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356U - 위생 숟가락 - Google Patents

위생 숟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356U
KR20080004356U KR2020070005287U KR20070005287U KR20080004356U KR 20080004356 U KR20080004356 U KR 20080004356U KR 2020070005287 U KR2020070005287 U KR 2020070005287U KR 20070005287 U KR20070005287 U KR 20070005287U KR 20080004356 U KR20080004356 U KR 200800043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eating
sanitary
present
upp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정원
Original Assignee
차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정원 filed Critical 차정원
Priority to KR2020070005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356U/ko
Publication of KR20080004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3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숟가락을 식탁 등의 상부 바닥면에 놓을 경우, 숟가락의 취식부가 상기 바닥면에 닿지 않게 하여 위생적이면서도, 숟가락을 사용함에 있어, 숟가락의 잡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숟가락의 신장부(20)의 일단에 상부굴곡부(20a)를 형성시키되, 취식부(10)에 근접하여 형성시켜 취식부(10)가 신장부(20)와 바닥면의 접점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숟가락을 바닥면에 놓을 경우, 취식부(10)가 바닥면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위생숟가락을 제공하여, 숟가락이 놓여지는 식탁 등의 상부바닥면에 묻은 먼지 및 각종 이물질 등이 숟가락의 취식부에 닿지 않게 하여 숟가락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취식부가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도 좌/우로 쓰러지지 않게 하며, 부가적으로 숟가락의 잡음성을 향상시켜 숟가락의 사용시, 손가락의 베김현상 등을 방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식을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게 한다.
숟가락, 접촉, 굴곡, 이격, 취식

