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347A - 모따기 된 면을 가지는 부착부를 구비한 선삭용 분단블레이드 - Google Patents

모따기 된 면을 가지는 부착부를 구비한 선삭용 분단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347A
KR20080008347A KR1020077025301A KR20077025301A KR20080008347A KR 20080008347 A KR20080008347 A KR 20080008347A KR 1020077025301 A KR1020077025301 A KR 1020077025301A KR 20077025301 A KR20077025301 A KR 20077025301A KR 20080008347 A KR20080008347 A KR 20080008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insert
holder
turning
bla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818B1 (ko
Inventor
에릭 베르밍에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80008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8Cutting tools with blade- or disc-like mai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4Cutting-of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043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with cutting-off, grooving or profile cutting tools, i.e. blade- or disc-like main cut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02Fixation us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clamp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7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seat to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7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10T407/228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including tool holding clamp and clamp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cut off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Kniv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평하고 기다란 본체 (12) 를 포함하는 분단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측면 (13,14) 에 의해서 범위가 정해지고, 서로 반대편에서 평행하며 홀더에 상기 본체를 쇄기 고정하기 위한 모따기 된 면을 갖는 두 길이방향 가장자리 (15,16) 를 가지며, 상기 본체는 단부 근처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인서트 시트 (19) 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 가장자리 (16) 에 대한 상기 인서트 시트의 위치는 인서트 시트 (19) 에 장착되는 선삭 인서트 (20) 의 팁 높이를 결정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 (12) 의 일 측면 (13) 에 형성된 부착부 (24) 을 포함하고 이 부착부 (24) 는 블레이드 본체보다 짧고 얇으며, 또한 서로 반대편에서 평행한 두 길이방향 가장자리 (15a,16a) 를 가지며, 이들 가장자리는 다른 홀더에 부착부를 쇄기 고정하기 위한 모따기 된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해서, 튼튼하고 큰 폭의 선삭 인서트를 위한 분단 블레이드가 제작될 수 있고, 이럼에도 불구하고 이 분단 블레이드는 상당히 얇은 분단 블레이드용 홀더에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따기 된 면을 가지는 부착부를 구비한 선삭용 분단 블레이드 {A PARTING BLADE FOR TURNING PURPOSES WITH AN ATTACHMENT PART WITH CHAMFERED SURFACES}
본 발명은 평평하고 기다란 형태 타입의 분단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반대 측면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홀더에 상기 분단 블레이드 본체를 쇄기 고정하기 위해 모따기 된 면을 제공하는 서로 평행한 상하 길이방향 가장자리와 반대편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단 블레이드는 인서트 시트에 장착되어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대한 선삭 인서트 팁의 높이를 결정하는 가장자리의 근처에 형성된 인서트 시트를 구비한다.
상기 한 종류의 분단 블레이드는 교체 가능한 선삭 인서트의 형태의 마모부와 함께 회전하는 작업물의 분단이나 홈파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선삭 공구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 홀더 안에 장착된다. 이러한 선삭 공구의 특징은 그 블레이드가 적어도 인서트 시트 근처에서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선삭 인서트의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가져야 한다는 것으로, 그렇지 않으면 블레이드는 선삭 인서트가 작업물에 홈파기를 할 때 발생된 틈새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소위 인서트 팁 높이가 공구의 치수 결정에 매우 중요한데, 이 높이는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대한 상기 인서트 시트의 높이 또는 위치를 말한다. 인서트 시트의 아래에 존재하는 전방 지지 블레이드부에 가능한 최대의 강성을 주기 위해서는 공구 홀더로부터 돌출된 상기 블레이드의 돌출단부에서 인서트 시트를 가능한 높게 위치시키는 것이 항상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이 전방 지지 블레이드부가 너무 약해지면 기계 가공시 선삭 인서트에 가해지는 매우 큰 힘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될 위험이 있다.
