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412A -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대의 차량 사이에 있는 통로 - Google Patents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대의 차량 사이에 있는 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412A
KR20080012412A KR1020060073153A KR20060073153A KR20080012412A KR 20080012412 A KR20080012412 A KR 20080012412A KR 1020060073153 A KR1020060073153 A KR 1020060073153A KR 20060073153 A KR20060073153 A KR 20060073153A KR 20080012412 A KR20080012412 A KR 20080012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ellows
passage
shel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3571B1 (ko
Inventor
안드레 괴벨스
Original Assignee
휘브너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휘브너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휘브너 게엠바하
Priority to KR102006007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57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61D17/22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flexible, e.g. be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60D5/006Passages between articulated vehicles, e.g. bridges or rota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43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10Railwa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상은 벨로우즈(10) 또는 벨로우즈 부분 그리고 차량 사이를 건너기 위한 브리지(20)를 포함하는,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대의 차량(2, 3) 사이에 있는 통로(1)로서, 상기 통로는 벨로우즈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40, 50)을 구비하며, 상기 암(40, 50)의 한 단부는 상기 한 대의 차량(2, 3)의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암(40, 50)의 다른 단부는 벨로우즈(10)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지지한다.

Description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대의 차량 사이에 있는 통로 {PASSAGE BETWEEN TWO VEHICLES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A JOINTED MAN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에 따라 벨로우즈의 커플링 프레임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평면도에서 암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도 1의 도시에 따른 암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통로 2, 3: 차량
6, 96: 충돌 경사로 10: 벨로우즈
11: 커플링 프레임 12: 커플링 부재
13: 저널 15: 볼트
16: 폐쇄 부재 20: 차량 사이를 건너기 위한 브리지
21, 22: 바닥 시트 40, 50: 암
41, 45: 암 부재 42, 46: 베어링, 링크
43, 47: 브래킷 43a, 47a: 베어링 플레이트
44, 48, 61: 쉘 51, 71: 홀더
60: 베어링 스탠드 61: 탄성 중합체 쉘
62: 축 66: 암 절두부(stump)
67: 레일 70: 링크
76: 링크 부재 80: 충돌 캐리지
96: 충돌 경사로
본 발명은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대의 차량 사이에 있는 통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통로는 벨로우즈 그리고 차량 사이를 건너기 위한 브리지를 포함한다.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는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는 예를 들어 철도 차량 설치에 사용되고, 본 경우에는 특히 두 대의 지하철 차량 및 여객 수송 열차의 객차를 연결하는 분야 또는 전차 차량에서도 사용된다.
더 나아가 유럽 공고 특허 출원서 제 0 418 591 B1호에는 두 개의 벨로우즈 부분을 커플링 프레임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유럽 공고 특허 출원서 제 0 854 813 B1호도 또한 커플링 분리된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진행하는 클램핑 부재(clamping element), 예컨대 로우프 또는 로드(rod)에 의하여 대략 수평으로 지지되는 벨로우즈를 보여준다.
차량을 커플링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선행 기술에서는, 고유의 커플링 과정에서, 특히 본 경우에는 벨로우즈에 의하여 차량 부분들을 연결할 때에 언제나 사람이 한 사람 함께 배치되는데, 이 사람은 상황에 따라 벨로우즈를 높이 들어올려서 상기 벨로우즈가 상응하는 커플링 부재에 의해 다른 차량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앞에서 인용된 유럽 공고 특허 출원서 제 0 854 813 B1호에는, 클램핑 부재에 의하여 벨로우즈를 실제로 수평 위치에 지지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클램핑 부재는 - 이미 상술된 바와 같이 - 비스듬하게 진행하는 로우프 또는 비스듬하게 진행하는 로드이다.
