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118A -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118A
KR20080010118A KR1020060070174A KR20060070174A KR20080010118A KR 20080010118 A KR20080010118 A KR 20080010118A KR 1020060070174 A KR1020060070174 A KR 1020060070174A KR 20060070174 A KR20060070174 A KR 20060070174A KR 20080010118 A KR20080010118 A KR 20080010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uct
duct
lamp
main bod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0084B1 (ko
Inventor
고재완
이용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6007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084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9Mounting arrangements for attaching lighting devices to the ceiling, the lighting devices being recessed in a false or stretched cei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1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 등에 설치되어 조명용 등기구 장치가 장착되고 및 전선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전등용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등용덕트를 복수로 서로 접속시켜 효율적으로 전등용덕트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및 양측면이 밀폐되고, 저면부에 조명용 램프홀더지지대 및 램프가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전등용덕트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정면에서 배면까지 전등용덕트가 삽입 및 관통되도록 전등용덕트의 높이 및 폭과 대응하되, 하부로 개방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덕트, 전등, 접속, 고정, 분기

Description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A connecting device of duct for lam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등용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등용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에 전등용덕트가 삽입 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에 전등용덕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에 전등용덕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에 전등용덕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 등에 설치되어 조명용 등기구 장치가 장착되 고 및 전선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전등용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등용덕트를 복수로 서로 접속시켜 효율적으로 전등용덕트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컴퓨터나 프린터, 또는 전화기나 스피커 등의 각종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또는 배선, 그리고 각종 배선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전선들끼리 꼬이거나 엉키는 등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와의 간섭에 의하여 배선 상태에 대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많은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배선 상태의 정리가 용이하며, 전선이나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주로 배선용 덕트를 이용하게 된다.
더욱이 배선용 덕트 중에서도 건축물의 천장 표면이나 천장 아래에 일정 간격으로 조명기구가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전등용덕트가 적용된다. 상기 전등용덕트는 배선용 덕트의 기능, 즉 전선의 이동통로 기능을 함과 동시에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전등용덕트는 통상적으로는 벽체 내부에 매입된 상태이거나 바닥면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배선용 덕트는 금속이나 합성수 지 재질이 적용되고, 배선 작업을 위한 단위 길이나 모듈의 형태로 적용되고,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
더욱이 전등용덕트는 작업 환경이나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복수의 전등용덕트를 상호 조합하여 접속시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배선용 덕트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복수의 전등용덕트를 직선으로 연결 및 조합하거나 직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전등용덕트를 설치하는 경우에 단순히 설계된 작업도면을 이용하거나 현장의 조건에 따라 즉흥적으로 설치하는 등, 배선용 덕트의 설치 및 배치가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져 미관 및 안전을 저해하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또한 전등용덕트를 실내조명을 위하여 직선으로 접속하여 개별적으로 조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천정 등의 구석진 부분이나 중앙 부분 등에서 외관상 미려함을 해칠 뿐만 아니라, 설치도 용이하지 않았고, 조명등의 조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 천정이나 벽체 등의 소정 위치를 따라 설치되는 전등용덕트의 본체는 소정의 크기 및 길이를 갖는 규격화된 것으로, 본체로부터 분기되는 다른 전등용덕트 즉, 분기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본체의 측면을 분기체의 폭만큼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의 본체와 연결되는 분기체 부분을 각각 가공한다. 그리고 본체에 분기체를 삽입 또는 연결한 후에 본체와 분기체가 연결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접속한 후에 연결 부위를 도장 처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전등용덕트의 본체와 분기체를 연결하는 경우에 있 어서, 설치되는 공간이 길거나 폴(pole)처럼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연결방식이 바람직하지만, 벽체에 시설되고 상부로부터 내려와서 연결되는 구조는 미관상의 문제로 접속부위를 없애는 방안은 상부에서 T자형으로 티(TEE) 분기점까지 1장으로 제작하여야 하는데, 천정의 높이가 건물에 따라 또는 방마다 상이하고, 길이가 긴 부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운송 차량을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T자형으로 티(TEE) 분기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체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체와 본체의 연결 및 결합을 위하여 본체의 절단, 가공, 용접 및 도장 