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983A -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983A
KR20080005983A KR1020077027548A KR20077027548A KR20080005983A KR 20080005983 A KR20080005983 A KR 20080005983A KR 1020077027548 A KR1020077027548 A KR 1020077027548A KR 20077027548 A KR20077027548 A KR 20077027548A KR 20080005983 A KR20080005983 A KR 20080005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oise
guide element
curve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597B1 (ko
Inventor
랑나르 글라브
빅토르-후고 묄러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8000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95Damping means, e.g. tranquillising chamber to dampen air oscill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19Means upstream of the fuel injection system, carburettor or plenum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11Substantially V-, C- or U-shaped ducts in direction of the flow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1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inserts in the air intake flow path, e.g. baffles, throttles or orifices; Flow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6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a plurality of holes, slits, protrusions, perforations, ribs or the like; Surface structures; Turbulence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27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multiple air intake flow paths, e.g. bypass, honeycomb or pipes opening into an expans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31Noise absorbers by inserting an elongated element in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매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데 적합하도록 된 파이프(7) 내의 소음 감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10)는, 파이프의 영역(7')의 내부 공간을 가스 매체를 위한 적어도 두 개의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로 분리하기 위해, 파이프(7)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요소(11a, 11b, 11c)를 포함한다. 안내 요소(11a, 11b, 11c)는, 소음이 구멍(11')을 특정한 저항을 가지고 통과할 수 있도록 좁은, 안내 요소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한다.
내연 기관, 터보 유닛, 파이프, 가스, 소음

Description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A DEVICE FOR DAMPING OF SOUND IN A PIP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차량(heavy vehicle)에 있어서 배출 가스의 배출량을 줄이고 과급(supercharged) 디젤 엔진의 엔진 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과급 디젤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 압력(charging pressure)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공기가 터보 유닛의 압축기 안으로 빨려들어 갈 때 발생하는 소음, 즉 소위 터보 울음소리(turbo howl)의 강도도 또한 증가되었다. 상기 소음은 일반적으로 5kHz에서 15kHz 사이의 고주파 소음이다. 그와 동시에 자동차 운전실이 더 효과적으로 방음됨에 따라서, 운전자가 보통 상당히 저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다른 불쾌한 소음을 지각하는 경우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소위 터보 울음소리라 불리는 소음이 자동차 운전자에게 점점 더 분명하게 들리게 되었다.
영국 특허 1 339 526호에는 가스 터어빈의 배출 라인의 소음 댐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소음 댐퍼는 배출 라인의 곡선 영역 가까이에서 배출 라인을 평행 플로우 채널로 분할하는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안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요소는 소음 흡수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 흡수 재료로 인해 안내 요소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고 공간을 많이 점유하게 된다. 배출 가스가 안내 요소를 통과할 때 배출 가스 압력이 너무 크게 강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영역에서의 배출 라인 부분의 폭이 더 넓어졌다.
