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7539A -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제어장치, 및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제어장치, 및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7539A
KR20080007539A KR1020077000994A KR20077000994A KR20080007539A KR 20080007539 A KR20080007539 A KR 20080007539A KR 1020077000994 A KR1020077000994 A KR 1020077000994A KR 20077000994 A KR20077000994 A KR 20077000994A KR 20080007539 A KR20080007539 A KR 20080007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unit
program
power consumption
vi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에 의해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에 설정된 시청예정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시청시간 산출부(106)가 시청예정 방송프로그램의 합계시청시간을 산출한다. 소비전력 산출부(107)는, 상기 합계시청시간으로부터 소비전력량을 산출한다. 한편 전지잔량 검출부(109)는 전지의 잔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전지잔량이 상기 소비전력량보다 적을 경우에 충전통지부(110)에 의해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소비전력, 전지잔량, 시청시간, 복호처리

Description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제어장치, 및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TELEVISION BROADCAST RECEPTION DEVICE, TELEVISION BROADCAST RECEP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TELEVISION BROADCAST RECEPTION DEVICE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휴대용 텔레비전이나 휴대전화 등의 이동체에 내장되어, 전지로 구동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제어장치, 및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앞으로, 휴대용 텔레비전이나 휴대전화 등의 이동체 단말용 지상파 디지털방송이 개시될 것으로 예정된다. 이 이동체 단말용 지상파 디지털방송에서는, 영상데이터나 음성데이터(이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 양자를 합하여 음성영상데이터라 칭함)의 압축방식으로 H264가 사용될 예정이다.
상기 H264와 같은 압축방식으로 압축된 음성영상데이터의 복호처리는, 예를 들어 휴대용 텔레비전으로서는 부하가 큰 처리이므로 소비전력량이 크다. 때문에 텔레비전방송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져버릴 경우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휴대전화에서는 본래의 통화기능이나 메일 송수신기능 이외에, 디지털카메라, 음악재생, 텔레비전수신기능이 추가되면, 소비전력량의 증가가 현저해져 휴대전화 통화 중이나 텔레비전방송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져버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와 같은 소비전력량의 증가에 대해서 예를 들어, 노트북형 퍼스널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에서는,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갖는 복수의 기능수단별로 우선순위를 정해두고, 전지잔량이 감소된 경우에 우선도가 낮은 기능수단부터 정지시키고 우선도가 높은 기능수단에만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적게 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 일특개 2001-331242호 공보 참조). 이로써 소비전력량이 제어되어 보다 긴 시간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다.
또 디지털방송 수신시스템에 있어서, 전지잔량이 감소했을 경우 소비전력량이 큰 음성영상데이터의 재생수단 및 표시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정지하고, 시청 중인 방송프로그램을 기록매체에 기록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적게 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2; 일특개 2003-283958호 공보 참조).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복수의 기능수단 중 우선도가 낮은 기능수단을 정지시켜도, 데이터처리 도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마지막까지 정보처리장치의 동작이 보증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시청 중인 방송프로그램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도, 방송프로그램 도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방송프로그램을 마지막까지 기록하는 것이 보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지로 구동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프로그램의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의 복호, 및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부와, 시청할 방송프로그램의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복수 설정되는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와,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개시시간을 감산한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한편,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상기 시청시간을 합계한 합계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시청시간 산출부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재생부가 상기 합계 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합계 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와, 상기 전지의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전지잔량 검출부와, 상기 합계 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지잔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전지의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충전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는데 필요한 만큼 전지에 잔량이 없을 경우에는 충전의 필요함이 미리 사용자에 통지되므로, 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제 1 형태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방송신호는, 방송프로그램의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한 신호이며,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는,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 일람을 표시함과 더불어, 표시된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에서 선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시청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을 설정하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제 2 형태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는, 추가로 방송프로그램의 방송연장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것이며, 상기 시청시간 산출부는,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상기 시청시간의 합계에, 추가로 상기 방송연장시간을 가산하여 상기 합계 시청시간으로서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연장시간이 합계 시청시간에 가산되므로, 예를 들어 스포츠 실황중계 등의 연장 가능성이 있는 프로그램이라도, 방송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제 1 형태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청시간 산출부는,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1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상기 시청시간과,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 상기 1개의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나타내는 개시시간보다 개시시간이 빠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상기 시청시간을 합계한 누적시청시간을,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는, 상기 수신부와 상기 재생부가 상기 누적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을 상기 합계 소비전력량으로서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통지부는, 상기 합계 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는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음을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선택된 각 방송프로그램에 관해 상기 누적시청시간이 산출되므로, 사용자는 현재의 전지잔량으로 어느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잔량이 적어 선택한 방송프로그램을 모두 볼 수 없을 경우에는, 시청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축약시켜 다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형태는 제 1 형태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휴대전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는, 상기 수신부와 상기 재생부가 상기 합계 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하는 소비전력량과, 현재 시각부터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시청예정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종료시간까지, 상기 휴대전화부가 대기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의 소비전력량의 합계를 상기 합계 소비전력량으로서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휴대전화에 본 발명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가 내장되었을 경우 등에도, 방송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 6 형태는 제 1 형태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현재 시각을 계측하는 타이머부와, 사용자가 지정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설정하는 시각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는, 상기 타이머부가 계측한 현재시각과 상기 시각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시각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상기 합계 소비전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통지부는, 상기 타이머부가 계측한 현재시각과 상기 시각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시각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상기 통지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형태는 제 1 형태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현재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부와,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위치정보 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부가 검출한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위치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합계 소비전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통지부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부가 검출한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위치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통지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충전 가능한 시각이나 사용자가 충전 가능한 