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387U -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387U
KR20080006387U KR2020070009909U KR20070009909U KR20080006387U KR 20080006387 U KR20080006387 U KR 20080006387U KR 2020070009909 U KR2020070009909 U KR 2020070009909U KR 20070009909 U KR20070009909 U KR 20070009909U KR 20080006387 U KR20080006387 U KR 200800063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index
index plate
plat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현
Original Assignee
김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현 filed Critical 김옥현
Priority to KR2020070009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387U/ko
Publication of KR200800063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3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5Sealing means positioned between adjacent li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시 사용되는 지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공시 바닥과 콘크리트, 콘크리트와 콘크리트의 이음매에 수평이나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지수판에 있어서 중앙에 콘크리트 양생시 배수나 수축에 의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의 상, 하 또는 좌, 우에는 소정구간 간격을 두고 끝단에는 걸림부가 대칭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신축부와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는 일면에는 리브와 상기 걸림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지수날개가 다수개수로 이루어져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수판에 리브와 지수날개를 동시에 형성하여 콘크리트와 더욱더 단단한 결속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수판, 신축부, 걸림부, 리브, 지수날개.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CONCRETE WATER-PROOFING PLATE}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용 지수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용 지수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4(b), 4(c)는 본 고안에 따른 지수판의 지수날개를 나타낸 실시 예.
도 5 및 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수판,
20 : 신축부,
30 : 걸림부,
40 : 리브,
50 : 지수날개.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시 사용되는 지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와 지수판의 단단한 고정을 위하여 지수판의 상, 하 또는 좌, 우에 리브와 지수날개를 다수개수로 형성한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축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저수지, 산악터널, 일반터널 등에서 콘크리트 시공을 행할 때는 1차 타설작업이 이루어진 후 2차 타설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타설부와 2차 타설부 간에 이음되는 부위에는 2차 타설부의 콘크리트가 시공 이후 건조됨에 따라 이음매의 공극을 야기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누수방지를 위해서 지수판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지수판은 수지재의 얇은 판 상의 본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중공부와 중공부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지수날개를 형성하는 지수판 등이 생산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부는 콘크리트 이음매의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고 지수낼개들은 판상에서 수직이나 수평으로 장착되어 이음매에 스며드는 물들의 흐름을 방해하여 결과적으로 지수 역할을 하고 있다.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지수판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지수판(100)은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되고, 중앙에는 콘크리트 양생시 수축에 의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의 신축부(2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200)를 기준으로 상, 하단에는 지수판의 두께보다 두꺼 운 상부 걸림부(300)와 하부 걸림부(40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200)와 상, 하부 걸림부(400) 사이에는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리브(50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지수판(100)은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형성되는 리브(500)가 수직이나 수평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단단한 결속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리브(500)가 일측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 지정된 부분으로 콘크리트가 쏠리게 되어 다른 한 부분에 공간 및 기포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공간과 기포를 중심으로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리브(500)는 상, 하부 걸림부(400)보다 낮게 형성되어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사용되는 자갈과 같은 알갱이에 리브(500)가 감춰져 지수날개의 역할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와 지수판의 단단한 고정을 위하여 지수판의 상, 하 또는 좌, 우에 리브와 지수날개를 다수개수로 형성한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공시 바닥과 콘크리트, 콘크리트와 콘크리트의 이음매에 수평이나 수직방 향으로 장착되는 지수판에 있어서 중앙에 콘크리트 양생시 배수나 수축에 의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의 상, 하 또는 좌, 우에는 소정구간 간격을 두고 끝단에는 걸림부가 대칭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신축부와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는 일면에는 리브와 상기 걸림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지수날개가 다수개수로 이루어져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용 지수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용 지수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a), 4(b), 4(c)는 본 고안에 따른 지수판의 지수날개를 나타낸 실시 예이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이하 '지수판'이라 함)(10)은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되, 상기 지수판(10)의 크기 및 길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와 장소에 따라 달리 제작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지수판(10)에 다수개수로 돌출형성되는 지수날개(50)와 그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수판(10)은 중앙에 콘크리트 양생시 배수나 수축에 의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축부(20)가 형성되되, 상기 신축부(20)는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서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도 1과 같이 바닥과 콘크리트를 연결하고자 하는 곳에 사용될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로 형성되고, 도시된 도 2와 같이 벽면에 콘크리트와 콘크리트를 연결하고자 하는 곳에 사용될 경우에는 배수나 인장력을 위해서 파이프와 같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20)의 상, 하 또는 좌, 우에 소정구간 간격을 두고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부(30)는 도시된 도 1과 같이 바닥면에 장착될 경우에는 상,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도시된 도 2와 같이 벽면에 장착될 경우에는 좌, 우를 향해 돌출형성된다.
