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007A -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 Google Patents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007A
KR20080004007A KR1020060062429A KR20060062429A KR20080004007A KR 20080004007 A KR20080004007 A KR 20080004007A KR 1020060062429 A KR1020060062429 A KR 1020060062429A KR 20060062429 A KR20060062429 A KR 20060062429A KR 20080004007 A KR20080004007 A KR 20080004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s
sleeve
truss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2248B1 (ko
Inventor
박형국
박정진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박형국
박정호
박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국, 박정호, 박정진 filed Critical 박형국
Priority to KR102006006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2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0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의 보강을 위해 다수개의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수평,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상호 교차하면서 일체화시키고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과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에서,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주철근 및 상기 두 개의 주철근과 직각을 이루며 연결된 다수개의 연결근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은 수직방향 트러스근 다수개의 배치간격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은 수평방향 트러스근 다수개의 배치간격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수직,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은 상호 충첩되지 않도록 엇갈려 배치되고, 상기 연결근의 양단은 상기 주철근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과 일체화되도록 선조립된 상기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수직으로 연결할 때, 상하로 배치된 주근을 연결하는 구조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슬리브의 중간까지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의 하단에서 용접으로 고정되는 하부주근; 상기 슬리브의 상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 일체화 주근과 맞닿는 상부주근; 및 상기 슬리브 내부에 주입되어 고착되는 완속 경화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근구조, 트러스근, 슬리브, 주름관, 이형철근, 완속 경화제

Description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 및 이의 연결방법 {Arrangement structure, vertical joint structure and vertical joint method of the unified Form-Prefabrication steel bar}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의 조립 전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1b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의 조립 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2a 내지 도2d는 선 조립철근을 벽체거푸집과 일체화시키며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의 시공현장 적용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 : 하부주근 20 : 상부주근
11, 21 : 이형철근 리브 12, 22 : 이형철근 마디
30 : 슬리브 31 : 용접부
32 : 주름 40 : 완속 경화제
50 : 마개
100 : 철근 배근구조
110 :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 111: 주근(수평방향)
112 : 연결근(수평방향)
120 :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 121 : 주근(수직방향)
122 : 연결근(수직방향)
210 : 조립용 회전체 220 : 받침대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수직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철근 배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속도를 극대화 시키며, 별도의 거푸집 고정구(폼타이) 없이 선 조립 철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혁신적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배근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철근을 배근하는 방법과 별도 후속공정으로 거푸집을 설치하는 방법 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쪽의 벽체거푸집을 먼저 짜고 철근조립을 완료한 후 다른 편의 벽체거푸집을 짜댄다. 이 때 철근은 수직구조물의 강성을 위해 수직, 수평방향으로 배근해야하고, 수평방향 배근시에는 장방향과 단방향의 배근이 필요하므로 철근의 배근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시 발생하는 측압에 대항하기 위한 별도의 거푸집 고정구를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벽체거푸집을 다수장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벽체거푸집간의 연결 및 콘크리트 측압에 대항하기 위해 벽체거푸집의 배후에 버팀대, 멍에, 장선 등을 대어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종래의 철근 배근방법 및 거푸집을 설치방법에 의하면, 철근 배근 작업이 복잡하여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고, 거푸집간을 연결하기 위한 버팀대나 멍에 등을 대어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시간 및 자재비의 증가 및 작업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별도의 거푸집 고정구 설치작업이 필요하므로, 철근 배근시 미리 거푸집 고정구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거나 거푸집 고정구 설치시 철근이 배근된 위치를 피해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단계별 작업공정구분 시공으로 공기단축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공기단축을 위한 야간, 철야, 돌관작업 등으로 노동생산성 저하되며 비용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공사 시의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 및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철근이음 함으로써, 작업공정수를 줄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결합구조로서, 콘크리트가 압축력을 부담하고 철근이 인장력을 부담하는 구조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철근 배근 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게 되는데, 시공과정에서 철근은 필요에 따라 일정 길이의 규격품을 서로 이어가며 시공해야 하는 바, 철근과 철근간에는 당연히 조인트부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철근과 철근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부에는 소정의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인장력에 충분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철근 상호간에 긴밀한 연결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며, 여기에는 통상 겹침 이음, 압접, 커플러를 이용하는 기계식 이음 등의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겹침 이음은 철근과 철근을 소요 이음길이 이상으로 겹쳐서 배근하고 결속선으로 묶는 방식이다. 