처리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자재수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하는 경우 전선이 덕트의 상부에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전선의 이동공간이 충분치 않아 덕트 외관상 미려함을 해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하나 이상의 전등용덕트를 서로 접속시키고, 전선의 이동공간이 제공되는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및 양측면이 밀폐되고, 저면부에 조명용 램프홀더지지대 및 램프가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전등용덕트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정면에서 배면까지 전등용덕트가 삽입 및 관통되도록 전등용덕트의 높이 및 폭과 대응하되, 하부로 개방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전등용덕트(100)는 상부(100a), 우측부(100c), 좌측부(100d)는 밀폐되고, 저면부(100b)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전등용덕트(100)의 우측부(100c), 좌측부(100d)에는 천정에 매설되어 하방향 수직으로 돌출된 행거로드(10)와, 행거로드(10)의 좌측부(12-1) 및 우측부(12-2)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 하단부(12a)에 고정된 행거클램프(12)의 하단부의 결합돌기(19)에 걸리어 고정되는 고정용 홈(19)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등용덕트(100)의 내부(101)는 형광등 등의 램프(104)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과 안정기 등이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등용덕트(100)의의 저면부(100b)는 형광등 등의 램프(104)가 결합되는 조명용 램프홀더(102), 상기 램프홀더(102)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램프홀더지지대(103) 및 상기 램프가 수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게 좋다.
여기서, 상기 전등용덕트(100)의 저면부는 조명용 램프홀더(102), 램프홀더지지대(103) 및 형광등 등의 램프(104)가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 에, 수납된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이 소정의 반사율로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면 처리가 된 소정의 굴곡면을 갖는 반사면(106)을 갖는다.
상기 반사면(106)은 알루미늄 본체를 그대로 이용하여 반사면을 갖도록, 알루미늄 중에서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Anodized Aluminum Sheet)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판을 이용하여 전등용덕트(100)의 저면부(100d)를 구성하고 아노다이징 공법으로 반사면 처리를 하면 총반사율이 94%이상, 등기구효율이 90%이상의 고조도, 고효율의 반사면을 만들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면은 타원형으로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지만, 그 사용용도 및 외관상의 인테리어효과를 위해 다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을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지 않고, 반사율이 높은 반사용 고조도 백색도장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반사용 고조도 백색도장의 반사율은 그 재료의 특성에 따라 반사율을 달리 하나, 백색도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반사율이 94%이상의 반사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등용덕트(100)의 양측면(100c, 100d)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걸림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전등용덕트(100)가 후술하는 접속장치의 본체(20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이드 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전등용덕트(100)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접속장치의 본체(2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면(200b, 200c)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본체(200)의 정면(200a)에서 배면(200d)까지 전등용덕트(100)가 삽입 및 관통되도록 전등용덕트(100)의 높이 및 폭과 대응하되, 하부로 개방된 절개부(210)를 절단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전등용덕트(100)가 절개부(210)에 의해 관통되므로, 상기 절개부(210)는 전등용덕트(100)가 지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210)는 용도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하여 복수의 전등용덕트(100)가 본체(200)에 통과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절개부(210)가 하부로 개방된 이유는 전등용덕트(100)의 저면부에 장착된 조명용 램프홀더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램프가 하방으로 빛을 조사할 때, 상기 조사되는 빛이 가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의 측면(200b, 200c)에는 전등용덕트(100) 끼리 "T"형(도 5 참조) 또는 "+"(도 6 참조) 으로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전등용덕트(100)의 일단이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부(220)가 양측면(200b, 200c) 또는 일측면(200b)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등용덕트(100)가 본체(200)의 삽입부(220)에 삽입되어 전등용덕트(100) 간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200)에 전등용덕트(100)가 고정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200)의 절개부(210) 및 삽입부(220)에서 전등용덕트(100)의 양측면(100c, 100d)과 접촉하는 부분인, 상기 본체(200)의 절개부(210) 및 삽입부(220)의 내부 양측에는 각각 수평면과 같은 방향으로 걸림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등용덕트(100)의 양측면(100c, 100d)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102)이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상기 전등용덕트(100)가 접속장치의 본체(100)에서 삽입 및 고정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절개부(210)가 전등용덕트(10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전등용덕트(100)가 본체(200)의 절개부(210)에 삽입 및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200)의 정면(200a)의 절개부(210)의 상부에는 제1관통홀(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등용덕트(100)가 본체(200)의 측면(200b, 200c)의 삽입부(220)에 삽입 및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등용덕트(100)의 상부에 전선(3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0)의 