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506A - 쉴드캔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쉴드캔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506A
KR20080006506A KR1020070110996A KR20070110996A KR20080006506A KR 20080006506 A KR20080006506 A KR 20080006506A KR 1020070110996 A KR1020070110996 A KR 1020070110996A KR 20070110996 A KR20070110996 A KR 20070110996A KR 20080006506 A KR20080006506 A KR 2008000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hield
clip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591B1 (ko
Inventor
정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콘스
Priority to KR102007011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591B1/ko
Priority to JP2010531950A priority patent/JP5161970B2/ja
Priority to PCT/KR2008/000188 priority patent/WO2009057855A1/en
Publication of KR2008000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506A/ko
Priority to CN2008100830416A priority patent/CN10124273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05K9/0032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 H05K9/0035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with retainers mounted beforehand on the PCB, e.g. cli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쉴드캔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의 공간활용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쉴드캔에 대한 홀딩력 저하가 방지되면서도 인쇄회로기판상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쉴드캔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을 덮도록 마련되는 쉴드캔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 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합 상태로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외곽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1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연결부와, 상기 쉴드캔의 측벽을 집게형태로 집을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에 상호 마주보도록 입설되는 한 쌍의 탄성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쉴드캔 고정용 클립{A CLIP FOR FIXING OF SHIELD CAN}
본 발명은 쉴드캔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의 공간활용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쉴드캔에 대한 홀딩력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인쇄회로기판 상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쉴드캔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는 무선통신이나 레이더와 같이 유용하게 쓰이는 측면이 있는 반면 전자기기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전자파 장애(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현상이라 하며, 이러한 EMI는 전자기기의 노이즈를 발생시킴은 물론 인체에도 유해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자기기 내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반도체소자와 같은 전자부품들을 소정의 쉴드캔(Shield can)으로 덮어 상기 전자부품들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EMI를 차단함으로써 자체 전자기기는 물론 타 전자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쉴드캔은 통상 전자부품을 덮을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된 상자모양을 취한다.
또 쉴드캔은 통상 쉴드캔의 측벽을 클램핑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클립을 통해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 이러한 쉴드캔 고정용 클립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1)은 상기 쉴드캔(2)의 각 측벽(2a)에 대응하는 위치의 전자부품 둘레의 인쇄회로기판(3)에 상기 측벽(2a)의 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3)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부(4)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과 전체적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고정부(4) 사이에 마련되는 베이스부(5)와, 상기 쉴드캔(2)의 측벽을 집게형태로 집을 수 있도록 상기 각 베이스부(5)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편부(6)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4)는 외곽 둘레를 통해 인쇄회로기판(3)에 납땜되어 결합되며, 상기 탄성편부(6)는 상하부 사이의 중앙부가 마주보고 있는 탄성편부(6) 사이로 삽입되는 측벽(2a) 쪽으로 볼록해지도록 밴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5)를 인쇄회로기판(3)으로부터 이격시킨 이유는 고정부(4) 둘레를 납땜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땜납이 상기 베이스부(5) 쪽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땜납이 베이스부(5)를 따라 탄성편부(6) 쪽으로 침투되어 굳을 경우 탄성편부(6)의 탄성력이 저하되면서 탄성편부(6)에 의한 쉴드캔(2)의 홀딩력도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고정부(4)를 통해 인쇄회로기판(3) 상에 고정된 클립(1)의 탄성편부(6) 사이로 쉴드캔(2)의 측벽(2a)을 삽입하게 되면, 실드캔(20)은 상기 측벽(2a)의 내면과 외면이 베이스부(5) 양 측 한 쌍의 탄성편부(6) 사이에서 가압되면서 클립(1)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쉴드캔(2)에 의해 덮여진 전자부품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쉴드캔(2)을 상부 쪽으로 잡아당기기만 하면, 쉴드캔(2)의 각 측벽(2a)이 클립(1)의 탄성편부(6) 사이에서 빠져나오게 되면서 쉴드캔(2)의 분리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쉴드캔 고정용 클립(1)의 경우 상기 베이스부(5)가 인쇄회로기판(3)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이격되어 있고 인쇄회로기판(3)에 납땜되어 고정되는 고정부(4)의 면적이 다소 작게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인쇄회로기판(3)에 대한 결합력이 그다지 크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의 사용도중에 종종 인쇄회로기판(3)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립(1)의 경우 간혹 마주보고 있는 상기 탄성편부(6) 사이가 쉴드캔(2)의 측벽(2a)과 일치되지 못하도록 다소 틀어진 상태로 인쇄회로기판(3) 상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때는 쉴드캔(2)의 측벽(2a)이 탄성편부(6) 사이에 클램핑되는 과정에서 탄성편부(6)가 뒤틀리게 되면서 탄성편부(6)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4)가 인쇄회로기판(3)으로부터 떨어지게 될 우려가 있다.