장소에서,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충전을 잊는 것이 방지되며, 전지로 구동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방송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 8 형태는,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시청할 방송프로그램의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복수 설정되는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와,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개시시간을 감산한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한편,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상기 시청시간을 합계한 합계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시청시간 산출부와, 상기 합계 시청시간의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한 경우에 소비되는 합계 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와, 상기 전지의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전지잔량 검출부와, 상기 합계 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취득부가 취득한 전지잔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전지의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하는 충전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는데 필요한 만큼 전지에 잔량이 없을 경우에는 미리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므로, 전지로 구동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형태는 제 8 형태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청시간 산출부는,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1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상기 시청시간과,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 상기 1개의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나타내는 개시시간보다 개시시간이 빠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상기 시청시간을 합계한 누적시청시간을,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는, 상기 누적시청시간의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한 경우에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을 상기 합계 소비전력량으로서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판정부는, 상기 합계 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는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선택된 각 방송프로그램에 관해 상기 누적시청시간이 산출되므로, 사용자는 현재의 전지잔량으로 어느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0 형태는 제 1 형태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상기 전지로부터 전지잔량을 취득하는 전지잔량 취득부를 상기 전지잔량 검출부 대신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전지 자체가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 스마트 배터리 등이 사용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을 시청하는데 필요한 만큼 전지에 잔량이 없을 경우에는 미리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 형태는, 전지를 전원으로 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기록하는 녹화부와, 녹화할 방송프로그램의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복수 설정되는 녹화프로그램 설정부와, 상기 녹화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개시시간을 감산한 녹화시간을 산출하는 한편, 상기 녹화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상기 녹화시간을 합계한 합계 녹화시간을 산출하는 녹화시간 산출부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녹화부가 상기 합계 녹화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합계 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와, 상기 전지의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전지잔량 검출부와, 상기 합계 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지잔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전지의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충전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방송을 녹화하는데 필요한 만큼 전지에 잔량이 없을 경우에는 미리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전지로 구동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 녹화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실행되 는 소비전력관리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되는 방송프로그램 정보, 각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 및 소비전력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액정디스플레이 표시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실행되는 소비전력관리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액정디스플레이 표시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실행되는 소비전력관리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되는 방송프로그램 정보, 각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 및 소비전력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실행되는 소비전력관리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되는 방송프로그램 정보, 각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 및 소비전력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액정디스플레이 표시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액정디스플레이 표시내용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실행되는 소비전력관리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되는 방송프로그램 정보, 각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 및 소비전력 등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실행되는 소비전력관리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서 실행되는 소비전력관리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101 : 수신부
102 : 재생부 103 : 액정디스플레이
104 : 키 입력부 105 : 시청프로그램 설정부
106, 306, 406 : 시청시간 산출부
107, 407, 507, 607, 707 : 소비전력 산출부
108 : 전지 109, 609, 709 : 전지잔량 검출부
110, 610, 710 : 충전통지부 111 : 스피커
204, 304 : 방송프로그램 정보취득부
205 : 시청프로그램 설정부 304a : 연장시간 취득부
506 : 휴대전화부 601, 701 : 경고타이밍 관리부
601a : 시각설정부 601b : 타이머부
701a : 위치정보 설정부 701b : GPS부
801 : 전지잔량 취득부 901 : 녹화프로그램 설정부
902 : 녹화부 903 : 녹화시간 산출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부(101), 재생부(102), 액정디스플레이(103), 키 입력부(104),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 시청시간 산출부(106), 소비전력 산출부(107), 전지(108), 전지잔량 검출부(109), 충전통지부(110), 및 스피커(11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수신부(101)는,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재생부(102)는, 수신부(101)가 수신한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전송스트림 중에서 선국한 방송프로그램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이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 양자를 합하여 음성영상데이터라 칭함)를 추출하여, 상기 음성영상데이터를 복호하고 재생하여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액정디스플레이(103)는, 상기 재생부(102)가 재생한 음성영상데이터의 표시 및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전지잔량 등의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키 입력부(104)는, 사용자가 키 조작으로 입력한 방송프로그램(시청될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번호, 개시시간, 종료시간 등의 프로그램 정보를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는, 키 입력부(104)가 출력한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시청예정 프로그램으로서 설정됨(유지됨)과 더불어, 액정디스플레이(103)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시청시간 산출부(106)는,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에 유지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관해 방송프로그램 종료시간에서 개시시간을 감산하여 시청시간을 산출하고, 또 선택된 복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을 합계하여 합계시청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소비전력산출부(107)는,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상기 합계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전지(108)는, 충전식 전지이며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의 각 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지잔량 검출부(109)는 전지(108)의 전지잔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충전통지부(110)는,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경고알람을 스피커(111)로 출력함과 동시에, 경고메시지(예를 들어 "충전이 필요합니다"라는 식의 메시지)를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스피커(111)는 상기 경고알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에서는, 도 2의 흐름도에 나 타낸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방송프로그램의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각 단계에서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단계S101)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를 조작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채널번호, 개시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방송프로그램 정보는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에 설정된다.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는, 설정된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함과 더불어 시청시간 산출부(106)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프로그램(P101, P102)이 설정된 경우에 액정디스플레이(103)의 표시내용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단계S102)
시청시간 산출부(106)는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관해,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종료시간에서 개시시간을 감산하여 시청시간을 산출하고, 또 선택된 전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을 합계하여 합계시청시간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방송프로그램(P101, P102)이 설정된 경우에, 방송프로그램(P101)의 시청시간은 1시간, 방송프로그램(P102)의 시청시간은 2시간으로 산출되며, 또 합계시청시간은 3시간으로 산출된다.