상이한 치수의 공구는 다른 용도를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1.5 ~ 3 mm 범위내의 폭을 갖는 부속 선삭 인서트와 21 mm 의 인서트 팁 높이를 가지는 작은 종류의 공구가 시중에 공급되고 있다. 중간 크기 공구의 형태로된 다른 종류의 공구는 25 mm 의 인서트 팁 높이와 1.5~ 8 mm 의 폭을 가지는 선삭 인서트 세트를 갖는다. 또한, 강성이 향상된 공구 또한 있을 수 있다. 공구의 종류가 다르면, 인서트 시트에 선삭 인서트를 신뢰적으로 고정하는 문제에 대해 다른 해결방안들을 찾아야 한다. 소위 스프링 클램핑이 보통의 해결방안이다. 이 경우, 선삭 인서트는 인서트 시트의 바닥위에 존재하는 클램핑 핑거의 고유 탄성 또는 가요성에 의해서만 조여짐이 유지된다. 다른 해결 방안은 나사 클램핑이다. 이 경우, 클램핑 핑거는 나사에 의해 작동되고 조여지면 이 나사는 단순한 스프링 장력보다 휠씬 큰 힘으로 핑거를 조인다. 다시 말해, 나사 클램핑은 스프링 클램핑 보다 더 신뢰적이다.
블레이드를 조이는데 사용되고 선삭 선반이나 다목적 기계에 포함될 수 있는 홀더는 강건한 블럭으로 되어 있는데, 이 블럭은 블레이드 내면이 가압되는 지지 측면을 포함하며, 또한 블레이드의 하부 길이방향 가장자리가 눌리게 되는 하부 고 정 죠오를 갖는다. 움직일 수 있는 상부 죠오는 다수의 나사와 상호 작용하며,이 나사는 조여지면 상기 움직일 수 있는 죠오를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가압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의 두 길이방향 가장자리에는 모따기 된 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면은 바깥쪽으로 수렴하고 또한 유사하게 모따기 되어 있지만 안쪽으로 수렴하는 죠오의 면과 상호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나사의 조임으로 죠오들이 서로 접근할 때, 쇄기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쇄기 작용시의 큰 힘에 의해 상기 블럭의 지지 측면에 블레이드의 내면이 견고하게 가압된다. 상이한 종류의 블레이드는 상이한 크기의 인서트 팁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각 종류의 블레이드에 대해 그에 맞는 한 종류의 홀더가 요구된다. 실제로 다른 작업장의 기계장치는 상당히 다양할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작업장은 한 종류의 홀더를 사용할 수도 있는 반면 다른 작업장은 작은 블레이드뿐만 아니라 큰 블레이드를 위한 홀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모든 사용자에게 공통적인 문제점은 (기계 장치에 상관없이) 인서트 팁 높이가 21 mm 인 작은 블레이드는 가장 작은 선삭 인서트 (인서트 폭이 최대 3 mm 임) 에만 적합하다 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더 크고 넓은 선삭 인서트를 최소형 블레이드에 장착하면, 상기 블레이드의 전방 지지 단부의 휨 강성이 너무 작아서 선삭 인서트에 작용되는 절삭력에 저항할 수 없다. 상기 선삭 인서트 아래 영역의 부분은 이 부분의 재료 (강철) 의 양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너무 약하다. 물론, 더 튼튼한 블레이드 (25 mm 의 인서트 팁 높이를 가짐) 에 더 큰 선삭 인서트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 경우, 작은 블레이드를 위한 홀더에 대한 접근만을 가지는 사용자는 더 큰 홀더를 가질 필요가 있고 현존하는 기계를 개조해야할 필요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한편으로 비교적 튼튼한 선삭 인서트의 장착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작은 인서트 팁 높이를 가진 블레이드를 위한 홀더에 조여질 수 있는 분단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또한 상이한 인서트 팁 높이를 가지는 선삭 인서트를 장착할 수 있는 분단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범용성을 가지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따라서 제조비용이 저렴한 분단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주요목적은 적어도 청구항 1 에 기재된 특징적 사항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먼저 도 1 ~ 4 를 참조하면, 도 2 는 분단 블레이드 (1) 를 나타내며 도 3 은 이 블레이드를 잡는 홀더 (2) 를 도시한다. 상기 홀더 (2) 는 강성 블록 (3) 을 포함하며, 이 블록의 전방 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 두 개의 지지면 (4)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면 (4) 은 평평하고 공통의 수직 평면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블럭 (3) 의 바닥에는 하부 고정 지지 죠오 (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죠오의 상 측에는 모따기 된 지지면 (6) 이 있다. 상기 블럭의 상부에는 움직일 수 있는 클램핑 죠오 (7) 가 장착되며, 이 죠오는 다수의 나사 (8) 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상기 죠오 (7) 의 바닥 측에는 모따기 된 면 (9) 이 상기 모따기 된 면 (6) 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서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죠오 (7) 는 또한 제 2 모따기 된 면 (10) 을 가지며, 이 면은 마찬가지로 모따기 된 상기 블럭 (3) 의 상면 (11) 에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처음에 상기 면 (10), (11) 은 서로 특정 적당한 각을 형성하지만, 나사 (8) 가 조여질 때, 움직일 수 있는 이 죠오 (7) 가 바깥 방향으로 (도 4 에서 시계방향) 기울어짐과 동시에 상기 면들은 서로를 향해 가압된다.
