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369U - 젖병용 젖꼭지 - Google Patents

젖병용 젖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369U
KR20080003369U KR2020070002557U KR20070002557U KR20080003369U KR 20080003369 U KR20080003369 U KR 20080003369U KR 2020070002557 U KR2020070002557 U KR 2020070002557U KR 20070002557 U KR20070002557 U KR 20070002557U KR 20080003369 U KR20080003369 U KR 200800033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nipple
liquid discharge
ai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2627Y1 (ko
Inventor
전득재
Original Assignee
전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득재 filed Critical 전득재
Priority to KR2020070002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627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3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6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6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for improving flexi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젖병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젖병용 젖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젖병 몸체의 플랜지 내측부를 따라 공기유도홈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젖병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젖병의 우유가 쉽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아들이 간편하게 젖병의 우유를 빨아 먹을 수 있도록 한 젖병용 젖꼭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는, 젖병의 상단측에 결합되어 젖병 내부에 수용되는 분유나 물, 모유, 우유, 음료수와 같은 액상의 물질을 유아가 입으로 빨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젖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배출공(11)이 통공된 액체배출부(10)와, 상기 액체배출부(10)의 하부측에 상협하광지게 연장형성된 연결부(20)와, 상기 연결부(20)의 하단측 둘레부를 따라 요입형성되고 젖병의 내부캡에 끼워지는 결합홈(30)과, 상기 결합홈(30)의 일측에 절개 형성된 공기유입부(40)와, 상기 연결부(20)의 하부측에 연장형성되고 젖병의 내부캡의 내면에 밀착되는 플랜지(50)와, 상기 플랜지(50)의 내측 상면 둘레를 따라 요입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부(40)와 일측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공기유도홈(60)과, 상기 공기유도홈(60)의 내부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공기인입공(7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50)의 내부면에 통공된 공기인입공(70)은, 양측이 서로 내측으로 협곡진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체배출부(10)의 외주연에는 유아가 액체배출부를 빨 때, 액체배출부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파(波)형상의 신축부(12)가 더 형성된다.
젖꼭지, 젖병, 유아용 꼭지

