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080A -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080A
KR20150108080A KR1020140030787A KR20140030787A KR20150108080A KR 20150108080 A KR20150108080 A KR 20150108080A KR 1020140030787 A KR1020140030787 A KR 1020140030787A KR 20140030787 A KR20140030787 A KR 20140030787A KR 20150108080 A KR20150108080 A KR 2015010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ree
band
suppor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길
Original Assignee
이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길 filed Critical 이동길
Priority to KR102014003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8080A/ko
Publication of KR2015010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지지대와 나무의 고정부위를 감싸서 안전하게 보호하며 외관이 미려한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나무에 결합되는 밴드, 상기 밴드에 결합하여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로 된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나무의 둘레를 둥글게 감싸면서 상기 밴드 및 지주대의 고정부위를 덮고 외면에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의 상부에 결합하여 나무의 둘레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의 나무를 감싸는 해충받이가 수납된 제2커버;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는 세로로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 형성되고 단부를 연결하여 상호 조립하기 위한 커버 조립수단;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연결부위를 서로 끼움 조립하게 되는 걸림턱 및 연결고리; 상기 제1커버는 내면에 형성된 끼움부 및 상기 지주대 상단의 고정캡에 형성되어 끼움부에 조립되는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를 제안한다.

Description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Prevention of the breeding and extermination and safety cover}
본 발명은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목지지대와 나무의 고정부위를 감싸서 안전하게 보호하며 외관이 미려한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지지대는 가로수나 정원수, 자연림 상태 등의 나무(이하 '나무'라 호칭함)가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나무의 지상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둘레에 고정밴드를 감고, 이 고정밴드와 지면을 비스듬히 연결하는 지주대를 설치하여 보강하게 된다.
상기의 수목지지대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특허문헌)로는 아래와 같이, 국내실용신안공개 제20-1996-0019616(1996.07.18., 공개) 내지 국내특허공개 제10-2005-0040092(2005.05.03., 공개),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14206(2001.05.15., 출원), 국내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10830(2011.11.22., 공개)호 등이 공개된 있으며 이외에도 다수의 건들이 공지된 바에 있으며, 이미 공지된 바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지만, 종래의 선행기술은 지주대와 나무의 고정부위(밴드, 캡)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못하고, 자전거를 타거나 운동중에 부딪히게 되면 긁히거나 심하게 부상을 당하게 됨으로 각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특히 비나 눈, 고온이나 저온의 기상상태 등에 의해 쉽게 손상 및 파손되고 수명이 급격히 단축되며, 외부의 충격력 등에 취약하고, 내구성 및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나무의 해충받이는 가을이나 겨울철에 나무의 표면에 부직포, 볏짚, 스펀지 등을 부착하여 해충(유해충)이 모이도록 하거나 해충의 산란처 등을 제공하고 봄이 되면 이를 분리하여 소각처리함으로써 해충을 박멸하게 되는 데,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미관상 좋지못할 뿐만 아니라 쉽게 분리되어 소실되며, 이로 인해 해충이 인접지역으로 확산하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1.국내실용신안공개 제20-1996-0019616(1996.07.18., 공개) 2.국내특허공개 제10-2005-0040092(2005.05.03., 공개) 3.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14206(2001.05.15., 출원) 4.국내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10830(2011.11.2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무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목지지대의 고정부위를 제1커버로 감싸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감싸서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외관이 미려하고 가로수의 생장을 돕는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복지지대의 고정부위를 감싸는 제1커버의 제2커버 내에 해충받이를 구비하여 해충방제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무에 결합되는 밴드, 상기 밴드에 결합하여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로 된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나무의 둘레를 