근거리 공공 교통 수단의 조작자들은 최근에 커플링 과정을 실제로 자동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해 달라는 요구를 피력했다. 이와 관련하여, 두 대의 차량이 함께 주행할 때에 벨로우즈의 커플링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를 벨로우즈가 취해야만 한다. 그와 동시에, 커플링 과정에서는 벨로우즈가 뒤로 물러나지 않고, 오히려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보장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특성은 커플링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된다. 벨로우즈를 차량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강성으로 형성하기 위한 상응하는 수단들은 선행 기술 및 특히 본 경우의 유럽 공고 특허 출원서 제 0 854 813 B1호에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조는 단지 매우 제한적으로만 자동 커플링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다른 차량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또한 다른 벨로우즈 혹 은 벨로우즈 부분과의 자동 커플링을 가능케 하는,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통로가 벨로우즈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arm)을 구비함으로써 해결되며, 이 경우 상기 암의 한 단부는 다른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암의 다른 단부는 통로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상기 암이 두 가지 과제를 충족한다는 것이 명확해진다:
한편으로 상기 암에 의해서는 벨로우즈가 실제로 수평 위치에서 커플링 해체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 경우 소정의 강성을 자체적으로 갖는 상기 암에 의해서는 벨로우즈가 커플링 과정에서 뒤로 물러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암이 차량의 중간 종축에서 차체에 배치되어 있다. 차량의 중간 종축에서는, 차량의 작동시에도 암이 실제로는 전혀 구부러지거나 또는 연장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특징들은 종속항에서 얻어진다.
따라서, 특별하게는, 암이 한 대의 차량의 차체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암이 수직 방향으로 선회 가능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소정의 공차가 극복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의 선회 가능성에 의해서는 또한 차량의 흔들림, 횡축을 중심으로 한 진동 및 방향 전환 동작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일련의 동작들도 허용될 수 있다. 암을 탄성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차체에 배치된 베어링 스탠 드(bearing stand)가 개별적으로 제공되며, 이 경우 베어링 쉘은 수평으로 진행하는 축을 수용하기 위한 눈(eye)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축은 상기 쉘의 눈 형상 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스탠드의 형태로 된 상기와 같은 베어링은 "고무-금속-베어링"이라는 용어로도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고무-금속-베어링으로서는, 가황에 의하여 쉘, 예를 들어 탄성 중합체와 연결된 하나의 축이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한편으로는 축과 다른 한편으로는 탄성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 쉘 사이에 견고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축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은 탄성적인 선회 가능성은 실제로 쉘이 자체적으로 휘기 쉬운 특성을 가짐으로써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쉘이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개별적으로 볼 때 상기 베어링 스탠드는 쉘을 둘러싸는 브래킷(bracket)을 구비하는데, 상기 브래킷은 베어링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베어링 스탠드는 상기 브래킷 및 베어링 플레이트에 의해서 차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이 베어링 플레이트와 연결됨으로써,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쉘은 예비 응력을 받는 상태로 유지되며, 그 결과 수직 방향으로의 탄성적인 선회 가능성의 정도는 상기 예비 응력의 크기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별한 한 가지 특징에 따라, 암이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의 링크(link) 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다시 말해, 암이 2개의 암 부재를 가짐으로써, 암의 길이는 수평 방향으로 변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아래와 같은 배경을 갖는다:
단 하나의 암이 사용되고, 상기 암이 차량의 중앙 종축에서 상기 한 대의 차량의 차체에 배치되면, 차량의 곡선 주행시 두 대 차량 간의 간격은 실제로 전혀 변동되지 않는다. 횡축을 중심으로 한 진동 또는 흔들림 동작으로 인한 길이의 최소 변동은 고무-금속-베어링에 의해서 흡수된다. 암이 구부러질 정도로, 서로 커플링 될 두 대의 차량이 서로 가까워지면, 커플링 과정에서의 소정의 길이 변동 가능성은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2개의 암 부재를 구비하고, 수직 링크 축에 의해 서로 연결된 암에 의해서는, 상기 암이 자체 길이를 단축하기 위하여 측면으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이와 같은 사실은 특히 벨로우즈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단 하나의 아암만 제공되지 않고, 오히려 2개 이상의 암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장점이 되며, 예를 들어 암이 4개인 경우에는 각각 하나의 에지 영역에 상기와 같은 암이 제공된다. 특히 곡선 주행의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암이 연장될 수 있어야 하지만 또한 단축될 수도 있어야 한다.