또 이러한 클립(1)은 공기조화기나 냉장고와 같이 구동시 진동이 수반되는 전자기기에 채용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4)와 인쇄회로기판(3) 사이의 결합력이 그다지 크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4)가 이러한 전자기기의 구동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3)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부(4)의 면적을 크게 하여 인쇄회로기판(3)과 고정부(4) 사이의 결합력이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는 클립(1)이 인쇄회로기판(3)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면서 인쇄회로기판(3)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의 공간활용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쉴드캔에 대한 홀딩력 저하가 방지되면서도 인쇄회로기판 상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쉴드캔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을 덮도록 마련되는 쉴드캔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 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합 상태로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외곽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부 외측으로 연장 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1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연결부와, 상기 쉴드캔의 측벽을 집게형태로 집을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에 상호 마주보도록 입설되는 한 쌍의 탄성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는 외곽 둘레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납땝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 중 하나는 상기 클립의 길이방향 정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중앙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 양측의 클립은 무게 및 형상에 있어서 상호 대칭을 이루며, 상기 중앙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클립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앙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의 폭이 연장되도록 하는 보조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고정부의 연장길이는 상기 중앙에 위치되는 상기 제1고정부의 전체 폭 보다는 작고 상기 중앙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 폭의 절반 보다는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곽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의 납땜면적의 증가를 위해 곡선 처리된 곡선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부는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하게 되는 면적의 증가 없이 외곽 둘레의 길이만 증가하도록 상기 제1고정부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부는 상기 클립의 길이방향 양 끝단 쪽 상기 제1고정부에 마 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은 상술한 제2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와 곡선부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에서 실질적으로 차지하게 되는 면적이 종래에 비해 증가되지 않으면서도 인쇄회로기판과 납땜되는 클립의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의 공간활용도를 저해시키지 않으면서도 인쇄회로기판에 보다 강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은 제2고정부 외곽에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마련되고, 실질적으로 쉴드캔의 측벽을 클램핑하는 탄성편부는 이러한 연장부에 입설되도록 형성되어 제1 및 제2고정부의 납땜시 땜납이 탄성편부로 흘러들어가게 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탄성편부의 탄성력이 땜납으로 인해 저하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40)이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 구조가 도시된다. 도 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 상에는 반도체소자와 같은 전자부품(20)이 실장되며, 상기 전자부품(20)의 외측에는 상기 전자부품(20)을 덮어 전자부품(20)의 EMI를 차단하기 위한 쉴드캔(30)이 설치된다.