(단계S103)
소비전력산출부(107)는, 시청시간 산출부(106)에서 산출된 합계시청시간에 기초하여,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상기 합계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 비되는 소비전력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1시간 동작한 경우에, 전지 총 충전량의 20%를 소비하는 것으로 한다면, 합계시청시간이 3시간일 경우의 소비전력량은 총 충전량의 60%로 산출된다.
(단계S104)
한편 전지잔량 검출부(109)는 전지(108)의 전지잔량을 검출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전지잔량이 50%로 검출된 것으로 한다.
(단계S105)
충전통지부(110)는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 단계(S106)의 처리로 이행하고,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작을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의 예에서는 산출된 소비전력량 60%는 전지잔량 50%보다 크므로 단계(S106)로 이행한다.
(단계S106)
충전통지부(110)는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경고알람이 스피커(111)로 출력됨과 동시에 "충전이 필요합니다"라는 메시지가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으로서 설정된 방송프로그램의 합계시청시간에 기초하여, 수신부(101)와 재생부(102)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이 산출되고, 산출된 소비전력량에 전지잔량이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을 보다 용이하게 설정하기가 가능한 장치의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2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에 방송프로그램 정보취득부(204)를 추가시키고,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 대신 시청프로그램 설정부(205)를 구비하여 구성된 점이 상기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와 다르다. 여기서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방송프로그램 정보취득부(204)는 수신부(101)가 수신한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전송스트림으로부터 방송프로그램명, 개시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시청프로그램 설정부(205)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시청프로그램 설정부(205)는,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전자 방송프로그램표를 작성하여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 시청프로그램 설정부(205)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의 조작으로 상기 전자 방송프로그램표에서 선택한 방송프로그램(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시청예정 방송프로그램으로서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200)에서는, 도 6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방송프로그램의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각 단계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단계S201)
방송프로그램 정보취득부(204)는 수신부(101)가 수신한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전송스트림으로부터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시청프로그램 설정부(205)로 출력한다.
(단계S202)
시청프로그램 설정부(205)는, 방송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전자 방송프로그램표를 작성하여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를 조작하여 전자 방송프로그램표 중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프로그램이 시청예정 방송프로그램으로서 설정된다. 여기서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된 전자 방송프로그램표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을 선택한 경우의 양상을 일례로 도 7에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방송프로그램(P101)의 뉴스와 방송프로그램(P102)의 야구가 선택되었다. 본 장치에서 선택된 방송프로그램은, 그것이 선택됐음을 나타내기 위해 방송프로그램 주위의 프레임 선이 이중 선으로 표시된다.
(단계S203∼207)
단계(S203)∼단계(S207)의 처리는 각각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단계(S102)∼단계(S106)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으로서 설정한 방송프로그램의 합계시청시간에 기초하여, 수신부(101)와 재생부(102)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이 산출되고, 산출된 소비전력량에 전지잔량이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사용자는, 표시된 전자 방송프로그램표에서 시청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시청예정 방송프로그램을 설정하기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방송프로그램표에서 선택된 방송프로그램이 이중 선의 프레임으로 둘러싸여 표시되는 예를 설명했으나, 선택 프로그램과 비선택 프로그램의 식별로는, 예를 들어 방송프로그램 프레임 내의 색을 바꾸어 표시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수신한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전송스트림으로부터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예를 설명했으나, 예를 들어 본 장치가 휴대전화에 내장된 경우에는, 휴대전화의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인터넷 등으로부터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방송시간이 연장될 가능성이 있는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에도, 방송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지는 장치의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300)는 제 2 실시형태의 텔레비전방 송 수신장치(200)와 비교하여, 방송프로그램 정보취득부(204) 대신 방송프로그램 정보취득부(304)를 구비하고, 시청시간 산출부(106) 대신 시청시간 산출부(306)를 구비하여 구성된 점이 다르다.
