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443U - 미끄럼 방지 홈이 구비된 조리용구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 홈이 구비된 조리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443U
KR20080006443U KR2020070009989U KR20070009989U KR20080006443U KR 20080006443 U KR20080006443 U KR 20080006443U KR 2020070009989 U KR2020070009989 U KR 2020070009989U KR 20070009989 U KR20070009989 U KR 20070009989U KR 20080006443 U KR20080006443 U KR 200800064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cooking
cooking utensil
slip groov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용
Original Assignee
(주) 투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투엠아이 filed Critical (주) 투엠아이
Priority to KR2020070009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443U/ko
Publication of KR20080006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4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리용구의 바닥판 하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미끄럼 방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색다른 미감으로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키고, 평평한 바닥에 놓았을 때 미끌어짐을 방지하며, 가열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리용구, 미끌어짐, 바닥판, 손잡이, 변형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홈이 구비된 조리용구{The cooker in which the non-slip groove is equipped}
도 1은 종래의 프라이팬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조리용구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리용구 20: 조리용구 본체
21: 바닥판 23: 미끄럼 방지 홈
25: 측벽 30: 손잡이
본 고안은 조리용구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미끄럼 방지 홈을 구비하여 조리용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바닥판이 변형되지 않으며,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조리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리용구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며 조리용구의 대표적인 예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팬(100)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라이팬(100)은 알루미늄 또는 주물로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프라이팬 본체(120)를 제작하며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운반하기 쉽도록 손잡이(200)가 형성된다. 또한, 프라이팬 본체(120)의 바닥판(121) 하면 중심에는, 다수개의 홈으로 이루어진 가열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프라이팬 본체(120)의 바닥판(121) 하면 중심에 형성되는 상기 가열부(123)는 가열수단 예컨대, 가스렌지나 버너 등의 화구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프라이팬(110)을 빨리 가열하여 요리를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프라이팬(100)을 장시간 사용하면, 가열부(123)에 형성된 홈으로 인해 바닥판(121)의 가장자리보다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하므로, 직접 가열수단으로부터 열을 받는 가열부(123)에 열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가열부(123)가 바닥판(121)의 가장자리보다 상부로 돌출하게 된다.
그로 인해, 조리과정에서 가열된 프라이팬(100)을 평평한 바닥 예컨대, 싱크대 또는 식탁에 올려놓으면, 돌출된 상기 가열부(123)와 바닥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갇혀진 공기가 가열되면서, 부피가 팽창하여 양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평평한 바닥 위에서 프라이팬(100)이 이리저리 미끄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싱크대나 식탁과 같이 어느 정도 높이가 있는 곳에 프라이팬을 두면 아래로 미 끄러져 내릴 수 있으며, 자칫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또한, 변형되어 돌출된 가열부(123)로 인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으며, 조리시 조리도구 예컨대, 젓가락이나 뒤집개 등이 돌출된 가열부(121)에 걸려 제대로 조리를 할 수 없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리용구 바닥판 가장자리를 따라 미끄럼 방지 홈을 형성하여, 그 홈으로 인하여 심미감을 느낄 수 있으며, 식탁이나 씽크대 등의 평평한 바닥에서 미끌어짐을 방지하고, 조리면의 열전도를 고르게 할 뿐만 아니라, 조리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조리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측벽과 측벽 하단에 바닥판이 형성된 조리용구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구의 바닥판 하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미끄럼 방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홈은 바닥판 하면에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의 조리용구는 예컨대, 냄비, 프라이팬, 압력밥솥 등 음식을 담 아 조리를 할 수 있는 모든 용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의 조리용구(10)는 조리용구 본체(20)와 그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손잡이(30)로 구성된다.
