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770A - 프리즘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프리즘 보호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0770A KR20080010770A KR1020060071256A KR20060071256A KR20080010770A KR 20080010770 A KR20080010770 A KR 20080010770A KR 1020060071256 A KR1020060071256 A KR 1020060071256A KR 20060071256 A KR20060071256 A KR 20060071256A KR 20080010770 A KR20080010770 A KR 200800107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sm
- layer
- light
- particles
- binder res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에 사용되는 프리즘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이면에 형성된 손상방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손상방지층은 바인더 수지로서 탄성이 있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용 프리즘 보호 필름을 제공하여,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구조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차폐성이 우수하고, 광간섭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프리즘, 보호 필름, 탄성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리즘 보호 필름의 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고분자 재료를 인장 시험하는 모식도,
도 4는 시료에 작용하는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광원 2 : 반사시트
3 : 도광판 4 : 확산 시트
5 : 프리즘 시트 6 : 액정 패널
10 : 프리즘 보호 필름 20 : 광확산층
21 : 광확산 입자 30 : 손상방지층
40 : 기재층 50 : 경질 고분자 재료
60 : 연질 고분자 재료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에 사용되는 프리즘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는 액정 자체가 발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장치의 후면에 별도의 광원을 설치하여, 각 화소(pixel)에 설치된 액정을 통해 통과광의 세기를 조절하여 계조(contrast)를 구현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물질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장치로, 장치 뒷면의 광원 램프에서 발광하여 각종 기능성 프리즘 필름 또는 시트를 통과하여 균일도와 방향성이 제어된 빛을 컬러 필터를 통과시켜 적, 청, 녹(R, G, B)의 색상을 구현하도록 하고, 전기적인 방법으로 각 화소의 계조(contrast)를 제어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간접 발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및 균일도 등 화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상기 발광 장치로는 백라이트 유닛(BLU)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백라이트 유닛은 냉음극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등의 광원(1)을 사용하여 방출되는 빛을 순차적으로 도광판(3), 확산 시트(4) 및 프리즘 시트(5)를 통과시켜 액정 패널(6) 에 도달하게 한다. 여기서, 도광판(3)은 광원(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평면 형태인 액정 패널(6)의 전면에 분포되도록 전달하며, 확산 시트(4)는 화면 전면에 걸쳐 균일한 광세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프리즘 시트(5)는 확산 시트(4)를 거친 다양한 방향의 광선을 관측자가 화상을 인식하기에 적합한 시야각(θ) 범위 내로 변환되도록 하는 광 경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광판(5)의 하부에는 액정 패널(6)로 전달되지 못하고 경로를 벗어난 광을 다시 반사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원의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반사시트(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리즘 시트(5)는 확산 시트(4)를 통과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확산된 빛의 경로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휘도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밝고 선명한 화상을 구현하게 한다. 이를 위한 프리즘 시트(5)는 프리즘 구조를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프리즘 구조의 피크(peak)는 돌기로 되어 있어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프리즘 구조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프리즘 보호 필름이 필요하다.
상기 프리즘 보호 필름은 프리즘 시트 상에 설치된 후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프리즘 구조의 피크에 대한 차폐성이 우수하여야 하며, 가공성이 우수하여야 하고, 보호 필름 자체가 프리즘 구조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하며, 또한 프리즘 구조의 피크와 밀착되면서 발생되는 얼룩과 같은 광간섭 현상이 없어야 하는 특성들이 요구된다.
여기서 차폐성이란, 프리즘 보호 필름을 액정 백라이트 유닛의 프리즘 시트 위에 올려놓고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프리즘 피크가 보이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프리즘 구조의 피크가 보이지 않는다면 차폐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며, 프리즘 구조의 피크가 차폐되지 않으면 프리즘 구조의 피크 자체가 최종 화면상에 그대로 나타나게 되어 화상의 균일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프리즘 구조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차폐성이 우수하고, 블록킹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프리즘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즘 구조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프리즘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이면에 형성된 손상방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손상방지층은 바인더 수지로서 탄성계수가 0.05~100㎏f/㎟인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용 프리즘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손상방지층의 바인더 수지는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엘라스토머, 폴리이소프렌 및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상방지층은 두께가 1~5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리즘 보호 필름의 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프리즘 보호 필름(10)은 기재층(40)의 일면에 광확산층(20)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층(40)의 이면에는 손상방지층(30)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위치하는 자리는 도 1의 백라이트 유닛을 예로 들면, 프리즘 시트(5)와 액정 패널(6) 사이가 된다.