둥글게 감싸면서 상기 밴드 및 지주대의 고정부위를 덮고 외면에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의 상부에 결합하여 나무의 둘레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의 나무를 감싸는 해충받이가 수납된 제2커버;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는 세로로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 형성되고 끝단의 제1 내지 제4연결부를 상호 조립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커버 조립수단;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연결부위를 서로 끼움 조립하게 되는 걸림턱 및 연결고리; 상기 제1커버는 내면에 형성된 끼움부 및 상기 지주대 상단의 고정캡에 형성되어 끼움부에 조립되는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커버에는 지주대와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U-볼트, 클램프밴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것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목지지대의 고정부를 제1커버로 감싸서 안전하게 보호하며, 외부 충격력이나 비나 눈 등으로부터 수목지지대 및 나무의 고정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무를 감싸는 해충받이가 제1커버 내에 수납된 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외관이 미려하며, 해충들의 산란 및 해충방제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수목지지대를 덮는 제1커버 및 해충받이는 가지는 제2커버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제작은 물론 취급, 설치작업 등이 용이하며, 해충받이이 교환 및 수리보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커버의 상단에 제2커버를 조립식으로 일체 구성함에 따라, 견고하고 분실이나 파손의 위험성이 없고 외관이 미려하여 조경효과를 높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나무(T,T')의 크기에 따라서 수목지지대 보호커버의 다른 설치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보호커버의 조립수단에 관한 다른 실시 예를 부분적인 단면으로 확대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보호커버와 지주대의 결합수단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호커버와 지주대의 결합수단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나무(T)에 결합되는 밴드(40), 상기 밴드(40)에 결합하여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50)로 된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나무(T)의 둘레를 둥글게 감싸면서 상기 밴드(40) 및 지주대(50)의 고정부위를 덮고 외면에는 수납부(20)가 형성되어 있는 제1커버(10); 상기 제1커버(10)의 외면에 형성된 수납부(20); 상기 제1커버(10)의 상부에 결합하여 나무(T)의 둘레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의 나무(T)를 감싸는 해충받이(34)가 수납된 제2커버(30); 상기 제1커버(10) 및 제2커버(30)는 세로로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 형성되고 끝단의 제1 내지 제4연결부(11,12,31,32)를 상호 조립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커버 조립수단; 상기 제1커버(10) 및 제2커버(30)의 연결부위를 서로 끼움 조립하게 되는 걸림턱(17) 및 연결고리(38); 상기 제1커버(10)는 내면에 형성된 끼움부(18) 및 상기 지주대(50) 상단의 고정캡(52)에 형성되어 끼움부에 조립되는 돌출부(4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수목지지대 보호커버(100)는 나무(T)의 둘레에 제1커버(10)를 설치하여, 상기 나무에 결합되는 수목지지대의 고정부를 덮어 보호하게 되며, 상부에는 제2커버(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의 나무(T)의 수목지지대 고정부는 지상으로부터 일정한 높이게 밴드(40)가 감겨있고, 상기 밴드(40)와 지면을 비스듬히 연결하는 지주대(5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주대(50)는 상단에 결합된 고정캡(52)과 상기 밴드에 결합되는 브래킷(44)이 소정의 체결구(45)에 의해 조립된 채,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커버(10)가 이를 덮어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밴드(40)는 라체트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클램프(41)를 구비하여 나무의 굵기(지름)에 따라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밴드(40)와 나무 사이에는 쿠션패드(42)를 구비하여 나무에 가해지는 자극, 충격력 등을 완화하고 나무를 보호하도록 된다. 상기 쿠션패드(42)는 발포 우레탄 또는 연질 합성수지, 스펀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버(10)는 나무의 둘레에 원통형으로 끼워지고, 도면에서처럼, 위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도록 된 원추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커버(10)는 내측 상부에 제2커버와 연결하기 위한 걸림턱(17)이 형성되며, 내면 중간부에 홈부(19)를 가지는 끼움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커버(30)는 나무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형이고, 상기 제1커버와 마찬가지로 위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의 오목한 요입부에 해충받이(34)가 수납된다. 상기 제2커버(30)는 저면에 형성된 연결고리(38)를 상기의 끼움부(18)의 홈부(19)에 끼워 맞물리도록 구성이 된다.
상기의 해충받이(34)는 부직포, 볏짚, 다공질성 스펀지부재 등으로 이루어져 추운 겨울철에 해충이 서식하기 적합하며 해충의 산란처 등을 제공하게 되며, 다음해에 따뜻한 봄이 찾아오면 제2커버(30)를 분리하여 손쉽게 분리 및 교체할 수가 있다.