이는 배근작업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철근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편심에 의해 철근의 응력집중이 일치되지 않아 구조 내력상의 문제가 있고, 수직철근의 이음길이가 수평의 폼타이와 중복 배근되는 경우와 콘크리트 부재가 얇은 경우에는 겹쳐진 철근 때문에 거푸집의 단면이 좁아져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지 않으며 철근의 배근 간격과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 압접에 의한 철근 연결방법은 철근과 철근의 단부를 이어서 맞댄 후 가열하고 압착하여 단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압접은 작업시간이 길고 철근에 직접 열을 가하게 됨으로 철의 성질이 변화하게되며, 열의 식는 속도에 따라 강도가 저하되는 등 많은 문제가 있어 이를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상기의 겹침 이음 및 압접에 의한 철근 이음방식에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철근과 철근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철근이음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기계적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할 때는 먼저 연결할 각각의 철근 단부를 깎아 소정지름의 나사부를 형성하는 단계가 필요하고, 상기 각각의 철근에 나사부가 형성되면, 이들 나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두 철근을 일렬로 정렬한 다음, 내주면에 암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의 양방에서 내측으로 철근을 돌려 끼우면서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철근이음장치는 철근의 단부를 깎아서 나사부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철근 이음을 위한 공정수가 늘어나서 작업능률을 떨어뜨리게 될 뿐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종전의 겹친이음, 압접, 기계식 이음 등은 모두가 철근 이음부위까지 작업자의 손이 미쳐야 하는 바, 작업자의 손이 들어가기 어려운 좁은 공간에서 철근연결 작업의 어려움이 있어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의 이음작업에 활용되지 못하였다.
종래에는 철근배근작업과 거푸집조립, 매설물 설치공정 등이 단계별 구분 작 업공정을 진행되었으나 본 발명은 각기 다른 공정을 동시추진하는 복합공정을 통합추진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공기단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철근 배근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다수장의 거푸집을 일체화 시켜 연결(조립)하기 위한 버팀대나 멍에가 필요 없도록 하고, 폼타이 등의 별도의 거푸집 고정구를 설치하지 않도록 공정을 간략화하여 시공성 증진, 자재절감,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을 통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 철근 배근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이음 작업시 없이 작업자의 손이 미치지 못하는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철근과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철근 연결작업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 및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의 보강을 위해 다수개의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수평,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상호 교차하면서 일체화시키고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과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에서,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주철근 및 상기 두 개의 주철근과 직각을 이루며 연결된 다수개의 연결근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은 수직방향 트러스근 다수개의 배치간격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은 수평방향 트러스근 다수개의 배치간격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수직,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은 상호 충첩되지 않도록 엇갈려 배치되고, 상기 연결근의 양단은 상기 주철근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거푸집과 일체화되도록 선조립된 제1항의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수직으로 연결할 때, 상하로 배치된 주근을 연결하는 구조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슬리브의 중간까지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의 하단에서 용접으로 고정되는 하부주근; 상기 슬리브의 상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 일체화 주근과 맞닿는 상부주근; 및 상기 슬리브 내부에 주입되어 고착되는 완속 경화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과 일체화되도록 선조립된 제1항의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수직으로 연결할 때, 상하로 배치된 주근을 연결하는 방법에서, (a) 몸체 내부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에 하부주근을 상기 슬리브의 중간까지 삽입시키고 상기 슬리브의 하단과 하부주근을 용접으로 연결시키며 슬리브의 하단을 막는 단계; (b) 슬리브가 연결된 상기 하부주근을 포함한 하부의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배근하되, 상기 슬리브가 상단이 되도록 세워 배근하는 단계; (c) 상기 슬 리브에 완속 경화제를 주입하는 단계; (d) 상부의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세워 배근하되, 상부주근을 상기 슬리브의 상단을 통해 삽입시켜 상기 하부주근과 맞댄이음 한 후 상기 완속 경화제를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 철근 배근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사다리형 트러스근(110, 120)을 수평, 수직방향으로 배치하고서 수직방향의 사다리형 트러스근(120)을 90도를 회전시켜 상호 교차하면서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110, 120)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두개의 주철근(111, 121) 및 상기 주철근(111, 121)과 직각을 이루며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근(112, 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은(110, 120) 각각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근되어 사용된다. 즉,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주근(111)은 장방향 수평철근으로 사용되고,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주근(121)은 수직철근으로 사용되며, 수직,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112, 122)은 모두 단방향 수평철근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112)은 수직방향 트러스근(120) 다수개의 배치간격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122)은 수평방향 트러스근(110) 다수개의 배치간격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수직,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112, 122)은 상호 충첩되지 않도록 엇갈려 배치되어야 한다. 