이러한 쉴드캔(3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쉴드캔(30)의 분리 및 고정은 본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40)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쉴드캔(30)은 4개의 측벽(31)과 상부벽(32)이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이 개방된 직육면체 상자모양을 취함으로써 상기 전자부품(2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덮게 되며, 이러한 쉴드캔(30)은 효과적인 전자파 차폐를 위해 석도금강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부품(20) 둘레의 인쇄회로기판(10)에는 쉴드캔(30)의 하단 쪽 각 측벽(31)을 클램핑하여 쉴드캔(30)을 인쇄회로기판(10)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상기 클립(40)이 복수개 결합되며, 이러한 클립(40)은 상기 쉴드캔(30)의 각 측벽(31)에 대응하는 위치의 전자부품(20) 둘레의 인쇄회로기판(10)에 상기 측벽(31)의 수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측벽(31)에 있어서 상기 클립(40)에 실질적으로 클램핑되는 중앙 쪽 하단에는 단차홈(31a)이 형성되어 상기 측벽(31)이 클립(40)에 클램핑된 상태에서 단차홈(31a) 양측의 측벽(31) 하단과 인쇄회로기판(1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40)은 인쇄회로기판(10)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클립(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3개의 제1고정부(41,42)와, 상기 제1고정부(41,42)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10)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2개의 제2고정부(43)와, 제2고정부(43) 외곽에 인쇄회로기판(10)으 로부 이격되도록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연장부(43a)와, 상기 연장부(43a)와 인쇄회로기판(10)에 접하게 되는 제1고정부(41,42) 사이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연결부(46)와, 쉴드캔(30)의 측벽(31)을 집게형태로 집을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43a) 양측 가장 자리에 상호 마주보도록 입설되는 한 쌍의 탄성편부(44,45)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41,42,43)는 그 외곽 둘레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0)에 납땜되어 상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클립(40)을 이용하여 쉴드캔(30)을 인쇄회로기판(10) 상에 고정시킬 때는 먼저 제1 및 제2고정부(41,42,43)를 납땜하는 방식으로 클립(40)을 쉴드캔(30)의 각 측벽(31)과 대응하는 위치의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른 본 실시에에 따른 클립(40)은 상기 제2고정부(43)를 통해 인쇄회로피간에 납땜되는 면적이 증가되면서 인쇄회로기판(10)에 보다 강력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2고정부(43)의 경우 종래 클립에 비해 인쇄회로기판(10) 상에서 클립(40)이 차지하는 면적을 증가시키지도 않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및 제2고정부(41,42,43)를 납땜과정에서 발생하는 땜납이 상기 탄성편부(44,45)로 흘러들어가 굳을 경우에는 탄성편부(44,45)의 탄성력이 저하되면서 탄성편부(44,45)에 의한 쉴드캔(30) 측벽의 홀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40)의 경우 탄성편부(44,45)는 상기 연결부(46)와 연장부(43a)를 통해 제1 및 제2고정부(41,42,43)보다 상부 쪽에 위치되어 인쇄회로기판(10)에서 이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1 및 제2고정부(41,42,43) 외곽 둘레 가 인쇄회로기판(10)에 납땜되는 과정에서 땜납이 탄성편부(44,45)로 흘러들어가게 될 우려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40)은 종래에 비해 인쇄회로기간(10)에 보다 강력하게 고정되면서도 땜납의 침투로 인해 탄성편부(44,45)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쉴드캔(30) 측벽(31)에 대한 탄성편부(44,45)의 홀딩력 저하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43)와 연장부(43a)의 경우 동일평면을 이루는 판상형태에서 제2고정부(43)를 형성하게 될 안쪽을 하부 쪽으로 가압변형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클립(40)은 SMT장비(미도시)의 노즐(미도시)에 진공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0) 쪽으로 이동되어 인쇄회로기판(10)에 장착되며, 3개의 제1고정부(41,42) 중 중앙 쪽에 마련된 제1고정부(42) 상면이 상기 노즐(미도시)에 대한 흡착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 쪽 제1고정부(42)가 노즐(미도시)에 진공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40)이 한 쪽으로 기울어질 우려가 없도록 상기 클립(40)에 있어서 중앙 쪽 제1고정부(42) 양측은 무게나 형태에 있어서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41,42) 중 중앙에 있는 제1고정부(42)의 상면은 SMT장비(미도시)의 노즐(미도시)에 흡착되는 흡착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중앙 쪽 제1고정부(42)의 일측에는 상기 클립(4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앙 쪽 제1고정부(42)의 폭이 연장되도록 하는 보조고정부(42a)가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고정부(42a)가 마련된 상태에서는 중앙 쪽 제1고정부(42)가 인쇄회로기판(10)에 접하게 되는 면적이 한층 더 증가되면서 클립(40)과 인쇄회로기판(1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보조고정부(42a)의 표시를 위해 중앙 쪽 제1고정부(42)와 보조고정부(42a) 사이에 가상선을 그려 넣었다.
