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500A - 미세기포발생장치를 통한 위생세정 및 세욕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기포발생장치를 통한 위생세정 및 세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500A
KR20160021500A KR1020140106790A KR20140106790A KR20160021500A KR 20160021500 A KR20160021500 A KR 20160021500A KR 1020140106790 A KR1020140106790 A KR 1020140106790A KR 20140106790 A KR20140106790 A KR 20140106790A KR 20160021500 A KR20160021500 A KR 20160021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in body
washing water
feces
vacuum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근
Original Assignee
최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근 filed Critical 최명근
Priority to KR102014010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1500A/ko
Publication of KR2016002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는, 내벽(130a)과 외벽(130b)에 의해 둘러싸인 제1 공간부(130)를 가지며, 상기 내벽(130a)의 안쪽에 제2 공간부(110)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가 폐쇄되어 상기 제2 공간부(110)에 진공압력이 형성될 때,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의 중앙 및 내부 저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분출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벽(130a)을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세정수 분사구(140); 상기 본체(100)의 내벽(130a)과 외벽(130b) 사이의 제1 공간부(130)와 연결되는 세정수 공급원(400); 상기 본체(100)의 제2 공간부(110)의 저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제2 공간부(110)에 진공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공간부(110)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구(150); 상기 본체(100)의 배출구(15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00)의 제2 공간부(110) 내의 대소변을 흡입하여 수거하는 수거조(200); 상기 수거조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본체의 제2 공간부(110)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수단(300); 및 상기 세정수 공급원(400), 상기 수거조(200) 및 상기 공기 흡입 수단(300) 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기포발생장치를 통한 위생세정 및 세욕 장치 {MICRO BUBBLE WASHING DEVICE AND AUTOMATIC DISPOSING APPARATUS OF FECES AND URINE}
본 발명은 진공압력과 미세기포발생장치에 의해 소용돌이 물살을 발생시켜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고 대소변을 자동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항문 등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로서, 사용자가 용변을 끝내고 난 후 비데를 작동시키면 분사노즐이 사용자의 항문 직하방인 전방으로 돌출되게 되고 분사노즐의 분사구를 통해 세정수가 분출되어 사용자의 세척부위를 세척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령, 치매, 중풍 등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침대에서 누워서 대소변을 보는 중증 환자의 경우는 상기와 같은 비데를 사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한국 특허 제10-0097439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령, 치매, 중풍 등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침대에서 누워서 대소변을 보는 중증 환자라도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세정수의 분출 뿐아니라 대소변을 흡입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 특허 제10-0097439호의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피부가 연약한 환자의 국부로 집중적인 정상류의 세정수를 분출함으로써 인체의 국부에 강한 자극을 주거나 상처를 입힐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 제10-0152683호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류에 난류를 부여하는 난류생성수단을 설치하여, 세정면에서의 오물의 박리효과를 높힘으로써 인체국부 세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인체국부에 강한 자극을 주지 않고 소프트한 세정감을 줄 수 있는 위생세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 제10-0761504호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가 분출되는 동안 간헐적으로 분출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가 일시적으로 차단되었다가 분출될 때 순간적인 고압분출에 의해 세척력이 향상되게 할 뿐 아니라, 간헐적인 분출에 의해 에어층이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게 하며, 세정수가 노즐 내측에서 분사구까지 길게 형성된 통로를 이동한 후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여 세정수가 분출될 때 직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세척력을 현저히 향상시켜 효과적으로 세척이 될 수 있게 한 비데용 분사노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 특허 제10-0097439호 및 한국 특허 제10-0761504호에 개시된 위생세정장치 또는 비데용 분사노즐은 고령, 치매, 중풍 등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침대에서 누워서 대소변을 보는 중증 환자에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할 뿐 아니라 대소변을 별도로 수거하는 장치가 별도로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중증 환자의 대소변 처리장치 또는 비데용 분사 노즐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진공압력에 의해 소용돌이 물살을 발생시켜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고 대소변을 자동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는, 내벽과 외벽에 의해 둘러싸인 제1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내벽의 안쪽에 제2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가 폐쇄되어 상기 제2 공간부에 진공압력이 형성될 때,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앙 및 내부 저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분출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세정수 분사구; 상기 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제1 공간부와 연결되는 세정수 공급원; 상기 본체의 제2 공간부의 저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제2 공간부에 진공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공간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구; 상기 본체의 배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 흡입 수단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제2 