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968U -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968U
KR20080004968U KR2020070006710U KR20070006710U KR20080004968U KR 20080004968 U KR20080004968 U KR 20080004968U KR 2020070006710 U KR2020070006710 U KR 2020070006710U KR 20070006710 U KR20070006710 U KR 20070006710U KR 20080004968 U KR20080004968 U KR 200800049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base plate
soundproof wall
insertion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식
Original Assignee
서진안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안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안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6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968U/ko
Publication of KR20080004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9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음벽구축에 사용하는 방음벽 포스트고정용 베이스플레이트에 있어서, 방음벽 구축에 사용하는 방음벽 포스트 고정 베이스플레이트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 몸체; 상기 몸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 삽입되는 포스트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포스트삽입홈; 및, 상기 포스트삽입홈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삽입홈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포스트를 안내하며 지지하는 포스트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로 도로 또는 교량의 도로변에 방음벽의 구축함에 있어서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 현장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방음벽용 포스트의 고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음벽용 포스트고정을 위한 베이스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 결합공, 포스트가이드

Description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Baseplate for fix of sound proofing wall post}
도 1은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의 제1실시예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에 포스트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에 포스트를 결합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음벽
100: 베이스플레이트 150: 베이스플레이트 몸체
200: 결합공
300: 포스트 310: I형 바
312: 플랜지 314: 웨브
350: 포스트케이스 360: 서브플랜지
400: 포스트삽입홈
500: 포스트가이드 520: 고정공
540: 고정부재
600: 고정구 610: 고정구 일단
620: 고정구 하단
700: 너트
900: 블록 950: 방음패널
본 고안은 도로변에 설치하는 방음벽의 구축에 사용하는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음이나, 실내에서 다른 곳으로 발산되는 음을 차단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벽을 말한다. 방음벽은 특히 고속도로 등과 같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도로와의 마찰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방음벽은 주로 소음의 차단이 목적이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그 소음을 듣는 사람이 있는 장소 사이에 설치하며, 도로 옆에 설치하는 대형 방음벽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음벽의 시공에 사용하는 베이스플레이트는 방음벽의 기초를 위해서 과도하게 기초를 파야 하거나 별도의 프리캐스트 기초블럭을 제작하여야 하는 등 경제적 및 시공의 시기에 있어서 불리하였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방음벽의 구축에 있어서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현장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과 방음벽용 포스트의 고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음벽의 포스트고정을 위한 베이스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방음벽 구축에 사용하는 방음벽 포스트 고정 베이스플레이트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 몸체; 상기 몸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 삽입되는 포스트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포스트삽입홈; 및 상기 포스트삽입홈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삽입홈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포스트를 안내하며 지지하는 포스트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포스트가이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의 제1실시예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에 포스트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에 포스트를 결합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인 방음벽(10)에 사용하는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베이스플레이트 몸체(15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몸체(15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2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포 스트(30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포스트삽입홈(400); 상기 포스트삽입홈(400)의 양단에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삽입홈(400)에 슬라이딩결합하는 포스트(300)의 결합을 안내하며 지지하는 포스트가이드(5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에 사용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방음벽의 포스트(30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지면과의 고정을 위하여 앵커볼트 등의 결합공(200)가 제공되며, 종래의 기술과 구별되게 포스트(3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포스트삽입홈(400)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포스트삽입홈(400)의 형상은 삽입되는 포스트(300) 형태에 대응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스트(300)로서 사용되는 I형 바(310) 또는 H형 바 및 포스트케이스(350)의 형태에 맞추어 포스트삽입홈(400)의 형상을 자유로이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삽입홈(400)의 양단에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포스트가이드(500)를 구비하여 실시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 포스트(30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포스트삽입홈(400)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포스트(3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 몸체(150)의 상면(110)에 포스트가이드(500)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고, 첨부된 도 3과 같이 포스트가이드(500)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분리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포스트가이 드(500)를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면에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포스트삽입홈(400)을 끼워진 포스트(300)가 베이스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포스트가이드(500)와 결합함으로써 포스트가이드(500)를 베이스플레이트 몸체(150)의 상면에 형성하여 실시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포스트가이드(500) 없이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가이드(500)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몸체(150)와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고정공(520); 상기 고정공(520)에 결합하여 상기 포스트가이드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몸체(15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40)로 구성하므로써 베이스플레이트 몸체(150)와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공(520)의 내주면에 나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540)의 일단에는 나사선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공(520)과 너트(700)와 나사결합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부재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실시함에는 상기 결합공(200)에 삽입되어 베이스플레이트 몸체(15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 일단(610)은 나사선을 형성하여 너트와 나사결합을 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구 타단(620)은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갈고리형태로 형성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조건에 따라서 첨부된 도 4와 같이 고정구(600) 타단을 짧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고정구(600)를 지반에 고정하는 방법은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설치되는 지반을 굴착한 후 거푸집을 만들어 상기 고정구(600)를 적절한 길이로 매입한 후,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 타단(620)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경화와 더불어 콘크리트와 부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일체로 거동하게 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00)는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된다.
본 고안의 실시에 사용하는 포스트(300)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I형 바(310) 또는 H형 바의 양 플랜지(312)를 감싸며 결합하는 포스트케이스(35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즉, 바가 세워진 상태에서 양쪽 플랜지(312)에는 포스트케이스(350)가 결합하며, 결합된 바 및 포스트케이스(35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형성되어 있는 포스트삽입홈(400)에 끼워지는 방식에 의해 결합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때 포스트삽입홈(400)에 끼워지는 포스트(300)의 삽입길이는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고정시에 함께 콘크리트의 타설깊이까지 길게 내리거나 상기 포스트삽입홈(400)의 깊이만큼 삽입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상기 I형 바(310) 또는 H형 바의 웨브(314)에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의 웨브(314)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돌출된 서브플랜지(360)를 더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포스트(300)와 포스트(300)사이에 끼워지는 방음패널을 2개로 할 수 있다. 즉, 2개의 방음패널을 서브플랜지(360)를 사이에 두고 결합하게 함으로써 1개의 방음패널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방음효과를 더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형성되어 있는 포스트삽입홈(400)의 형태도 서브플랜지(3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태의 구조로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즉, 본 발명인 방음벽 포스트고정용 베이스플레이트(100)를 도로 또는 교량의 도로변에서 방음블복(900)위에 고정한 다음 포스트(300)를 구축한 다음 인접한 포스트(300)와 포스트(300)의 웨브(314) 사이에 일정길이의 방음패널(950)을 끼워넣어 방음벽(10)을 완성한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사용은 방음벽 포스트고정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그외의 각종 기둥역할을 하는 여러 가지 포스트의 고정을 위한 기초판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실시로 발생하는 종래의 기술과 구별되는 특유의 효과 내지 유리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을 실시함으로써 본 고안은 방음벽의 구축에 있어서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현장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과 방음벽용 포스트의 고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음벽 포스트 고정을 위한 베이스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방음벽 구축에 사용하는 방음벽 포스트 고정 베이스플레이트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 몸체;
    상기 몸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
    삽입되는 포스트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포스트삽입홈; 및,
    상기 포스트삽입홈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삽입홈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포스트를 안내하며 지지하는 포스트가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
  2. 제 1항에서,
    상기 포스트가이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
KR2020070006710U 2007-04-24 2007-04-24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 KR200800049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710U KR20080004968U (ko) 2007-04-24 2007-04-24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710U KR20080004968U (ko) 2007-04-24 2007-04-24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68U true KR20080004968U (ko) 2008-10-29