방송프로그램 정보취득부(304)는, 수신부(101)가 수신한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전송스트림으로부터 방송프로그램 방송연장시간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연장시간 취득부(304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방송프로그램 정보취득부(304)는, 수신부(101)가 수신한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방송프로그램명, 개시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프로그램 정보 및 연장시간 취득부(304a)가 추출한 방송연장시간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시청프로그램 설정부(205)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시청시간 산출부(306)는, 시청프로그램 설정부(205)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에 관해,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의 종료시간에서 개시시간을 감산한 후, 상기 방송연장시간을 가산하여 시청시간을 산출하고, 또 선택된 모든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을 합계하여 합계시청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300)에서는 도 9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각 단계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단계S301)
방송프로그램 정보취득부(304)는, 수신한 지상파 디지털방송의 전송스트림으로부터 방송프로그램명, 개시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 또 연장시간 취득부(304a)는 상기 전송스트림으로부터 방송프로그램 방송연장시간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S302)
시청프로그램 설정부(205)는, 방송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전자 방송프로그램표를 작성하여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를 조작하여 전자 방송프로그램표 중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프로그램이 시청예정 방송프로그램으로서 설정된다. 여기서는 도 10의 표에 나타낸 방송프로그램(P101, P102)이 설정된 것으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단계S303)
시청시간 산출부(306)는, 선택된 각 방송프로그램에 관해,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의 종료시간에서 개시시간을 감산한 후, 방송연장시간을 가산하여 시청시간을 산출하고, 또 선택된 모든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을 합계하여 합계시청시간을 산출한다. 도 10의 표에 나타낸 예에서, 방송프로그램(P101)의 시청시간은 1시간, 방송프로그램(P102)의 시청시간은 2시간, 방송연장시간은 0.5시간이므로, 합계시청시간은 3.5시간으로 산출된다.
(단계S304)
소비전력산출부(107)는,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합계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1시간 동작한 경우에 전지 총 충전량의 20%를 소비하는 것으로 한다면, 합계시 청시간 3.5시간의 소비전력량은 70%로 산출된다.
(단계S305∼307)
단계(S305)∼단계(S307)의 처리는 각각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단계(S104)∼단계(S106)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으로서 설정한 방송프로그램의 합계시청시간에 기초하여, 수신부(101)와 재생부(102)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이 산출되어, 산출된 소비전력량에 전지잔량이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연장시간 취득부(304a)가 취득한 방송프로그램의 방송연장시간이 합계시청시간에 가산되므로, 예를 들어 스포츠 실황중계 등의 연장 가능성이 있는 방송프로그램이라도,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제 4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4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40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와 비교하여, 시청시간 산출부(106) 대신 시청시간 산출부(406)를 구비하고, 소비전력 산출부(107) 대신 소비전력 산출부(407)를 구비하여 구성된 점이 다르다.
시청시간 산출부(406)는,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에 설정된 각각의 방송프 로그램에 대해,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의 종료시간에서 개시시간을 감산하여 시청시간을 산출하고, 또 그 방송프로그램과 그보다 개시시간이 빠른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을 합계한 누적시청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소비전력 산출부(407)는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상기 누적시청시간의 동작을 하여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400)에서는 도 12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각 단계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단계S401)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를 조작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채널번호, 개시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방송프로그램 정보는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에 설정된다.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는, 설정된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함과 더불어 시청시간 산출부(406)로 출력한다.
(단계S402)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에 설정된 각각의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의 종료시간에서 개시시간을 감산하여 시청시간을 산출하고, 또 그 방송프로그램과 그보다 개시시간이 빠른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을 합계한 누적시청시간을 산출한다. 도 13의 표에 나타낸 예에서는 방송프로그램(P101)의 누적시청시간은 1시간, 방송프로그램(P102)의 누적시청시간은 방송프로그램 P101과 P102의 시 청시간을 합계하여 3시간으로 산출된다.
(단계S403)
소비전력산출부(407)는,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누적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누적소비전력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1시간 동작한 경우에 전지 총 충전량의 20%를 소비하는 것으로 한다면, 방송프로그램(P101)의 누적소비전력량은 20%, 방송프로그램(P102)의 누적소비전력량은 60%로 산출된다.
(단계S404)
한편 전지잔량 검출부(109)는 전지(108)의 전지잔량을 검출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전지잔량이 50%로 검출된 것으로 한다.
이하,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단계(S405)∼(S407)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S405)
충전통지부(110)는 각 방송프로그램에 대응한 누적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는 단계(S406)의 처리로 이행하고, 누적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작을 경우에는 단계(S407)의 처리로 이행한다.
(단계S406)
충전통지부(110)는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음을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방송프로그램(P102)의 누적소비전력량은 60%로 전지잔량의 50%보다 크므로 시청할 수 없음이 표시된다.
(단계S407)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는 방송프로그램이 시청 가능함을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방송프로그램(P101)의 누적소비전력량은 20%로 전지잔량 50%보다 작으므로 시청 가능함이 표시된다.
도 14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와 같이, 방송프로그램 정보로서 개시시각, 종료시각, 및 채널을 표시하는 장치에 각 방송프로그램의 시청 가부가 표시된 예이다. 또 도 15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200)와 같이, 방송프로그램 정보로서 개시시각, 종료시각, 및 채널을 표시하는 장치에 각 방송프로그램의 시청 가부가 표시된 예이다. 이들 예에서는, 방송프로그램(P101)이 시청 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해 방송프로그램 표시프레임의 오른쪽 끝에 ○표가 표시되고, 방송프로그램(P102)이 시청 불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해 ×표가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택된 각 방송프로그램에 관해 상기 누적시청시간이 산출되므로, 사용자는 현재의 전지잔량으로 어느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잔량이 적어 선택한 방송프로그램 모두를 볼 수 없을 경우에는 시청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축약시켜 다시 선택하기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에서 설명한 시청 가부를 식별하는 방법(○×표시에 의한 식별)은 예시이며, 예를 들어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된 방송프로그램 프레임 내의 색을 바꾸어 시청 가부를 식별하는 방법 등을 채용해도 된다.