미국 특허 5,709,529호에는 터보 기계로의 공기 공급을 위해 곡선 파이프 영역에 배치된 소음 댐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소음 댐퍼는 공기를 곡선 파이프 영역의 선택적 플로우 채널 안으로 유도하는 복수의 얇은 안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요소의 길이가 서로 달라서, 다양한 플로우 채널로부터 방출되는 소음이 분명한 상호 위상 이동을 가지므로, 소음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를 상쇄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매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파이프 내에서, 가스 매체 흐름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단순하지만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재된 특징을 그 특징으로 하는 서론에 언급된 종류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파이프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파이프 내에서의 가스 매체의 압력 변동(pressure fluctuat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 소음은 파이프 내에서 모든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전달된다. 따라서 안내 요소의 표면에 도달하는 소음은 부분적으로 반사될 것이고 특정한 흡수를 경험할 것이다. 그러나, 소음의 일부는 가스 매체와 함께 안내 요소의 구멍을 통과할 것이다. 상기 구멍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소음이 구멍을 통과하면서 그 음파 에너지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소음이 감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요소는 곡선 파이프 영역에 배치된다. 곡선 파이프 영역을 플로우 채널들로 분리함으로써 곡선 파이프 영역을 통한 소음 전파를 상당히 방지할 수 있다. 소음은 안내 요소와 곡선 파이프 영역의 벽면에 의해 반사될 것이다. 그 결과 소음이 흡수되고 상대적으로 충분히 감쇠된다. 유리하게는, 안내 요소와 곡선 파이프 영역은, 소음이 안내 요소 또는 곡선 파이프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벽면에 부딪히지 않고 상기 플로우 채널을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곡률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모든 소음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의해 반사될 것이고 그리고/또는 상기 안내 요소의 구멍들 중 하나의 구멍을 통해 밀려나갈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소음도 완전히 비감쇠된 상태로 곡선 파이프 영역을 통과할 수는 없다. 안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그 곡률 중심이 실질적으로 곡선 파이프 영역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는 곡선 형태이다. 따라서, 안내 요소는, 곡선 파이프 영역을, 전체 길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가진 실질적으로 동일 크기의 플로우 채널로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 곡선 파이프 영역을 통과하는 흐름이 더 균일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 요소의 두께는 0.5mm에서 5mm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어 금속 박판으로 제작된 안내 요소는, 상기 파이프 영역을 통과하는 가스 매체를 위한 단면적을 감소시키지 않도록 얇게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 요소의 두께는 상기 범위의 하한치보다 약 1mm 정도 작은 두께일 수 있다. 그러나, 안내 요소는, 안내 요소가 흐름 매체에 의해 변형될 위험 없이 곡선 파이프 영역 내에 장착되는 데에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유리하게는, 안내 요소는 금속 재료로 제작된다. 안내 요소는 관통하여 연장되는 구멍들을 구비한 금속 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박판은 알루미늄 박판일 수 있다. 만일 그 대신에 안내 요소가 예를 들어 날개 단면(wing section)의 형태를 가진다면, 안내 요소는 더 두꺼울 것이고 최대 5mm의 두께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장치는, 안내 요소의 표면과 그와 마주보는 안내 요소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들은 파이프 내에서 감쇠시켜야 할 소음의 파장의 1/4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고 위치된다. 많은 경우에, 흐름 가스 매체를 가진 파이프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와 파장은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채널의 치수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파장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안내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요소들은 중간 플로우 채널을 형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표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로 마주보는 표면들은 파이프 내에서 주로 감쇠시켜야 할 소음의 파장의 절반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고 위치된다. 상기 치수를 가진 플로우 채널은 상기 파장에서 소음을 추가로 감쇠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멍은, 구멍의 적어도 두 개의 실질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가 5mm 이하의 간격으로 위치되는 크기를 가진다. 구멍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 및 소음에 대한 저항은 구멍의 협소함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구멍이 협소할수록 그를 통과하는 공기 및 소음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진다. 유리하게는, 구멍은 상대적으로 길게 제작된다. 따라서 구멍은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제공함으로써, 구멍의 상대적 협소함에도 불구하고 다량의 공기가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 요소는 가스 매체가 흐르는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압축기에 바로 인접한 상류에 위치된 파이프 영역에 배치된다. 가스 매체가 압축기 안으로 빨려들어갈 때, 불쾌한 소음이 종종 발생한다. 