 개구되는 케이스(102)와, 상기 케이스(102)의 개구된 전방을 밀폐시키는 도어(104)가 포함되며, 식기 세척기(100)의 내부에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이 포함되는 터브(106)가 놓이고, 상기 터브(106)의 하측에는 세척수를 집수하고 이물을 걸러서 다시금 분사되도록 하는 섬프(220: 도 2참조)와, 상기 터브(106) 바닥면에 돌출되며 후술하는 재생수통의 소금주입구를 개폐하는 캡(331)과, 세척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금속성 이온을 흡착하여 연수화 하는 연수장치(300:도 2참조)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터브(106)는 대략 직육면체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에는 식기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의 상/하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106)의 외부로 슬라이딩 되어 인출되는 상/하부 랙(110)(111)과, 상기 상/하부 랙(110)(111)을 향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 노즐(150)(16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104)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힌지(미도시)에 의해 상기 케이스(102)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도어(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04)의 소정위치에는 배기팬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기팬은 상기 터브(106) 내부의 공기가 강제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도어(104)를 열고 상기 상부 랙(110) 및/또는 상기 하부 랙(111)에 식기를 수납한 다음 상기 도어(104)를 닫는다. 그리고 상기 식기 세척기(100)의 외부 일면에 형성된 조작부에 형성된 조작버튼을 눌러 세척조건을 입력한다. 그리고 시작버튼을 누르면 입력된 세척조건에 따른 식기세척이 시작된다.
그 다음 상기 식기 세척기(100)의 세척이 시작되면, 에어브레이크(210: 도2 참조)와 연수장치(300: 도 2참조)를 경유한 세척수가 상기 섬프(220)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세척수는 상기 섬프(220)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연수장치(300)를 거쳐 연수로 변화된다. 상세히, 상기 세척수에 포함된 중금속 및 금속성 이온이 상기 연수장치(300)의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되면서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22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섬프의 일측에 형성된 세척펌프(230)의 펌핑 작용에 의해 상부 노즐(150)과 하부 노즐(160)로 펌핑 된다. 여기서, 상기 펌핑된 세척수는 상기 상부 노즐(150)과 상기 하부 노즐(160) 쪽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교대로 공급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터브(106) 내에서는 상기 하부 노즐(160)을 통하여 세척수가 소정의 시간 동안 분사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상부 노즐(150)을 통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는 과정을 반복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기 상/하부랙(110)(111)에 안치되는 식기에 부딪히게 되어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 찌거기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물질이 포함된 오수는 상기 터브(106)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어 상기 섬프(220: 도 2참조)로 유입된다. 그 다음 상기 오수는 상기 섬프(220: 도 2참조)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펌프(250: 도 2참조)에 의해 상기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식기세척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배기팬(180)이 운전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된 식기에 대한 건조행정이 개시된다. 이어서, 상기 배기팬(180)이 정지하게 되면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104)를 열어 세척과 건조가 완료된 식기를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장치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2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유동되도록 하는 에어 브레이크(210)와,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의 유출구(212)(213)와 연결되어 세척수와 재생용수가 유입되고, 세척수에 포함된 중금속 및 금속성 이온을 걸러 주며 연수장치(300)와, 상기 연수장치(300)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집수하고 이물을 걸러서 다시금 분사되도록 하는 섬프(220)와, 세척수를 고온으로 가열시켜주는 히터(230)와, 세척단계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세척 펌프(240)와, 배수단계에서 세척수가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펌프(250)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는 급수구(211)를 통하여 에어 브레이크(210) 내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브레이크(210)의 내부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원수는 에어 브레이크(2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세척수/재생용수유출구(212)(213)로 배출되어 연수장치(300) 내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유출구(213)로부터 유출된 세척수는 상기 연수장치(300)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세척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금속성 이온이 이온교환수지(후술함)에 흡착된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의 이온흡착과정에 의하여 세척수는 경수에서 연수화 한다. 그리고 상기 연수장치(300)를 유동한 세척수는 상기 섬프(22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펌프(240)가 작동하게 되면 세척수는 상기 상부 노즐(150)과 하부 노즐(160)로 펌핑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생용수유출구(213)로부터 배출되는 재 생용수는 연수장치(300)의 재생통으로 유입되어 재생용수로서 작용 되는 소금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소금물은 상기 연수장치(300)의 연수통에 실장되는 이온교환수지가 열화된 경우 재생되게 한다.