최소한의 철근량으로 가장 효율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구조를 도출해 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110)은 수직구조물의 하부에서 좁은 간격으로 배치한 철근 배근구조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수직구조물의 콘크리트타설 중량이 하부로 갈수록 거푸집에 크게 작용하는 것을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수평배근되는 철근량을 늘려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연결근(112, 122)은 양단이 상기 주철근(111, 121)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하여 거푸집 고정구(폼타이) 역할을 병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근(112, 122)의 양단에 나사산을 형성시키면 콘형너트 등과 함께 간편하게 거푸집 고정구인 폼타이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110, 120)이 상호 교차하면서 연결되도록 하려면 수직,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주근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야 하는데,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120)의 주근간격을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110)의 주근간격보다 좁게 구성된 것을 사용하여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120)을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110)에 삽입하 여 연결시키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배근 작업에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회전체(210) 위에 설치된 받침대(220) 위에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110) 다수개를 나란하게 세워 배치한다. 이 후 다수개의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120)을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에 차례로 끼워 넣는데,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의 돌출된 연결근(122)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주근(111)에 걸리지 않도록 조립용 회전체(210)를 이용하여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120)을 90도 회전시켜 소정의 위치에 먼저 고정시켜 두는 작업이 필요하다. (도1a 참조)
(2) 회전체(210)를 90도 틀어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주근(121)과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112)이 맞닿고,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주근(111)과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122)이 맞닿도록 한 후 각 접점을 끼움 결속시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근구조를 형성한다. 이 때, 다수 개의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110)과 다수개의 수직방향 트러스근(120)은 사전에 공장에서 정밀가공한 제품을 반입하여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용접 없이도 밀착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도1b 참조)
도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에 따른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를 벽체거푸집과 일체화시키며 시공 층에설치하는 작업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 작업대 및 작업대 사이에 회전체 및 받침대를 설치한 후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 다수개를 받침대에 삽입하여 세워 나란히 배치한다. 이후 다수개의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120)을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에 차례로 끼워 넣는다. 이 때 수평거치대를 이용하여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임시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2a 참조)
(2) 회전체를 90도 틀어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주근과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이 맞닿고,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주근과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돌출된 연결근과 맞닿도록 한 후 각 접점을 끼움 교차시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근구조를 형성한다. (도2b 참조)
(3) 철근 배근구조의 양측에 벽체거푸집을 대어 연결시킨다. 이 때 상기 연결근이 주근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사용하면 상기 연결근을 거푸집 고정구(폼타이)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과정을 통해 철근과 벽체거푸집이 일체화된다. (도1c 참조)
(4) 일체화된 철근과 벽체거푸집을 인양하여 필요한 현장에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은 공장에서 가공하여 현장에 반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배근 및 매설물설치, 벽체, 슬래브거푸집의 일체화조립공정을 현장의 주요공정 추진과는 별도의 독자적인 분리공정으로 추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수의 공정이 상호간의 간섭 없이 분리된 형태로 동시에 진행되므로 소요공기의 혁신적인 단축을 꾀할 수 있다.
2.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 및 수직연결방법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의 시공현장 적용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는 슬리브(30), 하부주근(10), 상부주근(20) 및 완속 경화제(40)로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3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하부주근(10, 20)이 상기 슬리브(30)에 삽입된 후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30)도 결국에는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는 것이므로 몸체 외부에 주름(32)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면 철근 콘크리트 타설, 양생 후 주름(32)에 의해 슬리브(30)의 인발저항력이 커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슬리브의 몸체 내부에 주름이 형성되면 후술할 완속 경화제(40)의 경화에 따른 철근 이음부의 인장응력도 커지게 된다. 이 때의 슬리브(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을 깔대기 형태로 구성함으로서 후술할 완속 경화제(40)를 용이하게 주입하고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상부주근(2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완속 경화제를 사용으로 인해 경화속도가 늦춰짐에 따라 서두르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생기게 된다.
상기 하부주근(10)과 상부주근(20)은 각각 슬리브(30)의 중간까지 삽입되어 서로 맞대여진 후 고정된다. 우선, 상기 하부주근(20)을 슬리브(30)의 중간까지 삽입하고 상기 슬리브(30)의 하단에서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용접을 통해 슬리브(30)의 하단에는 용접부(31)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31)는 하부주근(10)을 슬리브(30)와 고정시키는 역할 이외에도 슬리브(30)의 하단을 막아 후술할 완속 경화제(40)를 슬리브(30) 내에 주입했을 때 상기 완속 경화제(40)가 슬리브(30) 밖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겸한다. 이와 같은 용접 작업은 공장용접을 통해 하부주근(10)과 슬리브(30)를 결합시킨 채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주근(10)과 슬리브(30)를 용접으로 결합시킨 후에는 슬리브(30) 내부에 완속 경화제(40)를 주입하고, 상기 완속 경화제(40)가 경화되기 전에 상부주근(20)을 슬리브(30)에 삽입하여 하부주근(10)과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완속 경화제(40)란 공기에 노출될 때부터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어느 정도의 여유시간이 있는 경화제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이는 슬리브(30)에 주입된 후 상부주근(20)을 삽입하기 전에 경화되지 아니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하부주근(10) 및 상부주근(20)은 몸체에 마디(12, 22) 및 리브(11, 21)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철근을 사용하면 상기 리브(12, 22)에 완속 경화제(40)의 경화 후 연결된 상,하부주근의 인장응력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일체화 철근 연결방법은 다음과 같다.