이때, 바닥면에 형성되는 지수판(10)의 걸림부(30) 경우 내주면(32)이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여 콘크리트가 지수판(10)을 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신축부(20)와 걸림부(30) 사이에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결속력을 강화시키는 리브(40)와 지수날개(50)는 도시된 도 1과 같은 바닥면에 장착될 경우에는 일면(60a)에만 형성되고, 도시된 도 2와 같은 벽면에 장착될 경우에는 다른 면(60b)에도 일면(60a)과 마찬가지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40)는 직사각형 및 삼각형 리브(40)가 사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수날개(50)의 도시된 도 1과 같이 왕관형상 및 도시된 도 2와 같이 별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즉, 상기 왕관형상은 삼각 돌기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것이며, 별 모양은 둘레를 삼각 돌기가 외주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콘크리트와 결속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도 3은 상기 지수날개(50)가 '
Figure 112007043592015-UTM00001
'와 같이 클로버, 화살표, 더블 삼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지수날개(50)는 여러 가지 돌출형상을 통해서 기존의 리브만으로 콘크리트를 결속했을 때 가졌던 지수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수판(10)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5 및 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중앙에 콘크리트 양생시 배수나 수축에 의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축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20)의 상, 하 또는 좌, 우에는 소정구간 간격을 두고 끝단에는 걸림부(30)가 대칭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신축부(20)와 걸림부(30) 사이에 형성되는 일면(60a)에는 리브(40)와 상기 걸림부(30)보다 크게 형성되는 지수날개(50)가 다수개로 이루어져 돌출형성되는 지수판(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20)는 바닥면에 사용될 때 형성되는 바와, 벽면에 사용될 때 형성되는 원형 파이프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도 5는 바닥면과 콘크리트에 형성되는 이음매에 상기 지수판(10)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바닥면을 고르게 작업한 후 지정된 위치에 상기 지수판(10)을 장착한 후 신축부(20)를 기준으로 일측에 먼저 1차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한 후 상기 신축부(20)를 기준으로 타측에 2차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면 되는 것이다.
도시된 도 6은 벽면으로 지수판(10)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벽면을 이루고자 하는 양측에 거푸집을 형성한 후 중앙부분에 지수판(10)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장착한 후 1차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한 후 상기 신축부(20)를 기준으로 타측에 2차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수판에 리브와 지수날개를 동시에 형성하여 콘크리트와 더욱더 단단한 결속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공시 바닥과 콘크리트, 콘크리트와 콘크리트의 이음매에 수평이나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지수판에 있어서,
    중앙에 콘크리트 양생시 배수나 수축에 의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축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20)의 상, 하 또는 좌, 우에는 소정구간 간격을 두고 끝단에는 걸림부(30)가 대칭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신축부(20)와 걸림부(30) 사이에 형성되는 일면(60a)에는 리브(40)와 상기 걸림부(30)보다 크게 형성되는 지수날개(50)가 다수개수로 이루어져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10)의 일면(60a)에 형성되는 리브(40)와 지수날개(50)는 다른 면(60b)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날개(50)의 형상은 '
    Figure 112007043592015-UTM00002
    '중 택일하여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KR2020070009909U 2007-06-15 2007-06-15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KR200800063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909U KR20080006387U (ko) 2007-06-15 2007-06-15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909U KR20080006387U (ko) 2007-06-15 2007-06-15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87U true KR20080006387U (ko) 2008-12-18

Family

ID=4132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909U KR20080006387U (ko) 2007-06-15 2007-06-15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38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961A (ko) * 2014-08-07 2016-02-17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전력구 맨홀
KR101645224B1 (ko) 2016-01-27 2016-08-03 (주) 유성화학 지수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961A (ko) * 2014-08-07 2016-02-17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전력구 맨홀
KR101645224B1 (ko) 2016-01-27 2016-08-03 (주) 유성화학 지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749B1 (ko) 복합 구조의 다성능 기능 지수판
CN106193368B (zh) 基于3d打印配筋砌体剪力墙与保温结构的连接方法
KR100909277B1 (ko) 강관이 구비된 교각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각의 조립 구조
KR20190101610A (ko) 그라우트 주입형 지수판과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방법
KR101122659B1 (ko)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패널의 이음부 접합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710304B1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세굴 이격부 보수 보강 공법
KR101694165B1 (ko) 콘크리트 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20080006387U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KR101549418B1 (ko) 쐐기 형상의 지수판 및 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매립형 신축이음매 거푸집
CN105189875B (zh) 波形中空闭合止水板、利用该波形中空闭合止水板的混凝土暗渠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625995B1 (ko) 프리캐스트 데크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용 슬래브
KR101641050B1 (ko) 바닥용 배수판
KR102108976B1 (ko) 지수판
KR10151911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음부 지수판
KR100927188B1 (ko) 전단연결재가 구비된 콘크리트 거더와 섬유강화플라스틱합성바닥판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KR2021005948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직구 설치구조
CN105019400B (zh) 复合型围护桩结构
CN205742259U (zh) 一种长距离地下通道侧墙装配式模板
CN211714180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结构
CN204803750U (zh) 一种防水型桥梁伸缩缝
JP2014181463A (ja) 水切り部材及び水切り構造の施工方法
US20160251868A1 (en) Curb System For A Concrete Container
KR101119059B1 (ko) 지수판
JP2021143486A (ja) 接続構造
CN207047912U (zh) 一种钢边橡胶止水带安装定型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