도 2 에 따른 분단 블레이드 (1) 는 통상적으로 평평한 기다란 본체 (12) 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이 본체는 평행 6면체의 기본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본체 (12) 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측면 (13), (14) (도 4 에도 도시) 과 서로 반대편에 있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15), (16), 그리고 서로 반대편에 있는 단부 또는 끝 가장자리 (17), (18) 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다. 상기 두 측면 (13) 과 (14) 는 평평하고 서로 평행한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 가장자리 (15), (16) 도 서로 평행하다. 상기 끝 가장자리 (17) 과 (18) 은 블레이드 본체 (12) 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될 수 있다 (필수사항은 아님). 상기 블레이드 본체는 일반적으로 얇고, 이 본체의 폭 또는 높이 (길이방향 가장자리 (15) 와 (16) 사이의 간격) 는 이 본체의 두께보다 상당히 크며, 동시에 이 블레이드 본체의 길이는 상기 폭/높이 보다 상당히 더 크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두께는 1.5 mm 보다 다소 작을 수 있고, 높이는 30 mm 또는 그 이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적어도 한 단부의 영역에는 선삭 인서트 (20) (도 1 참조) 의 형태로 된 절삭 인서트를 받기 위한 인서트 시트 (19) 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는 서로 대각선 방향 반대 편에 있는 2개의 인서트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중 하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15) 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16) 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 가장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인서트 시트는 휠 수 있는 탄성 클램핑 핑거 (21) 와 선삭 인서트의 바닥면이 가압되는 바닥면 (22) 으로 범위가 정해진다. 도 1 내지 4 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선삭 인서트 (20) 는 상기 클램핑 핑거 (21) 의 스프링 력에 의해서만 조여진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본체 (12) 는 두 길이방향 가장자리 (15) 와 (16) 을 따라서 모따기 된 표면 (23) 을 가지며, 이 표면은 상기 측면 쪽으로 수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시 예에서, 표면 (23) 사이의 각은 약 30°이다. 상기 표면은 홀더 (2) 에 있는 상기 표면 (6) 과 (9) 와 상호 작용하도록 되어 것이므로 이러한 표면 (6,9) 또한 동일한 각도로 수렴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선삭 공구는 모두 본질적으로 공지된 사항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단 블레이드 (1) 의 신규한 특징은 상기 블레이드 본체 (12) 의 일 측 (실시 예에서는 측면 (13)) 으로부터 돌출된 부착부 (24) 를 포함한다는 것으로, 이 부착부는 블레이드 본체보다 짧고 얇으며, 서로 반대편에서 평행한 길이방향 가장자리 (15a) 와 (16a) 를 가진다. 상기 길이방향 가장자리 (15a) 와 (16a) 간의 수직 거리가 상기 길이방향 가장자리 (15) 와 (16) 사이에 수직 거리 보다 짧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부착부 (24) 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 비해 "얇다". 블레이드 본체 (12) 와 마찬가지로, 부착부 (24) 는 비교적으로 얇은 판의 형태를 가지나, 상기 블레이드 본체보다 상당히 짧다. 따라서 이 부착부의 단부 (17a) 와 (18a) 각각은 각 인서트 시트 (19) 로 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에 위치된다. 상기 단 부 (17a) 와 (18a) 를 형성하는 면은 휘어져 있거나 아치 형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면은 한편으로 선삭 인서트 (20) 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해 돌아가는 키를 수용하기 위해서, 다른 한편으로는, 모따기 된 접촉면 (15a) 와 (16a) 이 홀더에서 최적의 지지를 제공할 목적으로 최대한으로 긴 길이를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오목한 형태로 되어 있다. 하지만, 끝 면 (17a) 와 (18a) 은 또한 곧을 수도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 (24) 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 (15a) 와 (16a) 에는 일 측부 (13a) 를 향해 적절하게는 상기 모따기면 (6,9) 과 같은 각 30°로 수렴하는 모따기 처리된 면 (23a) 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면 (23a) 은 블레이드 본체 (12) 의 대응하는 모따기된 면 (23) 을 향해 반대 방향으로 수렴한다. 완전성을 위해, 상기 부착부 (24) 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15a) 와 (16a) 은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15) 와 (16) 에 평행하고 이 가장자리와 일정 거리의 간격을 두고 있음을 말해 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판형 요부나 편평한 요소 (25) 가 부착부 (24) 와 상기 블레이드 본체 (12) 사이에 형성되고, 이 요부는 두 개의 길이방향 오목부 (26) 에 의해 정해진 평면에서 적어도 부착부 보다 다소 얇게 되어 있다.