Description

젖병용 젖꼭지{Breast-nursing teats}
도 1은 종래 젖병용 젖꼭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가 젖병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의 액체배출부가 늘어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의 구성요부인 공기유입공의 형상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체배출부 11 : 배출공
12 : 신축부 20 : 연결부
30 : 결합홈 40 : 공기유입부
50 : 플랜지 60 : 공기유도홈
70 : 공기인입공
본 고안은 젖병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젖병용 젖꼭지에 관한 것으로서,더욱 상세하게는 젖병 몸체의 플랜지 내측부를 따라 공기유도홈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젖병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젖병의 우유가 쉽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아들이 간편하게 젖병의 우유를 빨아 먹을 수 있도록 한 젖병용 젖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용 젖꼭지는 젖병에 결합시켜 사용되는 제품으로 치아가 발육되지 않은 신생아나 24개월 내의 유아에게 산모의 젖 대신 인공적으로 제작된 젖꼭지를 사용하여 별도의 가공된 분유를 물과 혼합하여 수유를 하거나, 모유 및 액체를 젖병에 담아서 수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유용 젖꼭지에 대한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유용 젖꼭지는 액체배출부(2), 연결부(3) 및 젖병결합부(4)로 구성되는 것으로, 액체배출부(2)는 여성의 유두와 유사한 형상을 하며, 상면에는 크기가 같은 두개의 수유공(1)이 형성되고, 상기 젖병결합부(4)는 젖병의 입구부와 밀착되도록 결합하며, 젖병과 결합되는 환형 형상의 부분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공(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는 액체의 누출이 없도록 액체배출부(2)와 젖병결합부(4)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젖꼭지의 경우, 유아가 액체배출부(2)를 빨을 경우 에 액체배출부(2)의 상면에 통공된 수유공(1)을 통해 젖병의 내부에 들어있는 우유나, 물, 또는 분유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아가 젖병 내부의 수용물을 먹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젖병결합부(4)의 서로 대응되게 통공된 공기유입공(5)을 통해 젖병 내부의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젖병 내부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젖병용 젖꼭지의 경우, 상기 공기유입공(5)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젖병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젖병내의 공기공급이 불충분하여 젖병 내부의 압력이 크게 저하되어 유아가 상기 액체배출부(2)를 빠는 동안에 젖병 내부의 압력저하에 따라 젖꼭지가 찌그러지거나 하여 가공된 분유가 잘 나오지 않는 단점이 있다.
한편, 유아들이 젖꼭지의 액체유출부를 빨 경우, 상기 액체유출부는 신축성에 의해 늘어지고 이에 따라 젖병내의 우유가 원활하게 액체유출부측으로 배출되는 바, 종래 액체유출부의 경우 액체배출부의 두께가 두꺼워 유아의 수유하는 힘이 약함에 따라 신축성이 저하됨으로써 액체유출부의 늘어나는 길이가 길지 않아 우유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이로 인해 정서적으로 불안정함으로 잦은 짜증과 성장 중인 아기들은 젖꼭지를 입으로 물고 비트는 습관이 생기게 되며, 이에 한창 발육중인 치아의 상태도 잘못되는 경우가 생긴다.
본 고안은 종래 젖병용 젖꼭지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젖꼭지의 몸체 하단측에 형성된 플랜지의 내면에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공기유도홈을 더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젖꼭지를 통해 젖병의 내부로 유입됨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홈을 통해 공기가 유도되어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젖병의 우유가 잘 배출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우유가 배출되는 액체배출부의 상부측에 파형상의 신축부를 형성하여 액체배출부의 신축길이가 크게 연장되도록 한 젖병용 젖꼭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는, 젖병의 상단측에 결합되어 젖병 내부에 수용되는 분유나 물, 모유, 우유, 음료수와 같은 액상의 물질을 유아가 입으로 빨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젖꼭지에 있어서, 상면에 배출공이 통공된 액체배출부와; 상기 액체배출부의 하부측에 상협하광지게 연장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단측 둘레부를 따라 요입형성되고 젖병의 내부캡에 끼워지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일측에 절개 형성된 공기유입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부측에 연장형성되고 젖병의 내부캡의 내면에 밀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내측 상면 둘레를 따라 요입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부와 일측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공기유도홈과; 상기 공기유도홈의 내부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공기인입공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의 내부면에 통공된 공기인입공은, 양측이 서로 내측으로 협곡진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체배출부의 외주연에는 유아가 액체배출부를 빨 때, 액체배출부의 길 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파(波)형상의 신축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젖꼭지용 젖병은, 외부의 공기가 젖병의 내부로 유입됨에 있어서 젖꼭지의 플랜지 내면을 따라 형성된 공기유도홈을 통해 유도되어 젖병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젖병 내부의 우유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유아가 젖병을 이용하여 분유나 모유 및 물을 먹기에 용이하고 또한, 액체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신축부에 의해 액체배출부의 늘어짐 현상이 발생되고 더욱이 신축부의 형상이 파(波)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신축부의 늘어나는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유아가 젖꼭지를 빨아 우유를 먹기에 수월하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가 젖병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의 액체배출부가 늘어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의 구성요부인 공 기유입공의 형상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는, 젖병의 상단측에 결합되어 젖병 내부에 수용되는 분유나 물, 모유, 우유, 음료수와 같은 액상의 물질을 유아가 입으로 빨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젖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배출공(11)이 통공된 액체배출부(10)와, 상기 액체배출부(10)의 하부측에 상협하광지게 연장형성된 연결부(20)와, 상기 연결부(20)의 하단측 둘레부를 따라 요입형성되고 젖병의 내부캡에 끼워지는 결합홈(30)과, 상기 결합홈(30)의 일측에 절개 형성된 공기유입부(40)와, 상기 연결부(20)의 하부측에 연장형성되고 젖병의 내부캡의 내면에 밀착되는 플랜지(50)와, 상기 플랜지(50)의 내측 상면 둘레를 따라 요입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부(40)와 일측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공기유도홈(60)과, 상기 공기유도홈(60)의 내부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공기인입공(7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는, 젖병(100)에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를 체결할 경우, 상기 연결부(20)의 결합홈(30)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부(40)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부(40) 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연결부(20)의 둘레부를 따라 상기 플랜지(50)의 내측 상면에 요입형성된 공기유도홈(60)을 통해 흐르다가 상기 공기유도홈(60)의 내면에 관통형성된 상기 공기인입공(70)을 통해 젖병의 내부로 인입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공기유입공이 막히게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제대로 유입되지 못함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더욱이, 상기 플랜지(50)의 내부면에 통공된 공기인입공(70)은, 양측이 서로 내측으로 협곡진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인입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인입공(70)의 내면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공기가 인입되고 난 후에는 다시 오므라짐으로써 젖병 내부의 액상체가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유아가 젖병을 이용하여 액상체를 먹을 때 전혀 무리가 따르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액체배출부(10)의 외주연에는 유아가 액체배출부를 빨 때, 액체배출부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파(波)형상의 신축부(12)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유아가 상기 액체배출부(10)를 빠는 과정에서 상기 액체배출부(10)가 용이하게 신축부(12)에 의해 신축됨이 가능해짐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쉽게 액체배출부가 빨릴 수 있어 젖병 내부의 액상체를 먹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다.
또한, 상기 플랜지(50)의 두께는 3mm ∼ 5mm 인 것이 좋은 것으로, 이와 같이 플랜지(50)의 두께가 3mm ∼ 5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야만 상기 젖병으로부터 젖꼭지가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인 젖병용 젖꼭지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젖꼭지용 젖병에 의하면, 외부의 공기가 젖병의 내부로 유입됨에 있어서 젖꼭지의 플랜지 내면을 따라 형성된 공기유도홈을 통해 유도되어 젖병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젖병 내부의 우유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유아가 젖병을 이용하여 분유나 모유 및 물을 먹기에 용이하고 또한, 액체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신축부에 의해 액체배출부의 늘어짐 현상이 발생되고 더욱이 신축부의 형상이 파(波)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신축부의 늘어나는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유아가 젖꼭지를 빨아 우유를 먹기에 수월한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4)

