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806A - 수목 지지대 - Google Patents

수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806A
KR20190045806A KR1020180003883A KR20180003883A KR20190045806A KR 20190045806 A KR20190045806 A KR 20190045806A KR 1020180003883 A KR1020180003883 A KR 1020180003883A KR 20180003883 A KR20180003883 A KR 20180003883A KR 20190045806 A KR20190045806 A KR 20190045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tree
fastening
band
shap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480B1 (ko
Inventor
양윤원
Original Assignee
양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원 filed Critical 양윤원
Publication of KR20190045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가로수와 같은 조경수 또는 과수원의 나무를 포함하는 수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강풍과 같은 외부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과정에서 취급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는, 수목(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호형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는 야광필름(210)이 부착된 길이조절 가능한 지지다리(200); 상기 수목(1)의 외주면에 위치한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를 감싸며 상기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를 수목(1)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양단에 체결수단(310)이 형성된 고정밴드(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목 지지대{THE SUPPORTING DEVICE FOR A TREE}
본 발명은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가로수와 같은 조경수 또는 과수원의 나무를 포함하는 수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강풍과 같은 외부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과정에서 취급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주변이나 공원의 가로수, 농장이나 과수원의 어린 묘목들을 포함하는 수목은 땅속에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기까지 강풍이나 지진 등의 외력에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는 각목을 주로 이용해왔으며, 통상 세 개의 각목을 지면에 고정시킨 채로 각각의 각목을 경사지도록 하여 보호하려는 나무의 기둥 주변에 부착하고 철사나 끈으로 각목을 고정함으로써 나무가 강풍 등의 외력에 노출되더라도 흔들림이 완화되도록 하여 나무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수목의 지지수단으로 사용되는 각목은 나무를 주재료로 하고 있어 벌목작업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산림이 훼손되어 환경에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나무 외의 소재로 형성된 지지수단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산림훼손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무를 소재로 하지 않는 수목 지지수단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0872호(2013.02.06, 밴드형 수목 지주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수목을 지지하기 위한 수목 지주대에 있어서, 체결너트(180)가 고정형성된 제1고정부(150); 상기 제1고정부(150)에 일측이 고정되고 다른 일측 끝단 부위에 다수의 체결공(111)을 구비한 체결밴드(110); 상기 체결밴드(110)가 회전한 후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밴드 통과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밴드(110)의 체결공(111)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된 체결밴드(110)의 나머지 일측 끝단 부위가 구부러져 안착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밴드 이탈방지부(140)가 형성된 제2고정부(160); 및 상기 제1고정부(150)와 제2고정부(160)를 연결시키기 위한 체결볼트(170);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100)와, 일측에 상기 체결밴드(110)가 관통하는 삽입부(211)가 형성된 체결구(210);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체결구(21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수목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대(220); 및 상기 체결구(210)의 삽입부(211)측에 형성되며, 수피를 보호하기 위한 수피보호부(230);로 이루어지는 밀착고정부재(20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밴드형 수목 지주대는 금속재로 형성된 것으로 나무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지지대의 길이조절이 불가능하여 밀착고정부재의 설치되는 높이를 사용자의 임의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폭이 좁은 하나의 밴드 형태의 체결밴드를 사용하여 밀착고정부재를 고정함에 따라 그 고정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3-0000872호(2013.02.06, 밴드형 수목 지주대)
본 발명의 목적은 수목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제공하되, 수목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구성을 고정하는 밴드의 고정이 견고하고, 이송시 취급이 용이하도록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수목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는, 수목(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호형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는 야광필름(210)이 부착된 길이조절 가능한 지지다리(200); 상기 수목(1)의 외주면에 위치한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를 감싸며 상기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를 수목(1)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양단에 체결수단(310)이 형성된 고정밴드(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목 지지대에 따르면, 고정밴드에 의해 호형플레이트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다리에 의해 이송시에는 부피를 줄여 취급이 용이하게 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수목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야광필름에 의해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의 호형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의 고정밴드를 나타낸 단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의 단면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의 평면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의 지지다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의 지지다리가 회동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의 밴드걸림턱을 나타낸 사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목 지지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는 호형플레이트(100), 지지다리(200), 고정밴드(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호형플레이트(100)는 수목(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수목(1)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호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호형플레이트(100)가 수목(1)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다수 개 구비된 것이다.
이때, 상기 호형플레이트(100)가 구비되는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3개로 한정되지 않고, 수목(1)의 크기에 따라 그보다 적거나 그보다 많은 개수로 구비하여 수목(1)의 외주면에 위치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다리(200)는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그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200)는 각각의 직경이 다른 두 개 이상의 관체를 끼워 결합하고 인입동작과 인출동작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지지다리(200)를 이루는 다수 개의 관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2단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3단 또는 4단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인입동작과 인출동작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 후 지지다리(200)를 고정하는 방식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관체를 나사형의 고정볼트(201)로 관통하여 그 하나의 관체에 끼워진 다른 하나의 관체의 외측을 상기 고정볼트(201)의 끝단부로 밀어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용이한 방법이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200)의 일측에는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하는 야광 재질로 된 야광필름(210)을 부착시켜 야간에도 보행자 또는 운전자가 수목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200)가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상기 지지다리(200)의 일측 단부를 용접하여 고정형으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상기 지지다리(2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200)를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외주면 일측과 상기 지지다리(100)의 일측 단부에 힌지축(b)이 관통하는 힌지결합브라켓(101,20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힌지결합브라켓(101,201)을 관통한 상기 힌지축(b)의 단부에 축결합구(n)를 끼워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힌지결합브라켓(101,201)은 납작한 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힌지축(b)은 일반적인 볼트를 사용하고 상기 축결합구(n)는 너트를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다리(200)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이송시에 지지다리(200)를 호형플레이트(100)와 밀착되게 회동시켜 부피를 최소화하거나 호형플레이트(100)와 분리시킬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해지며 또한, 상기 지지다리(200)가 지지되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고 일측으로 경사진 경우에도 각각의 지지다리(200)가 지면에 지지되는 각도를 달리할 수 있어 그 지지다리(200)들과 연결된 각각의 호형플레이트(100)를 모두 동일한 높이로 수목(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밴드(300)는 상기 수목(1)의 외주면에 위치한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를 감싸며 그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를 수목(1)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양단에 체결수단(310)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300)의 폭이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절반 이상을 커버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300)의 폭을 반드시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절반 이상을 커버하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고정된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는 강풍과 같은 외력이 발생하게 되면 각각의 호형플레이트(100)에 유격이 발생하고 이때 종래의 얇은 띠 형상의 고정밴드는 그 유격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므로, 보다 견고한 결속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300)의 일측단부에 그 고정밴드(300)의 폭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연장형성된 치열부(311a)를 갖는 복수 개의 체결스트랩(311)과, 상기 고정밴드(300)의 타측단부에 상기 체결스트랩(311)이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스트랩관통공(312a)을 포함하여 형성된 체결하우징(312)과, 상기 체결하우징(312)의 상부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나선치(313a)가 형성된 나사봉(3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스트랩(311)이 상기 스트랩관통공(312a)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봉(313)을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나선치(313a)에 맞물린 치열부(311a)가 전·후진 하며 고정밴드(300)의 조임동작과 풀림동작을 유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치열부(311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된 홀로 형성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홀이 아닌 요철부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밴드(300)에 의해 수목(1)에 밀착되며 고정된 호형플레이트(100)는 강풍 또는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수목(1)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유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호형플레이트(100)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밴드(300)가 상방으로 밀려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력에 의해 고정밴드(300)가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상부 외주면에 상기 고정밴드(300)가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밴드(300)가 설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밴드걸림돌기(110)를 이격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걸림돌기(110)와 동일한 목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밴드(300)가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밴드(300)가 설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밴드걸림턱(120)을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목 지지대에 따르면, 고정밴드에 의해 호형플레이트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다리에 의해 이송시에 부피를 최소화하여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수목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지지다리에 설치된 야광필름에 의해 야간에 주행중인 차량이나 자전거 및 보행자가 어둠 속에서도 쉽게 수목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어 수목과 부딪혀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다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 이송시에 지지다리를 호형플레이트에 밀착되게 회동시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다 취급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다리가 지지되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고 경사면인 경우에도 각각의 지지다리가 지면에 지지되는 각도를 달리할 수 있어 그 지지다리들과 연결된 각각의 호형플레이트를 모두 동일한 높이로 수목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형플레이트의 절반 이상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고정밴드에 의해 고정력이 향상되고 외력에 의해 고정밴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밴드걸림돌기 또는 밴드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호형플레이트를 감싸며 체결된 고정밴드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호형플레이트 110 : 밴드걸림돌기
200 : 지지다리 210 : 야광필름
300 : 고정밴드 310 : 체결수단

