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745Y1 -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745Y1
KR200464745Y1 KR2020110004410U KR20110004410U KR200464745Y1 KR 200464745 Y1 KR200464745 Y1 KR 200464745Y1 KR 2020110004410 U KR2020110004410 U KR 2020110004410U KR 20110004410 U KR20110004410 U KR 20110004410U KR 200464745 Y1 KR200464745 Y1 KR 200464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ircuit board
side wall
printed circuit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185U (ko
Inventor
정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콘스
Priority to KR2020110004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4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1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1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5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clips or resilient members, e.g. hoo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어 쉴드캔의 측벽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편을 포함하고, 각 탄성편에는 각 탄성편의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의 중앙부분에서 쉴드캔의 측벽과 각 탄성편의 사이에서 다수의 접촉부위을 형성시키는 절개홈이 형성되되, 이때의 절개홈은 각 탄성편의 상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을 개시한다. 개시된 고정클립은 절개홈으로 인해 쉴드캔의 측벽이 삽입될 때 측벽과의 사이에서 다수의 접촉부위를 가져 쉴드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Fixing clip for shield can of printed circuit board}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에 사용되는 쉴드캔용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쉴드캔이 고정클립에 제위치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도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는 무선통신이나 레이더와 같이 유용하게 쓰이는 측면이 있는 반면에 전자기기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전자파 장애(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현상이라 한다.
상기의 전자파 장애는 전자기기의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인체에도 유해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반도체소자와 같은 전자부품들을 소정의 쉴드캔(Shield Can)으로 덮어 전자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 장애를 차단함으로써, 해당 전자기기는 물론 인접하는 다른 전자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한다.
상기의 쉴드캔은 통상 전자부품을 덮을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된 상자모양을 취한다. 이러한 쉴드캔의 고정을 위해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고정클립이 설치된다.
도 1에서는 종래의 고정클립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고정클립(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캔의 측벽을 집게형태로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2)의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편(3)을 포함한다.
상기의 탄성편(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쉴드캔의 측벽을 집게형태로 탄성 지지하는데, 종래의 고정클립(1)은 쉴드캔과 4개의 접촉부위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쉴드캔의 측벽이 고정클립(1)의 탄성편(3)의 사이에서 제위치가 아닌 다소 틀어진 상태로 삽입될 경우에는 고정클립(1)과 쉴드캔 사이의 접촉부위가 4개뿐이므로 고정클립(1)이 쉴드캔을 탄성 지지하는 홀딩력이 약하여 쉴드캔이 고정클립(1)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쉴드캔이 고정클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어 쉴드캔의 측벽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각 탄성편에는 상기 각 탄성편의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쉴드캔의 측벽과 상기 각 탄성편의 사이에서 다수의 접촉부위을 형성시키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은 상기 각 탄성편의 상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홈의 하단부는 상기 각 탄성편이 상기 쉴드캔의 측벽을 탄성 지지할 때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탄성편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쉴드캔의 측벽을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홈은 그 하단부가 상기 파지부의 하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은 각 탄성편에 형성되는 절개홈으로 인해 쉴드캔의 측벽이 삽입될 때 쉴드캔의 측벽이 탄성편에 접촉되는 면적이 줄어드므로 용이하게 한 쌍의 탄성편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은 쉴드캔의 측벽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8개의 접촉부위을 가지므로 쉴드캔의 측벽이 고정클립의 한 쌍의 탄성편의 사이에서 제위치가 아닌 다소 틀어진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에도 종래보다 더 많은 접촉부위을 가지므로 쉴드캔의 측벽이 고정클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은 각 탄성편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쉴드캔의 측벽을 탄성 지지하는 기능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증진됨에도 불구하고 쉴드캔의 측벽이 고정클립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고정클립과 쉴드캔의 고정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고정클립에 쉴드캔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 상에는 반도체소자와 같은 다수의 전자부품(15)이 실장되며, 이러한 전자부품(15)의 외면에는 이 전자부품(15)을 덮어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캔(20)이 설치된다.