상기 조리용구 본체(20)는 일정높이를 갖는 벽체(25)와 그 벽체 하단에는 바닥판(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표면을 보호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조리용구 본체(20)의 벽체(25)에 일측 또는 양측에 손잡이(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손잡이(30)를 제외하고, 탈부착시 손잡이를 이용해 상기 조리용구 본체(20)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조리용구 본체(20)의 바닥판(21)은 상기 바닥판(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끄럼 방지 홈(23)이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 홈(23)은 가장자리를 따라 세그먼트(segment) 형태로 나뉘어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 홈(23)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미끄럼 방지 홈(23)에서 상기 바닥판(21)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 미끄럼 방지 홈(23)이 1~3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 많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 홈()의 형상은 삼각, 사각, 반원 형상으로 깊이는 0.3~0.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구(10)는,
상기 측벽(25) 하단에 바닥판(21)이 형성된 조리용구 본체(20)의 바닥판(21) 하면에 바닥판(2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미끄럼 방지 홈(23)을 형성하여 바닥 예컨대, 씽크대나 식탁 등의 평평한 바닥에 놓았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상대적으로 열이 덜 전달될 수 있는 바닥판(21) 가장자리 쪽에 상기 미끄럼 방지 홈(23)이 형성되어, 그로 인해 바닥판(21)의 가장자리 쪽의 두께가 얇아져 열을 쉽게 전달할 수 있어 바닥판(21) 전체에 고르게 열이 전달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시 가열수단의 화구와 대응되는 바닥판(21)의 중심부의 두께가 동일하여 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미끄럼 방지 홈(23)으로 인해 색다른 미감을 느껴 소비자로부터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열이 덜 전달되는 조리용구의 가장자리까지 열이 고르게 전달되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바닥판에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색다른 미감으로 소비자로부터 구매욕구를 충족시키고, 일정높이가 있는 곳의 바닥에 내려놓을 시 조리용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측벽과 측벽 하단에 바닥판이 형성된 조리용구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21) 하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미끄럼 방지 홈(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홈(23)은 바닥판 하면에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KR2020070009989U 2007-06-18 2007-06-18 미끄럼 방지 홈이 구비된 조리용구 KR200800064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989U KR20080006443U (ko) 2007-06-18 2007-06-18 미끄럼 방지 홈이 구비된 조리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989U KR20080006443U (ko) 2007-06-18 2007-06-18 미끄럼 방지 홈이 구비된 조리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43U true KR20080006443U (ko) 2008-12-23

Family

ID=4132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989U KR20080006443U (ko) 2007-06-18 2007-06-18 미끄럼 방지 홈이 구비된 조리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4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72B1 (ko) * 2009-07-21 2012-03-20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전자유도가열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72B1 (ko) * 2009-07-21 2012-03-20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전자유도가열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765B2 (en) Nested pans
EP2510844B1 (en) Grill and / or frying plate for the use on cooking hobs
US20120055346A1 (en) Cardio grill
WO2015109156A1 (en) Cooking device and method with temperature control
KR101137992B1 (ko) 바닥 저면에 형성된 곡면에 요철부를 갖는 조리용기
JP2010099140A (ja) 調理・湯沸かし器具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20080006443U (ko) 미끄럼 방지 홈이 구비된 조리용구
US20180146821A1 (en) Cookware
JP3160440U (ja) 電磁調理器用土鍋
JP3123150U (ja) 調理容器
CN214905835U (zh) 一种可控油烟炒锅
KR200455898Y1 (ko)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KR100893641B1 (ko) 미끄럼 방지용 프라이팬
JP3183737U (ja) 調理器具
US20230142557A1 (en) Device and kit for cooking with frame and insert
CN201008505Y (zh) 锅体的改进结构
KR200307333Y1 (ko) 양면요리판이 구비된 전기쿠커
CN107595106A (zh) 一种新式焖锅
KR101166531B1 (ko) 연료 절약형 조리용기
TWM515352U (zh) 適用於電磁爐之鍋具
JP5373414B2 (ja) 樹脂製の鍋敷き兼用運び盆
JP3208690U (ja) 調理皿構造
AU2016101593A4 (en) Saucepan
TWM460610U (zh) 煮烤兩用鍋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