세척되는 과정에서 상기 세척수는 상기 섬프(220)에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면서 반복적으로 순환하게 되고, 이러한 순환과정 중에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222)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세척이 완료되면, 식기 세척기(100) 내부의 세척수는 외부로 배수된다. 상세히,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해서 배수펌프(250)가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펌프(250)의 펌핑 작용에 의해 세척수는 상기 식기 세척기(100)의 외부와 연결되는 배수호스(미도시)를 경유하여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완전히 배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는 연수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브레이크의 세척수/재생용수유출구(212)(213)로 배출되는 세척수 및 재생용수를 유입하는 세척수입수구(311) 및 재생용수입수구(312)와, 세척수를 연수화 하는 이온교환수지(322: 도 4참조)와, 내부에 상기 이온교환수지(322)가 실장 되는 연수통(320)과, 재생수를 생성하기 위한 소금이 충진되고 소금물이 저장되는 재생통(330)과, 상기 재생통(330)과 연수통(320) 사이에 형성되는 재생수유로(314)와, 상기 재생수유로(314)의 일측에 형성되어 재생수유로(314)를 개폐하는 재생밸브(313)와, 홀센서(324)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밸브(313: 도 4참조)로 제어신호가 송출되는 재생제어부 (3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310)는 연수장치의 외곽을 이루며 그 내부에 형성된 구획벽에 의해 상기 연수통(320)과 재생통(3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에 상기 에어브레이크의 세척수유출구(213)로부터 유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연수통(32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세척수입수구(3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입수구(311)의 직측에 상기 에어브레이크의 재생용수유출구(212)로부터 유출되는 재생용수를 상기 재생통(32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재생수 입수구(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0)의 바닥면에는 연수장치베이스(340)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10)가 지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310)와 상기 연수장치베이스(340)가 접하는 일측에는 상기 재생통(330)과 상기 연수통(320)이 연통 되도록 하는 재생수유로(314: 도 4참조)가 일부 노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일부 노출된 재생수유로(314)에는 상기 재생밸브(313: 도 4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수통(320)은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공간 일부를 점유하며, 원통형의 통형상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러한 연수통(320)은 상기 에어 브레이크의 세척수유출구(212)로부터 유출되고 상기 세척수입수구(213)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세척수를 연수화 한다. 그리고 이렇게 연수화된 세척수는 상기 케이스(310)를 관통하며 형성된 배수구(321)를 통하여 상기 섬프(220)로 배수된다.
한편, 이러한 연수통(32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재생통(330)은 상기 케이스(310) 내부공간 일부분을 점유하며 형성된다. 이러한 재생통(330)은 재생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소금이 저장된 다. 그리고 상기 재생통(330)의 상부에 형성된 소금주입구(332)가 형성되어 상기 터브(106)의 바닥면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돌출된 소금주입구(332)에 상기 캡(331)이 씌워진다. 상세히, 상기 소금주입구(332)로 소금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소금이 채워진다. 그리고 이러한 재생통(330)은 상기 재생용수입수구(312)로부터 유입되는 재생용수에 소금이 용해되어 생성되는 재생수를 저장한다. 그리고 재생수는 상기 재생통(330)의 하부에 형성된 재생수 유로(314: 도 4참조)에까지 채워지게 된다. 한편, 재생수인 소금물의 농도는 10%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금물의 농도는 자석과 플로우트와 리드 스위치를 이용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밸브(313)는 상기 연수통(320)과 재생통(330)을 연통하는 유로에 장치된다. 상세히, 상기 재생유로는 상기 연수 장치 베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노출된 재생유로에 상기 재생밸브(313)가 장치된다. 이러한 재생밸브(313)는 후술하는 제어부(35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개폐된다. 여기서, 상기 재생밸브(313)로는 전류의 크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홀 센서(324)와, 상기 제어부(350)와, 상기 이온교환수지(322)는 후술하는 연수통(320)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Ⅰ-Ⅰ'를 따라 부분 절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수통은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공간 일 부를 점유하며 상기 재생통(330)의 직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수통(320) 내부에 실장되는 이온교환수지(322)와, 상기 이온교환수지(322)의 유동을 방지하는 하부이온교환수지덮개(326) 및 상부이온교환수지덮개(323)와, 상기 상부이온교환수지덮개(323)의 외주에 장착되는 마그네틱(325)과, 상기 연수통(3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홀센서(324)와, 상기 연수통(320) 하부에 형성되어 재생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재생밸브(313)와, 상기 연수통(32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 유입구와 연통되는 세척수 유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연수통(3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32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이온교환수지(322)는 상기 연수통(320) 내부에 실장된다. 이러한 이온교환수지(322)는 세척수에 함유된 칼슘(Ca+)이온과 반응하여 세척수를 연수화 한다. 그리고 소금물과 반응하여 재생되는 성질을 가진다. 상세히, 상기 이온교환수지(322)로는 대표적으로 R-SO3Na가 사용된다. 이러한 R-SO3Na는 하기의 반응식 1과 같이 정의되는 연수반응식을 통하여 세척수를 연수화 한다. 그리고 하기의 반응식 2와 같이 정의되는 반응식 2를 통하여 소금물에 의해 이온교환환원반응을 하여 재생된다.
