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463U - 이경관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경관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463U
KR20080005463U KR2020070007938U KR20070007938U KR20080005463U KR 20080005463 U KR20080005463 U KR 20080005463U KR 2020070007938 U KR2020070007938 U KR 2020070007938U KR 20070007938 U KR20070007938 U KR 20070007938U KR 20080005463 U KR20080005463 U KR 200800054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iameter tube
diameter
small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욱
이성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스페이스
(주)아헨
(주)나이스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스페이스, (주)아헨, (주)나이스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스페이스
Priority to KR2020070007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463U/ko
Publication of KR20080005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4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경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축관된 대경관의 선단 외면에 형성된 대경관 선단 돌부와 소경관의 선단 외면에 형성된 소경관 선단 돌부가 각각 끼워져 걸리는 요홈이 내면의 양측 단에 형성되어 있는 원주분할형 클램프가 축관된 대경관과 소경관의 연결 부위에 체결되어 상기 대경관과 소경관을 서로 밀봉 연결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대경관 선단 돌부와 소경관 선단 돌부가 형성된 부분의 관 두께를 대경관 혹은 소경관의 원래의 관 두께와 거의 비슷하게 유지하면서 내경을 확장할 수 있으므로 크랙 생성 위험이 경감되어 유체 누출을 방지하면서 유체의 분출이 필요한 경우 특정 요구 수준의 유체 분출량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으며, 축관된 대경관의 선단 외면과 소경관의 선단 외면에 대경관 선단 돌부와 소경관 선단 돌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축관된 대경관의 선단 내면과 소경관의 선단 내면을 각각 엠보싱(embossing) 처리하여 관 내면의 도금층(예컨대, 통상의 금속 관의 경우 아연 도금층)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로 대경관 선단 돌부와 소경관 선단 돌부에 각각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므로 종래의 관 부식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경관, 연결, 축관, 대경관, 소경관