[제 5 실시형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와 휴대전화가 조합된 예를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5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500)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와 비교하여, 추가로 휴대전화부(506)를 구비하고, 소비전력 산출부(107) 대신 소비전력 산출부(507)를 구비하여 구성된 점이 다르다.
휴대전화부(506)는 전원전압이 전지(108)로부터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또 휴대전화부(506)로부터는, 휴대전화부(506)의 소비전력을 산출하기 위한 정보가 소비전력 산출부(507)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소비전력 산출부(507)는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합계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소비전력량과, 휴대전화부(506)가 현재시각부터 시청예정 방송프로그램의 종료시간까지 대기상태로 동작한 경우에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의 합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500)에서는 도 17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각 단계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단계S501∼S502)
단계S501∼S502의 처리는, 각각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단계(S101∼S102)에서의 처리와 마찬가지 처리이다.
따라서 이들 처리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되는 한편, 선택된 각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이 산출되며, 또 합계 시청시간이 산출된다(도 18 참조).
(단계S503)
소비전력 산출부(507)는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합계시청시간 동작하여 소비되는 소비전력량과, 휴대전화부(506)가 현재시각부터 상기 방송프로그램 종료시간까지 대기상태로 동작하여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의 합계를 산출한다.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1시간 동작한 경우에, 전지 총 충전량의 20%를 소비하는 것으로 하면, 도 18 표의 예에서 방송프로그램(P101)의 소비전력량은 20%, 방송프로그램(P102)의 소비전력량은 40%, 휴대전화부(506)의 소비전력량은 10%로 산출되고, 합계 소비전력량은 70%로 산출된다.
(단계S504)
한편 전지잔량 검출부(109)는 전지(108)의 전지잔량을 검출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전지잔량이 60%로 검출된 것으로 한다.
(단계S505)
충전통지부(110)는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 단계(S506)의 처리로 이행하고,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작을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의 예에서, 산출된 소비전력량 70%는 전지잔량 60%보다 크므로 단계(S506)로 이행한다.
(단계S506)
충전통지부(110)는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경고알람이 스피커(111)로 출력됨과 동시에 "충전이 필요합니다"라는 메시지가 액정 디스플레이(103)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동작하여 소비되는 소비전력량과 휴대전화부(506)가 동작하여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의 합계 소비전력량이 산출되어, 전지잔량이 산출된 소비전력량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제 6 실시형태]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6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600)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에 경고타이밍 관리부(601)를 추가하고, 소비전력 산출부(107) 대신 소비전력 산출부(607), 전지잔량 검출부(109) 대신 전지잔량 검출부(609), 충전통지부(110) 대신 충전통지부(610)를 구비하여 구성된 점이 상기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와 다르다.
경고타이밍 관리부(601)는 시각설정부(601a)와 타이머부(601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시각설정부(601a)는 사용자가 충전 가능한 시간대의 시각이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타이머부(601b)는 현재시각과 시각 설정부(601a)에 설정된 시각이 일치한 경우에, 현재시각과 시각 설정부(601a)에 설정된 시각이 일치함을 나타내는 시각일치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소비전력 산출부(607)는, 타이머부(601b)가 상기 시각일치신호를 출력했을 때,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상기 합계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전지잔량 검출부(609)는, 타이머부(601b)가 상기 시각일치신호를 출력했을 때, 전지(108)의 전지잔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충전통지부(610)는, 타이머부(601b)가 상기 시각일치신호를 출력했을 때,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크면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경고알람을 스피커(111)로 출력함과 동시에, 경고메시지를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600)에서는, 현재시각과 시각 설정부(601a)에 설정된 시각이 일치한 경우에, 소비전력 산출부(607)에서 필요 소비전력량이 산출되고, 전지잔량 검출부(609)에서 전지잔량이 검출된다. 그리고 소비전력 산출부(607)에서 산출된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 충전통지부(610)에서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사용 중에, 충전통지부(610)가 충전이 필요함을 통지해도, 사용자가 외출 중인 등의 이유로 충전할 수 없는 상황일 경우에는, 귀가한 시점에서 충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귀가한 시점에서는 충전하는 것을 잊어버려 방송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600)에서는, 사용자의 귀가시간을 시각설정부(601a)에 설정해두면 사용자가 설정한 귀가시간에 충전통지부(610)에 의해 충 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충전을 잊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시각설정부(610a)에 귀가시간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했으나, 사용자가 충전 가능한 시간대라면 그 밖의 시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제 7 실시형태]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7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700)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에 경고타이밍 관리부(701)를 추가하고, 소비전력 산출부(107) 대신 소비전력 산출부(707), 전지잔량 검출부(109) 대신 전지잔량 검출부(709), 충전통지부(110) 대신 충전통지부(710)를 구비하여 구성된 점이 상기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와 다르다.
