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531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531A
KR20080011531A KR1020060071961A KR20060071961A KR20080011531A KR 20080011531 A KR20080011531 A KR 20080011531A KR 1020060071961 A KR1020060071961 A KR 1020060071961A KR 20060071961 A KR20060071961 A KR 20060071961A KR 20080011531 A KR20080011531 A KR 20080011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vironment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environmen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8965B1 (ko
Inventor
정봉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965B1/ko
Priority to EP07111220A priority patent/EP1884415A1/en
Priority to US11/775,722 priority patent/US20080024296A1/en
Priority to CNA2007101382338A priority patent/CN101118688A/zh
Publication of KR20080011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으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되는 차량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차량 환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저장된 차량 환경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차량 운전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여 차량에 설치된 각 장치의 사용 환경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차가 아닌 다른 사용자의 차를 운전하는 경우에도 자신에게 적합한 사용 환경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차량, 환경 설정, 블루투스, 단말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ENVIRONMENT OF CARS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을 설정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구성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환경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환경을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환경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개개인의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여 차량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사용자, 즉, 운전자의 편리성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이 설치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시스템, 백미러, 네비게이션, 에어컨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되고 있다.
현재, 상기 차량에 설치된 각 장치들의 사용 환경을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기호에 적합하게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운전 좌석의 높낮이, 백미러의 각도, 라디오 채널, 오디오 볼륨, 주행 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등을 직접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한대의 차량을 여러 사용자가 운전하게 될 경우, 다른 사용자로 인해 바뀐 차량의 사용 환경을 매번 자신의 기호에 맞게 변경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에서 사용자별로 차량 내 각 장치들의 사용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특정 사용자의 사용 환경 정보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장치들의 사용 환경을 자동으로 변경시키는 기술이 고안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상기 차량에서 사용자별로 차량의 환경 정보를 저장하여 각 장치들의 설정을 변경시키는 기술은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 환경 정보를 직접 선택 해서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 환경 정보가 저장된 차량이 아닌 다른 새로운 차량에 타게 될 경우, 상기 새로이 탑승하게 된 차량의 환경을 자신에게 적합하도록 다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 설정 방법, 차량으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되는 차량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차량 환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저장된 차량 환경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차량에서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차량 환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차량에 설치된 각 장치의 사용 환경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각 장치의 사용 환경을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견지에 따르면, 차량에서 환 경을 설정하는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된 차량 환경 정보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각 장치의 사용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 설정 장치는, 차량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차량 환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저장부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를 독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독출된 차량 환경 정보를 해당 차량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견지에 따르면, 차량에서 환경을 설정하는 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각 장치의 사용 환경을 확인하는 환경 설정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사용 환경을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차량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장치들의 사용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 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개개인의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차량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차량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W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지그비(zigbee),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중 상기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을 설정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제 1 차량(100), 휴대용 단말기(102), 제 2차량(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 1차량(100)은 환경 정보 전송 이벤트가 발생될 시,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환경 정보(예: 좌석의 높이 및 위치, 백미러 각도, 라디오 방송 채널, 오디오 볼륨 크기, 주행 모드, 에어컨 모드, 기 설정된 네비게이션 포인트 및 표시 방식, 브레이크 모드, 및 패달 위치 등)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카킷(car kit)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102)로 전송한다(110단계).
상기 제 1차량(100)으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102)는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2)가 상기 제 2차량 (104)의 카킷에 연결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2)는 상기 제 2차량(104)으로부터 환경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는지 감지하여 상기 환경 정보 전송이 요청될 시, 상기 저장된 환경 정보를 상기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차량(104)으로 전송한다(112단계).
상기 환경 정보를 수신한 제 2 차량(104)은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에 따라 차량에 존재하는 각 장치들의 사용 환경을 설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구성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은 제어부(200), 환경 설정부(202), 환경 설정 확인부(204),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206), 표시부(208), 입력부(210), 저장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200)는 차량의 전반적인 동작, 즉, 차량의 환경 정보 설정 및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차량의 카킷에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차량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차량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상기 환경 설정부(202)로 출력한다. 또한, 차량 환경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환경 설정 확인부(204)로 현재 차량의 환경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환경 설정 확인부(204)로부터 상기 차량 환경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환경 설정부(202)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 되는 데이터에 따라 차량 내 각 장치의 환경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좌석의 높이 및 위치, 백미러 각도, 라디오 방송 채널, 오디오 볼륨 크기, 주행 모드, 에어컨 모드, 기 설정된 네비게이션 포인트 및 표시 방식, 브레이크 모드 및 패달 위치 등을 설정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각 장치의 환경을 설정한다.
