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691U -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 - Google Patents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691U
KR20080003691U KR2020070003424U KR20070003424U KR20080003691U KR 20080003691 U KR20080003691 U KR 20080003691U KR 2020070003424 U KR2020070003424 U KR 2020070003424U KR 20070003424 U KR20070003424 U KR 20070003424U KR 20080003691 U KR20080003691 U KR 200800036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a
inclined surface
cable
sleeve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354Y1 (ko
Inventor
배준집
Original Assignee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3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35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6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6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3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는 케이블을 보강하는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의 돌출된 아모아부의 내측에 그 외측이 접하는 경사면을 갖는 슬리브와, 그 내측면에는 중앙에서 양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그 중의 일측 경사면은 상기 슬리브의 경사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서로 분할되어 독립된 한 쌍의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링의 경사면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지나 상기 경사면의 반경은 하나는 크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작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내경을 갖으며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아모아 케이블의 아모아에 대한 접지의 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서로 다른 두께의 아모아를 고정링의 위치를 교환하여 접지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아모아 케이블 연결구의 사용효용성을 제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 amour cable gland with amour portion}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케이블 연결구의 조립상태의 종단면도
도3은 도1의 케이블 연결구의 고정링의 위치가 바뀐 상태의 케이블 연결구의 종단면도
도4는 종래의 케이블 연결구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아모아부 2. 슬리브
3,3'. 고정링 4. 원통관
5. 고정구 6. 캡조임구
21. 슬리브 경사면 31,31' 고정링 경사면
본 고안은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금속, 플라스틱, 직물과 같은 적당한 재질로 직조되거나 테잎이나 스트립형태의 비직조재질로 케이블을 강화시키는 보강층인 아모아부(armore portion)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을 안전하게 아모아부를 접지가능하면서도 서로 다른 사이즈의 아모아부를 고정링의 위치를 변경하므로서 접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효용성을 제고시키는 것이 가능한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아모아 케이블 연결구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모아부(1)가 1개의 두께로 연결되는 경사를 갖도록 고정링(3)이 경사각도를 가지므로,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모든 케이블의 아모아부의 두께에 맞도록 케이블 연결구를 준비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이 됨은 물론이고, 제조자들도 모든 아모아부를 갖는 케이블을 아모아부의 두께에 맞도록 제조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대단히 불합리하며, 이와 같은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면서 아모아 케이블 연결구를 제조하려는 제조자도 없으므로, 사용자들은 맞지도 않는 아모아 케이블 연결구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모아 케이블의 아모아에 대한 접지의 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서로 다른 두께의 아모아를 고정링의 위치를 교환하여 접지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아모아 케이블 연결구의 사용효용성을 제고시키는 것이 가능한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케이블을 보강하는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의 돌출된 아모아부의 내측에 그 외측이 접하는 경사면을 갖는 슬리브와, 그 내측면에는 중앙에서 양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그 중의 일측 경사면은 상기 슬리브의 경사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서로 분할되어 독립된 한 쌍의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링의 경사면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지나 상기 경사면의 반경은 하나는 크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작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내경을 갖으며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아모아'라는 용어는 선박이나 시추선과 같은 요동이 심한 바다와 같은 장소에서 사용되는 해양 케이블을 보강하기 위하여 금속, 플라스틱, 직물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망사와 같이 직조되거나 테잎, 스트립 또는 스트랜드와 같은 비직조되는 보강층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아모아'라는 용 어는 널리 통용되고 있다.
상기 아모아 케이블(C1)은 외피(C11)와 내피(C12)사이에 위치되는아모아부(1)를 포함한다. 상기 아모아 케이블(C1)의 아모아부(1)는 비직조된 와이어와 같은 두께가 두꺼운 강선이 사용되기도하고 직조된 브레이드(braid)와 같은 얇은 강선이 사용되기도 하는 등의 여러 종류의 타잎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A)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모아부(1)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C1)의 돌출된 아모아부(1)의 내측에 그 외측이 접하는 경사면(21)을 갖는 슬리브(2)와, 그 내측면에는 중앙에서 양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1,31')을 가지며 그 중의 일측 경사면(31,31')은 상기 슬리브(2)의 경사면(21)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서로 분할된 한 쌍의 고정링(3,3')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링(3,3')의 경사면(31,31')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지나 상기 경사면(31,31')의 반경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갖으며 외경(32,32')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3,3')의 위치가 변경되면 서로 접지고정되는 아모아부(1)의 대상이 서로 변경되게 되는 것이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의 경사면(21)상에 먼저 내경이 큰 고정링(3)이 배치되고 연이어 내경이 작은 고정링(3')이 배치될 경우에는 경사면(21)과 고정링(3)의 경사면(31)사이의 간극이 넓게 되므로 되도록 와이어선과 같은 두꺼운 아모아부(1)를 접지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의 경사면(21)상에 내경이 작은 고정 링(3')이 먼저 배치되고 내경이 큰 고정링(3)이 연이어 배치될 경우에는 고정링(3')의 경사면(31')과 슬리브(2)의 경사면(21)사이의 간극이 좁게 되므로 브레이드와 같은 얇은 접지선을 접지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2)의 경사면(21)상에는 아모아부(1)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다수의 고정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2)의 