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966A -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966A
KR20080009966A KR1020060069809A KR20060069809A KR20080009966A KR 20080009966 A KR20080009966 A KR 20080009966A KR 1020060069809 A KR1020060069809 A KR 1020060069809A KR 20060069809 A KR20060069809 A KR 20060069809A KR 20080009966 A KR20080009966 A KR 20080009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supply
inverter
insertion groov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251B1 (ko
Inventor
조주완
최성식
장현룡
장태석
최진성
정두환
김동훈
신승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6006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251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7192425A priority patent/JP5143490B2/ja
Priority to US11/782,318 priority patent/US7549881B2/en
Priority to DE602007011695T priority patent/DE602007011695D1/de
Priority to TW096126927A priority patent/TWI400846B/zh
Priority to EP07014463A priority patent/EP1883138B1/en
Priority to CN2007101494437A priority patent/CN101126499B/zh
Publication of KR2008000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966A/ko
Priority to US12/480,024 priority patent/US7789687B2/en
Priority to US12/869,458 priority patent/US79676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적은 개수의 구성 단품으로 복수 개의 램프들과 전원공급유닛을 연결시키는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램프소켓은 소켓몸체 및 복수 개의 전원인가부재들을 포함한다. 소켓몸체에는 하부에 인버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인버터 삽입홈으로 각각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접속홀들이 형성된다. 각 전원인가부재들은 인버터 삽입홈으로 노출된 제1 단자 및 접속홀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 제2 단자를 포함한다. 제1 단자는 인버터 삽입홈에 결합된 전원공급유닛의 출력단자에 접촉되며, 제2 단자는 램프의 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제2 단자를 가압하여 전극부에 압착시키는 사이드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용이하게 리페어할 수 있다.
램프소켓, 일체형, 인버터 삽입, 단자, 사이드커버

Description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SINGLE BODY TYPE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램프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램프소켓을 배면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램프소켓을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램프소켓을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램프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배면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V-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일체형 램프소켓 10 : 소켓몸체
20 : 연결부 21 : 체결후크
30 : 인버터 홀더부 31 : 인버터 삽입홈
40 : 램프 홀더부 41 : 접속홀
50 : 전원인가부재 51 : 제1 단자
54 : 제2 단자 3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310 : 수납용기 330 : 전원공급유닛
350 : 램프 370 : 사이드커버
380 : 광학시트 405 : 일체형 램프소켓
600 : 표시장치 780 : 표시패널
본 발명은 일체형 램프소켓,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개수의 구성 단품으로 복수 개의 램프들과 전원공급유닛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의 배치에 따라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direct downward type back light assembly) 및 에지(edge)형 백라이트 어셈블리(edge type back light assembly)로 구분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냉음극 형광 램프(CCFL)가 대표적이고, 냉음극 형광 램프가 채용된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의 바닥판 상에 램프들을 고정하기 위해 램프소켓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램프들을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하여, 램프들의 전극부와 램프소켓이 끼워 맞춤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개발된 바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에 있어서, 램프들에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램프소켓들과 인버터를 와이어를 통하여 솔더링(soldering)하거나, 복수 개의 램프소켓의 단자를 인버터에 솔더링 하였다.