상기 환경 설정 확인부(204)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현재 차량의 환경 정보가 요청될 시, 상기 차량 내 각 장치의 설정 값을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206)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부호화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으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W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지그비(zigbee),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등이 있다.
상기 표시부(208)는 상기 차량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및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입력부(210)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212)는 상기 차량의 환경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300),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302), 저장부(304), 표시부(306), 입력부(3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302)를 통해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되는 차량 환경 정보를 상기 저장부(304)에 저장한다. 또한, 차량으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의 전송이 요청될 시, 상기 저장부(304)에 저장된 차량 환경 정보 목록을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306)로 출력하며, 상기 입력부(308)를 통해 상기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차량 환경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302)로 출력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302)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부호화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W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지그비(zigbee),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등이 있다.
상기 저장부(304)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환경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306)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표시부(306)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차량 환경 정보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입력부(308)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입력부(308)는 상기 표시부(306)에 디스플레이된 차량 환경 정보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항목을 상기 제어부(300)로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환경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차량은 401단계에서 카킷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로 차량의 환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감지한다. 상기 차량의 환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차량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차량 내 각 장치의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좌석 높이: 3, 위치: 2, 오디오 볼륨 크기: 10, 에어컨 모드: 약, 네비게이션 버드아이(birdeye): 온(ON), 네비게이션 음성: 온(ON), 패달 위치: 고(high) 등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차량은 405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환경 정보, 즉, 각 장치의 설정 정보를 상기 블루투스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카킷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은 블루투스 통신 기술에서 지원하는 프로파일 중 OPP(Object Push Profile)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환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차량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1단계에서 카킷으로 연결된 차량으로부터 차량의 환경 정보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차량의 환경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3단계에서 표시부(306)에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고, 저장부(304)에 상기 수신된 차량의 환경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환경을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차량은 601단계에서 카킷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될 시, 상기 차량은 603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차량 환경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한다.
이후, 상기 차량은 605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차량은 607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차량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내 각 장치의 설정을 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환경 정보는 표준으로 정의됨으 로써, 상기 차량은 상기 환경 정보 중 상기 차량에서 지원하는 장치들에 해당하는 정보들만을 분석하여 해당 장치들의 설정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가 좌석, 백미러, 라디오, 오디오 볼륨, 에어컨, 네비게이션, 브레이크 및 패달 등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지만 상기 차량이 상기 네비게이션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차량은 상기 네비게이션 설정 정보를 무시하고 나머지 장치들에 대한 설정만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 다시 말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차량 환경 정보가 없어 상기 차량 환경 정보를 설정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차량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환경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는 카킷을 통해 특정 차량과 연결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특정 차량과 연결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연결된 차량으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차량 환경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부(304)에 저장된 차량 환경 정보의 목록을 표시부(306)에 디스플레이한다. 다시 말해, 계절별 혹은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상기 저장부(304)에 여러 타입의 차량 환경 정보가 저장되어있을 경우, 상기 저장된 타입들의 목록을 상기 표시부(306)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304)에 야간과 주간의 운전 환경이 달리 저장된 경우, 상기 표시부(306)에 '1: 주간 모드 2: 야간 모드' 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07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차량 환경 정보 목록 중 특정 항목이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특정 항목이 선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09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차량 환경 정보를 상기 저장부(304)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차량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 기술에서 지원하는 프로파일 중 OPP(Object Push Profile)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으로 상기 환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차량간에 송수신되는 차량의 환경 정보는 각각 다른 장치를 구비한 모든 차량이 지원 가능하도록 표준으로 정의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먼저 차량에서 휴대용 단말기로 차량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였으나, 