2(R-SO3Na) + Ca2+ → (R-SO3)2Ca + 2Na+
(R-SO3)2Ca + 2NaCl → 2(R-SO3Na) + CaCl2
여기서, 반응식 1은 연수 반응식이고, 반응식 2는 재생 반응식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이온교환수지(322)는 세척수를 연수화 하면서 그 부피가 증가 되는 성질을 가진다. 즉, 열화 되어 부피가 증가 되는 성질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이온교환수지덮개(326)는 재생수 및 세척수가 유통되는 다수의 홀을 구비하며, 상기 연수통(320)의 내부 상기 이온교환수지(322)의 하부에 장치된다. 이러한 하부이온교환수지덮개(326)는 상기 이온교환수지(322)의 유동을 방지하며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연수통(320)의 하부에서 용승되는 세척수와 재생수가 상기 이온교환수지(322)를 골고루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322)의 연수화 능력과 재생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이온교환수지덮개(323)는 상기 이온교환수지(322)의 상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외주면은 상기 연수통(320)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이온교환수지덮개(323)는 상기 이온교환수지(322)의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연수통(320)의 상부로 상승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온교환수지(322)는 세척수에 함유된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그 부피가 증가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이온교환수지덮개(326)는 상기 연수통(320)의 하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증가된 부피는 상기 상부이온교환수지덮개(323)를 상기 연수통(320) 상부로 가압하는 힘으로써 작용된다. 따라서, 상기 이온교환수지덮개(323)는 상기 연수통(320)의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327)은 상기 상부이온교환수덮개(323)의 상면과 상기 연수통(320)의 천정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스프링(327)은 일정한 탄성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이온교환수지덮개(323)를 일정하게 하측으로 가압한다. 다시 말하 면, 상기 스프링(327)은 상기 이온교환수지(322)의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상부이온교환수지덮개(323)가 연수통(320)의 상부로 상승하면 응축된다. 반면에, 상기 이온교환수지(322)의 부피가 감소하면, 상기 상부이온교환수지덮개(323)를 상기 연수통(320)의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상부이온교환수지덮개(323)가 상기 연수통(320)의 하부로 이동하게 한다. 상세히, 상기 스프링(327)은 상기 이온교환수지(322)의 부피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이온교환수지덮개(323)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325)은 상기 상부이온교환수지덮개(323)의 외주에 형성된다. 이러한 마그네틱(325)은 자기적 신호를 상기 홀 센서(324)로 송출한다.
또한, 상기 홀센서(324)는 상기 연수통(320)의 외주면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마그넥틱(325)에서 송출되는 미세의 자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재생 제어부(350)에 송출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321)는 상기 연수통(320)이 연수화 작용을 수행하는 경우 연수를 섬프로 배수하는 배수구로 작용 된다. 반면에, 상기 연수통(320) 내의 상기 이온교환지가 재생되는 경우 폐수를 상기 섬프(220)로 배수하는 배수구로 작용 된다.