이로 인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솔더링 공정중 램프가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량한 인버터를 교체하는 경우, 램프들을 램프소켓들로부터 모두 분리시킨 후 인버터를 교체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개수의 구성 단품으로 복수 개의 램프들 및 전원공급유닛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조립성이 향상된 일체형 램프소켓을 제공하 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일체형 램프소켓을 포함하여, 조립성 향상되고 리워크(Rework)가 용이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일체형 램프소켓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램프소켓은 소켓몸체 및 복수 개의 전원인가부재들을 포함한다. 소켓몸체에는 하부에 인버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인버터 삽입홈으로 각각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접속홀들이 형성된다. 각 전원인가부재들은 인버터 삽입홈으로 노출된 제1 단자 및 접속홀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 제2 단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소켓몸체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결부와, 복수 개의 인버터 홀더부들과, 복수 개의 램프 홀더부들을 포함한다. 각 인버터 홀더부는 연결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각 인버터 홀더부의 측면에는 인버터 삽입홈이 형성된다. 각 램프 홀더부들은 각 인버터 홀더부들에 대응하여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각 램프 홀더부에는 접속홀이 형성된다. 인버터 삽입홈으로 노출된 제1 단자는 스프링 형상을 갖는다. 접속홀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 제2 단자는 서로 대향하며 클램프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전원인가단자들을 포함한다. 각 전원인가단자를 램프의 리드선에 압착시키는 외부의 고정부재로부터 전원인가단자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돌기가 각 전원인가단자들에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복수 개의 램프들, 전원공급유닛 및 일체형 램프소켓을 포함한다. 수납용기는 개구가 형성된 바닥판 및 바닥판의 주변부에 배치된 측벽을 포함한다. 각 램프는 램프몸체 및 램프몸체의 단부에 배치된 전극부를 포함하며, 바닥판에 배치된다. 전원공급유닛은 수납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며, 전원공급유닛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출력단자들이 형성된다. 일체형 램프소켓은 복수 개의 전원인가부재들 및 소켓몸체를 포함한다. 각 전원인가부재는 전원공급유닛의 출력단자에 접촉되는 제1 단자 및 램프의 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한다. 소켓몸체에는 인버터 삽입홈 및 복수 개의 접속홀들이 형성되어, 인버터 삽입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바닥판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된다. 인버터 삽입홈에는 전원공급유닛의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출력단자가 제1 단자에 접촉된다. 제2 단자는 접속홀을 통해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사이드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커버에는 제2 단자를 가압하여 램프의 전극부에 압착시키는 고정부들이 형성된다. 제2 단자는 서로 대향하며 클램프 형상을 갖는 제1 전원인가단자 및 제2 전원인가단자를 포함한다. 고정부에는 제1 전원인가단자 및 제2 전원인가단자를 수용하면서 전극부에 압착시키는 고정홈이 형성된다. 소켓몸체는 접속홀들에 각각 대응하여 인버터 삽입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인버터 홀더부들을 포함한다. 소켓몸체는 인버터 홀더부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바닥판에 형성된 결합홀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후크들을 더 포함한다. 전원공급유닛의 가장자리는 인버터 홀더부들에 대응 하는 부분들이 각각 돌출되어 요철 형상을 갖는다. 인버터 삽입홈의 내측면에는 전원공급유닛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얼라인홈에 삽입되는 얼라인돌기가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수납용기, 일체형 램프소켓, 전원공급유닛, 복수 개의 램프들, 사이드커버, 광학시트 및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일체형 램프소켓은 소켓몸체 및 복수 개의 전원인가부재들을 포함한다. 소켓몸체에는 상부에 복수 개의 접속홀들이 형성되고, 하부에 접속홀들과 연통되는 인버터 삽입홈이 형성된다. 소켓몸체는 인버터 삽입홈이 바닥판의 배면으로 노출되도록 바닥판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된다. 각 전원인가부재는 인버터 삽입홈에 배치된 제1 단자 및 각 접속홀로부터 돌출된 제2 단자를 포함한다. 전원공급유닛은 인버터 삽입홈에 일측 에지가 삽입되어 제1 단자에 램프구동전압을 인가한다. 각 램프는 바닥판 상에 배치된 램프몸체 및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를 포함한다. 사이드커버는 일체형 램프소켓을 커버하며, 제2 단자를 가압하여 전극부에 압착시킨다. 광학시트는 사이 사이드커버 상에 배치되며, 표시패널은 광학시트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에 의하면, 램프소켓의 구성 단품의 개수가 감소되며, 램프들과 램프소켓 및 램프소켓과 전원공급유닛 간의 와이어링 및 솔더링 공정이 생략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의 조립성이 향상되며, 전원공급기판을 보다 용이하게 리워크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체형 램프소켓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램프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램프소켓을 배면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일체형 램프소켓은 표시장치에서 배면광을 제공하는 램프들을 수납용기에 고정하고, 램프들에 램프구동전압을 인가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체형 램프소켓(5)은 소켓몸체(10) 및 복수 개의 전원인가부재(50)들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몸체(10)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된 몰드물로서, 소켓몸체(10)에는 하부에 인버터 삽입홈(31)이 형성되고, 상부에 인버터 삽입홈(31)으로 각각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접속홀(41)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소켓몸체(10)는 연결부(20), 복수 개의 인버터 홀더부(30)들 및 복수 개의 램프 홀더부(40)들을 포함한다.