Claims (6)

  1. 수목(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호형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는 야광필름(210)이 부착된 길이조절 가능한 지지다리(200);
    상기 수목(1)의 외주면에 위치한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를 감싸며 상기 다수 개의 호형플레이트(100)를 수목(1)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양단에 체결수단(310)이 형성된 고정밴드(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200)는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외주면 일측과 상기 지지다리(100)의 일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힌지결합브라켓(101,201)과, 상기 힌지결합브라켓(101,201)을 관통하는 힌지축(b) 및 상기 힌지축(b)의 단부에 체결되는 축결합구(n)에 의해 분해 결합됨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힌지결합브라켓(101,201)은 납작한 판형의 형상으로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300)의 폭은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절반 이상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밴드(300)가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밴드(300)가 설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밴드걸림돌기(110)가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플레이트(100)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밴드(300)가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밴드(300)가 설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밴드걸림턱(120)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310)은 상기 고정밴드(300)의 일측단부에 그 고정밴드(300)의 폭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연장형성된 치열부(311a)를 갖는 복수 개의 체결스트랩(311)과, 상기 고정밴드(300)의 타측단부에 상기 체결스트랩(311)이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스트랩관통공(312a)을 포함하여 형성된 체결하우징(312)과, 상기 체결하우징(312)의 상부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나선치(313a)가 형성된 나사봉(3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KR1020180003883A 2017-10-24 2018-01-11 수목 지지대 KR101978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38634 2017-10-24
KR1020170138634 2017-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806A true KR20190045806A (ko) 2019-05-03
KR101978480B1 KR101978480B1 (ko) 2019-09-03