상기 차량의 요청 없이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추가로, 상술한 설명에서는 차량의 환경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하고, 상기 휴 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환경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 환경을 설정하였으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 대신 메모리를 구비한 단순한 전자칩을 사용하여 상기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차량 운전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여 차량에 설치된 각 장치의 사용 환경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차가 아닌 다른 사용자의 차를 운전하는 경우,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환경 정보를 상기 다른 사용자의 차에 전송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환경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 설정 방법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되는 차량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차량 환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저장된 차량 환경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환경 정보는, 좌석의 높이 및 위치, 백미러 각도, 라디오 방송 채널, 오디오 볼륨 크기, 주행 모드, 에어컨 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브레이크 모드, 패달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환경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차량 환경 정보의 목록을 독출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차량 환경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휴대용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차량에서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 환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차량에 설치된 각 장치의 사용 환경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각 장치의 사용 환경을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치의 사용 환경은, 좌석의 높이 및 위치, 백미러 각도, 라디오 방송 채널, 오디오 볼륨 크기, 주행 모드, 에어컨 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브레이크 모드, 패달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휴대용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차량에서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차량 환경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된 차량 환경 정보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각 장치의 사용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환경 정보는, 좌석의 높이 및 위치, 백미러 각도, 라디오 방송 채널, 오디오 볼륨 크기, 주행 모드, 에어컨 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브레이크 모드, 패달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휴대용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의 환경 설정 장치에 있어서,
    차량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차량 환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저장부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를 독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독출된 차량 환경 정보를 해당 차량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환경 정보는, 좌석의 높이 및 위치, 백미러 각도, 라디오 방송 채널, 오디오 볼륨 크기, 주행 모드, 에어컨 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브레이크 모드, 패달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차량 환경 정보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받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차량에서 환경을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각 장치의 사용 환경을 확인하는 환경 설정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사용 환경을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차량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차량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장치들의 사용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환경 및 차량 환경 정보는, 좌석의 높이 및 위치, 백미러 각도, 라디오 방송 채널, 오디오 볼륨 크기, 주행 모드, 에어컨 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브레이크 모드, 패달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휴대용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초광대역(Ultra Wideband),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071961A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828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61A KR100828965B1 (ko)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EP07111220A EP1884415A1 (en) 2006-07-31 2007-06-28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ser environment of car by using portable terminal
US11/775,722 US20080024296A1 (en) 2006-07-31 2007-07-10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ser environment of car by using portable terminal
CNA2007101382338A CN101118688A (zh) 2006-07-31 2007-07-31 使用便携式终端设置汽车的用户环境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61A KR100828965B1 (ko)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531A true KR20080011531A (ko) 2008-02-05
KR100828965B1 KR100828965B1 (ko) 2008-05-13

Family

ID=3861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961A KR100828965B1 (ko)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24296A1 (ko)
EP (1) EP1884415A1 (ko)
KR (1) KR100828965B1 (ko)
CN (1) CN1011186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085A (ko) * 2010-06-29 201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1232A (ja) * 2008-01-16 2009-07-30 Sharp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制御方法
GB2462113B (en) * 2008-07-25 2012-09-12 Visteon Global Tech Inc Motor vehicle user customisation
KR101166351B1 (ko) 2011-01-31 2012-07-18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3015300A1 (ja) * 2011-07-25 2013-01-3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作業機のデータ通信システム、作業機の作動システム及び作業機の設定変更システム
CN103974855A (zh) * 2011-11-22 2014-08-06 邦及奥卢夫森公司 包括用于光源、舒适和多媒体设备的控制系统的车辆、船舶或飞机
KR101923702B1 (ko) * 2012-01-20 2018-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차량 제어 방법
US20130197674A1 (en) * 2012-01-30 2013-08-01 Apple Inc. Automatic configuration of self-configurable environments
FR2996187B1 (fr) * 2012-10-02 2014-09-05 Renault Sa Systeme de gestion d'un vehicule et son procede associe
US8751065B1 (en) * 2012-12-14 2014-06-10 Denso Corporation Smartphone controller of vehicle settings