연결부(2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연결부(20)의 하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체결후크(21)들이 형성된다. 체결후크(21)는 외부의 고정부재, 예를 들어, 수납용기에 형성된 결합홀에 체결된다.
각 인버터 홀더부(30)는 연결부(20)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인버터 홀더부(30)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후크(21)들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일 방향을 따른 인버터 홀더부(30)의 폭은 인버터 홀더부(30)들 간의 이격 간격과 대략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각 인버터 홀더부(30)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하나의 인버터 홀더부(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버터 홀더부(30)는 4개의 인버터 홀더부 측면들과 4 개의 인버터 홀더부 측면들에 각각 연결되는 하면을 포함한다. 인버터 홀더부 측면들 중 상기 일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 즉 상기 연결부(20)의 폭방향에 배치된 인버터 홀더부 측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인버터 삽입홈(31)이 형성된다. 인버터 삽입홈(31)은 상기 폭방향에 배치된 인버터 홀더부 측면과 연결된 다른 인버터 홀더부 측면들 방향으로 각각 개구된다. 인버터 홀더부(30)들이 상기 일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인버터 삽입홈(31)은 상기 일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된다.
인버터 삽입홈(31)으로 인해 인버터 홀더부(30)에 형성되는 면들 중, 깊이 방향의 면을 인버터 삽입홈(31)의 기저면으로 정의하고, 기저면과 인버터 홀더부 측면들을 연결하는 면들을 인버터 삽입홈(31)의 내측면들로 정의한다. 상측 내측면, 즉 연결부(20)와 근접한 인버터 삽입홈(31)의 내측면에는 얼라인 돌기(33)가 형성된다. 얼라인 돌기(33)는 인버터 삽입홈(31)으로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전원공급유닛을 가이드하여, 전원공급유닛의 출력단자를 지정된 위치에 정확히 얼라인 시킨다.
각 램프 홀더부(40)는 각 인버터 홀더부(30)들에 대응하여 연결부(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램프 홀더부(40)는, 인버터 홀더부(30)와 유사하게, 4개의 램프 홀더부 측면들 및 상기 4 개의 램프 홀더부 측면들에 각각 연결되는 상면을 포함한다. 각 램프 홀더부(40)의 상면에는 인버터 삽입홈(31)으로 연통되는 접속홀(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일체형 램프소켓(5)에는 복수 개의 접속홀(41)들 및 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인버터 삽입홈(31)들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접속홀(41)들은 복수 개의 램프들과 연관되며, 복수 개의 인버터 삽입홈(31)들은 하나의 전원공급유닛과 연관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램프소켓을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램프소켓을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원인가부재(50)는 각 접속홀(41)에 삽입된다. 전원인가부재(50)는 도전성을 갖는 메탈로 이루어지며, 서로 연결된 제1 단자(51) 및 제2 단자(54)를 포함한다. 제1 단자(51)는 인버터 삽입홈(31)으로 노출되며, 제2 단자(54)는 접속홀(41)을 통해 돌출된다.
제1 단자(51)는 인버터 삽입홈(31)에 삽입된 전원공급유닛의 출력단자에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단자(5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신뢰성 있는 탄성적 접촉을 위하여 스프링 형상, 예를 들어, 판스프링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자(51)는 제1 지지부(52) 및 전원입력부(53)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54)로부터 인버터 삽입홈(31)의 기저면 및 하측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전원입력부(53)는 제1 지지부(5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 지지부(52)와 오버랩된다. 전원입력부(53)는 내측면에 대하여 볼록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거나 제거됨에 따라, 전원입력부(53)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플랫하게 되거나 원상회복된다.
제2 단자(54)는 램프의 전극부에 램프구동전압을 인가한다. 제2 단자(54)는 제1 단자(51)로부터 연장되어 접속홀(41)을 통해 돌출된다. 제2 단자(54)는 서로 대향하며 클램프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전원인가단자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단자(54)는 제1 전원인가단자(55) 및 제2 전원인가단자(56)를 포함한다. 제1 전원인가단자(55) 및 제2 전원인가단자(56)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접속홀(41)을 관통하는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을 이룬다.
제1 전원인가단자(55) 및 제2 전원인가단자(56)는 각각 제2 지지부(57) 및 전원출력부(58)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57)는 제1 단자(51)의 제1 지지부(52)로부터 연장되며 접속홀(41)을 통해 돌출된다. 제1 전원인가단자(55) 및 제2 전원인가단자(56)의 전원출력부(58)들은 제2 지지부(57)의 단부로부터 접속홀(41)을 향하여 절곡되며 서로 근접한다.