Family

ID=6658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883A KR101978480B1 (ko) 2017-10-24 2018-01-11 수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8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0590A (zh) * 2019-07-04 2019-08-20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一种绿色固定树木链接系统
KR102112027B1 (ko) * 2020-02-19 2020-05-18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자연목 연결 장치
CN111657047A (zh) * 2020-06-23 2020-09-15 北京丹青园林绿化有限责任公司 一种渣土区苗木养护装置及其方法
KR102186183B1 (ko) * 2020-06-03 2020-12-03 주식회사 중화정밀 수목 지지대
KR102261923B1 (ko) * 2021-01-06 2021-06-04 김철태 휴대용 나무 안정지지대
CN113175960A (zh) * 2021-05-06 2021-07-27 河南省科达水利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田间茎杆流量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431067A (zh) * 2022-01-21 2022-05-06 得利升(青岛)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保持林业工程的幼苗培育支撑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472B1 (ko) 2021-03-16 2021-06-14 최치행 수목 보호 지지대
KR102322503B1 (ko) 2021-07-20 2021-11-04 최치행 수목 보호 지지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30Y1 (ko) * 1999-10-23 2000-06-15 김인찬 수목 지지대
KR200356342Y1 (ko) * 2004-04-14 2004-07-15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각도 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수목지주
KR20080005999U (ko) * 2007-06-01 2008-12-04 주식회사 버팀목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KR20090108966A (ko) * 2008-04-14 2009-10-19 한형연 고정력 유지기능이 구비된 수목지지대
KR20130000872U (ko) 2011-07-28 2013-02-06 이주형 밴드형 수목 지주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30Y1 (ko) * 1999-10-23 2000-06-15 김인찬 수목 지지대
KR200356342Y1 (ko) * 2004-04-14 2004-07-15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각도 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수목지주
KR20080005999U (ko) * 2007-06-01 2008-12-04 주식회사 버팀목 수목지지구용 지지대
KR20090108966A (ko) * 2008-04-14 2009-10-19 한형연 고정력 유지기능이 구비된 수목지지대
KR20130000872U (ko) 2011-07-28 2013-02-06 이주형 밴드형 수목 지주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0590A (zh) * 2019-07-04 2019-08-20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一种绿色固定树木链接系统
KR102112027B1 (ko) * 2020-02-19 2020-05-18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자연목 연결 장치
KR102186183B1 (ko) * 2020-06-03 2020-12-03 주식회사 중화정밀 수목 지지대
CN111657047A (zh) * 2020-06-23 2020-09-15 北京丹青园林绿化有限责任公司 一种渣土区苗木养护装置及其方法
KR102261923B1 (ko) * 2021-01-06 2021-06-04 김철태 휴대용 나무 안정지지대
CN113175960A (zh) * 2021-05-06 2021-07-27 河南省科达水利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田间茎杆流量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175960B (zh) * 2021-05-06 2023-11-03 河南省科达水利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田间茎杆流量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431067A (zh) * 2022-01-21 2022-05-06 得利升(青岛)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保持林业工程的幼苗培育支撑装置
CN114431067B (zh) * 2022-01-21 2023-08-11 得利升(青岛)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保持林业工程的幼苗培育支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480B1 (ko)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5806A (ko) 수목 지지대
US8407934B1 (en) Tree planting support system
KR101333754B1 (ko) 수목 지지장치
US8132361B1 (en) Apparatus for staking trees
US6612071B1 (en) Support apparatus
US6708446B2 (en) V-strap tree stabilizing assembly
EP0705535B1 (en) Modular support for transplanted plants
KR102322503B1 (ko) 수목 보호 지지대
CN201222913Y (zh) 一种树木树根部支撑装置
KR101503645B1 (ko) 과수가지 보호대
GB2434292A (en) A planter
KR20170001250U (ko) 간이비가림시설용 농작물지지구
KR101044516B1 (ko) 수목 지지용 밴드 결속체
JP2000224929A (ja) 樹木の被害防止装置
JP2005143472A (ja) 苗木の食害防止装置
KR20110002807U (ko) 수형 교정 수목 지지대
JP2011065867A (ja) ソーラーランプ用支柱
KR20150108080A (ko)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
JP2652916B2 (ja) ネットフェンス用支柱
KR200485675Y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20160076038A (ko) 식물용 보호덮개
GB2420262A (en) Collapsible shelter for garden and potted plants
KR102021268B1 (ko) 다용도 지주목 제거기
KR20190049311A (ko) 조림수에서 공기정화를 위한 포집기용 조립장치
TWI450683B (zh) 樹木支持施工方法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