(a) 단계 : 몸체에 주름(32)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30)에 이형철근을 상기 슬리브의 중간까지 삽입시키고 상기 슬리브의 하단과 이형철근을 용접으로 연결시키며 슬리브의 하단을 막는 단계이다.
(b) 단계 : 상기 (a)단계의 하부주근(10)을 포함한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배근하되, 상기 슬리브(30)가 상단이 되도록 세워 배근하는 단계이다.
(c) 단계 : 상기 슬리브(30)에 완속 경화제(40)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d) 단계 : 상부주근을 상기 슬리브의 상단을 통해 삽입시켜 상기 하부주근(10)과 맞댄이음 한 후 상기 완속 경화제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상하부 주근은 이형철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a)단계는 슬리브(30)의 상단을 마개(50)로 막아 슬리브(30)를 밀폐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슬리브에 완속 경화제(40) 주입 전에 상기 마개(50)를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개(50)는 철근배치, 수직구조물 콘크리트의 타설 등의 공정에서 슬리브(30)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하부구조물 구축시 상단을 슬리브에 삽입시켜 용접으로 일체화시킨 철근을 하부구조물의 수직철근으로 사용함으로서, 상기 하부구조물의 수직철근과 상부구조물의 수직철근을 연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 및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직,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은 상호 충첩되지 않도록 엇갈려 배치함으로서 불필요한 철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둘째, 상기한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을 거푸집 고정구로 사용하므로 별도의 거푸집 고정구인 폼타이 설치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셋째,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을 통해 거푸집과 배근된 철근을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배면에 버팀대나 멍에 등을 대어 고정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넷째, 거푸집이 받는 압력을 고려하여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배치간격을 조절하여 철근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배근할 수 있다.
다섯째, 선 조립 철근과 일체화된 대형거푸집을 조립하여 적층식의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을 시공하면 종전에 각각 별도로 진행하였던 철근조립공정 및 거푸집조립공정을 타 공정(예: 가설 동바리설치, 콘크리트 타설/양생)과 함께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혁신적으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 및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철근 연결구조인 겹친이음, 압접, 기계적 이음 등에 비해 작업 자의 손이 진입살 수 없는 밀폐된 공간에서의 시공이 용이하며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둘째, 내외부에 주름이 형성된 슬리브를 사용함으로서 철근 이음부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일체화되어 매립된 철근과 슬리브의 인발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의 보강을 위해 다수개의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수평,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상호 교차하면서 일체화시키고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과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에서,
    상기 사다리형 트러스근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주철근 및 상기 두 개의 주철근과 직각을 이루며 연결된 다수개의 연결근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은 수직방향 트러스근 다수개의 배치간격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은 수평방향 트러스근 다수개의 배치간격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수직,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연결근은 상호 충첩되지 않도록 엇갈려 배치되고,
    상기 연결근의 양단은 상기 주철근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근 양단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주근간격은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의 주근간격보다 좁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수평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은 수직구조물의 하부에서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5. 거푸집과 일체화되도록 선조립된 제1항의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수직으로 연결할 때, 상하로 배치된 주근을 연결하는 구조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슬리브의 중간까지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의 하단에서 용접으로 고정되는 하부주근;
    상기 슬리브의 상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 일체화 주근과 맞닿는 상부주근; 및
    상기 슬리브 내부에 주입되어 고착되는 완속 경화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슬리브는 몸체 내부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
  7. 제6항에서,
    상기 슬리부는 상단이 깔대기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구조.