외부의 고정부재가 제2 지지부(57)를 가압함에 따라, 전원출력부(58)는 탄성적 변형을 하며 램프의 전극부에 압착된다. 제2 지지부(57)의 상단에는 이탈 방지돌기(59)가 형성된다. 이탈 방지돌기(59)는 상기 고정부재에 걸려, 제1 전원인가단자(55) 및 제2 전원인가단자(56)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램프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체형 램프소켓(105)은 소켓몸체(110) 및 복수 개의 전원인가부재(150)들을 포함한다. 일체형 램프소켓(105)은 소켓몸체(11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체형 램프소켓(5)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소켓몸체(1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육면체, 예를 들어, 대략 직육면체에 홈 및 돌기들이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소켓몸체(110)는 서로 대향하 는 상면(111) 및 하면(112)과, 상면(111) 및 하면(112)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포함한다. 어느 하나의 측면(113)에는 소정의 깊이로 일 방향을 따라 인버터 삽입홈(131)이 형성된다. 인버터 삽입홈(131)은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113)과 연결되는 다른 측면들 방향으로 각각 개구된다. 상면(111)에는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접속홀(141)들이 형성된다. 접속홀(141)들은 인버터 삽입홈(131)으로 각각 연통된다.
인버터 삽입홈(131)과 상면의 사이에 대응하는 측면들에는 가이드보스(114)가 돌출된다. 수납용기와의 결합을 위하여, 가이드보스(114)에는 체결후크들이 형성되거나, 스크류체결을 위한 결합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인가부재(150)가 소켓몸체(110)에 결합하는 방식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수납용기(310), 복수 개의 램프(350)들, 전원공급유닛(330) 및 복수 개의 일체형 램프소켓(405)들을 포함한다.
수납용기(310)는 바닥판(311), 바닥판(311)의 주변부에 배치된 제1 측벽(313), 제2 측벽(315), 제3 측벽(317) 및 제4 측벽(319)을 포함한다. 제1 측벽(313) 및 제2 측벽(315)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다. 제3 측벽(317) 및 제4 측벽(319)들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며, 제1 측벽(313) 및 제2 측벽(315)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측벽(313), 제2 측벽(315), 제3 측벽(317) 및 제4 측벽(319)의 상단에 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제1 측벽(313) 및 제2 측벽(315) 인근의 바닥판(311)에는 다수의 개구(312)들이 형성된다. 개구(312)들 사이에는 결합홀(314)들이 각각 형성된다.
램프(350)들은 바닥판(311)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광을 출사한다. 램프(350)들은 길이 방향이 제1 측벽(313)에서 제2 측벽(315)을 향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램프(350)들은 램프몸체 및 전극부를 포함한다. 램프몸체는 직관형상을 갖고, 내부에 주입된 아르곤 및 수은 등과 같은 방전 가스를 포함한다. 램프몸체의 단부에는 전극부가 배치된다. 전극부는 방전전극 및 리드선을 포함한다. 방전전극은 램프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리드선은 방전전극으로부터 램프몸체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램프(350)는 고휘도, 저비용 및 저소비전력의 특성을 가지며 하나의 전원 공급 유닛으로 복수 개의 램프(350)(10)들을 구동할 수 있는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일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반사판(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340)은 수납용기(310)의 바닥판(311)에 배치되어 램프(350)들이 출사한 광을 상부로 반사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배면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체형 램프소켓(405)은 제1 측벽(313) 및 제2 측벽(315)을 따라 바닥판(311)에 각각 배치된다. 제1 측벽(313) 및 제2 측벽(315)에 배치된 일체형 램프소켓(405)들은 서로 동일하므로 제1 측벽(313)에 배치된 일체형 램프소켓(405)만을 설명한다. 일체형 램프소켓(405)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체형 램프소켓(5)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일체형 램프소켓(405)은 소켓몸체(410) 및 복수 개의 전원인가부재(450)들을 포함한다.
