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382U - 전기배선단자대 - Google Patents

전기배선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382U
KR20080005382U KR2020070007734U KR20070007734U KR20080005382U KR 20080005382 U KR20080005382 U KR 20080005382U KR 2020070007734 U KR2020070007734 U KR 2020070007734U KR 20070007734 U KR20070007734 U KR 20070007734U KR 20080005382 U KR20080005382 U KR 200800053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wire
terminal
synthetic resin
resi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애
전민숙
Original Assignee
홍정애
전민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애, 전민숙 filed Critical 홍정애
Priority to KR2020070007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382U/ko
Publication of KR20080005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3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Abstract

본 고안의 전기배선단자대(1)는 합성수지 부재(2) 및 상기 합성수지 부재(2)의 상부에 장착된 2개 이상의 금속재의 단자대(3)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대(3)의 한쪽 측면에는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전선삽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대(3)의 상면에는 볼트 홈(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볼트 홈(5)은 상기 전선삽입구(4)의 내부까지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단자대에서, 단자대(3)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자대(3)의 측면에 형성된 전선삽입구(4)에 피복을 벗긴 전선을 충분히 삽입한 다음 단자대(3)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 홈(5)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단자대(3)와 전선을 연결한다.
전기배선단자대, 단자대, 전선압착부, 전선고정부

Description

전기배선단자대{ELECTRIC POWER LINE CONNECT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단자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단자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단자대가 설치된 캐비넷의 전면부이며,
도 4은 종래의 전기배선터미널이다.
본 고안은 전기배선 설비시공을 하는 경우 배선라인의 터미널을 배선차단기 또는 배선단자대의 단자에 조립하는 전기배선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터미널을 연결하기 위해서 전선을 압착하는 압착기를 사용하지 않고 피복을 제거한 전선을 부스바의 홈에 넣고 볼트를 체결하여 터미널을 연결하는 전기배선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캐비냇과 같은 곳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배선단자대에 터미널을 조립하려면 우선 전선의 피복을 벗긴 후 전선에 터미널을 압착시키고 배선단자대의 단자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런데 기존의 터미널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선압착부(11)와 전선 고정부(12)로 이루어져 있고, 피복이 벗겨진 전선(13)을 전선압착부(11)에 삽입한 후 별도의 압착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충분한 힘을 가하여 상기 전선과 전선압착부(11)가 서로 밀착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고정부(12)를 단자대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켜서 전선을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전기배선터미널에 전기배선 시공하는 경우 현장 상황에 따라서는 불편한 경우가 많은데, 전기배선단자대가 위치하는 설비(캐비넷 등)가 좁거나 전선이 굵은 경우 위와 같이 전선압착부(11)에 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한 후 전선고정부(12)를 단자대에 연결하는 작업의 어려움은 더욱 커지게 되며, 특히 현장에 따라서는 짧은 시간의 단전만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신속한 배선시공이 중요한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로는 요구되는 빠른 시공을 확보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리고, 단자에 전선을 압착한 터미널을 연결하는 경우 배선단자대에 전선을 압착한 터미널의 전선고정부(12)를 위치시키고 전선고정부(12)의 홈에 단자볼트를 삽입하여 단자볼트를 조여야 하며 이때 전선고정부(12)는 배선단자대와 평면을 이루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전선고정부(12)와 단자대가 평면을 이루지 못하면 터미널의 전선고정부(12)에 단자볼트의 나사산을 단자대의 나선에 맞추어 조립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임을 반복하다 보면 단자의 나선이 일그러져 헛돌게 되고 터미널과 단자대의 불완전한 밀착으로 인해 접촉 불량이 발생하고, 또한 단자대에 열화현상이 발생하여 배선의 안전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선에 터미널을 압착시킬 때에는 터미널의 전선고정부가 단자대와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은 기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선고정부를 터미널에 평면을 이루도록 압착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왜냐하면, 전선을 압착한 터미널을 시공할 때에는 우선, 전선을 단자대에 고정시킬 수 있을 만큼의 길이를 대략적으로 정해서 절단 한 다음 전선을 단자에 근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선을 단자대에 최대한 근접시켜 세밀하게 절단한 후 터미널의 전선압착부(11)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전선의 피복을 벗긴 다음 전선압착부(11)에 삽입하여 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하면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미리 단자대와 전선고정부가 평면을 이룰 것이라고 예정한 전선고정부의 각도 및 전선의 길이로 압착하기 위해서, 단자대에 근접하여 절단을 했어도 압착할 때는 압착기를 장착할 공간이 필요한데 작업 공간이 여러 가닥의 전선, 차단기, 등으로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압착을 할 때는 전선을 단자대에서 일정 공간 이탈시켜서 작업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단자대에서 최대한 근접 위치에서 압착하지 못하고 전선이 단자에서 어느 정도 이탈된 위치에서 적당히 예측하여 압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전선고정부가 단자대와 평면을 이루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압착하기 위해 터미널의 전선압착부(11)에 압착기를 장착했을 때 터미널의 전선압착부(11)가 마찰계수가 낮은 피복전선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움직이기 때문에 전선압착부(11)를 압착할 때 예정된 각도로 압착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굵은 전선을 압착할 때는 전선을 축으로 터미널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선을 잡아 줄 조력자가 필요한 때가 많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기존의 터미널의 전선압착부(11)에 전선을 압착하여 배선단자대에 연결하는 방식은 매우 불편하고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전기배선 설비시공 시 전선을 압착한 터미널을 배선단자대의 단자에 조립하는 공정의 어려움을 고려한 후,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전기배선단자대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전선이 굵은 경우 종래의 압착기를 사용하여 전선을 압착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단자대(1)는 합성수지 부재(2) 및 상기 합성수지 부재(2)의 상부에 장착된 2개 이상의 금속재의 단자대(3)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대(3)의 한쪽 측면에는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전선삽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대(3)의 상면에는 볼트 홈(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볼트 홈(5)은 상기 전선삽입구(4)의 내부까지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단자대에서, 단자대(3)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자대(3)의 측면에 형성된 전선삽입구(4)에 피복을 벗긴 전선을 충분히 삽입한 다음 단자대(3)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 홈(5)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단자대(3)와 전선을 연결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단자대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합성수지 부재(2) 및 상기 합성수지 부재(2)의 상부에 장착된 2개 이상의 금속재의 단자대(3')로 이루어지고, 단자대(3')의 상면에는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전선삽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대의 한쪽 측면에는 볼트 홈(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 홈(5')은 상기 전선삽입구(4')의 내부까지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피복을 벗긴 전선의 단부는 상기 단자대(3')의 상면에 형성된 전선삽입구(4')에 삽입된 다음, 상기 단자대(3')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 홈(5')에 볼트를 체 결함으로써 전선이 단자대에 연결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단자대에서는 상기 합성수지 부재의 상면에는 볼트 체결용 홈이 형성되고, 단자대에도 여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체결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체결홈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 부재와 단자대가 체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단자대에 배선라인을 시공하는 경우 전선압착부 및 전선고정부로 된 터미널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압착기 사용시 발생하는 불편함이 제거되고, 전기배선단자대에 단순히 전선을 삽입한 후 볼트를 체결하기만 하면 전선에 연결되므로 전선이 그 전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전선 체결시 조력자가 필요없이 시공자 혼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단자대가 설치된 경우 기존의 압착기를 사용한 경우보다 외관상으로 복잡한 구성이 사라지므로 전기배선단자대가 설치된 장비의 유지 및 보수에도 유리하다.