상기 손상방지층(30)의 바인더 수지는 탄성이 있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데, 상기 탄성이 있는 고분자 재료는 탄성계수가 0.05~100㎏f/㎟의 값을 가지는 투명하고 탄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탄성 고분자의 탄성계수가 0.05 kgf/㎟ 미만이면 재료가 너무 유연하여 프리즘 구조의 상부가 다른 필름과 접하였을 경우 프리즘 구조의 피크 부분의 산모양의 상부가 눌려서 변형될 우려가 있고, 탄성 계수가 100 kgf/㎟ 초과이면 손상을 방지할 정도의 탄성을 갖지 않는 경질에 가까운 재료가 되므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리즘 보호 필름의 손상방지층 바인더 수지로 사용된 고분자 재료를 인장 시험하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P는 고분자 재료의 인장 압력을 나타내고 L은 인장 전의 시료의 원래 길이를 나타내며 A는 시료의 단면적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시료에 인장 압력을 가하여 인장시키면, 도 3의 오른쪽 그림에서 보듯이 시료의 길이가 ΔL만큼 늘어나게 된다. 인장 압력을 주었을 때 늘어난 길이(ΔL)는 경질의 고분자 재료보다 연질의 고분자 재료가 더 길다.
도 4는 경질 고분자 재료(60)와 연질 고분자 재료(50)의 응력-변형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길이방향으로 단위 면적(A)당 가해지는 힘(F)을 응력(σ)이라 하고, 원래 길이의 증가분(ΔL/L)이 변형률(ε)이다.
탄성이라 함은 응력(σ)이 제거되었을 때 변형된 물체가 자동으로 정상 형태로 되돌아오는 성질이며, 탄성계수(Young's modulus)는 응력(σ)과 변형률(ε)의 관계에서 탄성을 보이는 초기의 직선부분의 기울기로서, 단위 변형에 대한 단위 응력의 비로 정의되고, 변형률(ε), 응력(σ), 탄성계수(E)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σ = F / A
ε = ΔL / L
E = σ / ε
도 4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경질의 고분자 재료(60)는 초기 기울기가 가파른 곡선이 되고, 연질 고분자 재료(50)는 초기 기울기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어 거의 직선과 가까운 형태가 된다. 즉, 연질 고분자 재료(50)의 탄성계수는 경질 고분자 재료(60)의 탄성계수보다 작으며, 같은 힘을 주었을 때 변형되는 정도가 경질 고분자 재료(60)보다 연질 고분자 재료(50)가 더 큼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질 고분자 재료(60)는 탄성계수(E)가 300kgf/㎟ 정도의 값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요구하고 있는 투명성과 탄성을 충족할 수 있는 손상방지층(30)용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엘라스토머, 폴리이소프렌, 폴리실리콘 등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은 상기 탄성계수를 만족하는 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손상방지층(30)에는 상기 바인더 수지 외에도 손상(Blocking) 방지를 위해 입자를 첨가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공정 작업성과 휘도를 고려하여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입자로는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사용 될 수 있는 유기 입자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입자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입자와 아크릴과 올레핀계의 공중합체 입자 및 단일중합체의 입자를 형성한 후 그 층위에 다른 종류의 단량체로 덮어 씌워 만든 다층 다성분계 입자를 사용하며, 무기 입자로서는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산화지르코늄 및 불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대전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손상방지층의 두께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손상방지층의 두께가 1㎛ 이하인 경우는 입자가 표면에서 탈리될 수 있으며, 50㎛ 이상인 경우는 입자가 바인더 수지 내에 파묻혀 Blocking 방지 특성을 나타내기 어렵다.