공간부 내의 대소변을 흡입하여 수거하는 수거조; 상기 수거조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본체의 제2 공간부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수단; 및 상기 세정수 공급원, 상기 수거조 및 상기 공기 흡입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본체의 내벽에 구비된 세정수 분사구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세정수 공급원과 상기 세정수 분사구의 사이에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가 폐쇄되어 상기 본체의 제2 공간부에 진공압력이 형성될 때 개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세정수 분사구가 구비된 상기 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제1 공간부에 나선형상의 유도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제1 공간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세정수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대소변의 세정 및 배출이 완료후, 상기 밸브가 차단되어 상기 세정수분사구를 통한 세정수의 분출이 중지되면, 상기 본체의 제2 공간부 내에 형성된 진공압력에 의해 상기 세정수분사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인체의 국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세정수 공급원과 상기 세정수 분사구 사이에 세정수 가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내부 공간에는 약 - 12.8 kPa의 진공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방법은, 진공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흡입하여 소용돌이 상태로 분출하여 인체의 국부 및 대소변을 세정하고 대소변을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 방법에 있어서, 대소변 변좌의 내부 공간부로 배설된 대소변을 검지하는 단계; 대소변의 검지신호에 따라 대소변 변좌의 내부 공간부에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단계; 대소변 변좌의 내부 공간부에 형성되는 진공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흡입하여 소용돌이 상태로 분출하여 인체의 국부 및 대소변을 세정하는 단계; 및 대소변을 진공압력에 의해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방법에서는, 상기 대소변 검지단계에서 대변이 배설된 것을 검지한 경우, 상기 진공압력 형성단계에서의 진공압력은 약 - 12.8 kPa 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방법에서는, 상기 대소변 검지단계에서 소변이 배설된 것을 검지한 경우, 상기 진공압력 형성단계에서의 진공압력은 약 - 10 kPa 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방법에서는, 대소변 변좌의 내부 공간부에 형성되는 진공압력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여 인체의 국부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진공압력에 의해 소용돌이 물살을 발생시켜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고 대소변을 자동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출 및 흡입기능이 구비된 세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위생세정자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데용 분사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비데용 분사노즐에서의 회전체의 변형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계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의 본체의 상부의 일부를 절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본체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계통도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는 분사용 노즐을 통하여 압축 세정수를 인체의 국부에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대소변 변좌를 형성하는 본체(100)의 내부 공간부에 진공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진공압에 의해 세정수 공급원(400)으로부터 세정수가 본체(100)의 내부 공간부로 흡입되어 분출됨으로써, 정상류가 아닌 분산된 수류를 형성하고 소용돌이 물살을 만들어 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소변 변좌를 형성하며, 세정수 분사구(140) 및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배출구(150)가 구비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세정수 분사구(140)에 연결되는 세정수 공급원(400); 상기 본체(100)의 배출구(15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로 배설된 대소변을 흡입하여 수거하는 수거조(200); 및 상기 수거조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내벽(130a)과 외벽(130b)에 의해 둘러싸인 제1 공간부(130)와 상기 내벽(130a)의 안쪽에 제2 공간부(110)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벽(130a)에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수 분사구(140)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가 폐쇄되어 제2 공간부(110)에 진공압력이 형성될 때,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의 중앙 및 내부 저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분출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벽(130a)에 형성된 세정수 분사구(140)는 접선방향에 대하여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됨으로써, 세정수 분사구(140)를 통하여 분출된 세정수가 내벽(130a)에 경사각을 가지고 분사된다. 이에 따라 세정수 분사구(140)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가 소용돌이 물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체(100)의 내벽(130a)에 세정수 분사구(140)를 복수개 형성할 경우 소용돌이 물살이 보다 잘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벽(130a)과 외벽(130b) 사이의 제1 공간부(130)에는 세정수 공급원(400)이 연결되어, 본체(100) 내로 세정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제2 공간부(110)에 진공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공간부(110)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구(150)가 상기 본체(100)의 제2 공간부(110)의 저면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배출구(150)에는 대소변을 수거하는 수거조(200)가 연결되며, 상기 수거조(200)는 공기 흡입 수단(300)과 연통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본체의 제2 공간부(110)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 수단(30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세정수 공급원(400)이 본체(100)에 연결되고, 공기 흡입 수단(300)이 수거조(200)를 통하여 본체(100)에 연결되는 구성에 의해, 본체(100)의 상부 개부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공기 흡입 수단(300)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제2 공간부(110) 내의 공기가 흡입되어 진공압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세정수 공급원(400)으로부터 세정수가 상기 본체(200)의 제2 공간부(100) 내로 유입되어 소용돌이 물살을 형성하게 된다.