그리고 이러한 보조고정부(42a)로 인해 인쇄회로기판(10)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실질적으로 증가되도록 않도록 클립(40)은 상기 보조고정부(42a)가 전자부품(20) 쪽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따라서 이때는 쉴드캔(3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조고정부(42a)가 쉴드캔(30) 안쪽으로 위치되면서 보조고정부(42a)로 인해 인쇄회로기판(10)의 공간활용도가 저해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보조고정부(42a)를 통해 중앙 쪽 제1고정부(42)의 면적이 증가된 상태에서는 상기 노즐(미도시)이 탄성편부(44,45)의 간섭 없이 클립(40)을 보다 용이하게 진공흡착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고정부(42a)의 연장길이는 상기 노즐(미도시)의 진공흡착동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보조고정부(42a)와 전자부품(20)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중앙 쪽 제1고정부(42)의 전체 폭 보다는 작고 상기 중앙 쪽 제1고정부(42) 폭의 절반길이 보다는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40)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제1고정부(41,4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고정부(41,42)의 납땜면적을 더욱 증가시기 위한 것으로 외곽 적어도 일부에 곡선 처리된 곡선부(41a)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곡선부(41a)는 상기 제1고정부(41,42)가 인쇄회로기판(10)에 접하게 되는 면적의 증가 없이 외곽 둘레의 길이만 증가되도록 제1고정부(41,42)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 상기 곡선부(41a)의 경우 상기 3개의 제1고정부(41,42)에 모두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나, 곡선부(41a)를 너무 많이 형성하게 될 경우에는 클립(40)의 가공시 어려움이 생길 수 있으므로, 상기 곡선부(41a)는 클립(40)의 양 끝단에 배치되는 2개의 제1고정부(41)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고정부(41,42)는 각각 사각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선부(41a)는 클립(40)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41)에 있어서 끝단 쪽 변에만 형성된다. 참고로 도 7 내지 도 11에 있어서 “A"는 인쇄회로기판(10)에 납땜되는 클립(40)의 납땜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곡선부(41a)와 상기 제2고정부(43) 및 보조고정부(42a)가 마련된 상태에서는 인쇄회로기판(10)에서 클립(40)이 실질적으로 차지하게 되는 면적이 종래에 비해 증가되지 않으면서도 인쇄회로기판(10)과 접촉된 상태로 납땜되는 클립(40)의 면적이 증가되므로 인쇄회로기판(10)의 공간활용도를 저해시키지 않으면서도 클립(40)과 인쇄회로기판(10) 간의 결합이 보다 강력해 질 수 있다.
또 클립(40)이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각 클립(40)의 탄성편부(44,45) 사이로 쉴드캔(30)의 각 측벽(31)을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에 따라 쉴드캔(30)은 각 측벽(31)이 각 클립(40)의 탄성편부(44,45) 사이에 클램핑되면 서 인쇄회로기판(10) 상에 간단히 고정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쉴드캔(30)에 의해 덮여진 전자부품(20)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쉴드캔(30)을 상부 쪽으로 잡아당기기만 하면, 쉴드캔(30)의 각 측벽(31)이 각 클립(40)의 탄성편부(44,45) 사이로부터 쉽게 빠져나오게 되면서 쉴드캔(30)의 분리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측벽(31)이 클립(40)의 탄성편부(44,45) 사이에서 보다 강력하게 파지될 경우에는 클립(40)의 홀딩력이 증대되어 인쇄회로기판(10)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클립(40)의 떨림 현상이 방지되면서 클립(40)이 인쇄회로기판(10)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부(44,45)는 측벽(31)을 보다 강력하게 파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탄성편부(44,45)는 먼저 상하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탄성편부(44,45) 사이로 삽입되는 측벽(31) 쪽으로 볼록해지도록 밴딩되어 형성되는 제1파지부(44a,45a)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편부(44,45) 사이로 삽입되는 측벽(31)은 이러한 제1파지부(44a,45a)에 의해 내면과 외면이 탄성적으로 가압되면서 고정되는데, 여기서 제1파지부(44a,45a) 상부 쪽 탄성편부(44,45) 사이의 거리는 탄성편부(44,45)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측벽(31)의 삽입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부 쪽이 측벽(3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 제1파지부(44a,45a) 하부에 있어서 클립(40)의 길이방향에 따른 탄성편 부(44,45)의 중앙 쪽에는 제1파지부(44a,45a)와 함께 측벽(31)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제2파지부(44b,45b)가 절개가공을 통해 형성된다.