경고타이밍 관리부(701)는 위치정보 설정부(701a)와 GPS부(701b)(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위치정보 설정부(701a)는, 사용자가 충전 가능한 위치정보(예를 들어 자택의 위치정보)가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GPS부(701b)는, 현재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700)의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정보와 위치정보 설정부(701a)에 설정된 위치정보가 일치한 경우, 검출한 위치정보와 위치정보 설정부(701a)에 설정된 위치정보가 일치함을 나타내는 위치정보 일치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소비전력 산출부(707)는, GPS부(701b)가 상기 위치정보 일치신호를 출력했을 때,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상기 합계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전지잔량 검출부(709)는, GPS부(701b)가 상기 위치정보 일치신호를 출력했을 때, 전지(108)의 전지잔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충전통지부(710)는, GPS부(701b)가 상기 위치정보 일치신호를 출력했을 때,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크면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경고알람을 스피커(111)로 출력함과 동시에, 경고메시지를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700)에서는, 위치정보 설정부(701a)에 설정된 위치정보와 GPS부(701b)에서 검출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700)의 현재 위치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소비전력 산출부(707)에서, 필요한 소비전력량이 산출되고, 전지잔량 검출부(709)에서 전지잔량이 검출된다. 그리고 소비전력 산출부(707)에서 산출된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 충전통지부(710)에 의해 액정디스플레이(103)나 스피커(111)를 통해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사용 중에, 충전통지부(710)가 충전이 필요함을 통지해도, 사용자가 외출 중인 등의 이유로 충전할 수 없는 상황일 경우에는, 귀가한 시점에서 충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귀가한 시점에서는 충전하는 것을 잊어버려 방송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700)에서는, 사용자의 자택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설정부(701a)에 설정해두면, 사용자가 귀가했을 때 충전통지부(710)에 의해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충전을 잊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위치정보 설정부(701a)에 자택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했으나, 사용자가 충전 가능한 장소라면 그 밖의 장소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제 8 실시형태]
전지 자체가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 스마트 배터리 등을 사용하여, 전지잔량을 전지로부터 취득하는 장치의 예를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8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800)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에 전지잔량 검출부(109) 대신 전지잔량 취득부(801)를 구비하는 점, 및 전지(108)가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점이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와 다르다. 이 전지잔량 취득부(801)는, 전지(108)가 검출한 전지잔량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800)에서는 도 22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각 단계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단계S801)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를 조작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채널번호, 개시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방송프로그램 정보는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에 설정된다.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는, 설 정된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함과 더불어 시청시간 산출부(106)로 출력한다.
(단계S802)
시청시간 산출부(106)는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관해,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의 종료시간에서 개시시간을 감산하여 시청시간을 산출하고, 또 선택된 모든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을 합계하여 합계시청시간을 산출한다.
(단계S803)
소비전력산출부(107)는, 시청시간 산출부(106)에서 산출된 합계시청시간에 기초하여, 수신부(101)와 재생부(102)가 상기 합계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을 산출한다.
(단계S804)
전지잔량 취득부(801)는 전지(108)로부터 전지잔량을 취득한다.
(단계S805)
충전통지부(110)는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는 단계(S806)의 처리로 이행하고,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작을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806)
충전통지부(110)는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으로서 설정된 방송 프로그램의 합계시청시간에 기초하여, 수신부(101)와 재생부(102)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이 산출되고, 전지잔량이 산출된 소비전력량에 미 치지 않을 경우에는,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방송 프로그램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제 9 실시형태]
예약 방송프로그램을 녹화할 경우에도, 녹화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지는 장치의 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9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900)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100)의 시청프로그램 설정부(105)를 녹화프로그램 설정부(901)로 치환하고, 재생부(102)를 녹화부(902)로 치환하며, 시청시간 산출부(106)를 녹화시간 산출부(903)로 치환시켜 구성된다.
녹화프로그램 설정부(901)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를 조작하여 입력한, 녹화예약 하고싶은 방송프로그램의 채널번호, 개시시간, 종료시간 등이 설정되도록(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녹화부(902)는, 녹화프로그램 설정부(901)에 설정된 방송프로그램의 개시시간이 되면, 수신부(101)가 선국한 방송프로그램(녹화예약 한 방송프로그램)를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녹화시간 산출부(903)는 녹화프로그램 설정부(901)에 유지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관해 방송프로그램의 종료시간에서 개시시간을 감산하여 녹화시간을 산출하고, 또 선택된 복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시간을 합계하여 합계녹화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900)에서는 도 24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예약 방송프로그램 녹화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각 단계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단계S901)
사용자가 키 입력부(104)를 조작하여, 녹화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채널번호, 개시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방송프로그램 정보는 녹화프로그램 설정부(901)에 설정된다. 녹화프로그램 설정부(901)는, 설정된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액정디스플레이(103)에 표시함과 더불어 녹화시간 산출부(903)로 출력한다.
(단계S902)
녹화시간 산출부(903)는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관해,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의 종료시간에서 개시시간을 감산하여 녹화시간을 산출하고, 또 선택된 모든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시간을 합계하여 합계녹화시간을 산출한다.
(단계S903)
소비전력산출부(107)는, 녹화시간 산출부(903)에서 산출된 합계녹화시간에 기초하여, 수신부(101)와 녹화부(902)가 상기 합계녹화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을 산출한다.
(단계S904)
전지잔량 검출부(109)는 전지(108)의 전지잔량을 검출한다.
(단계S905)
충전통지부(110)는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 단계(S906)의 처리로 이행하고,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작을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906)
충전통지부(110)는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녹화하고싶은 방송프로그램으로서 설정한 방송프로그램의 합계녹화시간에 기초하여, 수신부(101)와 녹화부(902)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이 산출되고, 전지잔량이 산출된 소비전력량에 미치지 않을 경우에는, 충전의 필요함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방송프로그램 녹화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한 양태로서, 상기 수신부(101), 재생부(102), 액정디스플레이(103), 및 스피커(111)를 포함하지 않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용 제어장치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충전통지부(110)는, 액정디스플레이(103)나 스피커(111)로 출력하는 기능을 생략하고, 소비전력량이 전지잔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부분(충전판정부)만을 포함한 구성으로 하여, 판정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하면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예를 설명했으나, 예를 들어 지상파 아날로그방송을 수신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이들 실시형태를 적용해도 된다.