또한, 상기 재생제어부(350)는 상기 식기 세척기의 메인 제어부에 구성된다. 이러한 재생제어부(350)는 상기 홀 센서(32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재생밸브(313)로 개방신호를 출력한다. 반면에, 상기 홀 센서(32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없으면 상기 재생밸브(313)로 폐쇄신호를 보낸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연수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홀 센서(324)가 상기 마그네틱(325)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홀 센서(324)는 상기 마그네틱(325)송출되는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재생제어부(350)로 신호를 송출한다. 이어서, 상기 재생제어부(350)는 상기 홀 센서(324)로부터 송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재생밸브(313)로 개방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재생밸브(313)는 상기 재생제어부(350)의 개방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되며, 상기 재생통(330)의 소금물이 상기 연수통(320)로 유입되어 상기 이온교환수지(322)의 재생이 시작된다.
반면에, 상기 홀 센서(324)가 상기 마그네틱(325)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미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홀 센서(324)는 상기 마그네틱(325)송출되는 신호를 미감지함에 따라 상기 재생제어부(350)로 신호를 송출하지 아니한다. 이어서, 상기 재생제어부(350)는 상기 재생밸브(313)로 폐쇄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재생밸브(313)는 상기 재생제어부(350)의 폐쇄제어신호에 의하여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재생통(330)의 소금물이 상기 연수통(32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이온교환수지(322)의 재생이 종료된다.
상기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장치에 의하여, 연수통에 실장되는 이온교환수지의 열화 여부가 정확히 판단되고 불필요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행정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재생수와 소금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 가서, 상기 소금의 절약은 사용자에게 소금을 충진 해야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재생수가 저수되는 재생통;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연수통;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부피 변화에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밸브;가 포함되는 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마그네틱이 포함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을 감지하는 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덮개가 감지되면 상기 밸브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통에는 상기 덮개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포함되는 연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이온교환수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장치.
KR1020050123714A 2005-12-15 2005-12-15 연수장치 KR100717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714A KR100717473B1 (ko) 2005-12-15 2005-12-15 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714A KR100717473B1 (ko) 2005-12-15 2005-12-15 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473B1 true KR100717473B1 (ko) 2007-05-14

Family

ID=3827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714A KR100717473B1 (ko) 2005-12-15 2005-12-15 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4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499B1 (ko) * 2008-08-28 2011-06-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정용 연수기
KR20150029416A (ko) * 2013-09-10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551978B1 (ko) 2008-11-04 2015-09-09 코웨이 주식회사 전해수 살균 식기 세척기
WO2023195607A1 (ko) * 2022-04-07 2023-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981A (ja) * 1992-03-17 1994-02-22 Antonio Merloni Spa 食器洗浄機用水処理装置
JP2001238845A (ja) 2000-02-28 2001-09-04 Hitachi Ltd 食器洗浄機
KR20040023103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연수장치
KR100457431B1 (ko) 2002-11-25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981A (ja) * 1992-03-17 1994-02-22 Antonio Merloni Spa 食器洗浄機用水処理装置
JP2001238845A (ja) 2000-02-28 2001-09-04 Hitachi Ltd 食器洗浄機
KR20040023103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연수장치
KR100457431B1 (ko) 2002-11-25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499B1 (ko) * 2008-08-28 2011-06-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정용 연수기
KR101551978B1 (ko) 2008-11-04 2015-09-09 코웨이 주식회사 전해수 살균 식기 세척기
KR20150029416A (ko) * 2013-09-10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125724B1 (ko) * 2013-09-10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WO2023195607A1 (ko) * 2022-04-07 2023-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009B1 (ko)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845839B1 (en) Water softening apparatus
KR100717473B1 (ko) 연수장치
WO2003056998A1 (fr) Dispositif de lavage et de sechage de la vaisselle
EP1905339B1 (en) Industrial dishwasher with improved water softening circuit
KR101028078B1 (ko) 식기 세척기의 세탁방법
US20090056752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dishwashing machine having a steam generator
KR20080012690A (ko)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206261B2 (ja) 食器洗浄機及びその洗剤供給方法
RU2390304C1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KR101054130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JP2004223075A (ja) 食器洗浄機
WO2015051826A1 (en) Improved three-way valve suitable for use in a dishwasher
EP3645779B1 (en) Method for operating a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0794346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0808262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0808261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170012965A (ko) 식기세척기
KR20240035171A (ko) 연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060036750A (ko) 정수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
KR20060036751A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230106450A (ko)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60095409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1046790A (ja) 電気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