Family

ID=4132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710U KR20080004968U (ko) 2007-04-24 2007-04-24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96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415B1 (ko) * 2010-04-27 2012-04-03 두오씨티(주) 다중강성의 지주를 갖는 방음벽
KR20220102836A (ko) * 2021-01-14 2022-07-21 신재모 기둥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415B1 (ko) * 2010-04-27 2012-04-03 두오씨티(주) 다중강성의 지주를 갖는 방음벽
KR20220102836A (ko) * 2021-01-14 2022-07-21 신재모 기둥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408B1 (ko) 세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구조
KR20110128396A (ko) 커플러를 콘크리트에 사전 매입하는 앵커링 공법
KR101363489B1 (ko) 방음벽 기초
DE50112410D1 (de) Betonschalung mit seitlicher Abstützung
KR20080004968U (ko) 방음벽 포스트고정 베이스플레이트
KR100970496B1 (ko) 방수 기능이 향상된 창호 설치구조
KR20190032824A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KR101463217B1 (ko) 박스형 암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93312B1 (ko) 3분절식 조립 옹벽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100605363B1 (ko) 스틸스터드 패널
JP4119943B1 (ja) 基礎型枠間隔保持用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保持用金物
JP4757902B2 (ja) トンネル通路構築用壁面板
KR101189041B1 (ko) 말뚝 일체형 방음벽
KR20210000098A (ko) 보도인접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1222186B1 (ko) 방음시설
KR20130021918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설치 공법
JP2004285581A (ja) 建築物用鉄骨基礎材と該鉄骨基礎材を用いた建築物用コンクリート基礎の形成方法。
KR200464347Y1 (ko) 프리캐스트 암거 조립체
KR100966540B1 (ko) 경량형강을 사용한 벽체 패널의 시공방법
KR200324443Y1 (ko) 조립식 흡음형 경량 pc 방음벽
KR200208844Y1 (ko) 합성수지재 일체형 방음판넬의 고정빔
JP200625784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自由勾配側溝
RU9951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кирпичной кладки к сборному бетонному ограждению
KR200226684Y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