타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관(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3,3')은 상기 고정링(3,3')을 둘러싸며 고정시키는 원통관(4)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41)상에 고정되고, 상기 원통관(4)의 일단부상에는 연장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2)의 외측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관(4)의 타단부상에는 다른 연장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3)상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2)와 원통관(4)의 연장부(43)사이에는 고정구(5)의 일단부가 삽입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5)의 일단부는 상기 상기 슬리브(2)와 원통관(4)의 연장부(43)사이에 삽입고정되는 연장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51)상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관(4)의 연장부(43)의 암나사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캡조임구(6)의 일단부상에는 환형립(61)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원통관(4)의 연장부(42)상의 숫나사와 결합되도록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암나사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조임구(6)의 내측의 환형립(61)과 암나사부(62)사이에는 밀봉링(63)이 배치되는 고정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 속용 케이블 연결구(A)의 작용효과를 이하에 설명하면, 와이어선과 같은 두께가 두꺼운 아모아부(1)를 갖는 아모아 케이블(C1)을 접지고정시킬 경우에는, 고정구(5)와 슬리브(2)의 경사면(21)이 아모아부(1)에 접하도록 배치하고 고정링(3,3')중에서 내경의 큰 경사면(31)을 갖는 고정링(3)을 아모아부(1)에 삽입하고 다른 고정링(3')을 삽입하고 원통관(4)을 조이고 캡조임구(6)를 조이면, 고정링(3)의 경사면(31)과 슬리브(2)의 경사면(21)사이의 유격이 크게 되어 와이어와 같은 두꺼운 아모아부(1)를 접지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브레이드와 같은 얇은 두께의 아모아부(1)를 갖는 아모아 케이블(C1)을 접지고정시킬 경우에는, 내경이 작은 경사면(31')을 갖는 고정링(3')을 아모아부(1)에 삽입하고 다른 고정링(3)을 삽입하고 원통관(4)을 조이고 캡조임구(6)를 조이면, 고정링(3')의 경사면(31')과 슬리브(2)의 경사면(21)사이의 유격이 작게 되어 브레이드와 같은 얇은 아모아부(1)를 접지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A)는 서로 내경이 서로 다른 독립된 1쌍의 고정링(3,3')의 위치만을 변경시켜서 두께가 다른 아모아 케이블(C1)의 아모아부(1)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다양한 두께의 아모아부를 갖는 아모아 케이블의 접지고정이 가능하게 되는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는 케이블을 보강하는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의 돌출된 아모아 부의 내측에 그 외측이 접하는 경사면을 갖는 슬리브와, 그 내측면에는 중앙에서 양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그 중의 일측 경사면은 상기 슬리브의 경사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서로 분할되어 독립된 한 쌍의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링의 경사면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지나 상기 경사면의 반경은 하나는 크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작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내경을 갖으며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아모아 케이블의 아모아에 대한 접지의 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서로 다른 두께의 아모아를 고정링의 위치를 교환하여 접지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아모아 케이블 연결구의 사용효용성을 제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구(A)는 아모아부(1)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C1)의 돌출된 아모아부(1)의 내측에 그 외측이 접하는 경사면(21)을 갖는 슬리브(2)와,
    그 내측면에는 중앙에서 양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1,31')을 가지며 그 중의 일측 경사면(31,31')은 상기 슬리브(2)의 경사면(21)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서로 분할되어 독립된 한 쌍의 고정링(3,3')을 포함하고,
    상기 독립된 한 쌍의 고정링(3,3')의 상기 경사면(31,31')의 반경은 일측 고정링(3)의 경사면(31)의 반경은 크게 형성되고 다른 고정링(3')의 경사면(31')의 반경은 작게 형성된 서로 다른 내경을 갖으며 외경(32,32')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
KR2020070003424U 2007-02-28 2007-02-28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 KR200443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424U KR200443354Y1 (ko) 2007-02-28 2007-02-28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424U KR200443354Y1 (ko) 2007-02-28 2007-02-28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91U true KR20080003691U (ko) 2008-09-02
KR200443354Y1 KR200443354Y1 (ko) 2009-03-02

Family

ID=4132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424U KR200443354Y1 (ko) 2007-02-28 2007-02-28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3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258B1 (ko) * 2012-03-09 2013-09-05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방폭 케이블 그랜드 구조체
KR200482139Y1 (ko) * 2015-09-10 2016-12-21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밀착형 접지체가 구비된 케이블 그랜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258B1 (ko) * 2012-03-09 2013-09-05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방폭 케이블 그랜드 구조체
KR200482139Y1 (ko) * 2015-09-10 2016-12-21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밀착형 접지체가 구비된 케이블 그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354Y1 (ko) 200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7294A (zh) 管道接头
US9022431B2 (en) Pipe fitting
KR200443354Y1 (ko) 아모아부가 구비된 아모아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연결구
JP2018035928A (ja) 管継手及び係止部材
US7614664B1 (en) Fast-connecting joint for corrugated pipes
JP5827152B2 (ja) 合成樹脂製電線管及び配管構造
JP2011163540A (ja) 配管カバー
GB2133851A (en) Conduit coupling
KR101857027B1 (ko) 스프링밴드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CN213361400U (zh) 一种防止盖子松动的装置
CN211183288U (zh) 一种新型结构的线缆夹紧器
CN211599880U (zh) 一种带有密封装置的车用尼龙管快插接头
CN216748276U (zh) 一种耐磨损的内窥镜管道及内窥镜
JP7435723B2 (ja) 管継手
CN215185607U (zh) 电缆管道孔封堵器
CN210920501U (zh) 管接头结构
CN218236533U (zh) 一种用于连接输送流体的管路及设备的连接器
JP4231771B2 (ja) 保護管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224017Y1 (ko) 연성 파이프 배관용 슬리브
KR101339840B1 (ko) 관 연결구
CN215950672U (zh) 一种管道连接器
EP2113704A1 (en) Connecting joint for corrugated pipes
JP7429355B2 (ja) 鞘管付きパイプ及び鞘管付きパイプの施工方法
CN210141388U (zh) 卡扣环锁接口柔性多密封缠绕实壁管
JP2007053863A (ja) 管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