소켓몸체(410)는 연결부(420), 복수 개의 인버터 홀더부(430)들 및 복수 개의 램프 홀더부(440)들을 포함한다. 인버터 홀더부(430)들은 바닥판(311)에 형성된 개구(312)들에 각각 삽입된다. 연결부(420)는 바닥판(311)에 걸리며, 연결부(420)에 형성된 체결후크들이 개구(312)들 사이에 형성된 결합홀(314)들에 각각 삽입된다. 그 결과, 소켓몸체(410)는 바닥판(311)에 고정되며, 인버터 홀더부(430)들은 바닥판(311)의 배면으로 노출되고, 램프 홀더부(440)들은 수납용기(310)의 수납공간측으로 돌출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원공급유닛(330)은 바닥판(311)의 배면에 배치되며, 램프구동전압을 출력한다. 전원공급유닛(330)은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원 공급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유닛(330)의 일측 가장자리는 인버터 홀더부(430)들에 각각 형성된 인버터 삽입홈(431)에 삽입된다. 전원공급유닛(330)의 일측 가장자리 중,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 홀더부(430)들에 대응하는 부분(333)들은 각각 인버터 삽입홈(431)을 향하여 돌출된다. 그 결과, 상기 일측 가장자리는 요철 형상을 갖는다.
일측 가장자리의 돌출된 부분(333)들에는 각각 전원 출력단자가 형성된다. 전원출력단자는,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배선의 일부가 표면으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원출력단자의 양측 인근에는 전원공급유닛(330)을 지정된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한 얼라인홀(335)들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출력단자(453)는 전원공급유닛(330)의 배면에 형성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출력단자(453)들은 전원공급유닛(330)의 상면에 형성되거나, 전원공급유닛(330)의 상면 및 배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전원공급유닛(330)의 일측 가장자리는 전원인가부재(450)의 제1 단자(451)를 가압하며 인버터 삽입홈(431)에 결합된다. 이때, 인버터 삽입홈(431)의 내측면에 형성된 얼라인 돌기(433)는 전원공급유닛(330)에 형성된 얼라인홀(335)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전원출력단자(331)는 인버터 삽입홈(431) 내에서 지정된 위치에 얼라인되며, 제1 단자(451)의 전원입력부(453)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전원출력단자(331)에 접촉된다. 그 결과, 전원인가부재(450)와 전원공급유닛(33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전원공급유닛(330)을 보호하고 전차파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하는 보호케이스(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램프몸체(351)의 단부에 배치된 리드선(351)은 접속홀(441)을 통해 돌출된 제2 단자(454)에 얼라인된다. 제2 단자(454)는 제1 전원인가단자(455) 및 제2 전원인가단자(456)를 포함하며, 리드선(351)은 제1 전원인가단자(455)와 제2 전원인가단자(456)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리드선(351)은 제1 전원인가단자(455) 및 제2 전원인가단자(456)와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사이드커버(370)들 및 광학시트(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사이드커버(370)는 제1 측벽(313)측 및 제2 측벽(315)측에 각각 배치된 일체형 램프소켓(405)을 커버하여 보호한다. 또한, 사이드커버(370)는 제2 단자(454)를 가압하여 리드선(351)에 압착시켜, 리드선(351)과 제2 단자(454)간의 물리적 접촉, 따라서 리드선(351)과 제2 단자(454)간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구체적으로, 사이드커버(370)는 측판(371) 및 상판(375)을 포함한다. 측판(371)은 제1 측벽(313)과 마주보며 바닥판(311)에 접촉된다. 측판(371)의 에지에는 램프(350)들에 대응하여 가이드홈들이 형성된다. 상판(375)은 측판(371)의 상단으로부터 바닥판(311)을 마주보도록 연장된다. 상판(375)은 제1 측벽(313)에 형성된 단턱부에 걸쳐진다.
상판(375)의 배면에는 복수개의 고정부(377)들이 형성되며, 상판(375)의 상면에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고정부(377)들은 램프 홀더부(440)들에 각각 대응한다. 고정부(377)의 단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된다. 사이드커버(370)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바닥판(311)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전원인가단자(455) 및 제2 전원인가단자(456)는 고정홈의 내측으로 압입된다. 이로 인해, 제1 전원인가단자(455) 및 제2 전원인가단자(456)는 리드선(351)에 견고하게 압착된다.