이제 도 7 을 참조하면, P 는 인서트 시트 (19) 에 장착되는 선삭 인서트 (도시 생략) 의 팁이 위치하는 지점을 나타낸다. 문자 "S" 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 (24) 의 하부 길이방향 가장자리 (16) 와 상기 지점 (P) 사이에 높이 차 또는 거리 차로서 결정되는 인서트 팁 높이를 나타낸다. "Sa" 는 상기 지점 (P) 과 부착부 (24) 의 하부 길이방향 가장자리 (16a) 간의 높이 차로 정해지는 다른 대응하는 인서트 팁의 높이를 나타낸다.
도 1 에서, 당해 분단 블레이드는 대형 홀더에 고정되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 (12) 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3 개의 나사 (8) 를 조여 분단 블레이드의 고정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 클램핑 죠오 (7) 가 블레이드를 하방 안쪽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 본체의 측면 (14) 이 블럭 (3) 의 지지면 (4) 에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선삭 인서트 (20) 는 바람직한 위치에 장착되는데 즉, 상기 고정 홀더 (2) 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 (즉, 원하는 인서트 팁의 높이) 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부착부 (24) 는 밖으로 돌아가고 상기 홀더와 접촉이 약해짐으로서 작동하지 않는다.
도 5 와 6 은 다른 작은 홀더 (2a) 를 나타내는데, 이 홀더는 도 1 에 따른 홀더와 동일한 구조적 디자인을 가지나, 여기서 두 죠오 (5) 와 (7) 사이의 틈새는 상기 홀더 (2) 의 대응하는 틈새보다 더 작거나 얇다. 또한, 이 홀더는 클램핑 죠오 (7) 를 조이기 위해서 단지 두 개의 나사 (8) 가 있으면 된다. 이러한 종류의 기존 홀더들은 단지 작은 분단 블레이드 (예를 들어, 21 mm 의 인서트 팁 높이를 가지는 블레이드) 만을 받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향상된 강성을 갖는 분단 블레이드는 상기 부착부 (24) 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분단 블레이드는 또한 더 작은 홀더 (2a) 에도 장착될 수 있다. 그래서, 도 5 와 도 6 에서는, 상기 부착부 (24) 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15a) 와 (16a) 의 모따기 된 면 (23a) 이 상기 죠오 (5) 와 (7) 에 대응 면 (6) 과 (9) 와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부착부 (24) 의 하부 길이방향 가장자리 (16a) 과 상기 블레이드 본체 (12) 의 하부 길이방향 가장자리 (16) 사이의 높이 차가 인서트 팁 높이 "S" 와 "Sa" 사이의 차 (4 mm) 를 고려하여 선택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선삭 인서트 (20) 는 상기 홀더 (2a) 에 대하여 정확하게 원하는 높이에 배치될 것이다. 도 6 은 부착부 (24) 가 모따기 된 면 (23a) 을 통해서만 상기 죠오 (5) 와 (7) 가 접촉하고 블레이드 본체는 접촉하지 않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부착부 (24) 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 (12) 의 표면의 대부분 (절반 이상) 을 따라 있기 때문에, 상기 선삭 인서트를 갖는 블레이드 본체와 상기 홀더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부착부 사이에는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큰 조인트가 얻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선삭 인서트 상기 홀더에 대하여 그 원하는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된다.