커플링 과정시에 2개의 암 부재를 구비한 상기와 같은 암이 필요한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암은 수평 방향으로 초기 응력을 받는다. 이와 같은 내용이 의미하는 것은, 상기 암이 소정의 강성을 가지며, 이때 상기 암은 상응하는 파워 작용시에 다른 부품의 파괴 없이 휨에 의해서 상기 파워 작용에 완전하게 순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2개의 암 부재는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의 링크 축을 갖는 각각 하나의 링크를 단부측에 구비하며, 이 경우에는 수직으로 정렬된 상기 암의 적어도 2개의 링크 축도 마찬가지로 전술된 바와 같이 고무-금속-베어링으로서 형성되었다. 다시 말하자면, 암을 차체에 링크시키는 경우에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2개의 암은 2개의 베어링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유일한 차이점은, 서로 연결된 상기 2개의 베어링의 장착 상태가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 스탠드에 대하여 상대적이라는 점이다. 그 이유는, 상기 2개의 암 부재에 있는 베어링이 90 °만큼 베어링 스탠드에 대하여 회전되기 때문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쉘을 감싸는 브래킷이 각각 베어링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각각 하나의 베어링의 2개의 베어링도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추가의 특징에 따라 상기 암은 자신의 자유 단부에 충돌 캐리지를 포함하며, 이 경우에는 다른 차량의 차체가 상기 캐리지를 위한 충돌 경사로(ramp)를 포함함으로써, 충돌 캐리지가 상기 경사로 상에 지지된다. 캐리지와 연결된 상기 충돌 경사로는, 한편으로는 두 대의 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도중에 암의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이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커플링 과정 중에 개별 커플링 부재들이 차체에서뿐만 아니라 커플링 프레임의 정면에서도 상호 맞물릴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벨로우즈를 정렬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캐리지를 경사로 상에 접촉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캐리지는 바람직하게 롤러를 구비한다.
또한, 차량 사이를 건너기 위한 브리지는 서로 중첩되는 2개의 바닥 시트를 포함한다. 다른 장소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는 정면에 다른 차체와의 커플링을 위한 커플링 프레임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커플링 프레임 및 상응하는 차체는 고유의 커플링 과정을 위한 센터링 부재 및 폐쇄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예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로 표기된 통로는 벨로우즈(10) 및 차량 사이를 건너기 위한 브리지(20)를 포함한다. 2개의 바닥 시트(21 및 22)에 의해 형성된, 차량 사이를 건너기 위한 브리지(20)는 서로 중첩되며, 벨로우즈(10) 안에 있다.
벨로우즈(10)는 또한 특히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 프레임(11)을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 프레임(11)은 저널(13)의 형태로 된 상응하는 커플링 부재(12) 및 상기 커플링 프레임을 차체의 정면에 센터링하기 위한 볼트(15) 그리고 레버의 형태로 된 상응하는 폐쇄 부재(16)를 구비하며, 상기 폐쇄 부재는 커플링 프레임이 차체의 정면과 로킹(locking) 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대상은 암(40, 50)을 한 대의 차량(2)의 차체에 형성하고 배열하는 것이다(도 1). 상기 차량에 마주 놓여 상기 커플링 프레임(11)을 수용하기 위한 다른 차량은 도면 부호 (3)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암(40)이 충돌 경사로(6) 상에 콘택하기 위한 롤러를 구비한 캐리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만, 상기 암(40)은 벨로우즈 상부에 배치된 암(50)과 상이하다. 그와 달리 암(50)은 홀더(51)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암(50)은 벨로우즈를 상기 커플링 프레임(11)의 영역에 수용한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부터 명확해지는 것은, 한편으로는 상기 암(50)이 벨로우즈를 위로부터 지지하고, 더 나아가서는 벨로우즈가 아래에서 암(40) 상에 지지된다는 것이다. 그밖에 상기 암(40 및 50)의 형상은 동일하며, 아래에서는 단지 암(40)만이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암(40)은 2개의 암 부재(41 및 45)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암 부재(41 및 45)는 2개의 링크(42 및 4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 금속-고무-베어링(42 및 46)은 각각 하나의 브래킷(43 및 37)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브래킷(43 및 47)에 의해서는 탄성 중합체 제작 재료로 이루어진 각각 하나의 쉘(44 및 48)이 수용된다. 상기 쉘(44 및 48)은 축(44a, 48a)을 구비하고, 상기 축은 가황에 의해서 탄성 중합체 쉘과 연결된다. 상기 2개의 베어링(42, 46)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2개의 브래킷(43, 74)은 각각 하나의 베어링 플레이트(43a, 47a)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에 의해서는 상기 2개의 링크(42, 46)가 최종적으로 나사에 의하여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브래킷(43, 46)은 탄성 중합체 제작 재료로 이루어진 베어링 쉘(44, 48)의 소정의 초기 응력을 위해서 제공된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부터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은, 브래킷의 크기 선택에 의해서 그리고 그와 더불어 다른 무엇보다도 쉘(44, 48)을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공간의 크기 선택에 의해서, 상기 2개의 암 부재(41, 45)를 서로 상대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는 파워가 최종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파워는 또한 상기 탄성 중합체 제작 재료의 기계적인 특성에도 의존한다. 