압축기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용량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최적화된다. 따라서, 많은 경우에 있어서, 그러한 불쾌한 소음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압축기 내부를 변경하는 것은 유리하지 않다. 불쾌한 소음의 발생은, 매체가 압축기에 도달하기 전의 가스 매체의 흐름 패턴에 의해 또한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배경에 의하여, 곡선 파이프 영역 내의 안내 요소를 실질적으로 압축기에 바로 인접한 상류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압축기는 연소 엔진용 터보 유닛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터보 유닛은 불쾌감이 느껴질 수 있는 강한 고주파 휘파람 소음을 발생시킨다. 그러한 경우, 유리하게는, 적당한 수의 안내 요소가 상기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해 압축기 상류의 곡선 파이프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소음 감쇠 장치와 압축 공기를 과급 디젤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터보 유닛을 구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소음 감쇠 장치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소음 감쇠 장치의 안내 요소 제작용 작업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소음 감쇠 장치의 안내 요소 제작을 위한 선택적 작업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압축 공기를 과급 연소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터보 유닛을 구비한 장치를 도시한다. 연소 엔진은 본 명세서에서 디젤 엔진(1)으로서 예시된다. 디젤 엔진(1)은 중차량 동력 공급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디젤 엔진(1)의 실린더로부터 배출된 배출 가스는 배기 매니폴드(2)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배기 라인(3)으로 유도된다.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진 배기 라인(3)의 배출 가스는 터보 유닛의 터어빈(4)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터어빈(4)에 발생하는 구동력은 연결부를 경유하여 터보 유닛의 압축기(5)로 전달된다. 따라서 압축기(5)는, 공기 필터(6)를 경유하여 디젤 엔진(1)의 입구 라인(7)으로 유도되는 공기를 압축한다. 흡입 에어 쿨러(8)는, 입구 라인(7)에 배치되어, 압축 공기가 매니폴드(9)를 경유하여 디젤 엔진(1)의 개별 실린더로 유도되기 전에 압축 공기를 냉각시킨다. 터보 유닛의 작동 중, 종종 터보 울음소리(turbo howl)라 불리는 고주파 휘파람 소음이 발생한다. 상기 소음의 주파수는 대략 10kHz이다. 상기 소음을 참을 수 있는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소음 감쇠 장치(10)가 입구 라인(7)의 곡선 영역(7')에 장착된다. 곡선 파이프 영역(7')은 입구 라인(7)에서의 공기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압축기(5)에 바로 인접한 상류에 위치된다.
도 2는 소음 감쇠 장치(10)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곡선 파이프 영역(7')의 곡률은 약 90도이다. 세 개의 안내 요소(11a, 11b, 11c)가 곡선 파이프 영역(7') 내에서 서로에 대해 주변부에 연속적으로 외부적으로 장착된다. 안내 요소(11a, 11b, 11c) 각각은, 상류 단부와 하류 단부 사이에서 마찬가지로 약 90도의 곡률을 가진다. 유리하게는, 곡선 파이프 영역(7')은 안내 요소(11a, 11b, 11c)의 성형 및 장착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해 실질적인 직사각형 단면부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곡선 파이프 영역(7')은 실질적으로 어떠한 바람직한 형상의 단면도 가질 수 있다. 안내 요소(11a, 11b, 11c)는 알루미늄 박판과 같은 상대적으로 얇은 금속 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안내 요소(11a, 11b, 11c)의 두께는 0.5mm에서 1.5mm 범위 내이다. 따라서, 안내 요소(11a, 11b, 11c)는, 얇기 때문에, 곡선 파이프 영역(7') 내의 공기 흐름을 위한 단면적을 단지 무시해도 좋을 정도로만 축소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내 요소(11a, 11b, 11c)는, 변형되지 않으면서 파이프(7) 내의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 요소(11a, 11b, 11c)는 곡선 파이프 영역(7')의 내부 공간을, 서로 반경 방향으로 외부적으로 연속적으로 위치된 4개의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로 분할한다. 곡선 파이프 영역(7')을 상기와 같은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로 분할함으로써 곡선 파이프 영역(7')의 다른 영역들 간의 공기 흐름 속도에 있어서 편차를 줄인다. 안내 요소(11a, 11b, 11c)가 장착됨으로써 공기가 압축기(5)로 더 균일하게 흐르게 된다. 각각의 안내 요소(11a, 11b, 11c)와 곡선 파이프 영역(7')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 중심(13)을 가진 곡선 형태이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안내 요소(11a, 11b, 11c)는 그들의 전체 신장부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 d2, d3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반경 방향으로 가장 안쪽 플로우 채널(11a)과 가장 바깥쪽 플로우 채널(11c)은, 그들 각각의 전체 신장부를 따라서, 인접한 곡선 파이프 영역(7')의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 d1, d4에 배치된다. 이 경우, 반경 방향으로 가장 안쪽 플로우 채널(11a)과 가장 바깥쪽 플로우 채널(11c)은, 전체 곡선 파이프 영역(7')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의 중간 플로우 채널의 폭 d2, d3의 실질적으로 절반에 해당하는 폭을 가진다.