본원 발명에서는 본체(100)의 내벽(130a)과 외벽(130b)에 의해 둘러싸인 제1 공간부(130)가 형성되기 때문에, 세정수 공급원(400)으로부터 흡입되는 세정수는 상기 제1 공간부(130)를 거쳐서 내벽(130a)의 세정수 분사구(140)를 통하여 본체(100)의 제2 공간부(110)로 분출된다. 이와 같이, 세정수가 상기 제1 공간부(130) 내에서 한번 분산된 상태에서 진공압력에 의해 세정수 분사구(140)를 통하여 분출되는 것이므로, 세정수의 분산 분출 효과가 증대되어 세정수가 인체의 국부에 분사될 때, 소프트한 세정감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정수 공급원(400), 상기 수거조(200) 및 상기 공기 흡입 수단(300) 은 작동조건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세정수 공급원(400)과 상기 세정수 분사구(140)의 사이에 밸브(610)가 설치되어,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세정수 공급원(400)으로부터 세정수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61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가 폐쇄되어 상기 본체(100)의 제2 공간부(110)에 진공압력이 형성될 때 개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의 본체(100)의 내벽(130a)의 세정수 분출구(140)를 통하여 분출되는 소용돌이 물살을 보다 잘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세정수 분사구(140)가 구비된 상기 본체(100)의 내벽(130a)과 외벽(130b) 사이의 제1 공간부(130)에 나선형상의 유도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선형상의 유도로를 형성하면, 세정수 공급원(400)으로부터 흡입되는 세정수가 세정수 분사구(140)를 통과하기 전에 나선형상의 유도로를 따라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세정수 분사구(140)를 통과한 후에도 관성력에 의해 계속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본체(100)의 제2 개구부(110) 내로의 소용돌이 물살 형성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벽(130a)과 외벽(130b) 사이의 제1 공간부(130)로 세정수를 공급할 때, 2개의 이격된 세정수유입구(160)를 통하여 상기 제1 공간부(130)로 공급함으로써 세정수를 난류로 만들어서 소용돌이 물살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대소변의 세정 및 배출이 완료후, 상기 밸브(610)가 차단되어 상기 세정수분사구(140)를 통한 세정수의 분출이 중지되면, 상기 본체(100)의 제2 공간부(110) 내에 형성된 진공압력에 의해 상기 세정수분사구(140)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인체의 국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변후에 인체의 국부를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송풍수단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서 장치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세정수 공급원(400)과 상기 세정수 분사구(140) 사이에 세정수 가열수단(620)을 구비하여, 본체(100)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세정수 공급원(400)과 상기 세정수 분사구(140) 사이에 공기 가열수단(630)을 구비하여, 본체(100)로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세정수 공급원(400)과 상기 세정수 분사구(140) 사이에 탈취 수단(640)을 구비하여, 본체(100)로 공급되는 건조공기에 혼입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에서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의 국부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진공압력은 약 - 12.8 kPa 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압력은, 예를 들어공기 흡입 수단(300)인 진공펌프(VP)를 약 12,000RPM으로 구동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방법은 진공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흡입하여 소용돌이 상태로 분출하여 인체의 국부 및 대소변을 세정하고 대소변을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방법으로서, 대소변 변좌의 내부 공간부로 배설된 대소변을 검지하는 단계; 대소변의 검지신호에 따라 대소변 변좌의 내부 공간부에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단계; 대소변 변좌의 내부 공간부에 형성되는 진공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흡입하여 소용돌이 상태로 분출하여 인체의 국부 및 대소변을 세정하는 단계; 및 대소변을 진공압력에 의해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변을 처리하는 모드(Strong Mode)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고령, 치매, 중풍 등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침대에 누워 있는 중증 환자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대변을 볼 경우, 감지 센서가 대변을 감지하면, 세정수 공급라인에 설치된 밸브(610)을 개방시키고 약 30초 동안 진공펌프(300)를 약 12,000 RPM으로 작동시켜 약 - 12.8kPa의 진공압력을 생성시킨다. 이러한 진공압력에 의해 세정수 공급원(400)으로부터 세정수가 세정수 분출구(140)를 통하여 본체(100)의 제2 공간부내로 밑에서 세정수가 토출된다(흡입 단계). 다음에, 진공펌프(VP)가 약 60초 동안 약 6,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6.4 kPa 진공압력이 생성된다(대기 단계). 다음에, 진공펌프(VP)가 약 20초 동안 약 10,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10.4 kPa 진공압력이 생성되며, 이때 밑에서 세정수가 토출된다(세척 단계). 다음에, 진공펌프(VP)가 약 35초 동안 약 12,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12.8 kPa 진공압력이 생성되며, 이때 위에서 세정수가 토출된다(세정 단계). 다음에, 밸브(610)가 폐쇄되고, 진공펌프(VP)가 약 120초 동안 약 8,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8.0 kPa 진공압력이 생성되며, 이때 건조공기가 유입되며, 음이온을 발생시킨다(건조단계).