제2파지부(44b,45b)는 고정단(44b1,45b1)이 제1파지부(44a,45a) 쪽에 고정되도록 고정단(44b1,45b1)을 제외한 테두리를 절개하여 형성되고, 절개 후 자유단(44b2,45b2)이 탄성편부(44,45) 사이의 공간 쪽으로 위치하도록 밴딩되는데, 이러한 제2파지부(44b,45b)는 자유단(44b2,45b2)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파지부(44a,45a)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되도록 제1파지부(44a,45a) 쪽에 고정되는 고정단(44b1,45b1)으로부터 하부 쪽 자유단(44b2,45b2)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편부(44,45) 사이로 삽입되는 측벽(31)의 동작이 도시된 도 9 내지 도 11에 있어서, 측벽(31)이 제1파지부(44a,45a)로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 10을 보면, 제1파지부(44a,45a) 사이가 활살표 "B"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측벽(31)이 제1파지부(44a,45a)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2파지부(44b,45b)의 자유단(44b2,45b2)은 화살표 “C" 방향을 따라 상호 접하도록 힘을 받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후 상호 접하도록 힘을 받고 있는 제2파지부(44b,45b) 사이로 계속해서 측벽(31)을 삽입시키게 되면, 도 11과 같이 측벽(31)은 제1파지부(44a,45a)와 함께 2파지부(44b,45b)를 통해 강력하게 클램핑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및 제2파지부(44a,45a,44b,45b)가 마련된 상태에서는 클립(40)의 사용도중 제1파지부(44a,45a) 사이의 거리가 측벽(31)의 두께보다 다소 더 크게 벌어지도록 변형되어 제1파지부(44a,45a)를 통해 측벽(31)을 제대로 파지할 수 없게 되더라도 제2파지부(44b,45b)의 자유단(44b2,45b2) 사이는 좁혀진 상태 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제2파지부(44b,45b)에 의한 측벽(31)의 파지동작은 계속적으로 그대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쉴드캔 고정용 클립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쉴드캔 고정용 클립에 쉴드캔의 측벽이 클램핑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쉴드캔 고정용 클립에 쉴드캔의 측벽이 클램핑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들이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이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이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에 쉴드캔의 측벽이 클램핑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에 쉴드캔의 측벽이 클램핑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캔 고정용 클립에 쉴드캔의 측벽이 완전히 클램핑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쇄회로기판 20: 전자부품
30: 쉴드캔 31: 측벽
40: 클립 41,42: 제1고정부
41a: 곡선부 42a: 보조고정부
43: 제2고정부 43a: 연장부
44,45: 탄성편부

Claims (7)

  1.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을 덮도록 마련되는 쉴드캔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 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합 상태로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외곽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1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연결부와, 상기 쉴드캔의 측벽을 집게형태로 집을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에 상호 마주보도록 입설되는 한 쌍의 탄성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는 외곽 둘레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납땝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 중 하나는 상기 클립의 길이방향 정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중앙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 양측의 클립은 무게 및 형상에 있어서 상호 대칭을 이루며,
    상기 중앙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클립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앙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의 폭이 연장되도록 하는 보조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고정부의 연장길이는 상기 중앙에 위치되는 상기 제1고정부의 전체 폭 보다는 작고 상기 중앙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 폭의 절반 보다는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곽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의 납땜면적의 증가를 위해 곡선 처리된 곡선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하게 되는 면적의 증가 없이 외곽 둘레의 길이만 증가하도록 상기 제1고정부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상기 클립의 길이방향 양 끝단 쪽 상기 제1고정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1020070110996A 2007-11-01 2007-11-01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100886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996A KR100886591B1 (ko) 2007-11-01 2007-11-01 쉴드캔 고정용 클립