  1. 젖병의 상단측에 결합되어 젖병 내부에 수용되는 분유나 물, 모유, 우유, 음료수와 같은 액상의 물질을 유아가 입으로 빨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젖꼭지에 있어서,
    상면에 배출공(11)이 통공된 액체배출부(10)와;
    상기 액체배출부(10)의 하부측에 상협하광지게 연장형성된 연결부(20)와;
    상기 연결부(20)의 하단측 둘레부를 따라 요입형성되고 젖병의 내부캡에 끼워지는 결합홈(30)과;
    상기 결합홈(30)의 일측에 절개 형성된 공기유입부(40)와;
    상기 연결부(20)의 하부측에 연장형성되고 젖병의 내부캡의 내면에 밀착되는 플랜지(50)와;
    상기 플랜지(50)의 내측 상면 둘레를 따라 요입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부(40)와 일측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공기유도홈(60)과;
    상기 공기유도홈(60)의 내부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부(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공기인입공(7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용 젖꼭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50)의 내부면에 통공된 공기인입공(70)은, 양측이 서로 내측으 로 협곡진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용 젖꼭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배출부(10)의 외주연에는 유아가 액체배출부를 빨 때, 액체배출부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파(波)형상의 신축부(12)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용 젖꼭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50)의 두께는 3mm ∼ 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용 젖꼭지.
KR2020070002557U 2007-02-13 2007-02-13 젖병용 젖꼭지 KR200442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557U KR200442627Y1 (ko) 2007-02-13 2007-02-13 젖병용 젖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557U KR200442627Y1 (ko) 2007-02-13 2007-02-13 젖병용 젖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369U true KR20080003369U (ko) 2008-08-19
KR200442627Y1 KR200442627Y1 (ko) 2008-11-25

Family

ID=4149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557U KR200442627Y1 (ko) 2007-02-13 2007-02-13 젖병용 젖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6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950A2 (ko) * 2010-04-22 2011-10-27 주식회사 베이비드림 수유용 젖병
CN106572945A (zh) * 2014-09-11 2017-04-19 玛帕有限公司 奶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180B1 (ko) * 2009-09-03 2012-03-16 김상표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KR101215956B1 (ko) 2011-06-20 2012-12-27 김상표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KR200476793Y1 (ko) * 2012-09-24 2015-04-08 주식회사 림스텍 젖병용 젖꼭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950A2 (ko) * 2010-04-22 2011-10-27 주식회사 베이비드림 수유용 젖병
WO2011132950A3 (ko) * 2010-04-22 2012-03-01 주식회사 베이비드림 수유용 젖병
CN106572945A (zh) * 2014-09-11 2017-04-19 玛帕有限公司 奶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627Y1 (ko) 200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269B1 (ko) 인공 젖꼭지
US8113365B2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US10123946B2 (en) Teat for feeding bottle
KR200442627Y1 (ko) 젖병용 젖꼭지
BRPI0711002A2 (pt) bico de sucção para frascos de leite e bico de sucção provido de um corpo de sucção
TW201124130A (en) Artificial nipple, nursing container using same, and pacifier toy
JP2020058849A (ja) 乳児用吸い飲み容器のための吸い口
JP2021515646A (ja) 搾乳ポンプのための乳房シールド構成
CN205494483U (zh) 一种肠道造瘘口负压引流装置
US8479934B2 (en) Bottle design with multiple seals
US20120181245A1 (en) Nursing bottle nipple and air-venting system
CN218923271U (zh) 一种奶嘴及设有该奶嘴的奶瓶
KR200296991Y1 (ko) 수유용 젖꼭지
TW201838615A (zh) 奶瓶奶嘴及於其中形成開口之方法
JP2009106614A (ja) 哺乳瓶用人工乳首
BRPI0611856B1 (pt) mamadeira com amplo aro completamente aberto com tubo de passagem contornado
US20210077357A1 (en) Tubie vent gastrostomy venting unit
WO2006040542A1 (en) Teat device for mammalian infants
CN205814853U (zh) 一种一次性医用消化液回输瓶
KR200441202Y1 (ko) 수유용 젖꼭지
CN209221015U (zh) 一种新式婴儿奶嘴
CN209678101U (zh) 婴童吸管
CA2714171C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WO2018137288A1 (zh) 人工奶嘴以及幼儿饮用器具
KR20020046249A (ko) 매직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230

Effective date: 200904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