안내 요소(11a, 11b, 11c)에는 그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구멍(11')이 제공된다. 따라서,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구멍(11')을 통해 인접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 안으로 유도될 수 있다. 공기는 구멍(11')의 양측에 압력차가 있을 때 구멍(11')을 통해 유도된다. 소음은 파이프(7) 내에서 파동처럼 전파되는 압력 변동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구멍(11') 양측의 공기 압력은 변화되고 이로 인해 상기 양측 사이에 압력차가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그 결과 공기는 구멍(11')을 통해 그 시점에서 저압측을 향해 유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멍(11')은, 구멍(11')을 통해 유도되는 공기에 대한 상당한 저항을 형성하도록 충분히 좁다. 따라서, 구멍(11')을 통해 전파되는 소음도 마찬가지로 상당한 저항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그 음파 에너지가 감쇠하게 된다.
도 3은 곡선 안내 요소(11a, 11b, 11c)로 성형되기 전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금속 박판(14)의 정면도이다. 금속 박판(14)은 그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구멍(11')을 포함하도록 마이크로슬릿(microslit) 방식으로 성형된다. 구 멍(1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장형(elongate shape)이다. 직사각형 구멍(11')의 짧은 측부가 짧을수록, 구멍(11')은 더 좁아지고 공기가 구멍(11')을 통과하여 흐르기 위해 이겨내야 할 저항은 더 커진다. 짧은 측부는 크기의 자리수가 0.1mm일 수 있다. 그러나, 구멍(11')의 장형으로 인해, 구멍(11')은 곡선 파이프 영역(7') 내의 서로 인접한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기에 충분한 단면적을 제공한다. 도 4는 곡선 안내 요소(11)로 만들어지기 전의 직사각형 금속망(15)의 정면도이다. 금속망(15)은 그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인 다수의 구멍(11')을 포함한다. 구멍(11')의 크기는 약 1mm×1mm일 수 있다. 따라서, 구멍(11')이 좁기 때문에, 공기는 구멍(11')을 관통하여 유도될 때 상당한 저항을 받게 된다.
터보 유닛의 작동 중, 공기는 공기 필터(6)를 경유하여 압축기(5)까지의 파이프 영역(7)으로 빨려 들어온다. 공기가 곡선 파이프 영역(7')에 도달하면, 공기 흐름은 곡선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분산된다. 안내 요소(11a, 11b, 11c)는, 매우 얇기 때문에, 곡선 파이프 영역(7')을 통한 공기 흐름을 위한 흐름 면적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터보압축기(5)에 인접한 공기 흐름은, 대형 트럭 디젤 엔진에서 약 10kHz 주파수의 상대적으로 강한 휘파람 소음을 발생시킨다. 곡선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에서의 공기 흐름의 분할로 인해 공기가 압축기로 더 균일하게 흐른다. 그 결과 휘파람 소음이 매우 감소한다. 각 곡선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의 기하학적 형상은, 압축기(5)로부터의 소음이 안내 요소(11a, 11b, 11c) 또는 곡선 파이프 영역(7')의 내면에 부딪히지 않고 곡선 파이프 영역(7')을 통해 전파될 수 없도록 형성된다. 소음의 일부는 상기 면에 의해 반사되어 소음이 연속적으로 감쇠된다. 안내 요소(11a, 11b, 11c)에 부딪히는 소음의 일부는 특정한 저항을 받으며 구멍(11')을 관통하여 전파된다. 이러한 소음의 에너지는 손실되고 따라서 소음이 감쇠된다.