암(40)을 한 대 차량(2)의 차체에 연결하는 작업은 도면 부호 (60)으로 표기된 베어링 스탠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 스탠드(60)는 베어링(42, 46)과 매우 유사하게 형성되었다. 상기 베어링 스탠드(60)도 또한 슬리브(63)에 의해 둘러싸인, 탄성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 쉘(61)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슬리브는 베어링 플레이트(63a)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에 의하여 베어링 스탠드가 최종적으로 상응하는 나사에 의하여 상기 한 대 차량의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베어링 스탠드(60)는 축(62)을 수용하며, 이 경우 상기 축(62)은 탄성 중합체 쉘(61)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탄성 중합체 쉘(61)과 축(62) 사이의 연결은 가황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축은 추가로 쉘과의 연결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각형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암(40)의 파워가 축(62)으로 전달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히 도 5의 관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암 부재(45)는 암 절두부(46)에 의해서, 특히 레일(67)에 의해서 축(62)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암 절두부(66)도 또한 마찬가지로 링크(69)에 의해서 암 부재(45)와 연결된다. 마주 놓인 단부에서도 마찬가지로 암 부재(41)는 링크(70)에 의해서 캐리지용 홀더(71)와 커플링 되며, 이 경우 상기 홀더(71)는 수평으로 진행하는 링크 부재(76)에 의해서 링크(70)와 연결되어 있다.
암의 기능 방식은 아래와 같이 간략하게 설명된다: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40)으로 표기된 암은, 서로 소정의 각을 두고 서있는 2개의 암 부재(41 및 45)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링크(42 및 46)에 의해서 상기 2개의 암 부재(41, 45)가 서로 상대적으로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2개의 암 부재를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파워는 한편으로는 어떤 탄성 중합체 재료가 쉘(44, 48)로서 사용되는지 그리고 어떤 파워에 의해서 쉘이 상기 브래킷(43, 47)에 의해 초기 응력을 받는지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와 동일한 내용은, 암이 실제로 수평 베어링 내부에 유지되도록 하는 베어링 스탠드(60)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커플링 과정을 위하여 캐리지(80)가 롤 러(81)에 의해 충돌 경사로(96) 상에 충돌하게 됨으로써, 커플링 부재는 한 가지 위치, 즉 다른 차량(3)의 차체의 정면에서 상응하는 로크 너트(lock nut) 부재와의 커플링이 허용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미 다른 장소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암(50)의 형상은 캐리지(80)를 제외하고는 암(40)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로에 의해서는, 다른 차량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또한 다른 벨로우즈 혹은 벨로우즈 부분과의 자동 커플링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13)

  1. 벨로우즈(10) 또는 벨로우즈 부분 그리고 차량 사이를 건너기 위한 브리지(20)를 포함하는,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대의 차량(2, 3) 사이에 있는 통로(1)로서,
    벨로우즈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40, 50)을 구비하며, 상기 암(40, 50)의 한 단부는 상기 한 대의 차량(2, 3)의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암(40, 50)의 다른 단부는 벨로우즈(10)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40)은 다른 차량(2)의 차체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40)의 탄성적으로 선회 가능한 수용을 위하여 차체에 배치된 베어링 스탠드(60)가 제공되며, 상기 베어링 스탠드(60)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주변을 둘러싸는 쉘(61)을 포함하며, 상기 쉘(61)은 수평으로 진행하는 축(62)을 수용하기 위한 눈(eye)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축(62)은 상기 쉘(61)의 눈 형상 부재 내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61)이 탄성 중합체 제작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쉘이 상기 축(62) 상에서 가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스탠드(60)가 상기 쉘(61)을 둘러싸는 브래킷(63)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베어링 플레이트(63a)와 연결되며, 상기 베어링 스탠드(60)는 상기 브래킷(63) 및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63a)에 의해서 차체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40)이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의 링크 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40)이 수평 방향으로 초기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40)이 2개의 암 부재(41, 45)를 포함하고, 상기 암 부재는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의 링크 축(44a, 48a)을 갖는 각각 하나의 링크(42 46)를 단부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40)의 