상기의 쉴드캔(20)은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되는 고정클립(3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쉴드캔(20)은 4개의 측벽(20a)과 상부벽(20b)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하단이 개방된 직육면체 상자모양을 취한다. 이에 따라 쉴드캔(20)은 전자부품(15)을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덮게 되면, 이러한 쉴드캔(20)은 효과적인 전자파 차폐를 위해 석도금 강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쉴드캔(20)의 각 측벽(20a)을 착탈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다수의 고정클립(30)이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고정클립(30)은 인쇄회로기판(10)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3개의 고정부(31)와, 각 고정부(31)의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33)와, 각 베이스부(33)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탄성편(35)을 포함한다.
고정부(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납땜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된다.
베이스부(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고정부(31)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두 개의 베이스부(33)가 마련된다. 이때의 베이스부(33)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부(31)를 납땜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땜납이 베이스부(33)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쇄회로기판(10)과 일정 부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땜납이 베이스부(33)를 따라 탄성편(35) 측으로 침투되어 굳을 경우 탄성편(35)의 탄성력이 저하되면서 탄성편(35)에 의한 쉴드캔(20)의 홀딩력도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각 베이스부(33)에 마련되는 한 쌍의 탄성편(3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33)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한 쌍의 탄성편(35)은 쉴드캔(20)의 측벽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탄성편(35)은 각 탄성편(35)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중앙부분에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파지부(36)를 갖는다.
이러한 파지부(3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탄성편(35)의 사이로 삽입되는 쉴드캔(20)의 측벽(20a)의 내면과 외면에 접촉되므로 측벽(20a)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각 탄성편(35)에서 파지부(36)의 상측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37)가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부(37)는 쉴드캔(20)의 측벽(20a)이 한 쌍의 탄성편(35)의 사이로 삽입될 때 측벽(20a)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한 쌍의 탄성편(35)은 각 탄성편(35)의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중앙부분에 각 탄성편(35)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깊이로 절개되는 절개홈(38)을 갖는다. 이러한 절개홈(38)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탄성편(35)의 중앙부분에서 형성되되, 쉴드캔(20)의 측벽(20a)을 실질적으로 탄성 지지하는 파지부(36)의 하측보다 깊게 절개된다.
즉, 각 탄성편(35)은 쉴드캔(20)의 측벽(20a)을 탄성 지지하는 부분이 2개로 분할된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고정클립(30)은 쉴드캔(20)의 측벽(20a)과 접하는 접점이 4개인 종래와는 달리 8개의 접촉부위(C)을 가지게 된다.
또, 상기의 절개홈(3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그 하단부(38a)가 라운드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절개홈(38)의 하단부(38a)가 라운드형상을 갖는 것은 본 고안의 고정클립(30)이 쉴드캔(20)의 측벽(20a)을 탄성 지지할 때 절개홈(38)에 응력이 발생되는데, 절개홈(38)이 각진 형상으로 마련되면 그 각진 부분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탄성편(35)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고정부(31)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0)에 고정된 고정클립(30)의 한 쌍의 탄성편(35)의 사이로 쉴드캔(20)의 측벽(20a)이 삽입되는데, 고정클립(30)의 탄성편(35)에 절개홈(38)이 형성됨에 따라 쉴드캔(20)의 측벽(20a)이 탄성편(35)에 접촉되는 면적이 줄어드므로 용이하게 한 쌍의 탄성편(35)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고정클립(30)이 8개의 접촉부위(C)을 가지므로 쉴드캔(20)의 측벽이 고정클립(30)의 한 쌍의 탄성편(35)의 사이에서 제위치가 아닌 다소 틀어진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에도 종래보다 더 많은 접촉부위을 가지므로 쉴드캔(20)의 측벽(20a)이 고정클립(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고정클립(30)의 탄성편(35)에 절개홈(38)이 형성되어 쉴드캔(20)의 측벽(20a)을 탄성 지지하는 기능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증진됨에도 불구하고 쉴드캔(20)의 측벽(20a)이 고정클립(30)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10 : 인쇄회로기판 20 : 쉴드캔
20a : 쉴드캔의 측벽 30 : 고정클립
31 : 고정부 33 : 베이스부
35 : 탄성편 36 : 파지부
37 : 가이드부 38 : 절개홈
38a : 절개홈의 하단부
C : 고정클립의 탄성편과 쉴드캔의 측벽 사이의 접촉부위

Claims (3)