도 8 은 분단 블레이드의 대안적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 예의 블레이드가 전술한 블레이드와 다른 점은, 이 경우 선삭 인서트 (20) 는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임 나사 (27) 에 의해서도 작동되는 클램핑 핑거 (21) 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상기 선삭 인서트는 나사에 의해, 클램핑이 클램핑 핑거의 고유 탄성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훨씬 큰 조임력으로 조여질 수 있다. 도 8 에서 명백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 본체 (12) 는 상술한 실시 예의 대응하는 블레이드 본체보다 훨씬 더 튼튼하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는 실제 6 mm 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그래서 나사와 이 나사에 필요하고 블레이드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야 하는 나사구멍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증가된 두께에도 불구하고, 블레이드 본체의 일 측에 있는 부착부 (24) 의 덕택에 상기 분단 블레이드는 도 5 와 6 에 도시된 작은 종류의 홀더에도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본 발명에 따른 분단 블레이드의 실질적 이점은, 공구 홀더를 교체할 수 없거나 해서는 안 되는 선삭 선반을 사용하는 사용자/작업장에게 상당히 많은 종류의 선삭 인서트가 제공될 수 있고 또한 그래서, 기존의 기계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기계 가공작업 (분단, 홈파기 등) 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작은 공구 홀더에도 분단 블레이드를 장치할 수 있으며, 인서트 시트 아래 임계 부분에서의 휨 강성이 상당히 개선되며, 그러므로 분단 블레이드는 상당한 폭의 선삭 인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동일한 홀더에서, 1.5~3 mm 의 폭을 갖는 선삭 인서트뿐만 아니라, 심지어 8 mm 까지의 폭을 갖는 선삭 인서트도 사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술된 분단 블레이드는 단일 작업물을 성형가공하여, 예컨대 블레이드 본체와 이 본체의 일 측의 부착부를 밀링 가공하여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일 측뿐만 그 반대 측에도 부착부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부착부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데, 예컨대 부착부의 개별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카운터싱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카운터싱크는 홀더의 상호 작용 지지면에 가압되는 두개의 짧은 모따기 된 면을 축 방향으로 분리한다. 또한 하나의 연속된 부착부 대신, 축 방향 떨어져 있는 두 개 (또는 그 이상) 의 부착부를 블레이드 본체의 동일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은 선삭 인서트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분단 블레이드가 장착된 제 1 형 (대형) 공구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부속 선삭 인서트가 제거된 상기 절삭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따른 대형 홀더만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상기 홀더와 상기 분단 블레이드의 분해 단부도이다.
도 5 는 동일한 분단 블레이드를 장착한 다른 종류의 (소형)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따른 분단 블레이드와 홀더를 도시한 단부도이다.
도 7 은 분단 블레이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분단 블레이드의 대안적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Claims (3)

  1. 평평하고 기다란 본체 (12)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측면 (13,14) 에 의해서 범위가 정해지고, 서로 반대편에서 평행하며 홀더에 상기 본체를 쇄기 고정하기 위한 모따기 된 면 (23) 을 갖는 두 길이방향 가장자리 (15,16) 및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단부 (17,18) 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본체는 단부 근처에 형성된 인서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 가장자리 (16) 에 대한 상기 인서트 시트의 위치는 인서트 시트에 장착되는 선삭 인서트의 팁 높이를 결정하는 분단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 (12) 는 일 측면 (13) 으로부터 돌출한 부착부 (24) 를 포함하며, 이 부착부는 블레이드 본체보다 짧고 얇으며, 또한 서로 반대편에서 평행한 두 길이방향 가장자리 (15a,16a) 를 가지며, 이들 가장자리는 다른 홀더 (2a) 에 부착부를 쇄기 고정하기 위한 모따기 된 면 (23a)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단 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 본체 (12) 의 두 길이방향 가장자리 (15,16) 의 모따기 된 면 (23) 은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일 측면 (13) 을 향해 수렴하고,
    부착부 (24) 는 상기 측면 (13) 을 따라 배치되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 본체 (12) 를 향해 수렴하는 모따기 된 면 (23a)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단 블레이드.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평평한 요부 (25) 가 부착부 (24) 와 상기 블레이드 본체 (12)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는 상기 부착부 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단 블레이드.