JP2010531950A JP5161970B2 (ja) 2007-11-01 2008-01-11 シールド缶固定用クリップ
PCT/KR2008/000188 WO2009057855A1 (en) 2007-11-01 2008-01-11 A clip for fixing of shield can
CN2008100830416A CN101242735B (zh) 2007-11-01 2008-03-18 用于屏蔽罩固定的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996A KR100886591B1 (ko) 2007-11-01 2007-11-01 쉴드캔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06A true KR20080006506A (ko) 2008-01-16
KR100886591B1 KR100886591B1 (ko) 2009-03-05

Family

ID=3922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996A KR100886591B1 (ko) 2007-11-01 2007-11-01 쉴드캔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61970B2 (ko)
KR (1) KR100886591B1 (ko)
CN (1) CN101242735B (ko)
WO (1) WO2009057855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918B1 (ko) * 2009-09-30 2010-07-14 김연수 접속력을 향상시킨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널
KR101029221B1 (ko) * 2011-01-14 2011-04-14 에프엔티주식회사 부분 도금층이 마련된 전자파 차단용 쉴드캔 고정클립
KR101124794B1 (ko) * 2010-01-13 2012-03-27 주식회사 포콘스 쉴드캔 고정용 클립 및 그 고정방법
WO2012046965A2 (ko) * 2010-10-06 2012-04-12 주식회사 케이티엑스 전자파 차단용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200464745Y1 (ko) * 2011-05-20 2013-02-05 주식회사 포콘스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KR101252495B1 (ko) * 2011-09-08 2013-04-09 (주)가람솔루션 실드 캔 클립 및 이에 사용되는 실드 캔
KR200468039Y1 (ko) * 2012-07-24 2013-08-30 주식회사 코미스 쉴드캔 고정클립
KR101386071B1 (ko) * 2013-03-26 2014-04-29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표면실장기를 이용한 스프링 고정 장치
KR20150140362A (ko) * 2013-06-28 2015-12-15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파지 부재
US9549491B2 (en) 2013-05-29 2017-01-17 Kitagawa Industries Co., Ltd. Conductive cl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613B1 (ko) * 2009-05-29 2011-12-08 주식회사 포콘스 케이블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케이블 고정 방법
KR100997847B1 (ko) * 2009-09-11 2010-12-01 김연수 이중 접속 구조를 갖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날
KR101676672B1 (ko) 2009-10-26 201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쉴드 캔용 고정 장치
JP5408541B2 (ja) * 2009-11-06 2014-02-05 北川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クリップ
US9167698B2 (en) 2010-06-30 2015-10-20 Kitagawa Industries Co., Ltd. Surface mount clip
KR101873407B1 (ko) * 2011-07-13 201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038503A (ko) * 2011-10-10 2013-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pba 적층구조
WO2013085123A1 (ko) * 2011-12-09 2013-06-13 조인셋 주식회사 케이스 고정용 클립 단자 및 이를 적용한 전자파 차폐장치
CN102655734A (zh) * 2012-05-03 2012-09-05 昆山诚业德精密模具有限公司 屏蔽罩上、下盖扣合结构
CN103547058A (zh) * 2012-07-13 2014-01-29 波肯斯有限公司 印刷电路板的屏蔽罩用固定夹具
JP6160910B2 (ja) * 2013-07-10 2017-07-12 北川工業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構造
US10231370B2 (en) * 2013-07-31 2019-03-12 Fuji Corporatio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JP6754031B2 (ja) * 2015-12-25 2020-09-09 北川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及び固定機構
CN111679279B (zh) * 2019-03-11 2024-03-22 现代摩比斯株式会社 车辆雷达传感器及其组装方法