수직으로 정렬된 적어도 2개의 링크 축(44a, 48a)이 금속-탄성 중합체(고무-금속-베어링)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40)이 자신의 자유 단부에 충돌 캐리지(80)를 구비하며, 다른 차량의 차체가 상기 캐리지(80)를 위한 충돌 경사로(6)를 포함하며, 상기 충돌 캐리지(6) 상에 통로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80)가 롤러(8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사이를 건너기 위한 브리지(20)가 서로 중첩되는 2개의 바닥 시트(21, 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는 다른 차체 또는 다른 커플링 프레임과의 커플링을 위한 커플링 프레임(11)을 정면에 구비하며, 상기 커플링 프레임 및 그에 상응하는 차량 또는 다른 커플링 프레임은 센터링- 및 결합 부재(13, 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KR1020060073153A 2006-08-03 2006-08-03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대의 차량 사이에 있는 통로 KR10085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153A KR100853571B1 (ko) 2006-08-03 2006-08-03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대의 차량 사이에 있는 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153A KR100853571B1 (ko) 2006-08-03 2006-08-03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대의 차량 사이에 있는 통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412A true KR20080012412A (ko) 2008-02-12
KR100853571B1 KR100853571B1 (ko) 2008-08-21

Family

ID=3934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153A KR100853571B1 (ko) 2006-08-03 2006-08-03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대의 차량 사이에 있는 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8929A (zh) * 2017-12-28 2019-07-05 郑州机械研究所有限公司 车辆连接桥、无轨车辆和无轨列车
CN114771589A (zh) * 2022-04-13 2022-07-22 中车制动系统有限公司 贯通道顶板及轨道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16B1 (ko) * 2019-04-10 2020-05-28 (주)신형이앤지 전,후방가이드수단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갱웨이장치
KR102125574B1 (ko) 2019-05-12 2020-06-22 우성티알(주) 철도차량 통로의 측면판재 치수보존용 탄성지지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2439A (ko) * 1992-11-13 1994-06-23 박경팔 음극선관용 스크린막의 제조방법
JP2760939B2 (ja) * 1993-12-22 1998-06-04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鉄道車輌用連結幌装置
DE29500795U1 (de) 1995-01-19 1995-03-16 Huebner Gummi & Kunststoff Obergangsbrücke
FR2801536B1 (fr) * 1999-11-26 2001-12-28 Faiveley Transport Plancher de circulation entre deux vehicul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8929A (zh) * 2017-12-28 2019-07-05 郑州机械研究所有限公司 车辆连接桥、无轨车辆和无轨列车
CN109968929B (zh) * 2017-12-28 2021-10-08 郑州机械研究所有限公司 车辆连接桥、无轨车辆和无轨列车
CN114771589A (zh) * 2022-04-13 2022-07-22 中车制动系统有限公司 贯通道顶板及轨道车辆
CN114771589B (zh) * 2022-04-13 2024-02-13 中车制动系统有限公司 贯通道顶板及轨道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571B1 (ko)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6023B (zh) 轨道车辆的底盘、底盘车架及其制造方法
KR101930889B1 (ko) 철도 차량용 관절식 보기
US8056484B2 (en) Vehicle with anti-roll devices
EP3300984B1 (en) Improved intermodal rail vehicle to form a train
CN100586776C (zh) 包括联接到侧梁的、形式为小型车架的空心体部的连接装置的支承机动车前端组件的结构以及相应的车辆
CN101646590B (zh) 铁路车辆转向架的主悬挂装置
EP2669138B1 (en) Running gear frame for a rail vehicle
CN105492796A (zh) 用于机动车辆的板簧组件
KR100853571B1 (ko)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대의 차량 사이에 있는 통로
CN107107921B (zh) 将轨道车的车厢主体与其转向架链接之轨道车用的横向件
US9511642B2 (en) Motor vehicle having a vehicle frame and articulation arrangement
CA2768480A1 (en) Undercarriage frame for rail vehicles
AU2007308314B2 (en) Device for mechanically connecting vehicles
CN101480960A (zh) 一种纵向牵引装置及带有该纵向牵引装置的转向架
SE508565C2 (sv) Långt koppel för järnvägsvagnar
EP3105098B1 (de) Gelenkverbindung für ein schienenfahrzeug
CN101111612B (zh) 用于移动流道的装置
ES2335679T3 (es) Paso de intercirculacion entre dos vehiculos conectados entre si de manera articulada.
US20200283272A1 (en) Trolley of a crane
DK148321B (da) Bogie
US3041985A (en) Two-car truck without center pin
AU2013269632A1 (en) Running gear unit for a rail vehicle
SU1253862A1 (ru) Двухсекционный локомотив
RU1789388C (ru) Двухсекционный локомотив
PT2609254E (pt) Comutador de agulha dobrá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