  8. 거푸집과 일체화되도록 선조립된 제1항의 수직방향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수직으로 연결할 때, 상하로 배치된 주근을 연결하는 방법에서,
    (a) 몸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에 하부주근을 상기 슬리브의 중간까지 삽입시키고 상기 슬리브의 하단과 하부주근을 용접으로 연결시키며 슬리브의 하단을 막는 단계;
    (b) 슬리브가 연결된 상기 하부주근을 포함한 하부의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배근하되, 상기 슬리브가 상단이 되도록 세워 배근하는 단계;
    (c) 상기 슬리브에 완속 경화제를 주입하는 단계;
    (d) 상부의 사다리형 트러스근을 세워 배근하되, 상부주근을 상기 슬리브의 상단을 통해 삽입시켜 상기 하부주근과 맞댄이음 한 후 상기 완속 경화제를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화 선 조립철근 수직연결방법.
KR1020060062429A 2006-07-04 2006-07-04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KR100812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429A KR100812248B1 (ko) 2006-07-04 2006-07-04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429A KR100812248B1 (ko) 2006-07-04 2006-07-04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179A Division KR100779764B1 (ko) 2007-07-16 2007-07-16 철근 수직연결구조 및 철근 수직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007A true KR20080004007A (ko) 2008-01-09
KR100812248B1 KR100812248B1 (ko) 2008-03-10

Family

ID=3921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429A KR100812248B1 (ko) 2006-07-04 2006-07-04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2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336A (ko) *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아이맥스트럭처 래티스 철근이 구비된 전단보강형 벽체 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철근 모듈
CN111827686A (zh) * 2020-07-13 2020-10-27 浙江省三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滑膜施工中的水平钢筋定位装置及其施工方法
CN112854140A (zh) * 2021-01-08 2021-05-28 中国地质调查局成都地质调查中心 一种用于泥石流沟道中上游的拦截桁架坝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511B1 (ko) 2010-07-06 2012-09-19 이창남 두꺼운 벽체 철근프레임을 공장 용접하여 현장 배근하는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0348A (ja) * 1988-11-18 1990-05-30 Taisei Corp 鉄筋ユニットおよび配筋工法
JPH04293840A (ja) * 1991-03-20 1992-10-19 Nippon Splice Sleeve Kk モルタル充填式鉄筋継手スリーブ
JP3245685B2 (ja) * 1992-04-17 2002-01-1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基礎コーナー筋
KR19980063106U (ko) * 1997-04-11 1998-11-16 권수길 배근(配筋)용 스페이서
KR100448443B1 (ko) * 1999-12-23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철근배근 및 단열재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강재패널
KR20060111751A (ko) * 2005-04-25 2006-10-30 김범준 선조립 콘크리트구조물 시공조립체
KR100831690B1 (ko) * 2007-06-22 2008-05-22 박정진 철근 배근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336A (ko) *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아이맥스트럭처 래티스 철근이 구비된 전단보강형 벽체 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철근 모듈
KR101880343B1 (ko) * 2015-09-11 2018-07-19 주식회사 아이맥스트럭처 래티스 철근이 구비된 전단보강형 벽체 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철근 모듈
CN111827686A (zh) * 2020-07-13 2020-10-27 浙江省三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滑膜施工中的水平钢筋定位装置及其施工方法
CN112854140A (zh) * 2021-01-08 2021-05-28 中国地质调查局成都地质调查中心 一种用于泥石流沟道中上游的拦截桁架坝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248B1 (ko) 200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748B1 (ko)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KR101381866B1 (ko) ㄱ형강을 이용한 선조립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KR101570790B1 (ko) 선조립 벽체 프레임
KR101050956B1 (ko) 철근 선조립 기둥공법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KR101058540B1 (ko) 철근 볼트 접합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건식 연결부 개발
KR100991337B1 (ko) 리브강관을 사용한 중공 cft 제작공법
KR100858963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용 연결블록, 그 연결블록이결합된 고강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 제조방법 및그 연결블록이 결합된 고강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보와 기둥의 접합 방법
KR100622935B1 (ko) 수평 증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접합공법
KR20170090964A (ko) 대형 더블월의 프리캐스트 판넬 접속 구조
KR101460559B1 (ko) 텐던체어 기능의 연결 전단보강 철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과 현장타설 슬래브의 접합부 구조 및 접합부 시공방법
KR101258842B1 (ko) 공장조립 철근기둥과 철근보의 현장접합부
KR20080004007A (ko)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KR10060918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구조
KR20140110490A (ko)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72991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
KR20100043731A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10184790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
CN208293903U (zh) 一种反弯点预制柱连接节点
KR100710583B1 (ko) Pc기둥과 철골보의 복합구조
JP2904683B2 (ja) 柱・梁の接合工法
KR100343369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 및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접합방법
KR101270502B1 (ko) 구조물용 논 슬리브 피씨부재
KR20120091934A (ko) 헤드 철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층간 중간이음 공법
KR100779764B1 (ko) 철근 수직연결구조 및 철근 수직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