또한, 제1 전원인가단자(455) 및 제2 전원인가단자(456)에 형성된 이탈 방지돌기(459)는 고정홈의 내측면에 걸려, 제1 전원인가단자(455) 및 제2 전원인가단자(456)가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램프(350)들과 전원공급유닛(330)은 일체형 램프소켓(405)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광학시트(380)는 램프(350)들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학특성을 향상시켜 출사한다. 광학시트(380)는 순서대로 적층된 확산판(381), 확산시트(383) 및 집광시트들(385)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판(381), 확산시트(383) 및 집광시트들(385)은 제3 측벽(317), 제4 측벽(319) 및 사이드커버(370)에 형성된 단턱부들에 의해 지지된다.
확산판(381)은 램프(350)들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휘도균일성을 향상시킨다. 확산시트(383)는 확산판(381)에 의해 랜덤하게 확산된 광을 일정한 확산각을 갖는 확산광으로 변환시킨다. 집광시트들(385)은 서로 다른 방향, 바람직하게는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확산광을 집광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300)의 출사광의 정면 휘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소켓몸체(410)와 전원인가부재(450)의 2 종류의 단품만으로 매우 용이하게 복수 개의 램프(350)들과 전원공급유닛(3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램프소켓의 구성단품의 개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표시장치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V-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600)는 수납용기(610), 일체형 램프소켓(705), 전원공급유닛(630), 복수 개의 램프(650)들, 사이드커버(670)들, 광학시트(680) 및 표시패널(780)을 포함한다. 수납용기(610), 일체형 램프소켓(705), 전원공급유닛(630), 복수 개의 램프(650)들, 사이드커버(670)들 및 광학시트(680)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그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표시장치(600)는 미들프레임커버(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프레임커버(760)는 광학시트(680)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며 수납용기(610)와 결합한다.
표시패널(780)은 광학시트(680)로부터 출사된 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780)은 제1 기판(781), 제1 기판(781)과 대향하는 제2 기판(783) 및 제1 기판(781)과 제2 기판(783)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표시장치(600)는 인쇄회로기판(785) 및 연결필름(78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785)은 표시패널(787)에 패널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연결필름(787)의 일측 에지는 제1 기판(781)의 가장자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필름(787)의 타측 에지는 인쇄회로기판(78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표시장치(600)는 표시패널(780)의 유효표시영역을 노출시키며 수납용기(610) 또는 미들프레임몰드(760)와 결합하는 탑샤시(7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체형 램프소켓은 하나의 몰드물인 소켓몸체와 전원인가부재의 2 종류의 단품만으로 복수 개의 램프들과 전원공급유닛과 각각 결합한다.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복수 개의 램프들과 전원공급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램프소켓의 구성단품의 개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들 및 전원공급유닛은 일체형 램프소켓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램프의 리드선과 램프소켓 및 램프소켓과 전원공급유닛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와이어링 및 솔더링 공정이 생략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원공급유닛을 인버터 삽입홈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하여, 불량 전원공급유닛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리페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하부에 인버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인버터 삽입홈으로 각각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접속홀들이 형성된 소켓몸체; 및
    상기 인버터 삽입홈으로 노출된 제1 단자 및 상기 접속홀을 통해 상기 상부로 노출된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원인가부재들을 포함하는 일체형 램프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몸체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각각 측면에 상기 인버터 삽입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인버터 홀더부들; 및
    상기 인버터 홀더부들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각각 상기 접속홀이 형성된 복수 개의 램프 홀더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램프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스프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램프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2 단자로부터 상기 인버터 삽입홈의 기저면 및 내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오버랩되는 전원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램프소켓.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대향하며 클램프(clamp)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전원인가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램프소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단자를 램프의 리드선에 압착시키는 외부의 고정부재로부터 상기 전원인가단자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돌기가 각 상기 전원인가단자들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램프소켓.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삽입홈은 상기 측면에 연결된 상기 인버터 홀더부의 다른 측면들 방향으로 각각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램프소켓.
  8. 제1항에 있어서, 소켓몸체는
    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접속홀들이 형성된 상면;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며, 소정의 깊이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인버터 삽입홈이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램프소켓.