불쾌한 소음이 발생하는 주파수 범위가 알려져 있기 때문에,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의 반경 방향 폭인 d1, d2, d3, d4를 조절하여 특정 소음에 대한 실질적인 최적 감쇠도 또한 달성할 수 있다. 특정 소음에 대한 효과적인 감쇠는, 반경 방향으로 가장 안쪽의 플로우 채널(12a)과 가장 바깥쪽의 플로우 채널(12d)이 곡선 파이프 영역(7')에서 반경 방향으로, 파이프(7)에서 주로 감쇠시켜야 할 소음의 파장의 1/4에 해당하는 길이 d1, d4를 가질 때 달성된다. 소음의 주파수와 속도가 알려져 있기 때문에, 플로우 채널(12)의 반경 방향 길이 d1, d4가 결정될 수 있다. 소음의 주파수가 10kHz이면, 플로우 채널(12a, 12d)의 반경 방향 길이 d1, d4는, 상기 주파수에서 최대 소음 감쇠를 위해, 7mm 내지 8mm가 될 것이다. 그 결과 상기 주파수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소음이 감쇠된다. 상기 특정 소음의 더 효과적인 감쇠를 위해, 서로 인접한 안내 요소(11a, 11b, 11c) 사이의 중간 플로우 채널(12b, 12c)은, 상기 특정 소음의 파장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경 방향 길이 d2, d3를 가질 수 있다. 소음의 주파수가 10kHz라면, 플로우 채널(12b, 12c)의 반경 방 향 길이 d2, d3는 상기 주파수에서 최대 소음 감쇠를 위해 약 15mm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장치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방법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공기 흐름 패턴을 교란시키지 않고 추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보조 수단 없이, 터보 유닛으로부터의 소음을 매우 효과적으로 감쇠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한 상술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장치는 연소 엔진으로의 공기 흡입 라인에 사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가스 매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어떠한 파이프에도 사용될 수 있다. 가스 매체는 공기일 필요가 없다. 안내 요소는,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어떠한 형상 그러나 기능적인 형상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어떠한 개수의 안내 요소도 파이프 내에 장착될 수 있고, 요구되는 어떠한 폭의 플로우 채널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0)

  1. 파이프의 영역(7')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두 개의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로 분리하기 위해 파이프(7)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 요소(11a, 11b, 11c)를 포함하는, 가스 매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데 적합하도록 된 파이프(7) 내의 소음 감쇠 장치에 있어서,
    안내 요소(11a, 11b, 11c)는 그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구멍(11')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11')은 소음이 상호 인접한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 사이의 구멍(11')을 특정한 저항을 가지고 통과할 수 있도록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11a, 11b, 11c)는 곡선 파이프 영역(7')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11a, 11b, 11c)와 곡선 파이프 영역(7')은, 소음이 안내 요소(11a, 11b, 11c)의 적어도 하나의 벽면 또는 곡선 파이프 영역(7')의 내부 벽면과 부딪히지 않고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을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크기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11a, 11b, 11c)는 실질적으로 곡선 파이프 영역(7')의 곡률 중심에 해당하는 곡률 중심을 가진 곡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11a, 11b, 11c)는 0.5mm에서 5mm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11a, 11b, 11c)의 표면과 그와 마주보는 곡선 파이프 영역(7')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채널(12a, 12b, 12c, 12d)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들은 파이프(7) 내에서 주로 감쇠시켜야 할 소음의 파장의 1/4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간격(d1, d4)을 가지고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플로우 채널(12b, 12c)을 형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표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안내 요소(11a, 11b, 11c)를 포함하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표면들은 파이프(7) 내에서 주로 감쇠시켜야 할 소음의 파장의 절반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간격(d2, d3)을 가지고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멍(11')은, 각 구멍(11')의 적어도 두 개의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가 5mm이하의 간격으로 위치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11)는, 가스 매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압축기(5)에 바로 인접한 상류에 위치된 파이프 영역(7')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압축기(5)는 연소 엔진(1)용 터보 유닛(4, 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KR1020077027548A 2005-04-27 2006-04-26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KR101280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500958A SE528857C2 (sv) 2005-04-27 2005-04-27 Anordning för dämpning av ljud i en ledning
SE0500958-4 2005-04-27
PCT/SE2006/050086 WO2006115461A1 (en) 2005-04-27 2006-04-26 A device for damping of sound in a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983A true KR20080005983A (ko) 2008-01-15
KR101280597B1 KR101280597B1 (ko) 2013-07-02

Family