KR1020077025301A 2005-05-02 2006-04-03 모따기 된 면을 가지는 부착부를 구비한 선삭용 분단블레이드 KR101207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501026-9 2005-05-02
SE0501026A SE528614C2 (sv) 2005-05-02 2005-05-02 Avstickningsblad för svarvningsändamål innefattande en tillsatsd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347A true KR20080008347A (ko) 2008-01-23
KR101207818B1 KR101207818B1 (ko) 2012-12-05

Family

ID=3730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301A KR101207818B1 (ko) 2005-05-02 2006-04-03 모따기 된 면을 가지는 부착부를 구비한 선삭용 분단블레이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19337B2 (ko)
EP (1) EP1879712B1 (ko)
JP (1) JP4870753B2 (ko)
KR (1) KR101207818B1 (ko)
CN (1) CN101171096B (ko)
SE (1) SE528614C2 (ko)
WO (1) WO20061185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215A (ko) * 2015-09-24 2017-04-03 김현래 절삭공구용 고정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4752B1 (no) * 2004-07-22 2007-12-10 Teeness Asa System for innspenning av et skjaerhode i et adapter, et skjaerhode og en festeanordning
DE102005024746A1 (de) * 2005-05-31 2006-12-07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Werkzeughaltersystem
IL195696A0 (en) * 2008-12-03 2009-09-01 Iscar Ltd Tool holder for clamping an insert holder
EP3103573B1 (en) * 2012-03-06 2023-08-02 Iscar Ltd. Use of a blade holder for a parting blade with high pressure cooling
US9259788B2 (en) 2012-03-06 2016-02-16 Iscar, Ltd. Parting blade and blade holder configured for conveyance of pressurized coolant
SE536741C2 (sv) * 2012-11-08 2014-07-0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kärverktyg jämte stickblad härför
EP2745963B2 (en) * 2012-12-19 2021-03-17 Seco Tools Ab Coupling for a cooling system in a cutting tool
DE102016103565A1 (de) * 2016-02-29 2017-08-31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Schneidplatte, Werkzeughalter und Werkzeug zur spanenden Bearbeitung eines Werkstücks
EP3222376B1 (en) * 2016-03-24 2019-01-23 Seco Tools AB Grooving blade, grooving tool and method of grooving a metallic workpiece
JP6059839B1 (ja) * 2016-04-04 2017-01-1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切削工具及び環状溝の加工方法
IT201600110252A1 (it) * 2016-11-02 2018-05-02 Dario Ivaldi Lama troncatrice e macchina troncatrice
JP6307582B2 (ja) * 2016-12-07 2018-04-0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切削工具
US10363722B2 (en) * 2017-03-23 2019-07-30 Iscar, Ltd. Blade-shape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therefor
EP3717159A1 (en) 2017-11-30 2020-10-07 Iscar Ltd. Modular turning tool having a replaceable adaptor
TWD196915S (zh) 2018-06-07 2019-04-11 韓商特固克有限公司 切削刀片之部分
CN109530722B (zh) * 2018-12-27 2020-04-14 云南北方驰宏光电有限公司 薄壁铝合金反射镜的自适应固定装置及加工方法
CN115803132A (zh) * 2020-07-13 2023-03-14 伊斯卡有限公司 用于切削刀具的y轴分离适配器
US11897038B2 (en) 2020-09-30 2024-02-13 Iscar, Ltd. Curved face grooving blade and face grooving holder therefor
BR112023005713A2 (pt) * 2020-10-20 2023-05-02 Iscar Ltd Conjunto de ferramenta de corte, métodos para cortar ou ranhurar uma fenda em uma peça de trabalho e para prender uma lâmina de corte a um portador de lâmina, braçadeira de lâmina de corte, lâmina de corte, e, portador
US11806793B2 (en) 2021-11-03 2023-11-07 Iscar, Ltd. Cutting insert having laterally spaced apart, longitudinally extending wedge abutment surfaces, tool holder and cutting tool