상기 제1커버(10) 또는 제2커버(30)는 표면에 요철테(14)가 형성되며, 외면에 밴드를 감아 재차 고정할 수도 있게 되며, 상기 요철데(14)는 볼록하거나 오목한 요철(凹凸) 형태의 테두리로 형성된다.
[제1실시 예]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르면, 제1커버(10) 및 제2커버(30)는 나무에 끼움 조립하기 위해 일정한 단위 규격으로 일정간격 분할 형성되고 소정의 커버 조립수단에 의해 상호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제1커버(10) 또는 상기의 제2커버(30)는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분할 형성함에 따라, 둘레면이 곡선(곡면)으로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형성된 제1 및 제3연결부(11,31)를 끼움 조립하여 서로 맞물린 채 고정이 된다.
[제2실시 예]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커버(10)와 제2커버(30)는 세로로 일정간격 분할 형성되며 측면의 제2 및 제4연결부(12,32)가 연결핀(16)에 의해 서로 끼움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커버의 조립수단은 도 2 내지 도 4에서처럼, 곡선으로 된 커버의 양측 끝단에 서로 대응하는 제2연결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제2연결부에 연결핀(16)을 끼워 상호 힌지방식으로 조립된다.
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는 상기 커버 조립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와 같이 분할 형성되어 있는 제1, 제2커버(10,30)는 어느 일측의 제2 및 제4연결부(12,32)에 부분적으로 절개부(15)가 형성된 채 탄력적인 'C'자형 클립을 구성하고 타측의 제2 및 제4연결부(12,32)에 연결핀(16)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상기의 제2 및 제4연결부(12,32)는 절개부(15)를 통해 연결핀(16)이 끼워지면서 용이하게 끼움 조립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대 보호커버(100)는 나무(T)의 크기(기둥의 지름)에 대응하여 상기 밴드(40)의 지름이 가변이 됨은 물론 제2커버(10) 및 제1커버(30)의 지름이 가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커버(10)와 제1커버(30)는 나무(T)의 지름이 큰 경우에 커버가 2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의 도 5에서 예시한 것처럼, 상기의 나무(T')에 대해 커버(10,30)가 6개로 분할 구성하고 연결핀(16)에 의해 조립함에 따라, 상기 제2커버(10)와 제1커버(30)의 지름이 확대된다.
상기 수납부(20)는 제1커버(1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하여 식물(G) 등을 식재하거나 또는 장식물, 안내문 등을 구비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부(20)에는 배수구멍(22)이 형성되어 있어서, 물이 고이지 않아 좋고 특히 식물(G)을 식재하기 적합하며, 상기 제2커버(30)의 외면에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커버(10)와 제2커버(30)는 걸림턱(17) 및 연결고리(38)를 형성하여 서로 끼움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커버(30) 또는 제1커버(10) 중에서 선택된 어느 일측의 커버에 끼움부(18)를 형성하고 타측의 커버에는 상기 끼움부에 맞물려 조립되는 연결고리(38)를 형성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서로 끼움 조립된다. 이에 상기 커버(10,30)는 일체로 조립된 채 더욱 견고하고 외부 충격력에 잘 견디며, 외관이 매끄럽고 미려하다.