CN110176697B (zh) 2019-03-27 2021-04-23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0177451B (zh) * 2019-06-06 2022-04-26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射频线的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492A (en) 1990-04-24 1993-08-10 Motorola, Inc. Electromagnetic shielding apparatus for cellular telephones
JP2688795B2 (ja) * 1992-05-22 1997-12-10 京セラ株式会社 高周波機器のシールド部品
JP2000196280A (ja) 1998-12-25 2000-07-14 Autosplice Inc 電磁気周波数妨害シ―ルド用の面着式クリップ
JP3927966B2 (ja) 2004-05-19 2007-06-13 北川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クリップ
JP2006114646A (ja) * 2004-10-14 2006-04-27 Kyocera Corp 回路基板装置
JP4827135B2 (ja) * 2006-11-10 2011-11-30 北川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クリップ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918B1 (ko) * 2009-09-30 2010-07-14 김연수 접속력을 향상시킨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널
KR101124794B1 (ko) * 2010-01-13 2012-03-27 주식회사 포콘스 쉴드캔 고정용 클립 및 그 고정방법
WO2012046965A2 (ko) * 2010-10-06 2012-04-12 주식회사 케이티엑스 전자파 차단용 쉴드캔 고정용 클립
WO2012046965A3 (ko) * 2010-10-06 2012-06-07 주식회사 케이티엑스 전자파 차단용 쉴드캔 고정용 클립
CN103168510A (zh) * 2010-10-06 2013-06-19 Ktx有限公司 阻断电磁波用防护罩固定夹
KR101029221B1 (ko) * 2011-01-14 2011-04-14 에프엔티주식회사 부분 도금층이 마련된 전자파 차단용 쉴드캔 고정클립
KR200464745Y1 (ko) * 2011-05-20 2013-02-05 주식회사 포콘스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KR101252495B1 (ko) * 2011-09-08 2013-04-09 (주)가람솔루션 실드 캔 클립 및 이에 사용되는 실드 캔
KR200468039Y1 (ko) * 2012-07-24 2013-08-30 주식회사 코미스 쉴드캔 고정클립
KR101386071B1 (ko) * 2013-03-26 2014-04-29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표면실장기를 이용한 스프링 고정 장치
US9549491B2 (en) 2013-05-29 2017-01-17 Kitagawa Industries Co., Ltd. Conductive clip
KR20150140362A (ko) * 2013-06-28 2015-12-15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파지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2735A (zh) 2008-08-13
CN101242735B (zh) 2010-09-08
WO2009057855A1 (en) 2009-05-07
JP5161970B2 (ja) 2013-03-13
KR100886591B1 (ko) 2009-03-05
JP2011501477A (ja)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591B1 (ko)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20080006504A (ko) 인쇄회로기판용 차폐케이스 고정기구
WO2013085123A1 (ko) 케이스 고정용 클립 단자 및 이를 적용한 전자파 차폐장치
KR101169955B1 (ko) 전자파 차단용 쉴드캔 고정용 클립
US20140299893A1 (en) Conductive Connector For Use With Circuit Board, and LED Module Having the Same
KR200437540Y1 (ko) 인쇄회로기판용 차폐케이스 고정기구
US9472903B2 (en) Grip member
JP2004319381A (ja) アース端子
KR20110027985A (ko) 접속력을 향상시킨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널
KR20090008080U (ko) 전자파차폐용 실드커버 고정구
KR20110029067A (ko) 이중 접속 구조를 갖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날
KR100997847B1 (ko) 이중 접속 구조를 갖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날
KR100969918B1 (ko) 접속력을 향상시킨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널
KR100941380B1 (ko) 인쇄회로기판의 실드 케이스 고정용 부재
TWI682707B (zh) 組裝組件及其組裝方法
JP2009295721A (ja) 電子部品
KR101316695B1 (ko) 쉴드캔 클립
KR101088890B1 (ko)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200464745Y1 (ko)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KR20100115069A (ko) 인쇄회로기판용 차폐 케이스 고정구조
KR20130069182A (ko) 쉴드캔 클립
KR101270380B1 (ko)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KR101270421B1 (ko)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KR101307779B1 (ko) 쉴드캔 클립
TWM546075U (zh) 遮罩夾及其遮罩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