Description

위생 숟가락{Sanitary spoon}
도 1은 종래 숟가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 숟가락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
도 6은 도 3의 상부굴곡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종래의 숟가락의 취식부 b : 종래의 숟가락의 신장부
10 : 본 고안의 취식부 20 : 손잡이부
20a : 상부굴곡부 20b : 함몰부
20c : 지지턱
본 고안은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숟가락을 식탁 등의 상부 바닥면에 놓을 경우, 숟가락의 취식부가 상기 바닥면에 닿지 않게 하여 위생적 이면서도, 숟가락을 사용함에 있어, 숟가락의 잡음성을 향상시킴으로서,사용자로 하여금 음식을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한 위생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은 음식을 뜨는 데 사용하는 기구로서, 종래의 숟가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중앙이 오목하며, 외형이 타원형상을 이루는 취식부(a)와, 상기 취식부(a)로부터 직선형태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취식부(a)를 이동시키기 위해 손으로 파지하는 신장부(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숟가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식물의 취식 전 또는 취식 중 숟가락을 식탁 등의 상부 바닥면에 놓을 경우, 숟가락의 취식부(a) 하부면 일부가 바닥면에 닿게 되어 바닥면에 묻은 먼지 혹은 각종 이물질들이 취식부(a)에 묻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취식부(a)를 통하여 먼지 혹은 각종 이물질들이 숟가락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숟가락은 사용자가 상기 직선형태로 단순 연장된 신장부(b)의 끝단부위를 잡고 음식물을 퍼거나 담게 되어 숟가락의 사용시, 손가락에 베김현상이 발생하여 그 사용효율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숟가락의 신장부 일단에 상부굴곡부를 형성시켜 숟가락을 바닥면에 놓을 경우, 취식부가 바닥면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서, 숟가락이 놓여지는 식탁 등의 상부바닥면에 묻은 먼지 및 각종 이물질 등이 숟가락의 취식부에 닿지 않게 하 여 숟가락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취식부가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도 좌/우로 쓰러지지 않게 하며, 부가적으로 숟가락의 잡음성을 향상시켜 숟가락의 사용시, 손가락의 베김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생 숟가락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신장부의 일단에 상부굴곡부를 형성시키되, 취식부에 근접하여 형성시켜 취식부가 신장부와 바닥면의 접점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숟가락을 바닥면에 놓을 경우, 취식부가 바닥면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위생 숟가락이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한 위생 숟가락은, 상기 상부굴곡부의 저면 중앙부에 함몰부를 형성시켜 상부굴곡부의 저면 양측 끝단에 지지턱이 구성되게 함으로서, 숟가락을 바닥면에 놓을 경우, 지지턱에 의해 숟가락이 좌/우 측면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한 신장부는 상부로 휘어진 만곡형으로 제작되는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 숟가락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의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위생 숟가락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위생 숟가락은 취식부(10), 상부굴곡(20a)이 형성된 신장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취식부(10)는, 취식을 위해 음식을 담는 곳으로서, 다양한 형태를 적용 가능하나, 중앙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담은 음식의 탈락을 방지하고 외형을 타원형상으로 하여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장부(20)는, 상기 취식부(10)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며, 취식부(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손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일단에 상부굴곡부(20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굴곡부(20a)가 형성된 신장부(30)는 본 고안의 주 특징부로서, 상기 상부굴곡부(20a)는 신장부(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취식부(10)를 신장부(20)와 바닥면의 접점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숟가락을 바닥면에 놓을 경우, 취식부(10)가 바닥면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상부굴곡부(20a)는 신장부(20)의 일단 중에서도 취식부(10)에 근접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상부굴곡부(20a)가 신장부(20)의 끝단에 근접할 경우, 상기 신장부(20)가 상부로 바닥면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그로인해 취식부(10)가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신장부(20)는 인체공학을 고려하여 상부로 휘어진 만곡형으로 제작됨으로서, 숟가락의 잡음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위생숟가락의 저면도이고, 도 6은 상기 상부굴곡부 단면도 로서, 본 고안의 위생숟가락의 저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고안은 상기 상부굴곡부(20a)의 저면 중앙부에 함몰부(20b)를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함몰부(20b)에 의해 숟가락에 추가적인 장치를 하지 않더라도 상부굴곡부(20a)의 저면 양측 끝단에는 지지턱(20c)이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턱(20c)에 의해, 숟가락을 바닥면에 놓을 경우, 숟가락이 좌/우 측면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상부굴곡부(20a)에 의해 취식부(10)가 바닥에 닿지 않은 불안정한 상태에서도 숟가락은 좌/우로 쓰러지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취식부(10)가 숟가락의 좌/우측 쓰러짐에 의해 바닥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숟가락의 신장부(20) 일단에서 취식부(10)와 근접하여 형성된 상부굴곡부(20a)에 의해, 숟가락을 바닥면에 놓을 경우, 취식부(10)가 바닥면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됨으로서, 숟가락이 놓여지는 식탁 등의 상부바닥면에 묻은 먼지 및 각종 이물질 등이 숟가락의 취식부(10)에 닿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숟가락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취식부가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도 좌/우로 쓰러지지 않게 하며, 부가적으로 상기 신장부(20)가 인체공학을 고려하여 상부로 휘어진 만곡형으로 제작됨으로서, 숟가락의 잡음성이 향상되어 손가락의 베김현상 등을 방지하게 되며 그로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음식을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게 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위생 숟가락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 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하면, 숟가락이 놓여지는 식탁 등의 상부바닥면에 묻은 먼지 및 각종 이물질 등이 숟가락의 취식부에 닿지 않게 하여 숟가락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숟가락의 잡음성을 향상시켜 숟가락의 사용시, 손가락의 베김현상 등을 방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식을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 취식부(10)와; 상기 취식부(10)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며, 취식부(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손으로 파지하는 신장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숟가락에 있어서,
    신장부(20)의 취식부(10)측 일단에 상부굴곡부(20a)를 형성시켜 취식부(10)가 신장부(20)와 바닥면의 접점 및 상부굴곡부(20a)와 바닥면의 접점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숟가락을 바닥면에 놓을 경우, 취식부(10)가 바닥면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숟가락.
  2. 제 1항에 있어서, 위생 숟가락은,
    상기 상부굴곡부(20a)의 저면 중앙부에 함몰부(20b)를 형성시켜 상부굴곡부(20a)의 저면 양측 끝단에 지지턱(20c)이 구성되게 함으로서, 숟가락을 바닥면에 놓을 경우, 지지턱(20c)에 의해 숟가락이 좌/우 측면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숟가락.
  3. 제 1항에 있어서, 신장부(20)는,
    상부로 휘어진 만곡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숟가락.
KR2020070005287U 2007-03-30 2007-03-30 위생 숟가락 KR200800043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287U KR20080004356U (ko) 2007-03-30 2007-03-30 위생 숟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287U KR20080004356U (ko) 2007-03-30 2007-03-30 위생 숟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56U true KR20080004356U (ko) 2008-10-06

Family

ID=4150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287U KR20080004356U (ko) 2007-03-30 2007-03-30 위생 숟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35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4490A1 (en) Eating Utensil
US20190208940A1 (en) Elevated utensil
KR20080004356U (ko) 위생 숟가락
JP3177408U (ja) 麺類フォーク
KR200470810Y1 (ko) 배식용 위생 집게
JP2003000415A (ja) 把持具及び用具
KR100937551B1 (ko) 밥주걱
KR20120090177A (ko) 숟가락
CN216256529U (zh) 一种新型陶瓷调料碟
RU199849U1 (ru) 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для европейской и азиатской кухни
US20180028006A1 (en) Article manipulation apparatus
KR930700260A (ko) 손이 불구인 사람 및 일반 대중이 사용가능한 식사용 기구
KR20180000188U (ko) 숟가락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JP3156378U (ja)
KR200432440Y1 (ko) 위생 취식 도구
JP3490928B2 (ja) 手 桶
KR200378933Y1 (ko)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
KR20150000463U (ko) 숟가락과 포크의 위생구조
JP3072349U (ja) 飯茶わん
KR20240060086A (ko) 떨어짐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수저
JP3048455U (ja) 衛生的な使用ができる割り箸
KR20140004528U (ko)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컵
JP2510601Y2 (ja) スプ―ン又はフォ―ク形の食器
KR20080002911U (ko) 숟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