Description

이경관 연결 조립체{Jointing assembly of pipes with different diameters}
도 1은 종래의 이경관 연결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경관 연결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대경관 11: 대경관 선단 홈
11': 대경관 선단 돌부 11a: 돌기
11a': 홈 20,20': 소경관
21: 소경관 선단 홈 21': 소경관 선단 돌부
21a: 돌기 21a': 홈
30,30': 링 패킹 40,40': 클램프
41,41': 패킹 홈 42: 돌부
42': 요홈
본 고안은 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이경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경관은 관경이 서로 다른 관을 의미하며, 종래의 이경관 연결 방법으로는 이경 소켓(Reducing socket)을 이용하여 대경관과 소경관을 나사 결합 혹은 용접 등으로 밀봉 연결하는 방법, 대경관의 일단을 소경관과 동일한 관경으로 축관(Reducing)한 후 대경관과 소경관의 연결 부위를 나사 결합 혹은 용접 등으로 밀봉 연결하는 방법, 혹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경관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대경관과 소경관을 밀봉 연결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도 1에 나타내 바와 같은 종래의 이경관 연결 조립체는, 축관된 대경관(10)과 소경관(20)의 연결 부위에 링 패킹(ring packing)(30)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링 패킹(30)이 끼워지는 패킹 홈(41)이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관된 대경관(10)의 선단 외면에 형성된 대경관 선단 홈(11)과 상기 소경관(20)의 선단 외면에 형성된 소경관 선단 홈(21)에 각각 끼워져 걸리는 돌부(42)가 상기 패킹 홈(41)을 사이에 두고 내면의 양측 단에 형성되어 있는 원주분할형 클램프(40)가 상기 링 패킹(30)을 에워싸면서 체결되어 상기 대경관(10)과 소경관(20)을 서로 밀봉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이경관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여 대경관(10)과 소경관(20)을 밀봉 연결하는 경우, 일단의 관경이 상기 소경관(20)의 관경과 동일해지도록 축관 압 연기(reducing mill)에 의해 축관된 대경관(10)의 선단 외면과 소경관(20)의 선단 외면을 각각 그루빙(Grooving) 처리하여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상기 대경관 선단 홈(11)과 소경관 선단 홈(2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대경관 선단 홈(11)과 소경관 선단 홈(21)에 각각 대응하는 돌기(11a,21a)가 상기 대경관(10)의 내면과 소경관(20)의 내면에 형성되므로, 도 1의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경관 선단 홈(11) 혹은 소경관 선단 홈(21)의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의 모서리 부분에서부터 관의 내면까지의 두께(d1)가 상기 대경관(10) 혹은 소경관(20)의 원래의 관 두께(D1)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아지고 상기 대경관 선단 홈(11) 혹은 소경관 선단 홈(21)이 형성된 부분의 내경이 축소되며,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로, 상기 대경관 선단 홈(11) 혹은 소경관 선단 홈(21)의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의 모서리 부분에서부터 관의 내면까지의 두께(d1)가 상기 대경관(10) 혹은 소경관(20)의 원래의 관 두께(D1)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아짐에 따라 이 부분에 크랙(crack)이 생성되어 관속을 흐르는 유체의 누출이 발생하기 쉽다.
둘째로, 상기 대경관 선단 홈(11) 혹은 소경관 선단 홈(21)이 형성된 부분의 내경이 축소됨에 따라 이 부분의 유속이 빨라지면서 와류현상이 발생하여 유체의 분출이 필요한 경우, 특정 요구 수준의 유체 분출량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예컨대, 건물의 방화용 스프링클러(sprinkler)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대경관 선단 홈(11) 혹은 소경관 선단 홈(21)이 형성된 부분의 내경이 축소됨에 따라 와류현상이 발생하면 분출수에 기포가 포함되어 요구 수준의 유체 분출량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셋째로, 축관된 대경관(10)의 선단 외면과 소경관(20)의 선단 외면을 각각 그루빙(Grooving) 처리함에 따라서 상기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대경관 선단 홈(11)과 소경관 선단 홈(21)에 각각 대응하는 돌기(11a,21a)가 상기 대경관(10)의 내면과 소경관(20)의 내면에 돌출될 때, 관 내면의 도금층(예컨대, 통상의 금속 관의 경우 아연 도금층)이 벗겨져 관 부식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축관된 대경관의 선단 외면에 형성된 대경관 선단 돌부와 소경관의 선단 외면에 형성된 소경관 선단 돌부가 각각 끼워져 걸리는 요홈이 내면의 양측 단에 형성되어 있는 원주분할형 클램프가 축관된 대경관과 소경관의 연결 부위에 체결되어 상기 대경관과 소경관을 서로 밀봉 연결하는 이경관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경관 연결 조립체는, 축관된 대경관과 소경관의 연결 부위에 링 패킹이 개재되어 있으며, 내면에 상기 링 패킹이 끼워지는 패킹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관된 대경관의 선단 외면과 소경관의 선단 외면에 형성된 대경관 선단 돌부와 소경관 선단 돌부가 각각 끼워져 걸리는 요홈이 상기 패킹 홈을 사이에 두고 내면의 양측 단에 형성되어 있는 원주분할형 클램프가 상기 링 패킹을 에워싸면서 체결되어 상기 대경관과 소경관을 서로 밀봉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경관 연결 조립체는 축관된 대경관(10')과 소경관(20'), 링 패킹(30') 및 원주분할형 클램프(40')로 구성된다.
상기 대경관(10')은 일단의 관경이 상기 소경관(20')의 관경과 동일해지도록 축관 압연기(reducing mill)에 의해 축관되어 있다.
상기 축관된 대경관(10')의 선단 외면과 상기 소경관(20')의 선단 외면에는 각각 대경관 선단 돌부(11')와 소경관 선단 돌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경관 선단 돌부(11')와 소경관 선단 돌부(21')는 상기 축관된 대경관(10)의 선단 내면과 상기 소경관(20)의 선단 내면을 각각 엠보싱(embossing) 처리함에 따라 형성되며, 단면 형상을 반원형 혹은 반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관된 대경관(10')의 내면과 소경관(20')의 내면에는 상기 축관된 대경관(10)의 선단 외면과 상기 소경관(20)의 선단 외면을 각각 엠보싱(embossing) 처리함에 따라 상기 반원형 혹은 반타원형 단면 형상의 대경관 선단 돌부(11')와 소경관 선단 돌부(21')에 각각 대응하는 홈(11a',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 패킹(30')은 상기 축관된 대경관(10')과 소경관(20')의 연결 부위에 개재된다.
상기 원주분할형 클램프(40')는 내면에 상기 링 패킹(30')이 끼워지는 패킹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주분할형 클램프(40')는 상기 패킹 홈(41')을 사이에 두고 내면의 양측 단에 상기 대경관 선단 돌부(11')와 상기 소경관 선단 돌부(21')가 각각 끼워져 걸리는 요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42')의 단면 형상은 상기 대경관 선단 돌부(11')와 소경관 선단 돌부(21')와 동일하게 반원형 혹은 반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주분할형 클램프(40')는 상기 축관된 대경관(10')과 소경관(20')의 연결 부위에 개재된 상기 링 패킹(30')을 에워싸면서 체결되어 상기 대경관(10')과 소경관(20')을 서로 밀봉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이경관 연결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가장 먼저, 일단의 관경이 상기 소경관(20')의 관경과 동일해지도록 축관 압연기(reducing mill)에 의해 축관된 대경관(10')과 소경관(20')이 준비되면, 상기 축관된 대경관(10')의 선단 내면과 소경관(20')의 선단 내면을 각각 엠보싱(embossing) 처리하여 관 내면의 도금층(예컨대, 통상의 금속 관의 경우 아연 도금층)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로 상기 대경관 선단 돌부(11')와 소경관 선단 돌부(21')에 각각 대응하는 홈(11a',21a')을 형성하면서 상기 축관된 대경관(10')의 선단 외면과 소경관(20')의 선단 외면에 반원형 혹은 반타원형 단면 형상의 대경관 선단 돌부(11')와 소경관 선단 돌부(21')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대경관 선단 돌부(11')와 소경관 선단 돌부(21')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축관된 대경관(10')과 소경관(20')의 연결 부위에 상기 링 패킹(30')을 개재한다.
끝으로, 상기 축관된 대경관(10')과 소경관(20')의 연결 부위에 개재된 상기 링 패킹(30')을 에워싸면서 상기 원주분할형 클램프(40')를 체결하면 상기 대경관(10')과 소경관(20')가 서로 밀봉 연결된다.
이때, 상기 원주분할형 클램프(40')의 패킹 홈(41')에는 상기 링 패킹(30')이 끼워져 밀착 고정되고, 상기 패킹 홈(4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원주분할형 클램프(40')의 내면 양측 단에 형성된 요홈(42')에는 상기 대경관 선단 돌부(11')와 상기 소경관 선단 돌부(21')가 각각 끼워져 걸리면서 상기 요홈(42')에 밀착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이경관 연결 조립체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경관 연결 조립체를 사용하여 이경관을 연결하면, 대경관 선단 돌부와 소경관 선단 돌부가 형성된 부분의 관 두께를 대경 관 혹은 소경관의 원래의 관 두께와 거의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크랙 생성 위험이 경감되어 유체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대경관 선단 돌부와 소경관 선단 돌부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이 확장되므로 유체의 분출이 필요한 경우 특정 요구 수준의 유체 분출량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으며, 축관된 대경관의 선단 외면과 소경관의 선단 외면에 반원형 혹은 반타원형 단면 형상의 대경관 선단 돌부와 소경관 선단 돌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축관된 대경관의 선단 내면과 소경관의 선단 내면을 각각 엠보싱(embossing) 처리하여 관 내면의 도금층(예컨대, 통상의 금속 관의 경우 아연 도금층)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로 대경관 선단 돌부와 소경관 선단 돌부에 각각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므로 종래의 관 부식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3)

