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445U -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445U
KR20080004445U KR2020070005533U KR20070005533U KR20080004445U KR 20080004445 U KR20080004445 U KR 20080004445U KR 2020070005533 U KR2020070005533 U KR 2020070005533U KR 20070005533 U KR20070005533 U KR 20070005533U KR 20080004445 U KR20080004445 U KR 200800044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rail
platform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2020070005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445U/ko
Publication of KR200800044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4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하단부 중앙에 각각 보강판을 더 연장되게 설치하여 승강장 바닥에 설치된 레일의 가이드홈에 상기 보강판이 깊게 삽입되게 하여 상기 도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장용 도어에 일정한 충격이 가해져도 승강로 측으로 밀려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하여 승객이 승강로에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에 따른 승객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어, 레일, 가이드홈, 고정판, 위치조절판, 보강판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for platform door of elevator}
도 1은 종래의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판 12, 32 : 삽입공
20 : 위치조절판 22 : 삽입홈
30 : 보강판 100 : 도어
120 : 레일 122 : 가이드홈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와 승강장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장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소정 길이 하향되게 보강판을 일체로 체결.고정시켜 승강장의 바닥에 설치된 레일에 깊숙하게 삽입되게 하여 상기 도어가 충격에 의해 밀려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이용에 따른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로에 설치되어 상/하 수직으로 이동하는 승강카가 건물의 각층으로 승객 또는 화물을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운송수단으로서, 상기 승강카의 전방에는 그 내부로 승객이 탑승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카도어가 설치되는데, 상기 카도어의 상부에는 다수의 롤러가 설치되어 승강카 전방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좌/우 이동하며 승강카의 전방을 개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승강장에는 승강장용 도어를 그 상부에 설치된 롤러가 승강장과 승강로의 경계면 상/하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승강로의 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과실로 인해 승강로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를 더욱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그 작동은 상기 승강카가 적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카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롤러가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승강카의 전방이 개방되게 되며 상기 카도어가 이동하며 승강장용 도어를 끌고 좌/우로 각각 이동하여 승강장의 입구가 동시에 개방되어 승객이 승강카 내부로 탑승하거나 승강장에 내려 목적지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카도어의 작동에 의해 좌/우 이동하여 승강로 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는 건물의 각층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승강카가 위치하여 카도어의 작동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도어(100) 하부에는 각각 지지대(110)를 일체로 장착시켜 승강로의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120)에 삽입되게 하여 도어(100) 열림에 의한 이동시에는 상기 레일(120)을 따라 지지대(1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도어(100)가 닫혀 있는 평상시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10)에 의해 도어(100)가 승강로 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지지대(110)가 설치된 도어(100)는 그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승강장 바닥에 설치된 레일(120)의 가이드홈(122) 상에 깊숙하게 삽입될 수 없어 승강장에서 가해지는 약한 충격에도 상기 지지대(110)가 레일(120)로부터 이탈하며 승강로 측으로 쉽게 밀려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최근 승강장에 대기하고 있던 승객의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가 빈번하여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었고, 그에 따른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하단부 중앙에 각각 보강판을 더 연장되게 설치하여 승강장 바닥에 설치된 레일의 가이드홈에 상기 보강판이 깊게 삽입되게 하여 상기 도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장용 도어에 일정한 충격이 가해져도 승강로 측으로 밀려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하여 승객이 승강로에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에 따른 승객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승강장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레일을 따라 좌/우 유동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다수의 롤러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레일의 가이드홈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지지대가 일체로 된 승강장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부 중앙에 일체가 되도록 용접.고정될 수 있도록 금속 판체를 일정 형태가 되도록 절곡되며, 그 전방에 다수의 삽입공이 수평으로 통공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과 동일한 위치에 각각 삽입홈이 형성되며, 각각의 두께 및 일정 면적으로 제공되는 금속 판체 형태의 다수의 위치조절판과; 상기 고정판과 위치조절판에 형성된 삽입공 및 삽입홈과 동일한 위치에 각각 삽입공이 형성된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보강판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판의 전방에 보강판을 설치하되, 그 사이에 다수의 위치조절판을 위치시켜 각각의 삽입공 및 삽입홈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체로 체결시켜 상기 보강판이 승강장 바닥에 설치된 레일의 가이드홈 중앙에 깊게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승강로 측으로 밀려나지 않게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 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승강장용 도어(100)의 설치구조는 승강로와 승강장의 경계면에 좌/우로 각각 유동되게 설치되는 도어의 하단부에 구성 부품인 고정판(10)과, 다수의 위치조절판(20) 및 보강판(30)을 일체로 설치한 구조이다.
