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637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637A
KR20080008637A KR1020060068114A KR20060068114A KR20080008637A KR 20080008637 A KR20080008637 A KR 20080008637A KR 1020060068114 A KR1020060068114 A KR 1020060068114A KR 20060068114 A KR20060068114 A KR 20060068114A KR 20080008637 A KR20080008637 A KR 2008000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mod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hanging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087B1 (ko
Inventor
임상연
오영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087B1/ko
Priority to US11/780,310 priority patent/US8229519B2/en
Priority to CNA2007101494600A priority patent/CN101110851A/zh
Priority to JP2007189529A priority patent/JP4624384B2/ja
Priority to EP07014350A priority patent/EP1881682A3/en
Publication of KR2008000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기능 모드(mode)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되는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종래 기술과 차별되는 새로운 개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보관 및 거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회전, 기능 모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hanging Function Mod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의 예(롤링(rolling) 방식)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롤링 방식에 의해 FPCB가 감기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의 다른 예(4 way-connect 방식)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몸체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기능 모드가 변화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body)의 회전에 따라 기능 모드가 변화하는 새로운 개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보관과 거치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bar)형, 폴더(folder)형, 슬라이드(slide)형, 스윙(swing)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 네 가지 타입의 단말기가 서로 복합되는 양상을 띠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고, 각각의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좀 더 편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특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바(bar)형 외에는 모두 두 개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폴더형, 슬라이드형 및 스윙형은, 두 몸체의 상대적 회전 등으로 인해 그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두 몸체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이 자동으로 변경되지는 않는다. 다만, 두 몸체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의해, 단말기가 전원 절약 상태에서 벗어나 대기 모드로 진입하거나, 화면의 구성비가 가로보기에서 세로보기로 변한다거나 하는 매우 제한적인 기능 변화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우 제한적인 기능 변화로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편리함과 재미를 부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최근의 다양한 추세와 요청에 따라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몸체 회전에 의해 기능 모드가 변경되는 새로운 개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를 구성하는 두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량과 상대적인 회전 방향에 따라 각각 기능 모드가 다르게 변경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의 단면을 정다각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몸체의 회전 각도 및 회전량과 같은 회전 정도와는 무관하게 보관과 거치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의 단면을 정다각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여러 형태의 복수 개의 입력부를 동시에 구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와 같은 탈착이 가능한 기능 모듈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기능 모드(mode)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되는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량을 고려하여 기능 모드(mode)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되는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면마다, 소정의 기능 모드(mode)가 할당된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나란히 정렬되는 상기 노출면에 구비된 입력부에 할당된 기능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회전 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몸체의 어느 외면에 설치된 표시부와 나란히 정렬되는, 상기 제2 몸체의 어느 외면에 설치된 입력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입력부에 부합하는 기능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 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와,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소정의 축(A-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A-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결합되는 각 대항면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항면이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적 위치가 어떤 상태에 있더라도 보관 및 거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대항면이 정다각형이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각 면이 넓으므로, 여러 형태의 입력부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각 대항면이 서로 동일한 정사각형이 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를 상기 각 대항면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수단(도면에는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적 회전에 필요한 일정한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합부(300)에 의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기 위한 구조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롤링(rolling) 방식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의 예(롤링(rolling) 방식)를 도시한 도면이다. 중앙 힌지(center hinge)와 메인 보드(PCB: printed circuit board) 사이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여,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힌지 외부와 연결된 FPCB(flexible PCB)를 감는 방식이다. 상기 롤링 방식에 의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는 서로에 대해 360도 이상의 회전이 가능하다. 최대 회전각은 상기 중앙 힌지와 상기 메인 보드 사이의 여유 공간과 FPCB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4는, 롤링 방식에 의해 FPCB가 감기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일정한 방향으로 0도, 90도, 180도, 360도만큼 회전한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둘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4 way-connect 방식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의 다른 예(4 way-connect 방식)를 도시한 도면이 다. 상기 4 way-connect 방식은, 4 방향의 단면에 각각 커넥터(connector)를 두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접점이 변하는 방식이다. 상상기 커넥터는,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조작부와 내부 신호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4 way-connect 방식에 의하는 경우, 최대 회전각은 무한대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모듈(10), 표시부(11), 제어부(12), 회전 감지부(13), 카메라 모듈(14), 입력부(15) 및 메모리부(16)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모듈(10), 표시부(11), 제어부(12), 카메라 모듈(14), 입력부(15) 및 메모리부(16)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감지부(13)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와 결합부(3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모듈(10), 표시부(11), 제어부(12), 회전 감지부(13), 카메라 모듈(14), 입력부(15) 및 메모리부(16)가 반드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모듈(10)은, 이동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이다. 표시부(1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다. 제어부(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회전 감지부(13)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적인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상대적인 회전의 방향 및 회전량을 제어부(12)로 전달한다. 카메라 모듈(14)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로서, 탈부착이 가능하다. 