CN116690251B (zh) * 2023-08-05 2023-10-03 南京普莱机电有限公司 一种用于工件夹持的夹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6756A (en) * 1955-05-02 1958-08-12 Manchester Machine & Tool Co Cutoff tool and holder therefor
JPS61178603A (ja) * 1985-02-05 1986-08-11 Fujitsu Ltd 画像処理における輪郭抽出方式
DE8513350U1 (de) * 1985-05-07 1985-06-13 Fodor, Blasius, 7322 Donzdorf Drehmeißel zum spanenden Bearbeiten von Werkstücken
JPS6330403A (ja) * 1986-07-23 1988-02-09 Sansho Seiyaku Kk 外用剤
AT388125B (de) * 1987-07-22 1989-05-10 Plansee Tizit Gmbh Stechwerkzeug
DE8904239U1 (ko) 1989-04-06 1989-06-29 Zinner Gmbh Praezisionswerkzeuge, 8500 Nuernberg, De
DE9207000U1 (ko) * 1992-05-23 1993-06-24 Heule, Heinrich, Au, Ch
RU2065800C1 (ru) * 1994-09-27 1996-08-27 Владимир Борисович Мездрогин Отрезной резец
IL115544A (en) * 1995-10-06 1998-12-06 Iscar Ltd Cutting tool system with replaceable adapter
CA2222249A1 (en) * 1998-02-04 1999-08-04 Stefan Bazydlo Parting tool holder
US6099210A (en) * 1998-11-16 2000-08-08 Alpha Grainger Mfg., Inc. Tool holder with pivotal adjustment
US6186704B1 (en) * 1999-03-04 2001-02-13 Kennametal Inc. Toolholder with detachable blade
US6207294B1 (en) * 1999-04-30 2001-03-27 Philip A. Rutter Self-sharpening, laminated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king the tool
IL136564A (en) * 2000-06-05 2003-12-10 Iscar Ltd Cutting tool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215A (ko) * 2015-09-24 2017-04-03 김현래 절삭공구용 고정홀더
KR101879482B1 (ko) * 2015-09-24 2018-07-17 김현래 절삭공구용 고정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40141A (ja) 2008-11-20
EP1879712A1 (en) 2008-01-23
JP4870753B2 (ja) 2012-02-08
CN101171096A (zh) 2008-04-30
CN101171096B (zh) 2011-04-20
SE0501026L (sv) 2006-11-03
EP1879712B1 (en) 2012-06-13
US7419337B2 (en) 2008-09-02
KR101207818B1 (ko) 2012-12-05
US20060257217A1 (en) 2006-11-16
WO2006118506A1 (en) 2006-11-09
SE528614C2 (sv)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818B1 (ko) 모따기 된 면을 가지는 부착부를 구비한 선삭용 분단블레이드
EP1159101B1 (en) Toolholder with detachable blade
EP1013364B1 (en) Cutting tool assembly
EP2945765B1 (en) Cutting tool with cutting insert having non-abutting side flanks
RU2547986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и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для него
KR950008006A (ko) 절삭 공구
US10052693B2 (en) Plate member of cutting tool, tool block, clamp member, and cutting tool
RU2483843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и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для него
JP4918799B2 (ja) 切削インサートのクランプ機構及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RU2002594C1 (ru) Режуща пластина и резцовый узел
JPH10315012A (ja) 切削加工差込み工具用クランプ装置
EP1263543B1 (en) Cutting tool assembly
WO2004071695A1 (ja) 刃先交換式チ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切削工具
JP4327367B2 (ja) 突切り及び類似作業用の切削工具
JP2000225540A (ja) ホルダとアダプタとを具備する工具
KR20020063823A (ko) 툴 홀더
JPH11320248A (ja) 切り屑を除去する機械加工用工具
JP4309776B2 (ja) 内径溝入れ加工用工具
JP2003504222A (ja) 保持ブレードを含む締結装置と切削インサートのキー装置
US4621958A (en) Metal boring tool
JPH07703U (ja) 替刃式カンナ
KR100593467B1 (ko) 체결력이 향상된 홀더 및 인서트
JP3597998B2 (ja) 切削工具
RU2181644C2 (ru) Отрезной токарный резец
JP4424209B2 (ja) 切削インサートのクランプ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