  9. 개구가 형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주변부에 배치된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램프몸체 및 상기 램프몸체의 단부에 배치된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복수 개의 램프들;
    상기 수납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며,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출력단자들이 형성된 전원공급유닛; 및
    각 상기 출력단자에 접촉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원인가부재들과, 상기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인버터 삽입홈 및 상기 제2 단자가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접속홀들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에 삽입된 소켓몸체를 포함하는 일체형 램프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램프소켓을 커버하며, 상기 제2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전극부에 압착시키는 고정부들이 형성된 사이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대향하며 클램프 형상을 갖는 제1 전원인가단자 및 제2 전원인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인가단자 및 제2 전원인가단자를 수용하면서 상기 전극부에 압착시키는 고정홈이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의 내측면에 걸리는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제1 전원인가단자 및 제2 전원인가단자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몸체는 상기 접속홀들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인버터 삽입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인버터 홀더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몸체는 상기 인버터 홀더부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결합홀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후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유닛의 상기 가장자리는 상기 인버터 홀더부들에 대응하는 부분들이 각각 돌출되어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삽입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장자리에 형성된 얼라인홈에 삽입되는 얼라인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8. 개구가 형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상부에 복수 개의 접속홀들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접속홀들과 연통되는 인버터 삽입홈이 형성된 소켓몸체와, 상기 인버터 삽입홈에 배치된 제1 단자 및 각 상기 접속홀로부터 돌출된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원인가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 삽입홈이 상기 바닥판의 배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구에 삽입된 일체형 램프소켓;
    상기 인버터 삽입홈에 일측 에지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단자에 램프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유닛;
    상기 바닥판 상에 배치된 램프몸체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램프들;
    상기 일체형 램프소켓을 커버하며, 상기 제2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전극부에 압착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된 사이드커버;
    상기 사이드커버 상에 배치된 광학시트; 및
    상기 광학시트 상에 배치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060069809A 2006-07-25 2006-07-25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KR101318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809A KR101318251B1 (ko) 2006-07-25 2006-07-25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US11/782,318 US7549881B2 (en) 2006-07-25 2007-07-24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E602007011695T DE602007011695D1 (de) 2006-07-25 2007-07-24 Lampenfassung, Rückbeleuchtungsanordnung und Anzeigevorrichtung
TW096126927A TWI400846B (zh) 2006-07-25 2007-07-24 燈座、具此燈座之背光總成以及顯示裝置
JP2007192425A JP5143490B2 (ja) 2006-07-25 2007-07-24 一体型ランプソケット、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EP07014463A EP1883138B1 (en) 2006-07-25 2007-07-24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07101494437A CN101126499B (zh) 2006-07-25 2007-07-25 灯座,具有该灯座的背光装置和显示设备
US12/480,024 US7789687B2 (en) 2006-07-25 2009-06-08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2/869,458 US7967623B2 (en) 2006-07-25 2010-08-26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809A KR101318251B1 (ko) 2006-07-25 2006-07-25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966A true KR20080009966A (ko) 2008-01-30
KR101318251B1 KR101318251B1 (ko) 2013-10-15

Family

ID=38709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809A KR101318251B1 (ko) 2006-07-25 2006-07-25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7549881B2 (ko)
EP (1) EP1883138B1 (ko)
JP (1) JP5143490B2 (ko)
KR (1) KR101318251B1 (ko)
CN (1) CN101126499B (ko)
DE (1) DE602007011695D1 (ko)
TW (1) TWI40084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72B1 (ko) * 2008-04-15 2008-11-03 김우일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와 인버터의 결합구조
KR101328662B1 (ko) * 2006-11-14 2013-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버터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494209B1 (ko) * 2008-05-09 2015-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가이드 프레임, 이를 갖는 커넥팅 모듈,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20190096224A (ko) * 2018-02-08 2019-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단자 터미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726B1 (ko) 2006-09-28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와램프 모듈의 조립방법
KR101256185B1 (ko) * 2007-01-25 2013-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가이드와 이를 구비한 램프 유닛 및 백라이트어셈블리
US8130336B2 (en) * 2007-06-11 2012-03-06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334023B1 (ko) * 2007-08-17 2013-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
TWI350931B (en) * 2007-09-12 2011-10-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structure
JP4985292B2 (ja) * 2007-10-04 2012-07-25 船井電機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機構
US20110007229A1 (en) * 2008-02-27 2011-01-13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502914B1 (ko) * 2008-04-11 2015-03-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조립방법