또 음성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방송의 방송프로그램만이 아닌,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방송의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에도 이들 실시형태를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제어장치, 및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은, 전지로 구동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가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가지며, 휴대용 텔레비전이나 휴대전화 등의 이동체에 내장되어 전지로 구동되는 텔레비전 수신장치, 상기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제어장치, 및 상기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8)

  1.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의 복호 및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부와,
    시청할 방송프로그램의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복수 설정되는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와,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개시시간을 감산한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한편,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상기 시청시간을 합계한 합계시청시간을 산출하는 시청시간 산출부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재생부가 상기 합계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합계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와,
    상기 전지의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전지잔량 검출부와,
    상기 합계 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지잔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전지의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충전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방송신호는, 방송프로그램의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한 신호이며,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는,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 일람을 표시함과 더불어, 표시된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에서 선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는, 추가로 방송프로그램의 방송연장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것이며,
    상기 시청시간 산출부는,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상기 시청시간의 합계에, 추가로 상기 방송연장시간을 가산하여 상기 합계시청시간으로서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청시간 산출부는,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1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상기 시청시간과,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 상기 1개의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나타내는 개시시간보다 개시시간이 빠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상기 시청시간을 합계한 누적시청시간을,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산출하도록 구성되 며,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는, 상기 수신부와 상기 재생부가 상기 누적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하는 소비전력량을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으로서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통지부는,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음을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휴대전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는, 상기 수신부와 상기 재생부가 상기 합계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하는 소비전력량과, 현재 시각부터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시청예정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방송프로그램 정보 종료시간까지, 상기 휴대전화부가 대기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의 소비전력량 합계를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으로서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로,
    현재 시각을 계측하는 타이머부와,
    사용자가 지정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설정하는 시각설정부를 구비하 며,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는, 상기 타이머부가 계측한 현재시각과 상기 시각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시각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통지부는, 상기 타이머부가 계측한 현재시각과 상기 시각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시각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상기 통지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로,
    현재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부와,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위치정보 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부가 검출한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위치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통지부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부가 검출한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위치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상기 통지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8.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시청할 방송프로그램의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복수 설정되는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와,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개시시간을 감산한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한편,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상기 시청시간을 합계한 합계시청시간을 산출하는 시청시간 산출부와,
    상기 합계시청시간의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한 경우에 소비되는 합계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와,
    상기 전지의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전지잔량 검출부와,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취득부가 취득한 전지잔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전지의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하는 충전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제어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시청시간 산출부는,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1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상기 시청시간과,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 상기 1개의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나타내는 개시시간보다 개시시간이 빠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상기 시청시간을 합계한 누적시청시간을,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산출하도록 구성되 며,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는, 상기 누적시청시간의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한 경우에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을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으로서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판정부는,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는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제어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상기 전지로부터 전지잔량을 취득하는 전지잔량 취득부를 상기 전지잔량 검출부 대신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11.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기록하는 녹화부와,
    녹화할 방송프로그램의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복수 설정되는 녹화프로그램 설정부와,
    상기 녹화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개시시간을 감산한 녹화시간을 산출하는 한편, 상기 녹화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상기 녹화시간을 합계한 합계녹화시간을 산출하는 녹화시간 산출부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녹화부가 상기 합계녹화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합계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와,
    상기 전지의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전지잔량 검출부와,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지잔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전지의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충전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12.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는,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의 복호 및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부와,
    시청할 방송프로그램의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복수 설정되는 시청프로그램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개시시간을 감산한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한편,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상기 시청시간을 합계한 합계시청 시간을 산출하는 시청시간 산출단계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재생부가 상기 합계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되는 합계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 소비전력량 산출단계와,
    상기 전지의 전지잔량을 검출하는 전지잔량 검출단계와,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전지잔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전지의 충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충전통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방송신호는, 방송프로그램의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한 신호이며, 추가로,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방송프로그램 정보 취득단계와,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 일람을 표시하는 전자 방송프로그램표 표시단계와,
    상기 전자 방송프로그램표 표시단계에 의해 표시된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에서 선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하는 방송프로그램 정보 선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는, 추가로 방송프로그램의 방송연장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것이며,