입력부(15)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키 패드나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2)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하, 제어부(12)의 동작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2)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과 상대적인 회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기능 모드(mode)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되는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표시부(11)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은, 상기 변경되는 기능 모드에 해당하는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대적인 회전 방향 및 상대적인 회전량에 따른 기능 모드의 변경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능 모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능 모드의 예를 들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호(call)를 연결하는 통신 모드, 이동통신망을 통해 SMS(short message service) 혹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에 의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모드, MP3와 같은 음악 파일을 구동하는 음악 모드, 카메라 모듈(14)을 이용해 정지영상 혹은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드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무선측위시스템에 의한 위치 정보 제공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동영상 구동 기능, 이동통신망을 통한 무선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몸체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기능 모드가 변화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상기 통신 모드를, 도 6(b)는 상기 메시지 모드를, 도 6(c)는 상기 음악 모드를, 도 6(d)는 상기 카메라 모드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모드 변화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6(a)의 통신 모드 상태에서,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에 대해 좌(左)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도 6(b)의 메시지 모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표시부(11)에는, 상기 메시지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메시지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메시지 송수신 기능에 관계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a)의 통신 모드 상태에서,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에 대해 우(右)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도 6(c)의 음악 모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표시부(11)에는 상기 음악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음악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의 예를 들면, 음악 파일 찾기, 음악 파일 재생 등 상기 음악 모드에 관계되는 메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그리고, 도 6(b)의 메시지 모드 상태에서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에 대해 좌(左) 방향으로 90도 회전하거나, 도 6(c)의 음악 모드 상태에서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에 대해 우(右)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도 6(d)의 카메라 모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표시부(11)에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카메라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의 예 를 들면, 카메라 기능과 관련되는 메뉴를 표시하거나, 카메라 프리뷰(preview)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몸체(200)는,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면마다,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드가 할당된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몸체(200)는 상기 노출면마다 서로 다른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입력부(15a)는 통신 모드에 적합하게 숫자키로만 이루어진 입력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6(b)의 입력부(15b)는 메시지 모드에 적합하게 숫자키와 문자키로 이루어진 입력부를 구비하고, 도 6(c)의 입력부(15c)는 음악 모드에 적합하게 방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입력부(15a, 15b, 15c)는, 반드시 키패드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터치 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부(12)의 동작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몸체(100)는 표시부(11)를 포함하고, 제2 몸체(200)는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면마다 소정의 기능 모드가 할당된 입력부를 구비한다.
제어부(12)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표시부(11)와 나란히 정렬되는 상기 노출면에 구비된 입력부에 할당된 기능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2)는,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적인 회전량과 상대적인 회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기능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통신 모드 상태에서,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 에 대해 좌(左)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표시부(11)와 나란히 정렬되는 노출면에 구비된 입력부(15b)에는 메시지 모드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모드가 활성화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a)의 통신 모드 상태에서, 제2 몸체(200)가 제1 몸체(100)에 대해 우(右)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표시부(11)와 나란히 정렬되는 노출면에 구비된 입력부(15c)에는 음악 모드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모드가 활성화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감지한다[S70].
그리고, 상기 감지된 회전 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 모드를 변경하고[S71], 상기 변경된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표시부(11)에 디스플레이한다[S72].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 른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상대적 회전을 감지한다[S80].
그리고, 상기 감지된 회전에 따라, 제1 몸체(100)의 어느 외면에 설치된 표시부와 나란히 정렬되는, 제2 몸체(200)의 어느 외면에 설치된 입력부를 판별한다[S81].
그리고, 상기 판별된 입력부에 부합하는 기능 모드를 활성화시키고[S82], 상기 활성화된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표시부(11)에 디스플레이한다[S83].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 회전에 의해 기능 모드가 변경되는 새로운 개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재미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를 구성하는 두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량과 상대적인 회전 방향에 따라 각각 기능 모드가 다르게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조합의 기능 모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의 단면을 정다각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몸체의 회전 각도 및 회전량과 같은 회전 정도와는 무관하게, 보관과 거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원래대로 복원할 필요없이 어떠한 상태에서도 단말기의 보관과 거치가 용이하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의 단면을 정다각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는 달리, 단말기가 제공하는 각각의 기능에 적합한 입력부를 동시에 여러 개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와 같은 탈착이 가능한 기능 모듈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기능 모드(mode)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되는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량을 더욱 고려하여 상기 기능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결합되는 각 대항면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각 대항면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면마다,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드가 할당된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량을 고려하여 기능 모드(mode)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되는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결합되는 각 대항면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면마다,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드가 할당된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면마다, 소정의 기능 모드(mode)가 할당된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나란히 정렬되는 상기 노출면에 구비된 입력부에 할당된 기능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결합되는 각 대항면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량과 상대적인 회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기능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회전 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서로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결합되는 각 대항면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17.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몸체의 어느 외면에 설치된 표시부와 나란히 정렬되는, 상기 제2 몸체의 어느 외면에 설치된 입력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입력부에 부합하는 기능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기능 모드에 부합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서로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결합되는 각 대항면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KR1020060068114A 2006-07-20 2006-07-20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KR101122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114A KR101122087B1 (ko) 2006-07-20 2006-07-20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US11/780,310 US8229519B2 (en) 2006-07-20 2007-07-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hanging a function mode