  1. 베이스부(33)와, 상기 베이스부(33)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어 쉴드캔(20)의 측벽(20a)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편(35)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편(35)에는 상기 각 탄성편(35)의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쉴드캔(20)의 측벽(20a)과 상기 각 탄성편(35)의 사이에서 다수의 접촉부위(C)을 형성시키는 절개홈(38)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38)은 상기 각 탄성편(35)의 상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절개홈(38)의 하단부(38a)는 상기 각 탄성편(35)이 상기 쉴드캔(20)의 측벽(20a)을 탄성 지지할 때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U'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편(35)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쉴드캔(20)의 측벽(20a)을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파지부(36)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홈(38)은 그 하단부가 상기 파지부(36)의 하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KR2020110004410U 2011-05-20 2011-05-20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KR200464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10U KR200464745Y1 (ko) 2011-05-20 2011-05-20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10U KR200464745Y1 (ko) 2011-05-20 2011-05-20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85U KR20120008185U (ko) 2012-11-28
KR200464745Y1 true KR200464745Y1 (ko) 2013-02-05

Family

ID=4751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410U KR200464745Y1 (ko) 2011-05-20 2011-05-20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080B1 (ko) * 2013-03-06 2014-12-01 이승희 쉴드 캔 고정장치
KR102426995B1 (ko) * 2016-09-06 2022-08-01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기기, 카메라 장치, 및 실드 섀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80A (ja) * 1991-07-17 1993-01-29 Kitagawa Ind Co Ltd 電磁波シールド用ガスケツト
US5545843A (en) 1994-04-11 1996-08-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ntact spring
KR20080006506A (ko) * 2007-11-01 2008-01-16 주식회사 포콘스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20110006089U (ko) * 2009-12-11 2011-06-17 전형천 차폐부재 고정용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80A (ja) * 1991-07-17 1993-01-29 Kitagawa Ind Co Ltd 電磁波シールド用ガスケツト
US5545843A (en) 1994-04-11 1996-08-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ntact spring
KR20080006506A (ko) * 2007-11-01 2008-01-16 주식회사 포콘스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20110006089U (ko) * 2009-12-11 2011-06-17 전형천 차폐부재 고정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85U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5666B2 (en) Clip terminal for fixing case and shiel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86591B1 (ko)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20080006504A (ko) 인쇄회로기판용 차폐케이스 고정기구
EP1950845A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KR101629640B1 (ko) 기판접속 커넥터를 사용한 기판접속구조
KR101381233B1 (ko) 연결 부품
US7119286B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structure
KR200437540Y1 (ko) 인쇄회로기판용 차폐케이스 고정기구
KR200464745Y1 (ko)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KR20140143723A (ko) 카드 커넥터 및 카드 커넥터 조립체
KR101270421B1 (ko)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KR200468039Y1 (ko) 쉴드캔 고정클립
KR101270380B1 (ko)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캔용 고정클립
KR20110029067A (ko) 이중 접속 구조를 갖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날
KR20110027985A (ko) 접속력을 향상시킨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널
CN103547058A (zh) 印刷电路板的屏蔽罩用固定夹具
KR100997847B1 (ko) 이중 접속 구조를 갖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날
JP2013062024A (ja) 基板用コネクタ
KR200455439Y1 (ko)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101088890B1 (ko)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100969918B1 (ko) 접속력을 향상시킨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널
KR20100115069A (ko) 인쇄회로기판용 차폐 케이스 고정구조
KR101133189B1 (ko) 쉴드커버 고정용 클립
KR20160032392A (ko) 전자부품커버 고정용 쉴드클립
KR101316695B1 (ko) 쉴드캔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