상기 고정판(10)은 일정 면적으로 제공되는 금속 판체를 단면이 "
Figure 112007026168116-UTM00001
" 형태가 되게 절곡.가공하여 구비하되, 그 전방에는 다수의 삽입공(12)을 통공시켜 형성하여 상기 승강장용 도어(100)의 하단부 중앙에 일체가 되도록 견고하게 용접.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위치조절판(20)은 1.5㎜ ∼ 2㎜ 정도의 다양한 두께를 갖으며, 일정 면적으로 제공되는 금속 판체에 상기 고정판(10)과 동일한 위치에 다수의 삽입홈(22)을 통공시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판(10)과 보강판(30) 사이에 다수를 중첩시켜 상기 보강판(30)이 승강장 바닥에 설치된 레일(120)의 가이드홈(122) 중심에 위치되어 마찰 또는 접촉됨이 없이 삽입 가능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판(10)과 고정판(10)의 전방에 설치되는 보강판(30) 사이에 다른 두께를 갖는 다수의 위치조절판(20)을 중첩되게 설치하여 상기 보강판(30)이 레일(120)의 가이드홈(122) 센터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판(30)은 일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금속판 상에 다수의 삽입공(32)이 통공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위치조절판(20)에 의해 레일(120)의 가이드홈(122) 중심에 위치되어 깊게 삽입될 수 있게 상기 고정판(10)의 전방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상기 도어(100)가 충격에 의해 승강로 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강판(3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된 삽입공(32) 사이에 다수의 체결공(34)을 형성하여 종래에 설치된 승강장용 도어(100)의 하단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체결공(34)을 통해 삽입한 후 일체로 견고하게 체결시켜 상기 보강판(30)의 하부가 레일(120)의 가이드홈(122)에 깊게 삽입되어 상기 도어(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는 먼저, 상기 도어(100)의 하단부 중앙에 각각 절곡.가공되어 구비된 고정판(10)을 일체가 되게 용접.고정시킨 다음 상기 고정판(10)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12)과 그 전방에 상기 보강판(30)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32)이 일치되도록 위치되게 상기 레일(120)의 가이드홈(122)에 상기 보강판(30)의 하단이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일치된 상기 삽입공(12)(32)에 볼트(B)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판(10)의 후면으로 돌출시켜 너트(N)를 체결한 후 상기 고정판(10)과 보강판(30) 사이의 볼트(B) 상에 위치조절판(20)의 삽입홈(22)을 삽착시켜 다수를 중첩되게 설치하여 그 사이를 긴밀하게 채워주되, 상기 보강판(30)이 레일(120)의 가이드홈(122) 중앙에 위치되어 마찰 및 접촉하는 부분이 없도록 알맞는 두께로 구비되는 위치조절판(20)을 다수 설치한 다음 상기 너트(N)를 더욱 견고하게 체결시켜 일체로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강판(30)이 설치된 도어(100)는 승강장에 엘리베이터 승강카가 위치되면 카도어의 작동에 의해 승강장용 도어가 좌/우로 이동하면 개방되는데, 이때, 상기 보강판(30)은 레일(120)의 가이드홈(122)을 따라 자연스럽게 좌/우 유동되게 되며, 승강카의 이동 후 개방되었던 도어(100)가 닫히면 상기 보강판(30)이 가이드홈(122)에 깊숙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도어(100)를 지지하여 가해지는 충격에도 상기 도어(100)가 승강로 측으로 밀려나지 않게 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시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승강장용 도어에 일정한 충격이 가해져도 승강로 측으로 밀려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하여 승객이 승강로에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에 따른 승객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승강장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레일을 따라 좌/우 유동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다수의 롤러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레일의 가이드홈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지지대가 일체로 된 승강장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의 하단부 중앙에 일체가 되도록 용접.고정될 수 있도록 금속 판체를 일정 형태가 되도록 절곡되며, 그 전방에 다수의 삽입공(12)이 수평으로 통공된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12)과 동일한 위치에 각각 삽입홈(22)이 형성되며, 각각의 두께 및 일정 면적으로 제공되는 금속 판체 형태의 다수의 위치조절판(20)과;
    상기 고정판(10)과 위치조절판(20)에 형성된 삽입공(12) 및 삽입홈(22)과 동일한 위치에 각각 삽입공(32)이 형성된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보강판(30)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판(10)의 전방에 보강판(30)을 설치하되, 그 사이에 다수의 위치조절판(20)을 위치시켜 각각의 삽입공(12)(32) 및 삽입홈(2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일체로 체결시켜 상기 보강판(30)이 승강장 바닥에 설치된 레일(120)의 가이드홈(122) 중앙에 깊게 삽입되어 상기 도어(100)가 승강로 측으로 밀려나지 않게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KR2020070005533U 2007-04-04 2007-04-04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KR200800044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533U KR20080004445U (ko) 2007-04-04 2007-04-04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533U KR20080004445U (ko) 2007-04-04 2007-04-04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445U true KR20080004445U (ko) 2008-10-08

Family

ID=4150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533U KR20080004445U (ko) 2007-04-04 2007-04-04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4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6793A (zh) * 2021-04-27 2021-08-06 成都建工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地铁站台门安装施工部件及安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6793A (zh) * 2021-04-27 2021-08-06 成都建工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地铁站台门安装施工部件及安装方法
CN113216793B (zh) * 2021-04-27 2022-10-21 成都建工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地铁站台门安装施工部件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5364A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elevator car doors
JP2009208946A (ja) エレベータ引き戸の案内装置
US20020139621A1 (en) Door and door hanger device at elevator landing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JP4644721B2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装置
US11554935B2 (en) Elevator car
KR200493995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80004445U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KR20100101411A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EP1808401B1 (en) Doorway device for elevator
JP5151639B2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装置
JP2011084385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7135680B2 (ja) エレベーターの敷居の取り替え方法
KR20090122740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410575Y1 (ko) 안전브러시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KR101009872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08139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KR10088866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KR101617209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용 이탈방지장치
JP6088353B2 (ja) エレベーター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
KR200477750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이탈방지 구조
EP3929135A1 (en) Narrow groove elevator doorsill
JP3979056B2 (ja) エレベータの転落防止用エプロン
KR20100000314U (ko) 좌/우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승강장 도어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