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879A - 가열로 추출도어 - Google Patents

가열로 추출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879A
KR20080006879A KR1020060066175A KR20060066175A KR20080006879A KR 20080006879 A KR20080006879 A KR 20080006879A KR 1020060066175 A KR1020060066175 A KR 1020060066175A KR 20060066175 A KR20060066175 A KR 20060066175A KR 20080006879 A KR20080006879 A KR 20080006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urnace
cooling water
cooling
refractory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343B1 (ko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066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343B1/ko
Publication of KR2008000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2Casings
    • F27B9/34Arrangements of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 F27D1/0006Linings or walls formed from bricks or layer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pecific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2Casings; Linings; Walls; Roofs incorporating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가열로 내부의 고열에 의해서도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가열로 추출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추출도어는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냉각부; 가열로의 내측을 향하는 상기 냉각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내화물; 및, 상기 내화물의 가장자리 부위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냉각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열로의 열에 의해 열팽창 되더라도 서로 압착되어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구성되는 다수의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로 추출도어는, 가열로의 고열에 의해서도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열로의 고열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는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냉각부에 설치되는 냉각수 공급라인 및 리턴라인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열로 추출도어가 가열로로부터 이탈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가열로, 추출도어, 냉각부, 내화물, 테두리부

Description

가열로 추출도어{Door for drawing slab from heating furnac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열로 추출도어가 설치된 가열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열로 추출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추출도어가 설치된 가열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열로의 개략적인 부분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가열로 추출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슬래브 19 : 롤러 테이블
40 : 냉각부 45 : 냉각수
60 : 내화물 65 : 보강재
80 : 테두리부 100 : 추출도어
120 : 체인 140 : 냉각수 공급라인
150 : 냉각수 리턴라인 200 : 가열로
본 발명은 가열로 추출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로 내부의 고열에 의해서도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가열로 추출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압연공장에서는 가열로에서 압연에 알맞은 온도(1100~1300℃)로 슬래브를 가열하고 슬래브 표면의 스케일을 제거한 후, 압연기에서 압연작업을 실시한다. 즉, 제선 및 제련공정을 거쳐 연속주조공정으로 제조된 슬래브는 후판공장으로 이송하여 압연과정을 거쳐 후판으로 제조되는데, 이와 같은 열간압연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슬래브가 가열로를 거치도록 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열간압연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열로 추출도어가 설치된 가열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열로 추출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가열로 추출도어(10)는 냉각부(4)와, 냉각부(4)의 일면에 설치된 내화물(6), 및 상기 내화물(6)을 고정 및 지지하는 테두리부(8)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부(4)는 냉각수(5)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냉각수(5)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라인(14)과 냉각수(5)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라인(15)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부(4)의 일면에 설치되는 내화물(6)은 고온에 내성을 가진 재료로서 내부에 보강재(7)가 구성되며, 가열로(20)의 고열에 대비하기 위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8)는 내화물(6)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해 상기 냉각부(4)의 일면에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열로 추출도어(10)가 상부에 설치된 체인(12)에 의해 올려지게 되면, 내측에서 가열된 슬래브(18)는 외부로 추출되어 열간압연과정을 위해 롤러 테이블(19)에서 이송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열로 추출도어(10)는 가열로(20) 내부의 고열에 의해 열변형하게 된다. 즉, 상기 내화물(6)을 고정 및 지지하는 테두리부(8)가 가열로(20) 내부의 고열로 인하여 열팽창함으로써 변형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냉각부(4)도 변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로(20)의 고열로 인하여 가열로 추출도어(10)가 팽창하게 되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열로 추출도어(10)의 형태가 변함으로써, 상기 가열로 추출도어(10)에는 가열로(20)의 고열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는 틈이 생길 수 있으며, 상기 냉각부(4)에 설치되는 냉각수 공급 및 배출라인(14)(15)도 파손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열로 추출도어(10)가 가열로(20)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상황 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가열로(20) 근처의 고열이 형성된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이 상당히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가열로의 고열에 의해서도 가열로 추출도어가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정상적인 작업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을 할 수 있는 가열로 추출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추출도어는,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냉각부; 가열로의 내측을 향하는 상기 냉각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내화물; 