한편, 상기 기재층(40)은 투명한 지지체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에폭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층(40)의 두께는 50~300㎛, 바람직하게는 75~250㎛이 좋다. 만약 기재층(40)의 두께가 50㎛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 및 열안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 이 있고, 300㎛를 초과하면 필름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제품이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광확산층(20)은 입사된 빛을 산란, 반사 및 굴절시켜 빛을 확산시킴과 동시에 빛의 투과율을 높여 프리즘 시트를 통과한 빛을 액정 화면 전체에 골고루 확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광확산층(20)은 기재층(40)과 접착성이 좋으며 광확산능이 있는 광확산 입자(21)들과 상용성이 좋은 수지를 바인더 수지로 사용한다. 상기 광확산층(20)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로는 불포화폴리에스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확산층(20)은 내열성, 내마모성,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화제를 더 포함하여 수지의 피막을 단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층(20)에 포함될 수 있는 광확산 입자(21)는 상기 바인더 수지에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분산시켜 사용하는데, 보통의 수지와 굴절률 차이가 있으면서 빛의 투과율과 확산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확산 입자(21)들의 대표적인 형태로는 구형, 비구형, 삼각뿔, 정육면체, 다각형 모양의 입자를 사용할 수 있는데, 표면에 무한대의 접선이 동시에 존재하고, 또한 표면과의 접촉시 점접촉을 유지하기 때문에 마찰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형입자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광확산 입자(21)는 단분산(monodisperse)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 입자(21)들의 크기 편차가 지나치게 크면 구조적, 광학적 균일도를 해칠수 있게 된다. 즉, 다분산 입자를 사용하게 되면 큰 입자 사이에 작은 입자가 혼입되어 입자에 의한 요철을 가릴 수 있으며, 이는 헤이즈를 유발시켜 휘도를 저하시키고 광방출 효율을 저해시킨다. 이 때의 단분산의 의미는 통상 제조업자가 공지하는 기준을 만족하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확산 입자(21)들이 국부적으로 다수가 뭉쳐있거나 광확산 입자(21)들이 배열된 층 위에 다른 광확산 입자(21)들의 층이 중첩되어 있는 구조이어서는 안되며, 광확산 입자(21)와 광확산 입자(21) 사이에는 일정정도의 빈 영역이 존재하여야 한다. 즉, 광확산 입자(21)들은 투명기재층(40)의 표면상에서 마치 증착(deposition) 공정에 의한 박막 형성의 초기 상태와 유사한 아일랜드 구조 또는 단일층(mono-layer)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 입자(21)의 크기는 광확산층(2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지만, 바인더 수지와의 상용성 등을 고려하여 0.1~20㎛ 크기를 갖는 것이 적당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5㎛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 입자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입자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입자와 아크릴과 올레핀계의 공중합체 입자 및 단일중합체의 입자를 형성한 후 그 층위에 다른 종류의 단량체로 덮어 씌워 만든 다층 다성분계 입자를 사용하며, 무기 입자로서는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산화지르코늄 및 불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한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입자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기 나열된 유기 또는 무기 재질의 입자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다른 공지된 재료로 얼마든지 대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며, 이러한 재질 변경의 경우도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이다.
상기 광확산층(20)의 두께는 5~50㎛인 것이 적당하다. 이는 도막의 두께가 5㎛ 이하일 경우 광확산 특성을 갖도록 입자가 분포되기 어려우며 50㎛ 이상일 경우 박형화된 제품에 장착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크릴 수지 (애경화학, 52-666)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에틸케톤 100중량부 및 톨루엔 100중량부를 넣어 희석하여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를 제조한 후, 평균 입경 10㎛의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일본 소켄사, MX1000)를 제조된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30중량부 혼합하여 밀링기로 분산시켜 광확산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기재층인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oyobo, A4300)의 일면에 그라비아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20㎛ 되도록 상기 광확산층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탄성계수가 0.05㎏f/㎟인 폴리우레탄(사토머사, CN934) 100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 200중량부 및 톨루엔 150중량부를 혼합하여 손상방지층의 바인더 수지를 제조하고, 평균입경 3㎛의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일본 소켄사, MX300)를 제조된 손상방지층의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 그라비아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0㎛ 되도록 상기 기재층의 다른 일면에 도포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손상방지층의 바인더 수지 제조시 탄성계수가 0.2㎏f/㎟인 폴리우레탄(사토머사, CN944)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프리즘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손상방지층의 바인더 수지 제조시 탄성계수가 10㎏f/㎟인 폴리우레탄(사토머사, CN964)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프리즘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손상방지층의 바인더 수지 제조시 탄성계수가 50㎏f/㎟인 폴리우레탄(사토머사, CN968)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프리즘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손상방지층의 바인더 수지 제조시 탄성계수가 150㎏f/㎟인 아크릴레이트(일본화학,EAM-216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프 리즘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손상방지층의 바인더 수지 제조시 탄성계수가 200㎏f/㎟인 아크릴레이트(일본화학,DHPA-40H)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프리즘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평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시하였으며, 그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프리즘 시트 손상>
프리즘 시트(3M, BEF3T) 위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프리즘 보호 필름을 올려놓고 진동시험(vibration tester, 50Hz,10min 진동)을 실시한 후, 1㎝ × 1㎝의 일정 면적당 손상된 프리즘의 개수를 S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차폐성>
프리즘 시트(3M, BEF3T)위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프리즘 보호 필름을 올려놓고 육안으로 프리즘 구조의 피크가 보이면 불량, 보이지 않으면 양호로 판정하였다.