CNA2007101494600A CN101110851A (zh) 2006-07-20 2007-07-20 移动通信终端和改变功能模式的方法
JP2007189529A JP4624384B2 (ja) 2006-07-20 2007-07-20 モバイル通信端末及び機能変更方法
EP07014350A EP1881682A3 (en) 2006-07-20 2007-07-20 Rota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hanging a function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114A KR101122087B1 (ko) 2006-07-20 2006-07-20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637A true KR20080008637A (ko) 2008-01-24
KR101122087B1 KR101122087B1 (ko) 2012-03-15

Family

ID=3861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114A KR101122087B1 (ko) 2006-07-20 2006-07-20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29519B2 (ko)
EP (1) EP1881682A3 (ko)
JP (1) JP4624384B2 (ko)
KR (1) KR101122087B1 (ko)
CN (1) CN1011108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811B1 (ko) * 2010-04-26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5518B1 (en) 2006-12-21 2011-08-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figurable multi-dimensional media device
US8472173B2 (en) 2009-01-28 2013-06-25 Nec Corporation Electric apparatus
EP2472830B1 (en) * 2010-12-30 2017-05-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KR102091160B1 (ko) 2013-07-29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3458106B (zh) * 2013-08-07 2016-01-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移动终端横竖屏显示模式的方法及移动终端
CN104467894B (zh) * 2013-09-17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电子装置
CN204859341U (zh) * 2015-08-11 2015-12-09 深圳遨乐科技有限公司 一种fancam带转轴迷你运动相机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433B2 (ja) * 1978-03-01 1985-04-1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卓付テ−プレコ−ダ
US4540625A (en) 1984-01-09 1985-09-10 Hughes Aircraft Company Flexible air permeable non-woven fabric filters
DE3570188D1 (en) 1984-02-24 1989-06-22 Kuraray Co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plasma
JP4210884B2 (ja) * 1999-10-18 2009-01-2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用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2242708A (ja) 2001-02-14 2002-08-28 Mikuni Corp 内燃機関用直動弁の駆動装置
JP2003008695A (ja) 2001-06-25 2003-01-10 Pioneer Electronic Corp 携帯情報端末機
AU2003280794A1 (en) 2002-11-20 2004-06-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63777B1 (ko) * 2003-03-11 200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7450977B2 (en) * 2003-07-31 2008-11-11 Vodafone K.K.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443404B2 (en) * 2003-10-17 2008-10-28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US20050277439A1 (en) * 2004-06-14 2005-12-15 Nora Brelo Rotatable phone
CN1993968B (zh) * 2004-05-31 2013-01-02 夏普株式会社 便携式通信终端
JP2006004061A (ja) 2004-06-16 2006-01-05 Canon Inc 入力装置
JP2006067341A (ja) 2004-08-27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JP4403398B2 (ja) * 2004-09-08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6046681A1 (ja) * 2004-10-25 2006-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携帯電話装置
US7565183B2 (en) * 2004-11-15 2009-07-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device with selectable camera position
KR100664179B1 (ko) * 2004-11-16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고 메시지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TWM268831U (en) 2004-11-19 2005-06-21 Lite On Technology Corp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P1675358A1 (en) 2004-12-21 2006-06-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otatable module with two input devices for 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7283841B2 (en) * 2005-07-08 2007-10-16 Microsoft Corporation Transforming media device
KR20070087744A (ko) * 2005-09-30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액정을 갖는 이동단말기
US7663509B2 (en) * 2005-12-23 2010-02-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and-held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811B1 (ko) * 2010-04-26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0851A (zh) 2008-01-23
EP1881682A2 (en) 2008-01-23
US8229519B2 (en) 2012-07-24
JP2008085991A (ja) 2008-04-10
JP4624384B2 (ja) 2011-02-02
EP1881682A3 (en) 2008-05-21
KR101122087B1 (ko) 2012-03-15
US20080020811A1 (en)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0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US109087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control of a video image in mobile terminal
US71170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US20150169080A1 (en) Electronic device using auxiliary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30109438A1 (en) Mobile terminal with display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010104219A (ko) 휴대단말장치
KR2009006610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 방법
JP5527813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065976A (zh) 带有三维显示器的便携式通信装置
JP2011028673A (ja) 携帯端末装置
JP5023594B2 (ja) 携帯端末装置、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データ送信制御プログラム
CN115525383A (zh) 壁纸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020690B (zh) 一种作弊行为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050195160A1 (en) Folding-type mobile phone terminal
KR20110133373A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0735705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JP2006157182A (ja) 携帯端末の画像表示制御装置
KR102495332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
KR100735665B1 (ko) 디지털 방송의 와이드 시청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KR1006823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747541B1 (ko) 중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19096305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05041018A1 (en) A handhel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100641568B1 (ko) 이중구조 출력부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를이용한 신호 출력 방법
JP2007158892A (ja) 画像送受信システム、携帯型画像受信装置、画像送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