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999U -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999U
KR20080005999U KR2020070009091U KR20070009091U KR20080005999U KR 20080005999 U KR20080005999 U KR 20080005999U KR 2020070009091 U KR2020070009091 U KR 2020070009091U KR 20070009091 U KR20070009091 U KR 20070009091U KR 20080005999 U KR20080005999 U KR 200800059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ee
grooves
phosph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팀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팀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팀목
Priority to KR2020070009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999U/ko
Publication of KR20080005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9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목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광물질에 의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식목된 수목을 지지하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에 있어서,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에 인광물질이 채워져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대는 중공의 일정한 단면을 갖는 길이재이며, 중공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를 구비한다. 지지대에 형성된 요홈은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지지대의 길이방향의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에 형성된 요홈은 지지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대는 인광물질과 함께 일체로 압출 성형 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과 이 요홈에 채워져 있는 인광물질로 인하여 야간에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장시간, 높은 조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목, 지지대, 요홈, 형광, 야광, 인광, 축광, 루미네선스 수목지지구

Description

수목지지구용 지지대{SUPPORTER FOR A SUPPORT TRE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의 제 1실시예를 적용한 수목지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의 제 2실시예를 적용한 수목지지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IV-IV 부분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 1실시예가 적용된 수목지지구 11: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20: 제 1실시예의 지지대 21: 제 1실시예의 요홈
30: 제 1실시예의 인광물질 50: 제 2실시예가 적용된 수목지지구
60: 제 2실시예의 지지대 61: 제 2실시예의 요홈
70: 제 2실시예의 인광물질
본 고안은 수목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광물질에 의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지지구는 보도, 도로변 등에 식목된 가로수, 과수목 등이 흔들리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수목지지구는 수목을 고정하는 조절밴드가 부착된 클램프와 이 클램프와 연결되고 수목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지지대를 구비한다.
보도나 도로변 등에 수목지지구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서, 보행자는 주간에 설치된 수목지지구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수목지지구에 부딪치거나 걸려서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드물게 발생한다. 그러나 야간에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두운 지역에서 보행자는 수목지지구를 쉽게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수목지지구에 부딪치거나 걸려서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2498호,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22347호와 제1997-056451호 등의 많은 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문헌들에 기재된 기술들은 일반적인 수목지지구의 지지대에 야광도료 또는 형광도료를 도색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술한 문헌들의 야광도료 또는 형광도료가 도색된 수목지지구용 지 지대는 강한 비바람, 눈보라 등의 외부의 물리적 작용에 의하여 도료가 쉽게 벗겨지고 마모되어 이를 보수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광도료 또는 형광도료에 의해서는 야간에 발광되는 조도가 미미하여 보행자가 수목지지구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에 하나 이상의 요홈을 형성시키고, 이 요홈에 인광물질을 채워서 높은 조도를 제공하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강한 비바람과 눈보라 등의 외부의 물리적 작용에 의하여 수목지지구용 지지대로부터 인광물질이 쉽게 탈락되지 않아 신뢰성을 크케 향상시킬 수 있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들과 그 외의 목적들과 신규한 특징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읽어 보면, 보다 완전하고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특징은, 식목된 수목을 지지하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에 있어서,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에 인광물질이 채워져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대는 중공의 일정한 단면을 갖는 길이재이며, 중공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를 구비한다. 지지대에 형성된 요홈은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지지대의 길이방향의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에 형성된 요홈은 지지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대는 인광물질과 함께 일체로 압출 성형 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목지지구(10)는 4개의 수목지지구(10)용 클램프(11)를 구비하고 있다. 수목지지구(10)용 클램프(11)는 수목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수목지지구(10)용 클램프(11)에는 수목지지구(10)용 지지대(20)가 힌지로 결합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수목지지구(10)용 지지대(20)는 단면이 팔각형으로 이루져 있고, 중공을 가지고 있으며, 합성수지로 압출 성형된 길이재이다. 또한, 수목지지구(10)용 지지대(20)는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진 제 1 및 제 2 보강리브(22,23)를 가지고 있다. 수목지지구(10)용 지지대(20)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진 길이재로 대체 될 수 있다.
요홈(21)은 수목지지구(10)용 지지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홈(21)은 사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수목지지구(10)용 지지대(20)의 단면 형상인 팔각형의 한 변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요홈(21)의 단면 형상은 반원, 삼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요홈(21)은 수목지지구(10)용 지지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인광물질(30)은 각각의 요홈(21)에 채워져 고형화되어 있다. 인광물질(30)은 광루미네선스(Optical luminescence)로서 조사되는 빛을 흡수하고, 조사되는 빛을 제거하면 발광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인광물질(30)은 주간에 흡수한 빛을 야간에 장시간 발하여 시인성을 제공한다. 인광물질(30)은 같은 광루미네선스의 일종이며, 태양광이나 전등광을 조사하면 어두운 곳에서도 장시간 발광하는 축광물질과 형광물질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 2실시예의 수목지지구(50)용 클램프(11)와 지지대(6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보강리브(62,63)와 인광물질(70)은 제 1실시예의 수목지지구(10)용 클램프(11)와 지지대(2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보강리브(22,23)와 인광물질(3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실시예의 수목지지구(50)용 지지대(60)의 요홈(61)은 지지대(60)의 외주면을 따라서 2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요홈(61)은 수목지지구(50)용 지지대(60)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인광물질(70)은 각각의 요홈(61)에 채워져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구(10,50)용 지지대(20,60)를 적용한 수목지지 구(10,50)는 지지대(20,60)에 형성되어진 요홈(21,61)에 채워진 인광물질(30,70)에 의하여 주간에는 태양광을 흡수한다. 흡수된 태양광으로 인하여 인광물질(30,70)의 원자들은 들뜬상태가 된다.
일몰 후, 야간에는 인광물질(30,70)을 자극하는 태양광이 사라지고 없으므로 인광물질(30,70)의 원자들은 들뜬상태에서 준안정상태로 이행한 다음에 다시 바닥상태로 돌아간다. 이때, 인광물질(30,70)은 들뜬상태에서 준안정상태로 이행하면서 장시간 빛을 발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구(10,50)용 지지대(20,60)는 보행자에게 시인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에 인광물질이 채워져 있으므로, 강한 비바람, 눈보라 등의 외부의 물리적 작용에 의하여 인광물질이 쉽게 탈락되지 않으므로 수목지지구용 지지대를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의 크기와 이 요홈에 채워져 있는 인광물질의 양에 따라 조도의 크기와 발광 시간이 결정되므로 야간에 통행 하는 보행자에게 장시간, 보다 높은 조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식목된 수목을 지지하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에 있어서,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에 인광물질, 축광물질, 형광물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채워져 있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중공의 일정한 단면을 갖는 길이재이며, 중공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모지지구용 지지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지지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물질은 상기 지지대와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KR2020070009091U 2007-06-01 2007-06-01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KR200800059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91U KR20080005999U (ko) 2007-06-01 2007-06-01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91U KR20080005999U (ko) 2007-06-01 2007-06-01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999U true KR20080005999U (ko) 2008-12-04