  1. 축관(Reducing)된 대경관(10')과 소경관(20')의 연결 부위에 링 패킹(ring packing)(30')이 개재되어 있으며, 내면에 상기 링 패킹(30')이 끼워지는 패킹 홈(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관된 대경관(10')의 선단 외면에 형성된 대경관 선단 돌부(11')와 상기 소경관(20')의 선단 외면에 형성된 소경관 선단 돌부(21')가 각각 끼워져 걸리는 요홈(42')이 상기 패킹 홈(41')을 사이에 두고 내면의 양측 단에 형성되어 있는 원주분할형 클램프(40')가 상기 링 패킹(30')을 에워싸면서 체결되어 상기 대경관(10')과 소경관(20')을 서로 밀봉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관 연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관(10')의 선단 돌부(11')와 상기 소경관(20')의 선단 돌부(21')는 단면 형상이 반원형 혹은 반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관 연결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분할형 클램프(40')의 내면 양측 단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42')은 단면 형상이 반원형 혹은 반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관 연결 조립체.
KR2020070007938U 2007-05-15 2007-05-15 이경관 연결 조립체 KR200800054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938U KR20080005463U (ko) 2007-05-15 2007-05-15 이경관 연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938U KR20080005463U (ko) 2007-05-15 2007-05-15 이경관 연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463U true KR20080005463U (ko) 2008-11-21

Family

ID=4150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938U KR20080005463U (ko) 2007-05-15 2007-05-15 이경관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46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75761B (zh) 一种管路连接管件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CN106322008B (zh) 一种管件
CN104390079A (zh) 一种唇密封焊接式管件接口及其安装工艺
CN101655176A (zh) 双密封快速接头
KR20080005463U (ko) 이경관 연결 조립체
CN204164528U (zh) 一种应用单唇密封圈的焊接式管件接头
CN203115338U (zh) 压缩式单卡套接头
CN101382218B (zh) 一种管材连接装置
CN210739686U (zh) 一种用于流体导管的y型三通快插接头
CN210372393U (zh) 一种新型焊接式快速接头结构
CN211203197U (zh) 一种直管接头
KR200389186Y1 (ko) 배관이음구
CN105156781A (zh) 简易式薄壁不锈钢管连接结构
CN201090854Y (zh) 管材连接装置
JP2007278440A (ja) 合成樹脂管継手
CN205424246U (zh) 新型管道接头
JP2007078069A (ja) 樹脂管継手構造及び樹脂管継手の組立方法
CN205716106U (zh) 制动软管和液压制动管线
CN205503031U (zh) 一种石油钻采用连接套管
KR200316182Y1 (ko) 플레어형 파이프 이음구조
CN204312865U (zh) 沟槽管道卡箍
WO2019080896A1 (zh) 带有高强度防腐涂层的金属管道连接结构
JP3197468U (ja) パイプの接続構造
CN204099775U (zh) 一种高密封性多层复合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