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617A - 싱크대용 세척기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617A
KR20080012617A KR1020060073705A KR20060073705A KR20080012617A KR 20080012617 A KR20080012617 A KR 20080012617A KR 1020060073705 A KR1020060073705 A KR 1020060073705A KR 20060073705 A KR20060073705 A KR 20060073705A KR 20080012617 A KR20080012617 A KR 20080012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in body
sink
body part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도
Original Assignee
정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도 filed Critical 정성도
Priority to KR102006007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2617A/ko
Publication of KR2008001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introduc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into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용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방울과 초음파에 의한 세척으로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싱크대에 안착시켜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싱크대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척물을 저장하여 세척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저부에 마개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공기의 송풍으로 상기 세척물을 세척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싱크대(1)의 주연부에 걸쳐져 싱크대(1)의 내부 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양측에 날개부(11)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송풍기(30)에 연결되게 송풍구(12)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10)의 내측 저부로 연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주연부가 걸쳐져 일체 또는 착탈되게 구비되되 상기 본체(10)의 내부 저면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저부에 다수개의 공기유출공(22) 및 상기 마개(25)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마개관통홀(23)이 형성된 세척통(20)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상기 송풍기(30)의 동작 및 세척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척통, 공기유출공, 누름핀, 진동기

Description

싱크대용 세척기{A WASHING APPARATUS FOR A SINK}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용 세척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도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3의 A부를 보인 확대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용 세척기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싱크대 10: 본체
11: 날개부 12: 송풍구
14: 배수구 20: 세척통
22: 공기유출공 23: 마개관통홀
25: 마개 26: 제2경사면
30: 송풍기 32: 송풍관
40: 제어부 45: 누름핀
46: 제1경사면 50: 진동기
본 발명은 싱크대용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방울과 초음파에 의한 세척으로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싱크대에 안착시켜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싱크대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세척하는 경우에는 물을 이용하여 손으로 비벼 세척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세척장치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세척대상물을 청결하게 세척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으며, 이를 일일이 세척하는 것이 번거러웠으며, 특히 세척장치를 비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함에 따라 주방면적의 축소와 더불어 주방에서의 이동시 불편하며 자칫 부주의로 인하여 세척장치를 파손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주방에서의 과일 또는 채소를 세척하는 경우, 통상 싱크대에서 배출되는 물에 일일이 손으로 씻어냄에 따라 번거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청결치 못하였으며, 별도의 세척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주방의 일정 공간에 세척장치를 설치시킨 상태로 이용하여야 함에 따라 주방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불편함을 느끼면서 생활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방울의 분출로 인해 발생되는 와류를 이용하여 세척물을 단시간내에 세척함과 아울러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초음파에 의한 살균세척으로 유해물질 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으며, 특히 싱크대에 안착시켜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주방면적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싱크대용 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세척물을 저장하여 세척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저부에 마개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공기의 송풍으로 상기 세척물을 세척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싱크대의 주연부에 걸쳐져 싱크대의 내부 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양측에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게 송풍구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내측 저부로 연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주연부가 걸쳐져 일체 또는 착탈되게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내부 저면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저부에 다수개의 공기유출공 및 상기 마개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마개관통홀이 형성된 세척통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송풍기의 동작 및 세척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마개의 저부를 밀어올려 세척수를 배출시키도록 누름핀이 더 구비되되, 상기 누름핀의 단부에 상측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의 저면 일측은 상기 제1경사면에 간섭되게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핀의 동작에 의해 상호 간섭되면서 상기 마개를 개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의 내부 저면에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세척물을 살균시키도록 다수개의 진동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싱크대용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용 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3은 도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의 A부를 보인 확대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용 세척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용 세척기는 세척물을 저장하여 세척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저부에 마개(25)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내부에 일체 또는 착탈되게 구비되는 세척통(20)과,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공기의 송풍으로 상기 세척물을 세척시키기 위한 송풍기(30)와, 상기 송풍기(30)의 동작 및 세척시간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싱크대(1)의 가로 길이의 주연부에 걸쳐져 싱크대(1)의 내부 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양측에 날개부(11)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송풍기(30)에 연결되게 송풍구(12)가 구비되되, 상기 송풍구(12)는 상기 본체(10)의 내측 저부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송풍기(30)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본체(10)의 내측 저부에서 송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세척통(20)은 상기 본체(10)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본체(10)의 주연부에 걸쳐져 저면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저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공기유출공(22)이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30)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게 되며, 저부의 일정 장소에는 상기 본체(10)의 배수구(14)를 개폐하는 상기 마개(25)가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마개관통홀(23)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세척 후 세척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송풍기(30)의 동작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세척통(20)의 저면과 상기 본체(10)의 사이로 송풍된 후 상기 세척통(20)의 공기유출공(22)을 통해 상부로 송풍되면서 공기방울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상기 마개(25)의 저부를 밀어올려 세척수를 배출시키도록 누름핀(45)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누름핀(45)의 단부에는 상측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제1경사면(46)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25)의 저면 일측은 상기 제1경사면(46)에 간섭되게 제2경사면(26)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핀(45)의 동작에 의해 상호 간섭되면서 상기 마개(25)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세척통(20)의 내부에 세척물을 저장시켜 세척시킨 후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경우,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된 누름핀(45)을 가압하게 되면 누름핀(45)의 단부가 상기 마개(25)를 밀어 올리면서 상기 본체(10)의 배수구(14)의 일측을 개방하게 되어 세척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누름핀(45)은 스프링(미도시)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원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누름핀(45)의 사용시 편의를 위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 저면에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세척물을 살균시키 도록 다수개의 진동기(50)가 구비되어 세척시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진동기(50)는 상기 제어부(40)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40)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주방의 싱크대(1)에 본 발명의 세척기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세척기의 본체(10)에 형성된 송풍구(12)에 송풍기(30)를 송풍관(32)을 이용하여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송풍기(30)는 싱크대(1)의 내부 또는 주방의 벽면에 부착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 후, 상기 본체(10)의 세척통(20) 내부에 세척하고자 하는 과일, 야채 등의 세척물을 저장시킨 후 상기 송풍기(30)를 동작시켜 공기를 불어넣어 주게 되면, 상기 공기는 본체(10)의 저부로 이동된 후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유출공(22)을 통해 공기방울을 발생시키면서 상부로 떠오르게 되며, 상기 공기방울에 의해 상기 세척물이 세척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사용자가 세척시간 등을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세척물을 살균시에는 진동기(50)를 동작시켜 수중에서의 초음파에 의한 발진으로 살균세척할 수 있게 하면 된다.
세척물의 세척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 끼워진 마개(25)를 잡아당겨 세척수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구비된 누름핀(45)을 가압하여 상기 마개(25)를 상측으로 밀어 세척수를 배출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과 함께 초음파세척이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덮개(미도시)를 별도로 구비시켜 세척물의 세척시 세척수가 외부로 튀어 나오지 않게 함과 아울어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방울의 분출로 인해 발생되는 와류를 이용하여 세척물을 단시간내에 세척함과 아울러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초음파에 의한 살균세척으로 유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으며, 특히 싱크대에 안착시켜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주방면적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세척물을 저장하여 세척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저부에 마개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공기의 송풍으로 상기 세척물을 세척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싱크대(1)의 주연부에 걸쳐져 싱크대(1)의 내부 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양측에 날개부(11)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송풍기(30)에 연결되게 송풍구(12)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10)의 내측 저부로 연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주연부가 걸쳐져 일체 또는 착탈되게 구비되되 상기 본체(10)의 내부 저면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저부에 다수개의 공기유출공(22) 및 상기 마개(25)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마개관통홀(23)이 형성된 세척통(20)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상기 송풍기(30)의 동작 및 세척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상기 마개(25)의 저부를 밀어올려 세척수를 배출시키도록 누름핀(45)이 더 구비되되,
    상기 누름핀(45)의 단부에 상측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제1경사면(46)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25)의 저면 일측은 상기 제1경사면(46)에 간섭되게 제2경사 면(26)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핀(45)의 동작에 의해 상호 간섭되면서 상기 마개(25)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세척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 저면에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세척물을 살균시키도록 다수개의 진동기(50)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세척기.
KR1020060073705A 2006-08-04 2006-08-04 싱크대용 세척기 KR20080012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705A KR20080012617A (ko) 2006-08-04 2006-08-04 싱크대용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705A KR20080012617A (ko) 2006-08-04 2006-08-04 싱크대용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617A true KR20080012617A (ko) 2008-02-12