Claims (3)

  1. 합성수지 부재(2) 및 상기 합성수지 부재(2)의 상부에 장착된 2개 이상의 금속재의 단자대(3)로 이루어진 전기배선단자대(1)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3)의 한쪽 측면에는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전선삽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대(3)의 상면에는 볼트 홈(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 홈(5)은 상기 전선삽입구(4)의 내부까지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배선단자대.
  2. 합성수지 부재(2) 및 상기 합성수지 부재(2)의 상부에 장착된 2개 이상의 금속재의 단자대(3')로 이루어진 전기배선단자대(1')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3')의 상면에는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전선삽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대의 한쪽 측면에는 볼트 홈(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 홈(5')은 상기 전선삽입구(4')의 내부까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단자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부재의 상면 및 상기 단자대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2 개 이상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 부재와 단자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단자대.
KR2020070007734U 2007-05-11 2007-05-11 전기배선단자대 KR200800053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734U KR20080005382U (ko) 2007-05-11 2007-05-11 전기배선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734U KR20080005382U (ko) 2007-05-11 2007-05-11 전기배선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382U true KR20080005382U (ko) 2008-11-14

Family

ID=4150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734U KR20080005382U (ko) 2007-05-11 2007-05-11 전기배선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38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4237A (zh) * 2019-06-13 2019-09-10 苏州市龙源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z30汇流接线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4237A (zh) * 2019-06-13 2019-09-10 苏州市龙源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z30汇流接线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766B1 (en) Electrical outlet box with secure quick connect and release features
EP068134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crew clamp terminals
JP2008509524A (ja) モジュール式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使用方法
MXPA06000307A (es) Ensamble de conector aislado hermetico al agua que incluye un impulsor y obturador de tornillo de fijacion.
EP1769566B1 (en)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discontinuous conductors
US20060105625A1 (en) Electrical receptacle and junction box free of wire-nuts
US7148419B1 (en) Pre-wired electrical receptacle
US4162819A (en) Electrical terminal
JPH01157073A (ja) 電気装置ユニットの電気的端子結合デバイス,該デバイスを備えたしゃ段器および関連する部品の組立品
GB2404097A (en) Wal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Module
KR102064819B1 (ko) 활선상태 차단기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
KR20080005382U (ko) 전기배선단자대
US9490618B2 (en) Electrical splice box
KR101090558B1 (ko) 분전반
US2950457A (en) Electrical outlet device
JP4225415B2 (ja) 接続機能付ワイヤハーネスクランプ具
KR20210089844A (ko) 2극 전선 연결 커넥터
JPH10155212A (ja) 分電盤
EP2814119B1 (en) An electrical component
JPS6323627B2 (ko)
KR200198502Y1 (ko) 전기접속구의 전선연결구조
US6856232B2 (en) Mounting fixture for switch connectors
KR102264859B1 (ko)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US20180034226A1 (en) Electrical device with terminal and wire-stripping seat
KR20120000862A (ko) 전기접속 단자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