또한, 소변을 처리하는 모드(Weak Mode)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령, 치매, 중풍 등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침대에 누워 있는 중증 환자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소변을 볼 경우, 감지 센서가 소변을 감지하면, 세정수 공급라인에 설치된 밸브(610)을 개방시키고 약 20초 동안 진공펌프(300)를 약 10,000 RPM으로 작동시켜 약 - 8.0kPa의 진공압력을 생성시킨다. 이러한 진공압력에 의해 세정수 공급원(400)으로부터 세정수가 세정수 분출구(140)를 통하여 본체(100)의 제2 공간부내로 밑에서 세정수가 토출된다(흡입 단계). 다음에, 진공펌프(VP)가 약 10초 동안 약 6,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6.4 kPa 진공압력이 생성되며, 이때 밑에서 세정수가 토출된다(세척 단계). 다음에, 진공펌프(VP)가 약 15초 동안 약 10,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10.0 kPa 진공압력이 생성되며, 이때 위에서 세정수가 토출된다(세정 단계). 다음에, 밸브(610)가 폐쇄되고, 진공펌프(VP)가 약 120초 동안 약 8,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8.0 kPa 진공압력이 생성되며, 이때 건조공기가 유입되며, 음이온을 발생시킨다(건조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제2 공간부
120 : 대소변 변좌 130 : 제1 공간부
130a : 내벽 130b : 외벽
140 : 세정수 분출구 150 : 배출구
160 : 세정수 유입구 200 : 수거조
210 : 유입통 220 : 배출통
250 : 수위 감지센서 280 : 배출관
300 : 공기흡입수단 400 : 세정수 공급원
410 : 세정수 공급관 500 : 제어부
610 : 밸브 620 : 세정수 가열수단
630 : 공기 가열수단 640 : 탈취수단
VP : 진공펌프

Claims (12)

  1. 내벽(130a)과 외벽(130b)에 의해 둘러싸인 제1 공간부(130)를 가지며, 상기 내벽(130a)의 안쪽에 제2 공간부(110)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가 폐쇄되어 상기 제2 공간부(110)에 진공압력이 형성될 때,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의 중앙 및 내부 저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분출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벽(130a)을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세정수 분사구(140);
    상기 본체(100)의 내벽(130a)과 외벽(130b) 사이의 제1 공간부(130)와 연결되는 세정수 공급원(400);
    상기 본체(100)의 제2 공간부(110)의 저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제2 공간부(110)에 진공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공간부(110)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구(150);
    상기 본체(100)의 배출구(15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00)의 제2 공간부(110) 내의 대소변을 흡입하여 수거하는 수거조(200);
    상기 수거조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본체의 제2 공간부(110)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수단(300); 및
    상기 세정수 공급원(400), 상기 수거조(200) 및 상기 공기 흡입 수단(300) 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벽(130a)에 구비된 세정수 분사구(140)가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원(400)과 상기 세정수 분사구(140)의 사이에 밸브(610)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61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가 폐쇄되어 상기 본체(100)의 제2 공간부(110)에 진공압력이 형성될 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사구(140)가 구비된 상기 본체(100)의 내벽(130a)과 외벽(130b) 사이의 제1 공간부(130)에 나선형상의 유도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130)에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세정수유입구(1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대소변의 세정 및 배출이 완료후, 상기 밸브(610)가 차단되어 상기 세정수분사구(140)를 통한 세정수의 분출이 중지되면, 상기 본체(100)의 제2 공간부(110) 내에 형성된 진공압력에 의해 상기 세정수분사구(140)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인체의 국부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원(400)과 상기 세정수 분사구(140) 사이에 세정수 가열수단(6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 개구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진공압력은 약 - 12.8 k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처리 장치.