Family

ID=3934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705A KR20080012617A (ko) 2006-08-04 2006-08-04 싱크대용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26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733B1 (ko) * 2018-08-30 2019-09-10 최현우 공기방울과 물결을 이용한 주방용 세척기
KR102607193B1 (ko) * 2023-08-03 2023-11-29 주식회사 씨에스라이프랩 싱크대 거치형 초음파 식기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733B1 (ko) * 2018-08-30 2019-09-10 최현우 공기방울과 물결을 이용한 주방용 세척기
KR102607193B1 (ko) * 2023-08-03 2023-11-29 주식회사 씨에스라이프랩 싱크대 거치형 초음파 식기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101B1 (ko) 자동 도마세척살균장치
JP4851621B2 (ja) 微細気泡を利用したシャワー及び洗浄装置
US8083864B2 (en) Cleaning device
JP6558049B2 (ja) 洗浄装置及びキッチンシンク
US5353442A (en) Rapid action plunger
KR20110099597A (ko) 피부 미용 장치
JP2008025172A (ja) 便器
KR20080012617A (ko) 싱크대용 세척기
JP2017066639A (ja) 便器装置
KR20160021500A (ko) 미세기포발생장치를 통한 위생세정 및 세욕 장치
KR200413541Y1 (ko) 배수통 세척기
KR200466633Y1 (ko) 자외선 살균 장치가 구비된 싱크볼
KR101342096B1 (ko) 위생 소변기
KR20080070339A (ko)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KR101076659B1 (ko) 이동식 살균 세척장치
KR100747703B1 (ko) 초음파살균세척기
KR100926999B1 (ko)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수전금구
KR20020026223A (ko) 초음파와 오존을 이용한 이동식 세척기
KR100993089B1 (ko) 조리용 음식재료 세척기
KR101792835B1 (ko) 피부 세정 진공흡입장치
KR101977470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0295646Y1 (ko) 젖병 세척기
KR101634051B1 (ko) 샤워기 고정이 가능한 비누케이스
CN111850923A (zh) 一种超声波洗涤装置及控制方法
KR200404854Y1 (ko) 초음파 세척 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