측면(200b, 200c)의 삽입부(220)의 상부에는 제2관통홀(2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등용덕트(100)의 하단이 본체(100)의 하단과 일치되어 삽입된 상 태에서, 본체(100)의 절개부(210) 및 삽입부(220)의 상부에 제1 및 2관통홀(212, 222)이 형성되어 전선의 이동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2관통홀(212, 222)은 절개부(210) 및 삽입부(220)의 상부에서 격벽을 두고 이웃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하나 이상의 전등용덕트를 접속시키고, 전선의 이동공간이 제공되는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접속장치의 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전등용덕트의 일단이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부가 형성됨으로써 전등용덕트를 "+"형 또는 "T"형으로 자유롭게 접속시킬 수 있어, 외관상 미려하게 전등용덕트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부 및 양측면이 밀폐되고, 저면부에 조명용 램프홀더지지대 및 램프가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전등용덕트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정면에서 배면으로 연통되게 전등용덕트가 삽입 및 관통되도록 전등용덕트의 높이 및 폭과 대응하되, 하부로 개방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전등용덕트의 일단이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절개부의 높이는 전등용덕트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에 전등용덕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등용덕트의 상부에 관통홀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에 의해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삽입부의 높이는 전등용덕트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에 전등용덕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등용덕트의 상부에 관통홀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에 의해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절개부 및 삽입부의 양측 내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절개부 및 삽입부에 삽입 및 고정되는 전등용덕트의 양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걸림돌기에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KR1020060070174A 2006-07-26 2006-07-26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KR100820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74A KR100820084B1 (ko) 2006-07-26 2006-07-26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74A KR100820084B1 (ko) 2006-07-26 2006-07-26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118A true KR20080010118A (ko) 2008-01-30
KR100820084B1 KR100820084B1 (ko) 2008-04-10

Family

ID=3922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174A KR100820084B1 (ko) 2006-07-26 2006-07-26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0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887B1 (ko) * 2008-07-31 2010-05-20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등기구 설치구
KR20190121634A (ko) *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US11313579B1 (en) * 2020-11-17 2022-04-26 Duro Dyne Corporation Hanger for supporting an air handl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364Y1 (ko) 2009-08-03 2011-10-27 김석효 로터리 타입 전등용 덕트 연결장치
KR101149551B1 (ko) 2010-10-11 2012-05-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용 분기체
KR102542145B1 (ko) 2021-02-15 2023-06-1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330B1 (ko) * 2004-11-24 2006-1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887B1 (ko) * 2008-07-31 2010-05-20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등기구 설치구
KR20190121634A (ko) *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US11313579B1 (en) * 2020-11-17 2022-04-26 Duro Dyne Corporation Hanger for supporting an air hand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084B1 (ko)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084B1 (ko)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JP5942168B2 (ja) 照明装置
US9388969B2 (en) Ligh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 surface structure
US20170292664A1 (en) Adaptive LED Cove Lighting System
US8109659B2 (en) Lighting fixture for an architectural surface structure
US9759403B2 (en) Recessed lighting system for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JP5498618B1 (ja) 照明器具
KR100653330B1 (ko)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JP3173183U (ja) 照明付廻り縁
KR101739333B1 (ko) 가변형 차단판을 갖는 경관등
KR100820085B1 (ko)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보호커버
JP5360994B2 (ja) 照明器具
JP2011103198A (ja) 照明器具
KR101037896B1 (ko) 엘이디를 이용한 간접 조명기구
KR101160809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JP4450465B2 (ja) 照明器具
TWI801407B (zh) 具有在照明組件與驅動組件之間的獨立調整功能的嵌入式照明器材
KR101027086B1 (ko)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JP6846646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6815188B2 (ja) 照明装置
JP6820718B2 (ja) 照明装置および反射板
JP6722879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14078511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7203354B2 (ja) 照明器具
KR102582549B1 (ko) 천장 반사조명 프레임 코너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