  9. 진공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흡입하여 소용돌이 상태로 분출하여 인체의 국부 및 대소변을 세정하고 대소변을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방법에 있어서,
    대소변 변좌의 내부 공간부로 배설된 대소변을 검지하는 단계;
    대소변의 검지신호에 따라 대소변 변좌의 내부 공간부에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단계;
    대소변 변좌의 내부 공간부에 형성되는 진공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흡입하여 소용돌이 상태로 분출하여 인체의 국부 및 대소변을 세정하는 단계; 및
    대소변을 진공압력에 의해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검지단계에서 대변이 배설된 것을 검지한 경우, 상기 진공압력 형성단계에서의 진공압력은 약 - 12.8 k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검지단계에서 소변이 배설된 것을 검지한 경우, 상기 진공압력 형성단계에서의 진공압력은 약 - 10 k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소변 변좌의 내부 공간부에 형성되는 진공압력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여 인체의 국부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세정 및 자동 대소변 처리 방법.
KR1020140106790A 2014-08-18 2014-08-18 미세기포발생장치를 통한 위생세정 및 세욕 장치 KR20160021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90A KR20160021500A (ko) 2014-08-18 2014-08-18 미세기포발생장치를 통한 위생세정 및 세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90A KR20160021500A (ko) 2014-08-18 2014-08-18 미세기포발생장치를 통한 위생세정 및 세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500A true KR20160021500A (ko) 2016-02-26

Family

ID=5544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790A KR20160021500A (ko) 2014-08-18 2014-08-18 미세기포발생장치를 통한 위생세정 및 세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15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267A (ko) * 2017-02-08 2018-08-17 최명근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KR20180092367A (ko) * 2017-02-09 2018-08-20 최명근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KR102040437B1 (ko) 2019-04-22 2019-11-05 주식회사 휴텀 접촉 이동형 흡인 세정장치
CN115104549A (zh) * 2022-08-02 2022-09-27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多平层、智能化、环保型肉用水禽养殖结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267A (ko) * 2017-02-08 2018-08-17 최명근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KR20180092367A (ko) * 2017-02-09 2018-08-20 최명근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KR102040437B1 (ko) 2019-04-22 2019-11-05 주식회사 휴텀 접촉 이동형 흡인 세정장치
CN115104549A (zh) * 2022-08-02 2022-09-27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多平层、智能化、环保型肉用水禽养殖结构
CN115104549B (zh) * 2022-08-02 2024-01-05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多平层、智能化、环保型肉用水禽养殖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1572A (ko) 살균장치와 살균비데시스템
KR20160021500A (ko) 미세기포발생장치를 통한 위생세정 및 세욕 장치
JP2007100370A (ja) 洗浄ノズ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20160003378U (ko) 수전부의 손 건조장치
TW201623747A (zh) 沖水馬桶
KR101781848B1 (ko)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JP4452589B2 (ja) 便座装置
KR101020836B1 (ko) 온수세정기의 세척장치
KR200422546Y1 (ko) 비데 노즐의 진동장치
JP2004011315A (ja)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KR101342096B1 (ko) 위생 소변기
JP2010125169A (ja) 浴槽洗浄方法および浴槽洗浄装置
JP6472071B2 (ja) 洗浄装置
JP6684927B2 (ja) 排泄ケア器具用渦水流洗浄システム
JP3130483U (ja) 介護用温水洗浄装置
KR200422547Y1 (ko) 비데 노즐의 진동장치
JP2010051528A (ja) 液噴射吸引用部材及び液噴射吸引装置
KR20080053670A (ko) 좌변기 세척 기능을 갖는 비데
KR20180092367A (ko)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JP2000166789A (ja) 浴槽用簡易バブルジェット発生装置
JP5170546B2 (ja) 排泄物自動処理装置
JP7494461B2 (ja) 浴槽洗浄装置及び給湯装置
WO2016197844A1 (zh) 大小便自动处理装置及方法
KR100822893B1 (ko) 남성용 비데
JPH0624605U (ja) 自動洗髪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