<휘도>
17인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용 백라이트 유닛(모델명 : LM170E01, 대한민국 희성전자제조)에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프리즘 보호 필름을 적층하여 고정하고, 휘도계(모델명 : BM-7, 일본 TOPCON사)를 사용하여 임의의 13지점의 휘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한다.
<광간섭 현상>
프리즘 시트(3M, BEF3T)위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프리즘 보호 필름을 배치하고, 압력을 가하여 필름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밀착에 의한 광간섭현상(Wet-out, Newton's Ring)을 관찰하여, 각 현상의 발생 정도에 따라 하기와 같이 상대 평가하였다.
웨트아웃(Wet-out) : 발생 ← ◎ - ○ - △ - × → 미발생
뉴턴링(Newton's Ring) : 발생 ← ◎ - ○ - △ - × → 미발생
상기 물성평가결과, 본 발명의 프리즘 보호 필름은 프리즘 시트의 구조 피크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차폐성이 양호하고,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광간섭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리즘 보호 필름은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구조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차폐성이 우수하고, 광간섭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기재층;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상기 기재층의 이면에 형성된 손상방지층을 포함하며,상기 손상방지층은 바인더 수지로서 탄성계수가 0.05~100㎏f/㎟인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용 프리즘 보호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손상방지층의 바인더 수지는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엘라스토머, 폴리이소프렌 및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용 프리즘 보호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손상방지층은 두께가 1~5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용 프리즘 보호 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1256A KR20080010770A (ko) | 2006-07-28 | 2006-07-28 | 프리즘 보호 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1256A KR20080010770A (ko) | 2006-07-28 | 2006-07-28 | 프리즘 보호 필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0770A true KR20080010770A (ko) | 2008-01-31 |
Family
ID=3922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1256A KR20080010770A (ko) | 2006-07-28 | 2006-07-28 | 프리즘 보호 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10770A (ko) |
-
2006
- 2006-07-28 KR KR1020060071256A patent/KR2008001077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0127B1 (ko) |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 |
KR101184449B1 (ko) | 패턴 도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 |
KR100980072B1 (ko) | 광학용 복합 필름 | |
KR100907231B1 (ko) |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장치 | |
JP2007529780A (ja) | 粒子が分散された表面損傷防止層を有する光透過性光学フィルム | |
KR100909427B1 (ko) | 광제어 필름 | |
KR100920645B1 (ko) | 프리즘 복합필름 | |
KR20080111786A (ko) | 다층 광확산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101157298B1 (ko) | 광학 복합 부재 | |
KR100934574B1 (ko) |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장치 | |
KR20070101640A (ko) | 광학용 복합 필름 | |
US20100055409A1 (en) | Optical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0980068B1 (ko) | 광학용 복합 필름 | |
KR100988764B1 (ko) | 광학용 복합 필름 | |
KR101233533B1 (ko) | 광확산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 |
KR100544518B1 (ko) | 광손실을 최소화한 프리즘 필름 | |
KR20080010770A (ko) | 프리즘 보호 필름 | |
KR100737978B1 (ko) |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이를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 |
KR100920371B1 (ko) | 직하형 엘시디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 |
KR100834406B1 (ko) |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 |
KR20120033902A (ko) | 집광형 광학 시트 | |
KR100804062B1 (ko) |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 |
KR102014307B1 (ko) |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 | |
WO2008082248A1 (en) | Optical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0902156B1 (ko) | 광제어 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