Family

ID=4132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091U KR20080005999U (ko) 2007-06-01 2007-06-01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99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174B1 (ko) * 2018-03-07 2019-01-16 주식회사 엔에스피앤피 폐비닐을 이용한 적재용 버팀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5806A (ko) * 2017-10-24 2019-05-03 양윤원 수목 지지대
KR20230027824A (ko) *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전주용 지지대
KR20230154533A (ko)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거원 기능성 수목지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806A (ko) * 2017-10-24 2019-05-03 양윤원 수목 지지대
KR101939174B1 (ko) * 2018-03-07 2019-01-16 주식회사 엔에스피앤피 폐비닐을 이용한 적재용 버팀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7824A (ko) *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전주용 지지대
KR20230154533A (ko)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거원 기능성 수목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5999U (ko)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JP2012507122A (ja) 街灯および街灯の改造方法
KR101126743B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맨홀뚜껑
KR100789318B1 (ko) 가로등
JPH08199513A (ja) 発光標識装置
US20050172986A1 (en) Umbrella safety and alarm enhancing device
KR200391900Y1 (ko) 태양광을 이용한 표지등
KR200408848Y1 (ko) 도로시설물 보호표지판
KR200378407Y1 (ko) 가변형 수목 보호대
JP5266468B1 (ja) 路面標示リング及びその使用方法
JPH1037143A (ja) 歩行規制チェーン用放光チューブ及び歩行場所用放光プレート
KR200454393Y1 (ko) 자외선 여기 자체 면발광 델리네이터
JP3634524B2 (ja) 夜間視認性を高めた防護柵
KR200421214Y1 (ko) 가로등
KR200460007Y1 (ko) 차선 규제봉
KR101125748B1 (ko) 가로등 지주와 지지수단 결합구조
KR100921258B1 (ko) 가로등 지주와 지지수단 결합구조
KR102194918B1 (ko) 수목보호용 축광반사밴드
JP3097309U (ja) 道路用標識
CN102169659A (zh) 一种黄绿蓝绿长余辉反光组合交通安全标志
CN214143414U (zh) 一种稳固防风的反光路锥
KR20090004779U (ko) 가로등의 지주구조
KR200473362Y1 (ko) 안전 우산 커버
KR101303838B1 (ko) 반사 밴드
KR200454394Y1 (ko) 자외선 여기 자체 면발광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