TWI376551B (en) * 2008-05-14 2012-11-11 Hannstar Display Corp Backlight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cklight module
KR101322313B1 (ko) * 2008-06-17 201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20110157481A1 (en) * 2008-08-20 2011-06-30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TWI387699B (zh) * 2008-10-28 2013-03-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燈座
WO2010097994A1 (ja) * 2009-02-25 2010-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0103705A1 (ja) * 2009-03-13 2010-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100238621A1 (en) * 2009-03-20 2010-09-23 Tracy Mark S Insert-molded conductor
KR20100111502A (ko) * 2009-04-07 201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TWM370104U (en) * 2009-05-14 2009-12-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Backlight component fixing mechanism and related backlight module
US10050423B1 (en) * 2017-02-07 2018-08-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ble-retention device assembly
CN208076752U (zh) * 2018-04-20 2018-1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TWI790796B (zh) * 2021-11-01 2023-01-21 凡甲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0625A (en) * 1992-06-06 1998-02-24 Vossloh Schwabe Gmbh Electrical clamping terminal arrangement
JP3455062B2 (ja) * 1997-05-30 2003-10-06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
JP2001043715A (ja) * 1999-07-30 2001-02-16 Howa Bussan Kk 平面照明装置
KR100754775B1 (ko) * 2001-03-10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램프 유닛,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CN2554846Y (zh) * 2002-07-24 2003-06-04 佛山市石湾区柏联照明电器厂 带弹性接口的一体化直流供电微型光管支架
KR100774579B1 (ko) * 2002-10-25 2007-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4189997B2 (ja) * 2003-03-26 2008-12-03 Tdk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3932285B2 (ja) * 2003-05-06 2007-06-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ランプ保持構造
JP2004349040A (ja) * 2003-05-21 2004-12-09 Nec Lcd Technologies Ltd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573783B1 (ko) 2003-07-30 2006-04-25 유승명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과 램프 접속 방법
TWM248097U (en) * 2003-10-01 2004-10-21 Zippy Tech Corp Lamp frame structure of electroluminescent cathode lamp tube
JP2005150056A (ja) * 2003-11-20 2005-06-09 Funai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4017588B2 (ja) * 2003-11-27 2007-12-05 Tdk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5259370A (ja) * 2004-03-09 2005-09-22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KR101001973B1 (ko) * 2004-04-12 201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60019654A (ko) * 2004-08-28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065655B1 (ko) 2004-09-09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6120428A (ja) * 2004-10-21 2006-05-11 Jst Mfg Co Ltd Eefl用コネクタ
TWI249880B (en) * 2005-04-15 2006-02-21 Coretronic Corp Light source and connector
KR101183447B1 (ko) * 2005-06-30 2012-09-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반사시트 및 이를 이용한백라이트어셈블리와 액정표시장치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662B1 (ko) * 2006-11-14 2013-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버터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866372B1 (ko) * 2008-04-15 2008-11-03 김우일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와 인버터의 결합구조
KR101494209B1 (ko) * 2008-05-09 2015-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가이드 프레임, 이를 갖는 커넥팅 모듈,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20190096224A (ko) * 2018-02-08 2019-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단자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67623B2 (en) 2011-06-28
EP1883138A3 (en) 2009-12-09
US20090257216A1 (en) 2009-10-15
EP1883138B1 (en) 2011-01-05
CN101126499A (zh) 2008-02-20
US7549881B2 (en) 2009-06-23
JP2008034386A (ja) 2008-02-14
US20080024068A1 (en) 2008-01-31
EP1883138A2 (en) 2008-01-30
US7789687B2 (en) 2010-09-07
KR101318251B1 (ko) 2013-10-15
JP5143490B2 (ja) 2013-02-13
TWI400846B (zh) 2013-07-01
DE602007011695D1 (de) 2011-02-17
TW200814470A (en) 2008-03-16
US20100321924A1 (en) 2010-12-23
CN101126499B (zh)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251B1 (ko)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KR101385226B1 (ko)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101208726B1 (ko)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와램프 모듈의 조립방법
KR101294012B1 (ko) 램프홀더, 전원공급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KR101334023B1 (ko)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
KR101234100B1 (ko) 램프소켓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53771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494209B1 (ko) 램프 가이드 프레임, 이를 갖는 커넥팅 모듈,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2008003228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206718B1 (ko)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53056A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80045399A (ko) 전원인가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10002876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70081261A (ko) 램프홀더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80032283A (ko) 램프소켓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532050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EP1995833B1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