및, 상기 내화물의 가장자리 부위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냉각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열로의 열에 의해 열팽창 되더라도 서로 압착되어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구성되는 다수의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화부의 테두리부는 그 끝단이 상기 내화물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냉각부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라인과,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리턴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공급라인과 냉각수 리턴라인은 상기 냉각부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가열로 추출도어가 설치된 가열로에서 슬래브를 추출하는 작업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열로(200)에서 슬래브(18)를 가열한 후, 체인(120)에 의해 가열로 추출도어(100)를 상측으로 올려서 가열된 슬래브(18)를 가열로(200)의 외부로 추출한다. 그런다음, 상기 슬래브(18)를 열간압연과정을 위해 롤러 테이블(19)상으로 옮겨서 이송시킨다.
도 4는 도 3의 가열로(200)의 개략적인 부분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가열로 추출도어(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열로 추출도어(100)는 냉각수(45)가 수용되는 냉각부(40), 상기 냉각부(40)의 일면에 설치되는 내화물(60), 및 상기 내화물(60)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테두리부(8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부(40)는 냉각수(45)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즉, 냉각부(40)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공간에 냉각수(45)가 수용되어, 가열로(200)의 열을 식히 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냉각수(45)가 수용되는 냉각부(40)에는, 바람직하게, 냉각수(45)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라인(140)과, 냉각수(45)를 배출하는 냉각수 리턴라인(150)이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공급라인(140)과 냉각수 리턴라인(150)은 상기 냉각부(40)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수 공급라인(140)과 냉각수 리턴라인(150)이 냉각부(40)에 설치됨으로써, 냉각수 공급라인(140)을 통해 냉각부(40)의 내부공간으로 냉각수(45)가 유입되며, 유입된 냉각수(45)는 냉각부(40)의 열을 식힌 후 냉각수 리턴라인(150)을 통해 냉각부(4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부(4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냉각수(45)는 가열로(200)에서 발산되어 전달된 고열을 식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공급라인(140)과 냉각수 리턴라인(150)은 냉각부(40)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됨으로써, 냉각수 리턴라인(150)을 통해 냉각부(40)의 외부로 나온 냉각수(45)를 식혀서 온도를 다시 내리게 한 다음, 다시 냉각수 공급라인(140)을 통해 냉각부(40)로 유입시키는 과정을 거쳐 냉각수(45)를 순환시킨다.
상기 내화물(60)은 가열로(200)의 내측을 향하는 냉각부(40)의 일면에 설치된다. 즉, 상기 가열로(200)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에 대해 가열로 추출도어(100)가 훼손되지 않도록, 내화성이 우수한 내화물(60)이 가열로(200)의 내측을 향하는 냉각부(40)의 일면에 설치된다.
상기 내화물(60)은 적어도 1,000℃ 이상 고온에서 연화(軟化)하지 않고 그 강도를 충분히 유지하며 화학적 작용 등에도 견딜 수 있는 재료로서, 내화벽돌, 금속용해용 도가니, 기타 제품 등이 있으며, 최근에 개발된 신소재로서 서멧(cermet), 원자력 관계용 재료와 같은 것도 있다.
또한, 상기 내화물(60)은 보강되기 위해, 내부에 스틸앵커와 같은 보강재(65)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테두리부(80)는 내화물(60)의 가장자리 부위를 고정시키도록 냉각부(4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즉, 다수의 테두리부(80)는 내화물(60)의 가장자리 부위를 고정시키기 위해, 내화물(60)의 가장자리 부를 바깥쪽으로부터 감싸도록 냉각부(40)의 외측면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80)는, 바람직하게, 그 끝단이 상기 내화물(60)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다. 즉, 상기 내화물(60)은 냉각부(40)의 일면에 대해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테두리부(80)가 압박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수의 테두리부(80)는 상기 가열로(200)의 열에 의해 열팽창 되더라도 서로 압착되어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구성된다.
상기 가열로(200)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로 인하여 다수의 테두리부(80)는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팽창하는 다수의 테두리부(80)는 서로 압착되어 변형되 지 않기 위해서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만약, 상기 다수의 테두리부(80)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면 테두리부(80)는 가열부의 열로 인하여 열팽창하여 변형되게 된다. 즉, 다수의 테두리부(80)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서 하나의 테두리부(80)로 냉각부(4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면, 테두리부(80)는 가열부의 열로 변형되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게 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냉각부(40)로 가열부의 열로 변형되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게 됨으로써 가열로 추출도어(100)의 전체적인 형상에 변형이 오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가열로(200)의 고열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는 틈이 생길 수 있고, 냉각부(40)에 설치되는 냉각수 공급라인 및 리턴라인(140)(150)이 파손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열로 추출도어(100)가 가열로(200)로부터 이탈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을 상기 테두리부(80)가 가열로(200)의 열에 의해 열팽창 되더라도 서로 압착되어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구성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추출도어(100)를 사용함으로써, 가열로(200) 근처의 고열이 형성된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가열로 내부의 고온의 열이 구부러지고 파손된 가열로 추출도어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게 되면, 인근에서 작업중인 작업자들은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추출도어는, 가열로의 고열에 의해서도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열로의 고열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는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냉각부에 설치되는 냉각수 공급라인 및 리턴라인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열로 추출도어가 가열로로부터 이탈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추출도어를 사용함으로써, 가열로 근처의 고열이 형성된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3)