ID=3721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548A KR101280597B1 (ko) 2005-04-27 2006-04-26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878009A4 (ko)
KR (1) KR101280597B1 (ko)
AU (1) AU2006240549B2 (ko)
BR (1) BRPI0609953A2 (ko)
SE (1) SE528857C2 (ko)
WO (1) WO20061154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822B1 (ko) * 2010-02-23 2012-01-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음성광고용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302150B1 (ko) * 2011-07-11 2013-08-30 콘티테크플루이드코리아유한회사 자동차용 고온고압 호스의 소음저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0258B1 (fr) * 2010-05-20 2012-09-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oteur thermique equipe d'un turbocompresseur de suralimentation
DE102011120148A1 (de) 2011-12-03 2013-06-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challdämpfer mit einem in einer Kreisbahneinführbaren Resonator-Einschubteil
JP6152612B2 (ja) * 2012-12-13 2017-06-28 アルパテック株式会社 過給機用サイレンサおよびこのサイレンサを使用した過給機
KR102160310B1 (ko) 2013-03-06 2020-09-28 에이비비 터보 시스템즈 아게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소음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036A (en) * 1923-11-01 1924-11-27 Auguste Brow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urling rods for use in permanent hair waving
US3011584A (en) * 1957-12-16 1961-12-05 Koppers Co Inc Sound attenuating device
US3187835A (en) * 1960-02-08 1965-06-08 Cloyd D Smith Jet engine noise suppressor
US4792014A (en) * 1987-12-24 1988-12-20 Shin Seng Lin Tail pipe for drafting engine exhaust gas
GB2250356B (en) * 1990-11-30 1994-03-30 Sargents Acoustic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ucting
WO1997009527A1 (de) * 1995-09-05 1997-03-13 Woco Franz-Josef Wolf & Co. Schalldämpfer
DE19703414A1 (de) * 1997-01-30 1998-08-06 Wolf Woco & Co Franz J Geräuschdämpfer
US5861585A (en) * 1997-09-30 1999-01-19 Aiolos Engineering Corporation Aeracoustic wind tunnel turning vanes
DE19912209A1 (de) * 1999-03-18 2000-09-28 Windmoeller & Hoelscher Flachlege- und Abzugsvorrichtung für eine im Blasverfahren hergestellte Kunststoffschlauchfolienbahn
US6439540B1 (en) * 2000-10-31 2002-08-27 Pratt & Whitney Canada Corp. Butterfly valve noise suppressor
WO2003031796A1 (en) * 2001-10-09 2003-04-17 Siemens Vdo Automotive Inc. Induction system with low pass filter for turbo charger applic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822B1 (ko) * 2010-02-23 2012-01-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음성광고용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302150B1 (ko) * 2011-07-11 2013-08-30 콘티테크플루이드코리아유한회사 자동차용 고온고압 호스의 소음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0500958L (sv) 2006-10-28
EP1878009A4 (en) 2014-09-03
BRPI0609953A2 (pt) 2010-05-11
EP1878009A1 (en) 2008-01-16
SE528857C2 (sv) 2007-02-27
AU2006240549B2 (en) 2011-04-14
AU2006240549A1 (en) 2006-11-02
WO2006115461A1 (en) 2006-11-02
KR101280597B1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5859B1 (en) Improved muffler with partition array
KR101738249B1 (ko) 통합된 잡음 억제를 이용하는 열 교환기
KR101316133B1 (ko) 차량용 소음기
KR101280597B1 (ko) 파이프 내의 소음 감쇠 장치
US3710891A (en) Automotive muffler
JP5913802B2 (ja) 吸気路のエアピロー空気流案内及び音響対策システム
US20070295554A1 (en) Sound Proofing Device and Device for Conducting a Fluid
US10837333B2 (en) Exhaust system having tunable exhaust sound
US7503427B2 (en) Muffler
KR102042910B1 (ko)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서 압력 진동을 댐핑하기 위한 음향 감쇠기, 그 감쇠기를 사용하는 음향 감쇠 시스템, 및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서 압력 진동을 댐핑하는 방법
JP2014041242A (ja) 消音体及びこれを用いた消音器
US20040104071A1 (en) Apparatus for damping resonance in a conduit
JP6276032B2 (ja) 排気消音装置
KR100835709B1 (ko)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US10066589B2 (en) Independent intake runner resonator system
CN113124256B (zh) 一种提高管道低频降噪声衬降噪效果的方法和声衬
KR20040104890A (ko) 과급기용 소음기
JPH1113450A (ja) 車両用マフラ
RU2787427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ГШГП)
RU2737014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системой впуска воздуха
JP2011227519A (ja) 消音器
KR200185697Y1 (ko) 주파수 영역별 감쇠가 가능한 멀티 소음기
JP6247732B2 (ja) 消音体及びこれを用いた消音器
RU2241126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RU61350U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