여기서, 상기 제1커버(10) 및 제2커버(3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주대(5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주대(5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캡(52) 및 상기 제1커버(10)의 내측에는 끼움부(18) 및 돌출부(46)를 형성하여 서로 끼움 조립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커버(10) 또는 고정캡(52) 중 어느 일측에 홈부(19)를 가지는 끼움부(18)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돌출부(46)가 형성하여 서로 끼움 조립된다. 상기 홈부(19)가 저면으로 하향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의 돌출부(46)를 용이하게 끼움 조립할 수 있고 또는, 역으로 분리도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제1커버(10)에는 지주대(50)와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U-볼트(47), 클램프밴드(48)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것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결합수단에 관하여 아래의 제3실시 예 및 제4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 예]
상기의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보호커버와 지주대의 결합수단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즉 상기 제1커버(10)를 지주대(50)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써, 상기 고정캡(52) 또는 지주대(40)에 U-볼트(47)를 걸친 채, 상기 제1커버의 볼트구멍(24)에 끼워 너트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실시 예]
상기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호커버와 지주대의 결합수단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커버(10)를 지주대(50)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써, 상기 제1커버(10)의 내측에 클램프밴드(48)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밴드(48)는 일측의 밴드를 지주대 또는 고정캡에 감아 밀착시키고 타측의 클램프(49)에 끼워진 채 고정하게 되며, 이때 클램프밴드(48) 및 클램프(49)가 라체트방식으로 강인하게 고정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하여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제1커버 11:제1연결부 12:제2연결부
31:제3연결부 32:제4연결부 14:돌출테
15:절개부 16:연결핀 17:걸림턱
18:끼움부 19:홈부 20:수납부
22:배수구멍 24:볼트구멍 30:제2커버
34:해충받이 40:밴드 41:클램프
42:쿠션패드 44:브래킷 45,47:체결구
46:돌출부 48:클램프밴드 50:지주대
52:고정캡 100:수목지지대 보호커버
G:식물 T,T':나무

Claims (2)

  1. 나무(T)에 결합되는 밴드(40), 상기 밴드(40)에 결합하여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50)로 된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나무(T)의 둘레를 둥글게 감싸면서 상기 밴드(40) 및 지주대(50)의 고정부위를 덮고 외면에는 수납부(20)가 형성되어 있는 제1커버(10);
    상기 제1커버(10)의 상부에 결합하여 나무(T)의 둘레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의 나무(T)를 감싸는 해충받이(34)가 수납된 제2커버(30);
    상기 제1커버(10) 및 제2커버(30)는 세로로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 형성되고 끝단의 제1 내지 제4연결부(11,12,31,32)를 상호 조립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커버 조립수단;
    상기 제1커버(10) 및 제2커버(30)의 연결부위를 서로 끼움 조립하게 되는 걸림턱(17) 및 연결고리(38);
    상기 제1커버(10)는 내면에 형성된 끼움부(18) 및 상기 지주대(50) 상단의 고정캡(52)에 형성되어 끼움부에 조립되는 돌출부(4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10)에는 지주대(50)와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U-볼트(47), 클램프밴드(48)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것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
KR1020140030787A 2014-03-17 2014-03-17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 KR20150108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787A KR20150108080A (ko) 2014-03-17 2014-03-17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787A KR20150108080A (ko) 2014-03-17 2014-03-17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080A true KR20150108080A (ko) 2015-09-25

Family

ID=5424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787A KR20150108080A (ko) 2014-03-17 2014-03-17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80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183B1 (ko) * 2020-06-03 2020-12-03 주식회사 중화정밀 수목 지지대
CN114451214A (zh) * 2022-03-28 2022-05-10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风景园林的树木固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183B1 (ko) * 2020-06-03 2020-12-03 주식회사 중화정밀 수목 지지대
CN114451214A (zh) * 2022-03-28 2022-05-10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风景园林的树木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120B2 (en) Modular plant support structure
US7650716B1 (en) Plant protection apparatus
KR20150109838A (ko) 수목 지지대
US20120266533A1 (en) Removable Plan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Protecting a Plant
KR20190045806A (ko) 수목 지지대
US7637053B1 (en) Crop protection device
KR101333754B1 (ko) 수목 지지장치
US5179798A (en) Portable greenhouse
KR101532708B1 (ko) 미니 비닐하우스용 조립식 골조
KR102144279B1 (ko) 다기능 가로수 보호 기구
KR20150108080A (ko) 해충방제 및 수목지지대 보호커버
CN105309230B (zh) 植物支撑物
US20080092439A1 (en) Tree stake
US201401440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plant support
US20170339849A1 (en) Shield for protecting plants
KR101719791B1 (ko) 식물용 보호덮개
KR200458605Y1 (ko) 과수나무의 가지처짐방지용 견인줄결속부를 가지는 방조망설치용 와이어고정부재
US20110203172A1 (en) Protective garden enclosure
KR200481883Y1 (ko)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KR101685969B1 (ko) 화분용 식물지지대
KR101144772B1 (ko) 조경 수목 보호대
KR101861415B1 (ko)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KR20190049311A (ko) 조림수에서 공기정화를 위한 포집기용 조립장치
KR200415255Y1 (ko) 수목지지대용 결착부재
KR20170001465U (ko) 수간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