    상기 시청시간 산출단계는,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상기 시청시간의 합계에, 추가로 상기 방송연장시간을 가산하여 상기 합계시청시간으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시청시간 산출단계는,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1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상기 시청시간과,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 상기 1개의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나타내는 개시시간보다 개시시간이 빠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상기 시청시간을 합계한 누적시청시간을,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각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산출하며,
    상기 소비전력량 산출단계는, 상기 수신부와 상기 재생부가 상기 누적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하는 소비전력량을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으로서 산출하고,
    상기 충전통지단계는,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이 상기 전지잔량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전지잔량보다 클 경우에,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휴대전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비전력량 산출단계는, 상기 수신부와 상기 재생부가 상기 합계시청시간의 동작을 한 경우에 소비하는 소비전력량과, 현재 시각부터 상기 시청프로그램 설정부에 설정된 방송프로그램 정보 중 마지막으로 시청될 예정인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종료시간까지, 상기 휴대전화부가 대기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의 소비전력량 합계를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으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는 추가로,
    현재 시각을 계측하는 타이머부와,
    사용자가 지정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설정하는 시각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비전력량 산출단계는, 상기 타이머부가 계측한 현재시각과 상기 시각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시각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충전통지단계는, 상기 타이머부가 계측한 현재시각과 상기 시각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시각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상기 통지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는 추가로,
    현재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부와,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위치정보 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비전력량 산출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부가 검출한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위치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상기 합계소비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충전통지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부가 검출한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위치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상기 통지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KR1020077000994A 2005-06-02 2006-04-28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제어장치, 및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KR20080007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2411 2005-06-02
JP2005162411 2005-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539A true KR20080007539A (ko) 2008-01-22

Family

ID=3748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994A KR20080007539A (ko) 2005-06-02 2006-04-28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제어장치, 및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54100A1 (ko)
JP (1) JPWO2006129443A1 (ko)
KR (1) KR20080007539A (ko)
CN (1) CN101019421A (ko)
DE (1) DE112006001301T5 (ko)
WO (1) WO20061294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2573B2 (ja) * 2005-07-07 2011-03-0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105772B1 (ko) 2006-10-27 201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2008177778A (ja) * 2007-01-17 2008-07-31 Nec Corp 通信端末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プログラム
US7945797B2 (en) * 2007-07-12 2011-05-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power source management
US8108013B2 (en) * 2007-12-13 2012-01-31 Motorola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a flow-based user experience
US8027671B2 (en) * 2008-01-14 2011-09-27 Penthera Partners, Inc. Delivering files to a mobile device
US8271056B2 (en) * 2008-01-17 2012-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battery needs in a portable device
US20090249405A1 (en) * 2008-03-31 2009-10-01 Broadcom Corporation Video transmission system with edge device for adjusting video streams based on device parameter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970705B2 (en) * 2009-03-20 2015-03-03 Sony Corporation Graphical power meter for consumer televisions
US8639232B2 (en) * 2010-09-30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manage processes of a mobile device based on available power resources
US20120222092A1 (en) * 2011-02-25 2012-08-30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to media for an electronic device
EP2859721B1 (en) * 2012-06-06 2018-08-08 Arçelik Anonim Sirketi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energized by a renewable energy source
JP2014011629A (ja) * 2012-06-29 2014-01-20 Sharp Corp 通信端末
US20150169371A1 (en) * 2013-12-13 2015-06-18 Mark D. Yarvis Platform self-management of resources based on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user plans and goals
CN115278321A (zh) * 2016-06-01 2022-11-01 麦克赛尔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
US10338661B2 (en) 2016-09-20 2019-07-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lanning and managing the power utilization of a battery-powered device
EP3595300B1 (en) * 2017-06-16 2021-08-18 Sharp NEC Display Solutions, Ltd. Video monitoring method, video monitoring device, and video monitoring system
CN107171398A (zh) * 2017-06-29 2017-09-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098982B2 (ja) * 2018-03-19 2022-07-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7890A (en) * 1996-12-12 2000-05-02 Echostar Engineering Corp.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schedule system in which the future events are paged in time
US6323775B1 (en) * 1999-08-10 2001-11-27 Telefonaktiebolaget Im Ericsson (Pub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ximity-based recharge notification
JP3779215B2 (ja) * 2002-01-28 2006-05-24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
US6710578B1 (en) * 2002-08-27 2004-03-23 Motorola, Inc. Power resource management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5065129A (ja) * 2003-08-20 2005-03-10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消費電力低減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05080385A (ja) * 2003-08-29 2005-03-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バッテリ残容量表示方法
JP2005142796A (ja) * 2003-11-06 2005-06-02 Sharp Corp 携帯テレビ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129443A1 (ja) 2008-12-25
CN101019421A (zh) 2007-08-15
US20090054100A1 (en) 2009-02-26
WO2006129443A1 (ja) 2006-12-07
DE112006001301T5 (de)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7539A (ko)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제어장치, 및 텔레비전방송 수신장치의 소비전력 관리방법
US86112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deo data based on a predicted next channel selection
US7825818B2 (en)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3181222A (zh) 基于可用电力资源来管理移动装置的进程的系统和方法
US200800600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start channel for mobile television
WO2005094073A1 (ja) 視聴支援装置および番組録画システム
US804603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program
JP2007235527A (ja) 携帯端末および放送コンテンツの記録予約方法
US20080299894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71969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JPWO2010122740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MX2011002654A (es) Metodo y aparato para grabacion y visualizacion de un programa de audio/video en respuesta a un evento sin grabacion durante el programa.
EP16728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assistance in a wireless terminal employing an avatar
US20080118222A1 (en) Digital broadcast recep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served recording of digital broadcast programs
KR20070102227A (ko) 휴대용 방송 수신기의 배터리 잔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80107207A1 (en)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JP2007019775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328020A (ja) 映像音声受信携帯端末
JP4011565B2 (ja) 携帯端末
JP2006254076A (ja) 放送受信装置
GB2517561A (en) A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media audience
KR1007862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dmb 방송에서의 채널 정보 프리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98247A (ko)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 프로그램 저장방법
JP2008160514A (ja) 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151049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放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