  1.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냉각부;
    가열로의 내측을 향하는 상기 냉각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내화물; 및,
    상기 내화물의 가장자리 부위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냉각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열로의 열에 의해 열팽창 되더라도 서로 압착되어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구성되는 다수의 테두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추출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그 끝단이 상기 내화물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추출도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라인과,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리턴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공급라인과 냉각수 리턴라인은 상기 냉각부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추출도어.
KR1020060066175A 2006-07-14 2006-07-14 가열로 추출도어 KR100797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175A KR100797343B1 (ko) 2006-07-14 2006-07-14 가열로 추출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175A KR100797343B1 (ko) 2006-07-14 2006-07-14 가열로 추출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879A true KR20080006879A (ko) 2008-01-17
KR100797343B1 KR100797343B1 (ko) 2008-01-22

Family

ID=3922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175A KR100797343B1 (ko) 2006-07-14 2006-07-14 가열로 추출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3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62B1 (ko) * 2012-01-31 2014-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의 도어장치
KR101388028B1 (ko) * 2012-07-30 2014-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의 도어장치
KR20190062124A (ko) * 2018-05-16 2019-06-05 임덕준 열분해 가스화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7310B2 (ja) * 1995-11-08 2007-01-1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製鋼用アーク炉の除滓口ドア装置
JPH1072621A (ja) 1996-08-29 1998-03-17 Kawasaki Steel Corp 鋼材の加熱炉
JP4554029B2 (ja) 2000-04-28 2010-09-29 小糸工業株式会社 陶芸用炉の扉装置
KR100817280B1 (ko) * 2001-10-26 2008-03-27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도어 개폐장치
JP4306503B2 (ja) 2004-03-17 2009-08-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転炉インスペクションドア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62B1 (ko) * 2012-01-31 2014-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의 도어장치
KR101388028B1 (ko) * 2012-07-30 2014-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의 도어장치
KR20190062124A (ko) * 2018-05-16 2019-06-05 임덕준 열분해 가스화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343B1 (ko) 200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4799B1 (en) Water-cooling panel for furnace wall and furnace cover of arc furnace
KR100797343B1 (ko) 가열로 추출도어
KR101338118B1 (ko) 알루미늄 연속 용해로
ES2287167T3 (es) Elemento de refrigeracion.
KR101975328B1 (ko) 용광로의 내화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US6609908B2 (en) Replaceable heater cover
JP5680297B2 (ja) 製鉄用容器の耐火物ライニング構造
JP2008202923A (ja) 自溶炉の炉体水冷構造
JP5659462B2 (ja) 製鉄用容器の耐火物ライニング構造
KR101574777B1 (ko) 내화벽돌 라이너 유닛
EA011189B1 (ru)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ая печь
CN211373215U (zh) 一种蓄热式推钢加热炉的炉底结构
JP2005016812A (ja) 溶融メタルの処理装置
US7306763B2 (en) Metallurgical vessel for melting device for liquid metals
EP2960608A1 (en) Method for cooling housing of melting unit and melting unit
JP2001141203A (ja) バーナー構造及びバーナーの装着方法
CN219956112U (zh) 一种拱顶结构的铝工业炉耐火衬体
CN213396559U (zh) 一种火法冶金炉的炉顶结构
JP6213441B2 (ja) タンディッシュ堰の再使用方法
WO2012002630A1 (ko) 가열로용 이송장치
CN1987319B (zh) 一种防止镁精炼炉中坩埚破裂的方法
Tassot et al. Energy Savings and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n Continuous Reheating Furnaces
KR101473745B1 (ko) 제철설비용 내열커버
RU41127U1 (ru) Ванна печи для плавки металлов
JP5757255B2 (ja) 一体型タンディッシュ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