ITBO20120712A1 (it) * 2012-12-28 2014-06-29 Trw Automotive Italia S R L Sistema perfezionato di accesso ed avviamento passivi per un autoveicolo
CN103481834B (zh) * 2013-03-29 2016-01-20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导航信息系统的控制方法
CN105324268A (zh) * 2013-04-25 2016-02-10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处境获知系统和方法
DE102013012388A1 (de) 2013-07-26 2015-01-29 Johnson Controls Gmbh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und System zur Ein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US9248794B2 (en) * 2013-08-26 2016-02-02 Intel Corporation Configuring user customizable operational features of a vehicle
US20150142261A1 (en) * 2013-11-18 2015-05-21 Mickey Wright, JR. Method and systems for an audio pass integrated vehicle safety system
CN104036560B (zh) * 2014-06-18 2017-08-25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环境记录器、车载系统以及车内环境再现系统
CN104709203A (zh) * 2015-03-13 2015-06-1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车辆操控方法及装置
TWI592320B (zh) * 2015-05-15 2017-07-21 Jon Chao Hong 以行動終端控制座椅的控制方法及系統
DE102017103222A1 (de) * 2016-02-26 2017-08-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duleinheit mit Schnittstelle für ein Kommunikationsgerät
CN106080458A (zh) * 2016-06-28 2016-11-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终端
CN109835285A (zh) * 2017-11-29 2019-06-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后视镜及驾驶员座椅调节方法、装置和车辆
US11338816B2 (en) * 2019-02-02 2022-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ver-the-air flashing and reproduction of calibration data using data regression techniqu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669A (ko) * 2000-02-17 2001-08-29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DE10034380C2 (de) * 2000-07-14 2002-10-02 Audi Ag 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einer tragbaren Einheit
EP1310126B1 (de) * 2000-08-17 2010-03-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nfigurierung technischer systeme über mobile fernsprechendgeräte
US6663010B2 (en) * 2001-01-22 2003-12-16 Meritor Heavy Vehicle Technology, Llc Individualized vehicle settings
DE10142967A1 (de) * 2001-09-01 2003-03-27 Opel Adam Ag Kraftfahrzeug mit einer Bordelektronik
US6505780B1 (en) * 2001-12-05 2003-01-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ersonalize vehicle settings using RF tags
US6785595B2 (en) * 2002-02-13 2004-08-3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vehicle accessory devices
US6665600B2 (en) * 2002-04-12 2003-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normalized automotive positional settings
AU2003206920A1 (en) * 2003-02-18 2004-09-09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control system
DE502004006739D1 (de) * 2004-01-14 2008-05-1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Übertragung mindestens einer personenbezogenen einstellung eines fahrzeugs
US7170400B2 (en) * 2004-05-20 2007-01-30 Lear Corporation System for customizing settings and sounds for vehicle
US7319924B2 (en) * 2004-10-22 2008-01-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ersonalized settings in a mobile vehicle
KR20060057713A (ko) * 2004-11-24 2006-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틱메모리를 이용한 차량정보 제어방법
DE102004059692A1 (de) * 2004-12-10 2006-06-22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von Konfigurationsparametern für Fahrzeuge
DE102005018078A1 (de) * 2005-04-19 2006-10-26 Robert Bosch Gmbh Speichereinrichtung für ein Nutzerprofi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085A (ko) * 2010-06-29 201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4415A1 (en) 2008-02-06
KR100828965B1 (ko) 2008-05-13
CN101118688A (zh) 2008-02-06
US20080024296A1 (en)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9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차량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US99400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to exchange occupant information
US9955331B2 (en) Methods for prioritizing and routing audio signals between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200400486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with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 a vehicle
US20080147308A1 (en) Integrating Navigation Systems
WO2006101635A3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between devices having different capabilities
US6625503B1 (en) Personal preference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04077721A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7430806A (zh) 通过添加停滞时间增大启动消息的射频功率
US20150081175A1 (en) Vehicle user preference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5501160A (zh) 基于汽车参数的调整方法及汽车
JP2017146984A (ja) マルチメディア装置を備える自動車にインターネット接続を提供するシステム
KR20080027406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처리 방법
KR100667058B1 (ko) 좌석위치와 연동되는 블루투스폰 연결시스템
CN105416208A (zh) 车载语音识别电子娱乐控制系统
ES2430570T3 (es) Sistema y método de comunicación de corto alcance para un vehículo
JP4626475B2 (ja) 携帯型情報処理端末、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操作方法
US969321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wireless device checking method
JP3120518U (ja) マルチ機能のルームミラー
EP1583375A3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notific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101956027B1 (ko) 메시지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78018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차량 하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87564A (ko) 운전자별 차량의 자동 셋팅 시스템
KR20180072023A (ko) 무선 통신 단말을 이용한 차량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748B1 (ko) 차량용 클러스터의 턴-시그널 음원 변경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